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중산복의 유래?...
2017년 05월 23일 02시 26분  조회:3580  추천:0  작성자: 죽림
중산복의 유래와 함의     


 

 

 

중산복(中山裝)은 1923년 세상에 나온 이래, 줄곧 중국 남성들이 가장 즐기는 복장이다. 중산복의 창시자는 바로 중국 민주혁명가 손중산(孫中山-쑨원) 선생이다. 

손중산 선생은 1923년 광저우에서 중국혁명정부의 대원수직을 맡았다. 양복은 복잡하고 입기가 불편해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 적합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 전통의상은 중국인들의 향상되는 시대정신을 표현하지 못했고 일상생활에서도 양복과 비슷한 결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남양(南洋) 화교들 사이에 유행되던 상의에 양복 와이셔츠식의 빳빳한 옷깃을 달았다. 이리하여 양복 상의와 와이셔츠의 작용을 겸비하게 됐다. 또 남양화교 복장의 3개 호주머니를 4개로 바꿔 실용성을 더했다. 아래 쪽 두 개의 호주머니는 넣는 물건의 부피에 따라 부풀 수 있도록 주름을 넣었다. 

손중산 선생이 호주머니를 이렇게 개량한 이유는 책이나 노트 및 업무 필수품을 넣기 위해서였다. 호주머니에는 또 덮개를 달아 물건이 쉽게 분실되지 않도록 했다. 양복 바지는 앞에 구멍을 내고 단추를 사용했으며, 좌우에는 각각 호주머니를 달았다. 뒤쪽 좌우 둔부에도 호주머니를 각각 하나씩 만들고 덮개를 달았다. 이렇게 만든 바지는 편리하고 많은 물건을 지닐 수 있게 됐다. 

손중산 선생을 도와 중산복을 만든 조수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양복점을 경영하던 광둥성 타이산(臺山) 사람인 황룽성(黃隆生)이다. 1902년 12월, 손중산 선생이 하노이에서 흥중회를 조직하던 중 우연히 황룽성의 양복점에 들어가게 됐다. 황룽성은 손중산 선생에게 매료돼 흥중회에 가입하고 혁명을 위해 힘쓰겠다고 했다. 1923년 황룽성은 손중산 선생을 따라 대원수부에서 근무하게 된다. 손중산 선생이 중산복을 설계할 때 황룽성은 기획과 재봉을 책임져 첫 번째 중산복을 만들어 냈다. 

손중산 선생은 처음으로 몸소 설계한 중산복을 입어보고 “이 복장은 보기도 좋고 실용적이며 편리하고 저렴하다. 양복처럼 상의와 바지 외에 외투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 또 양복은 수입품이므로 너무 비싸다”고 말했다. 손중산 선생의 제의는 많은 백성들의 환영을 받았다. 

중산복의 특징 

중산복은 간단하고 실용적으로 신해혁명 시기부터 유행됐다. 1912년 민국정부는 중산복을 예복으로 명명했고 중산복을 개량해 새로운 함의를 부여했다. 옷깃을 세우고 앞자락에 5개의 단추, 4개의 호주머니, 소맷부리에 3개의 단추를 달고 뒤에는 구멍을 내지 않았다. 여기에는 ‘주역’에 실린 주나라 시대의 예절 등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각각 다음과 같다. 

1. 앞면의 4개 호주머니는 각각 예, 의, 염, 치(禮, 義, 廉, 恥)를 의미하며 호주머니 덮개는 ‘문(文)으로 나라를 다스림’을 상징한다. 

2. 앞자락의 5개 단추는 서양의 3권 분립과 구별되는 5권 분립(행정, 입법, 사법, 시험, 감찰)을 상징한다.

3. 소맷부리의 단추 3개는 삼민주의(민족, 민권, 민생)를 상징한다. 

4. 뒤에 구멍을 내지 않음은 국가의 평화통일을 상징한다. 

5. 봉폐식으로 접은 옷깃을 사용함은 ‘엄숙하게 나라를 다스림’을 상징한다.
 
 


중국의 공식 예복,"중산복(中山服)"의 유래는?
오권분립과 삼민주의를 의미
 
중국은 "중산복(中山服),일명 마오룩(Mao look)"을 일찍부터 "국가의 공식 예복"으로 지정했다. 중산복의 창제는 근대의 중국 복식 역사상 하나의 대변혁이다. 

'중국 동맹회(同盟會) 성립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세미나'에서 상하이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리젠(李堅) 부교수는 '중산복은 닝보지이(寧波籍) 홍방이 재봉한 옷이고 최초의 정식 중산복은 홍방의 회원인 왕차이윈(王才運)이 쑨중산(孫中山)의 요구에 따라 1916년에 만들어졌다'는 새로운 설법을 제기했다. 

리젠의 소개에 따르면, 중산복의 최초 형식은 19세기말 20세기 초에 나타났는데 당시 일본 복장계의 화교계 장팡청(張方誠) 등이 설계한 한벌의 중산복은 곧게 열린 깃의 앞가슴에 7개의 단추가 있다. 이후 양복이 중국으로 반입 함에 따라 사람들은 전문 양복을 재봉하는 재봉사를 "홍방재봉"이라 불렀는데 왕재운이 바로 당시 재봉계의 중요 인물이었다. 

1916년, 왕차이윈 등은 손중산의 뜻에 따라 원래 기초상 다시 개선하여 재봉한 중산복은 웃옷에 5개의 단추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입법(立法)·사법(司法)·행정(行政)·감찰(監察)·고시(考試)의 오권분립을 의미하고 옷소매에는3개의 단추가 있는데 이는 민생(民生)·민주(民主)·민족(民族)의 삼민주의(三民主義)를 나타낸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53 @연길시인민경기장 16구 1패 32번은 "울컥" 아기엄마축구팬... 2017-05-24 0 3660
1152 [그것이 알고싶다] - 중산복의 유래?... 2017-05-23 0 3580
1151 [그것이 알고싶다] - 신사복 옷깃 왼쪽 단추구멍의 유래?... 2017-05-23 0 3414
1150 [그것이 알고싶다] - 넥타이의 유래?... 2017-05-23 0 3403
1149 [그것이 알고싶다] - 양복의 유래?... 2017-05-23 0 3387
1148 [그것이 알고싶다] - 청바지의 유래?... 2017-05-23 0 3384
1147 [쉼터] - 결혼, 싸움터, 날바다, 그리고 긴 대화... 2017-05-23 0 3254
1146 [쉼터] - 술놀자와 몸놀자... 2017-05-20 0 3326
1145 [고향문단소식]- "늦깎이"로 "빗장" 열어 제쳐 시집 선보이다... 2017-05-18 0 2908
11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우표에 오르다... 2017-05-13 0 3901
1143 [쉼터] - 눈도 즐겁게... 입도 즐겁게... 2017-05-13 0 3168
1142 [고향과 자연과 함께]-나무로부터 배우지 않고 되겠습니까?!.. 2017-05-13 0 4534
1141 [록색환경주의者]- 울고 있는 룡정 말발굽산, 언제면 웃으랴... 2017-05-12 0 3553
1140 [그것이 알고싶다] - 젓가락의 유래?... 2017-05-07 0 4773
1139 [그것이 알고싶다] - 우산의 유래?... 2017-05-07 0 4898
1138 [그것이 알고싶다] - 거울의 유래?... 2017-05-07 0 3788
1137 [그것이 알고싶다] - 비누의 유래?... 2017-05-07 0 6158
1136 [그것이 알고싶다] - 치솔의 유래?... 2017-05-06 0 4678
1135 [그것이 알고싶다]-지퍼,청바지,면도기,통조림,맥주의 유래?... 2017-05-06 0 3548
1134 [그것이 알고싶다] - 반지의 유래?... 2017-05-06 0 4988
1133 [그것이 알고싶다] - 모기의 수명?... 2017-05-06 0 6125
1132 [그것이 알고싶다] - "붓두껑 속 목화씨" 허구?... 2017-05-06 0 3612
1131 [고향문단소식]- 청산아, 이야기하라... 어랑촌아, 말하라... 2017-05-05 0 2990
1130 [그것이 알고싶다] - 한복의 유래?... 2017-05-05 0 5232
1129 [그것이 알고싶다] - 귀걸이의 유래?... 2017-05-05 0 3638
1128 [그것이 알고싶다] - 하모니카의 유래?... 2017-05-05 0 5360
1127 [그것이 알고싶다] - 기타의 유래?... 2017-05-05 0 3604
1126 [그것이 알고싶다] - 생일노래의 유래?... 2017-05-03 0 3871
1125 [그것이 알고싶다] - 만화의 유래?... 2017-05-02 0 5098
1124 [그것이 알고싶다] - 영화의 유래?... 2017-05-02 0 8172
1123 [그것이 알고싶다] - 마술의 유래?... 2017-05-02 0 3190
1122 "저 이러쿵 저러쿵 하는 자들이 막걸리와 무슨 상관이리요"... 2017-05-02 0 3188
1121 길가다 누룩 실은 수레만 보아도 군침을 흘리다... 2017-05-02 0 3581
1120 타는 저녁 놀속에 술 익는 마을이 그립다... 2017-05-02 0 5084
1119 리백은 술 한말에 백편의 시를 못썼다?... 썼다!... 2017-05-02 0 3301
1118 "취기와 광기를 저버리는것은 시인에게는 죽음=..." 2017-05-02 0 4568
1117 "너의 령혼을 다 알게 되면 눈동자를 그려넣어줄께..." 2017-05-01 0 3600
1116 [쉼터] - 세상에서 가장 지독한 술은 "예술" 2017-05-01 0 5441
1115 술에서 문학예술작품 제작의 령감을 못얻는다?... 얻는다!... 2017-05-01 0 5737
1114 [쉼터] - 장고가 없었으면 인생이 참 외로웠을것... 그 소리를 잇는 이들이 나타나기만을... 2017-05-01 0 4679
‹처음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