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노벨문학상과 시인] - "모더니즘 시인들 운동"의 지도자 시인
2017년 10월 31일 21시 41분  조회:3811  추천:0  작성자: 죽림
 
(이탈리아)   살바토레 콰지모도                   출생 1901. 8. 20, 이탈리아 모디카
사망 1968. 6. 14, 나폴리
국적 이탈리아

요약 이탈리아의 시인·비평가·번역가.

 

원래 에르 메티스모(er metismo : 20세기초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모더니즘 시인들의 운동) 시인들의 지도자였던 콰시모도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당시의 사회 문제를 비판하는 유력한 시인이 되었다. 1959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시칠리아에서 철도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나 시라쿠사와 메시나에서 교육을 받았고, 팔레르모에서 공학과 수학을 배운 뒤 로마에서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토목 기사가 되었다. 어렸을 때부터 글쓰기를 좋아해 대학을 졸업한 뒤 10년 동안 이탈리아 정부에서 토목기사로 일하면서도 틈틈이 시를 썼다. 그의 처녀시는 피렌체에서 발행되는 정기간행물 〈솔라리아 Solaria〉에 발표되었다. 처음에 그는 에르 메티스모를 신봉하는 시인 주세페 웅가레티와 에우제니오 몬탈레의 추종자였으나 첫 시집 〈바다와 육지 Acque e terre〉(1930)를 출판한 뒤, 차츰 에르 메티스모 시인들의 지도급 시인이 되었다.

1935년 이후에는 토목기사를 그만두고 밀라노에 있는 예술학교에서 이탈리아 문학을 가르쳤다. 〈가라앉은 오보에 Oboe sommerso〉(1932)·〈유카리나무의 향기 Odore di eucalyptus〉(1933)·〈에라토와 아폴리온 Erato e Apollion〉(1936) 등 콰시모도의 후기 시집들은 딱딱하고 기교에 치우친 문체와 에르 메티스모의 난해한 상징주의를 보여주고 있지만, 개인적인 관심에서 당시의 사회 문제로 전환한 시도 많이 실려 있다. 마지막 시집인 〈시집 Poesie〉(1938)·〈그리고 곧이어 밤이 되려니 Ed é subito sera〉(1942)를 끝으로 그의 에르 메티스모 시대는 막을 내렸다.

전후 〈하루 또 하루 Giorno dopo giorno〉(1947)를 출간한 때로부터 죽을 때까지 콰시모도의 작품세계를 형성한 것은 그의 사회적 신념이었다. 그는 파시스트 정권의 부당함과 전쟁의 공포와 이탈리아의 죄악을 상기시키는 시를 많이 썼다. 동일한 성격을 지닌 후기 시들은 간결한 언어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심상을 표현하고 있다. 후기 작품집으로는 아이스킬로스의 묘비명인 "나는 말한다. 죽은 자가 산 자를 살해한다고"가 들어 있는 〈비할 데 없는 지구 La terra impareggiabile〉(1958)·〈시전집 Tutte le poesie〉(1960)·〈주는 것과 갖는 것 Dare e avere〉(1966) 등이 있다.

1930년대 중반부터 죽을 때까지 콰시모도는 놀랄 만큼 많은 글을 번역·출판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일련의 〈그리스 서정시 Lirici greci〉(1940), 그리스의 비극 극작가인 아이스킬로스·소포클레스·에우리피데스의 희곡을 모은 〈그리스 비극 Tragici greci〉(1963), 로마의 시인인 카툴루스·오비디우스·베르길리우스의 시, 셰익스피어의 희곡 6편, 몰리에르의 〈위선자 Tartuffe〉, 20세기의 시인인 미국의 e. e. 커밍스와 칠레의 파블로 네루다의 시 등이 있다.

그는 2권의 이탈리아 시선집을 편찬하고 중요한 평론도 많이 썼는데, 이 평론들은 〈시인과 정치인, 그리고 기타 시론 Il poeta e il politico e altri saggi〉(1960)이라는 평론집과 〈연극 비평집 Scritti sul teatro〉(1961)에 실려 있다. 1971년 〈시와 시론 Poesie e discorsi sulla poesia〉이 출판되었다. 그의 시는 한국에서도 부분적으로 번역·소개되었다.

=========================덤으로 더...
 

 

 


 이탈리아 시인 에우제니오 몬탈레(Montale, Eugenio) 1896.10.12~1981.9.12] 




1896년 10월12일 이탈리아 시인 에우제니오 몬탈레가 제노바에서 태어났다. 밀라노에서 졸(卒). 몬탈레는 주제페 웅가레티(1888~1970), 살바토레 콰지모도(1901~1968) 등과 함께 20세기 이탈리아 시단을 대표할 만한 시인이다. 첫 시집 ‘오징어의 뼈’(1925)에서 전통적 시형을 깨뜨리는 야릇한 리듬으로 현대세계의 황폐한 내적 풍경을 그린 이래 몬탈레는 난해시 또는 신비주의(에르메티즈모)의 챔피언으로 꼽혔지만, 실상 그의 시세계는 어떤 라벨을 붙여 가두기에는 너무 풍요로웠다.

몬탈레가 신비주의자든 아니든, 그의 시는 음악에서 출발했다. 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하다 제1차 세계대전 발발로 징집되는 바람에 학업을 중단해야 했지만, 음악은 몬탈레의 일생을 따라다녔다. 음악은 그의 시 속에서 다양한 변주와 밀도로 펄떡거리기도 했고, 시 바깥에서 시인의 생업을 감당하기도 했다. 장년기 이후 몬탈레는 밀라노의 일간지 코리에레델라세라에서 밥벌이를 했는데, 그가 기고한 기사들은 주로 음악평론이었다. 문학에 대한 글에도 게으르지 않았다.

몬탈레는 1922년부터 문학지 ‘프리모 템포’의 창간 멤버로 일했고, 일생 동안 여러 매체에 시 비평을 썼다. 그는 또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셰익스피어, 코르네유, 멜빌, 엘리엇, 오닐 같은 영어권과 프랑스어권 작가들 작품을 이탈리아어로 옮겼다. 몬탈레의 사후 그의 작품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됐지만, 생전에는 자신의 시를 스스로 프랑스어나 영어로 번역했을 만큼 외국어에 능했다.

몬탈레의 시에 정치적 메시지가 직접적으로 표출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지만, 그는 조국의 파쇼 정권에 다부지게 반대했다. 1920년대 말부터 10년 가까이 재직한 피렌체의 가비네토 비외쇠 도서관 관장 자리에서 쫓겨난 것도 정치적 입장 때문이었다. 몬탈레는 1975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282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395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296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883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146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1997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110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1967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517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2151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892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1898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2034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2062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221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856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1951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2008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840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2005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2035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126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376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2033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2053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839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222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2006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187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1989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230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245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239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172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538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2030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374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254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573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1994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