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훈민정음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 대왕이 만들었답니다.
《훈민정음》에는 한글을 읽고 쓰는 방법뿐 아니라,
한글을 만들게 된 까닭에 대해서도 밝혀 놓았습니다.
주시경 선생이 훈민정음을 ‘한글’이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답니다.
주시경 선생은 1910년에 쓴 글에서
한국어를 ‘한나라말’, 한글을 ‘한나라글’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주시경 선생은 1908년에 ‘국어연구학회’라는 단체를 만들었는데
이 단체의 이름이 1911년에는 ‘배달말글몯음’으로 바뀌었고
1913년에는 ‘한글모’로 바뀌었다는 사실이 기록에 남아 있는데
이 ‘한글모’가 ‘한글’이란 말이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된 것이라고 합니다.
====================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解例)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집필자들은 정인지·신숙주(申叔舟)·성삼문(成三問)·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강희안(姜希顔)·이개(李塏)·이선로(李善老) 등 집현전의 8학자이다.
[서지적 사항]
전권 33장 1책. 목판본. 국보 제70호.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소장. 1446년 9월 상한(上澣:초하루에서 초열흘까지의 기간)에 완성되었다.
현존본은 1940년경 경상북도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고(故) 전형필(全鎣弼) 소장본(현 간송문고 소장)이며,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으로 아직까지는 국내유일본이다.
광곽(匡郭)은 가로 16.8㎝, 세로 23.3㎝이고, 본문(예의) 부분은 4장 7면으로 면마다 7행에 매행 11자, 해례 부분은 26장 51면 3행으로 면마다 8행에 매행 13자, 정인지의 서문은 3장 6면에 한 자씩 낮추어서 매행 12자로 되어 있다. 그리고 끝에는 ‘정통 11년(1446) 9월 상한’이라는 반포일이 기록되어 있다.
이 책도 발견 당시 완전한 것은 아니고, 처음 2장이 빠져 있던 것을 나중에 붓글씨로 적어 넣었던 것인데, 적을 때 실수하여 세종 어제서문의 끝 자 ‘이(耳)’가 ‘의(矣)’로 되는 등 오자가 있다.
[내용]
먼저, ‘훈민정음 해례본’의 구성내용을 약술하면 아래와 같다.
1) 본문(예의)
① 어제서문(훈민정음 창제목적을 밝혔다.)
② 예의(새 글자의 음가, 운용법을 설명하였다.)
2) 해례
① 제자해(제자원리, 제자기준, 자음체계, 모음체계, 음상 등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② 초성해(초성이 무엇인가를 다시 설명하였다.)
③ 중성해(중성이 무엇인가를 다시 설명하고, 중성글자의 합용법을 제시하였다.)
④ 종성해(종성의 본질과 사성 등을 설명하였다.)
⑤ 합자해(초성·중성·종성 글자가 합해져서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보기를 보이고, 중세국어의 성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⑥ 용자례(단어의 표기례를 제시였다.)
3) 정인지서문
훈민정음의 창제이유, 창제자, 훈민정음의 우수성, 이 책의 편찬자, 편찬연월일을 분명히 밝혔다.
다음으로 위의 내용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본문(예의)
① 어제서문
세종어제 서문에서는, 표기수단을 가지지 못한 비지식층 백성들에게 표기수단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세종이 친히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고 창제목적이 밝혀져 있다.
② 예의
어제서문에 이어서 중국 36자모표에 나오는 한자를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외래어인 한자어의 전래자음(傳來字音)을 이용하여 새로 만든 훈민정음(글자)의 음가를 설명하였다. 이 중에서 초성 23자모체계는, 비록 전래자음을 가지고 음가를 설명하기는 하였으나, 중국 36자모체계의 영향을 받은 체계였으며, 인위적인 개신(改新) 의도를 가지고 정리하였던 『동국정운(東國正韻)』 23자모체계와도 일치하여, 15세기 중세국어의 초성체계와 부합되지 않는 면도 조금 있다.
=======================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내용
훈민정음 해례본(원본)
-1446년(세종 28) 집현전 대제학 정인지(鄭麟趾) 등이 세종의 명으로 새로 창제한 훈민정음을 설명한 한문해설서입니다.
-목판본. 전권 33장. 1책 국보 제70호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소장. 9월 상한(上澣)에 완성되었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解例)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 이라고도 한다. 내용은 세종어제(世宗御製) 서문과 훈민정음(새 글자)의 음가(音價) 및 운용법(運用法)을 밝힌 예의편(禮儀篇)이 본문처럼 되어 있고 이를 해설한 해례편이 제자해(制字解) · 초성해(初聲解) · 중성해(中聲解) · 종성해(終聲解) · 합자해(合字解) · 용자례(用字例)의 순으로 나누어져 기술되고 있으며, 책 끝에 정인지의 서문이 실려 있다.
-집필자들은 정인지 · 신숙주(申叔舟) · 성삼문(咸三問) · 최항(崔恒) · 박팽년(朴彭年) · 강희안(姜希顔) · 이개(李塏) · 이선로(李善老) 등 집현전의 8학자이다. 현존본은 1940년경 경상북도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고(故) 전형필(全鎣弼) 소장본(현 澗松文庫 소장)이며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인데, 아직까지는 국내 유일본으로서 광곽(匡郭)은 가로 16.8cm, 세로 23.3cm이다. 예의 부분은 1면이 7행에 매행 11자, 해례 부분은 8행에 매행 13자이며, 정인지의 서문은 한 자책 낮추어서 매행 12자로 되었다. 이 책도 발견 당시 완전한 것은 아니고, 처음 2장이 빠져 있던 것을 나중에 붓글씨로 적었던 것인데, 적을 때 실수하여 세종 어제서문의 끝 자 ‘이(耳)’가 ‘의(矣)’로 되는 등 오자가 있다.
내용
① 본문(예의) : 어제서문(훈민정음 창제목적을 밝힘), 예의(새 글자의 음가, 운용법을 설명함),
② 해례 : 제자해(제자원리, 제자기준, 자음체계, 모음체계, 音相 등에 관하여 설명함) · 초성해(초성이 무엇인가를 다시 설명함) · 중성해(중성이 무엇인가를 다시 설명하고 중성글자의 합용법을 보임) · 종성해(종성의 본질과 四聲 등을 설명함) · 합자해(초성 · 중성 · 종성 글자가 합해져서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보기를 보이고, 중세국어의 성조에 대하여 설명함) · 용자례(단어의 표기례를 보임),
③ 정인지 서문 : 훈민정음의 창제이유, 창제자, 훈민정음의 우수성, 이 책의 편찰자, 편찰 연월일을 분명히 밝혔다.
출처(훈민정음: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