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라(나)침반 없이 방향찾기...
2018년 01월 07일 22시 34분  조회:3875  추천:0  작성자: 죽림
나침반 없이 방향찾기

자연현상으로 방향 찾기

 

봄가을에는 해가 동쪽에서 뜨고 한낮에는 남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진다.
그러나 겨울에는 해가 남동쪽에서 뜨고 남서쪽으로 진다.

 

어두운 밤에는 북극성을 찾으면 정확한 북쪽을 알 수 있다.
북극성은 북두칠성의 α와 β 거리의 다섯 배 되는 곳에
작은곰자리의 밝게 빛나는 마지막별이 있는데 이것이 북극성이다.
북극성의 방향은 항상 북쪽으로 진북이라고 한다.

 

달의 모양과 시간을 보고 방향을 찾는 방법으로
초승달은 새벽 6시쯤에는 동쪽 하늘에 있고 저녁 6시쯤에는 서쪽 하늘에 있다.
반대로 보름달은 저녁 6시쯤에 동쪽에서 떠서 새벽 6시쯤 서쪽으로 진다.
상현달은 밤 9시쯤 서쪽 하늘에 떠 있고,
하현달은 새벽 3시쯤 남쪽 하늘에 떠 있으며,
밤 9시쯤에는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그림자

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편편한 곳에 긴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 부분에 표시를 한 다음 그림자 끝이 5~10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린다
(1m쯤 되는 막대는 10분~20분 정도 기다리면 된다.). 그
런 다음 움직인 그림자 끝을 다시 표시하고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그림자가 처음 시작했던 지점 쪽이 서쪽이고 나중에 표시했던 쪽이 동쪽이다.

 

나무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길게 뻗쳐 있는 쪽이 남쪽이며,
베어진 나무 그루터기의 나이테를 보았을 때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고 껍질이 두꺼운 쪽이 북쪽이다.

 

이끼

바위에 이끼가 많은 쪽이 북쪽이다.

 

바람

봄, 여름에는 보통 남쪽에서 바람이 불고,
가을과 겨울에는 대개 북쪽에서 바람이 분다.

 

우리 나라 집들은 대부분 남향집이 많다.
그러나 한두 집만 보고는 판단하기 어려우니까 여러 집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

 

묘지

무덤이나 비석은 대개 남쪽을 향하고 있다.

 

시계

시계의 시침을 태양과 일직선이 되도록 들고 있을 때
시침과 12시 방향과의 각도를 2등분한 방향이 남쪽이다.

그리고 편편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느다란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다.

 

 

 


 
 

 

또 다른 방법

 

 

1. 시계바늘로 
짧은 바늘을 태양쪽으로 향하고 12시 눈금과 짧은 바늘이 가리키는 
눈금의 중간이 남쪽입니다. 
그리고 편편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느다란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합니다. 

2. 그림자 이용법: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편편한 곳에 긴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 부분에 표시를 한 다음 그림자 끝이 5~10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립니다(1m쯤 되는 막대는 10분~20분 정도 기다리면 된다.). 
그런 다음 움직인 그림자 끝을 다시 표시하고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그림자가 처음 시작했던 지점 쪽이 서쪽이고 나중에 표시했던 쪽이 동쪽입니다. 

3. 정오에만 할 수 있는 방법 
정오에 태양을 등지고 팔을 어깨 높이로 벌린 채 그림자를 바라 봅니다. 이때 
ⓐ 북--그림자의 머리 방향 
ⓑ 남--등의 방향(태양의 방향) 
ⓒ 동--오른 팔의 방향 
ⓓ 서--왼팔의 방향 

4. 밤에 방향을 찾는 방법:
밤에 별자리를 본다.어두운 밤에는 북극성을 찾으면 정확한 북쪽을 알 수 있습니다. 
북극성은 북두칠성의 α와 β 거리의 다섯 배 되는 곳에
작은곰자리의 밝게 빛나는 마지막별이 있는데 이것이 북극성입니다. 
북극성의 방향은 항상 북쪽으로 진북이라고 합니다. 

달을 보고도 찾을 수 있습니다. 
달의 모양과 시간을 보고 방향을 찾는 방법으로
초승달은 새벽 6시쯤에는 동쪽 하늘에 있고 저녁 6시쯤에는 서쪽 하늘에 있습니다. 
반대로 보름달은 저녁 6시쯤에 동쪽에서 떠서 새벽 6시쯤 서쪽으로 
집니다. 
상현달은 밤 9시쯤 서쪽 하늘에 떠 있고, 하현달은 새벽 3시쯤 
남쪽 하늘에 떠 있으며, 밤 9시쯤에는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5. 나이테 ( 이 방법은 요새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만...) 
나무 밑기둥에 나타난 나이테의 형태를 보아 나이테 사이가 좁은 곳은 
북쪽, 간격이 넓은 곳이 남쪽입니다. 
이같이 나무의 나이테를 보고 방향을 구분할 수 있는 이유는, 
나무의 남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은 북쪽에 비해 좀더 많은 양의 햇빛을 
보기 때문에 나무가 더 잘 자랐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길게 뻗쳐 있는 쪽이 남쪽이며,
베어진 나무 그루터기의 나이테를 보았을 때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고 껍질이 두꺼운 쪽이 북쪽입니다. 

6. 이외에도 바위에서 이끼가 많은 쪽이 북쪽이고,봄, 여름에는 보통 
남쪽에서 바람이 불고, 가을과 겨울에는 대개 북쪽에서 바람이 분다는 
사실도 알아둘만 하지요. 

우리 나라 집들은 대부분 남향집이 많습니다. 
그러나 한두 집만 보고는 판단하기 어려우니까 여러 집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겠지요. 
무덤이나 비석은 대개 남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 


 

 

 

 

 



<질문> 
짧은 바늘을 태양으로 향하게 하고 12시와 짧은 바늘의 사이가 남쪽이랬는데.. 
만약 딱 6시면 어느쪽이 사이죠? 6시가 아니라도 사이는 두개가 나오잖아요.. 
도데체 어느쪽이?? 

<답> 
태양은 도는 방향이 오른쪽입니다. 
즉 12시하고, 시침이 가리키는 중간이 남쪽이 되는데, 
태양은 오른쪽으로 돌기 때문에 사이가 2개가 나오더라도 
태양의 오른쪽에 있는 방향이 남쪽이 됩니다. 

남반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태양이 왼쪽으로 돌기 때문에 시계에 있는 2개의 사이중에서 
왼쪽에 있는 것이 북쪽이 되겠지요.. 

결론은 우리가 살고있는 북반구에서는 2개의 사이중에서 
오른쪽에 있는 것이 남쪽이라는 것이죠.. 

태양이 지나가는 방향... 
태양이 도는 것을 보면 남쪽을 갔다가 다시 서쪽으로 가잖아요.. 
태양이 지나가는 쪽이 남쪽이 되겠지요. 
 
 

기본 방향(동,서,남,북) 결정방법 

 

막대기와 그림자에 의한 방법 (Stick and Shadow)

 

1. 남-북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 중 막대기와 그림자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동쪽에서

    일출/월출되어 서쪽으로 일몰/월몰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2. 해가 되었든 달이되었는 야전에서 그림자를 이용하여 아래 그림 'A'와 같이 그림자 끝을 연장한

   선이 동-서 축이 되고 그에 직각방향으로 남-북방향을 결정 할 수 있다.

3. 또한 그림 'B'와 같이 결정된 두 축 교점에 막대를 세워 개략적인 시간을 알 수 있다.

 

 

 

 

손목시계(Wristwatch)를 이용한 남/북 방향 결정방법

 

1. 북반구 : 시침을 태양쪽으로 맞췄을 때 12시와 시침사이의 중간 방향이 남쪽이 된다.

2. 남반구 : 시계의 12시 위치를 태양쪽으로 맞췄을 때 12시와 시침사이의 중간 방향이 북쪽이 된다.

 

 

 

 

기타 남/북 방향 결정방법 (Pocket Navigator)

 

1. 평편하고 필기가 가능한 물건 ( MRE박스 같은 )과 3~5cm 정도의 그림자를 만들 막대

   ( 나뭇가지, 못 또는 성냥 ) 그리고 펜을 준비한다.

2. 막대를 종이 중앙에 꽂아 네비게이터를 만들어 평편한 곳에 높아두고 해가 뜰때 시작해서 해가

    질 때 일정 간격(30분)으로 그림자 끝을 표기하고 시간을 병기해 둔다.

   ( 단, 절대 네비게이터가 움직이지 말도록 주의한다.)

3. 표시된 점들을 곡선으로 잇고 곡선의 저점 즉 가장 그림자가 짧은 방향을 화살표 방향 표기한다.

   이방향이 북쪽이다.

4. 이동중에 미리 적어놓은 시간 위치에 그림자가 오도록 네비게이터를 조정하여 진북방향을

  확인하면 된다. 

 

 

 


 

 

 

북두칠성의 국자 모양 끝부분의 7번째 별 즉,

6번째 별과 7번째 별의 거리에서 5배가 되는 위치에 작은곰자리가 있는데 이것이 북극성이다.

이 북극성은 항상 북쪽이라 해서 진북(true north)이라 한다.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많이 뻗쳐 있는 쪽이 남쪽이며<그림9>,

베어진 나무 그루터기의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고,

껍질이 두껍고 나이테의 간격이 좁은 곳이 북쪽이다.

바위에 이끼가 많은 쪽이 북쪽이다.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을 보아 대개 짐작하는 방법이다.

초승달은 오전 6시경에 동쪽 하늘에 있고, 오후 6시경에는 서쪽 하늘에 있다.

반대로 보름달은 오후 6시경에 동쪽에서 떠서 오전 6시경에 서쪽으로 진다.

상현달은 오후 9시경에 서쪽 하늘에 떠있고,

하현달은 오전 3시경에 남쪽 하늘에, 오후 9시경에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평지에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을 표시한 후,

그림자의 끝이 5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린다(1m의 막대는 10분쯤 기다리면 된다).

다음에 움직인 그림자의 끝을 표시하여 이 두 점을 연결하면

처음의 끝이 서쪽이고 나중의 끝이 동쪽이 된다<그림10>.

 

 

 

 

봄, 여름의 바람은 대략 남풍이고,

가을, 겨울의 바람은 대략 북풍이다.

대개의 우리나라 가옥들은 남향집이 많다.

그러나 한두 집만 가지고는 속단하기 어렵다.

무덤 혹은 비석은 대개 남쪽을 향하고 있다.

 

시계의 시침을 태양과 일직선이 되게 들고 있을 때,

시침과 12시 방향과의 각도를 2등분한 방향이 남쪽이다<그림11>

또한 수평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는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다.

시게의 숫자 판이 나와 있는 전자시계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나침반 조작 1,2,3

나침반 조작 1,2,3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아래의 하나, 둘, 셋 방법으로

지도상에서의 목표물의 방향을 측정하여 쉽게 진행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프로트랙터형 나침반 곧, 분도기의 기능을 갖춘 나침반이 갖는 기능의 기본적인 사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나,

지도 위에 나침반의 긴 변을 현재지점과 목적 지점에 댄다<그림12>.

이 때 나침반의 진행 화살표는 목표 지점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둘,

나침반의 다이얼을 돌려서 북방지시 화살표나 북방지시 보조선을 자북선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그림13>.

이 때 진행선과 만나는 눈금을 읽으면 목표 지점의 방위각이 된다.

 

셋,

지도에서 나침반을 들어 진행 화살표가 앞으로 가도록 가슴에 대고

자침의 N극이 링의 북방지시 화살표와 일치할 때까지 몸을 돌린다<그림14>.

이 때 진행 화살표의 방향이 목적 지점의 방향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53 [쉼터] - 도전, 도전, 재도전... 2018-02-14 0 5315
1952 [동네방네] - 밀가루는 요술쟁이... 2018-02-14 0 4770
1951 [알콩달콩] - 쌍둥이 렬차장 2018-02-14 0 4657
1950 아버지 김철호동시인과 아들 김휘화가 그림동시집 선물하다 2018-02-14 0 3628
1949 [이런저런] - 취소한 항공권이 목숨을 구하다... 2018-02-14 0 3082
1948 [이런저런] - 세월아 네월아, 네가 말해라... 2018-02-14 0 3376
1947 [동네방네] - "북녀미녀응원대" 2018-02-14 0 6381
1946 [동네방네] - 아이디어가 팍팍하고 쏠쏠한것들... 2018-02-14 0 5133
19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까치들아 오리들아, 서로 같이 살쟈... 2018-02-14 0 4706
19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쇠오리들아, 나와 놀쟈... 2018-02-14 0 4673
1943 [그것이 알고싶다]-겨울올림픽에서 시상식 두번씩 하는 리유? 2018-02-14 0 3566
1942 [동네방네]-84세 할매 겨울 수영 즐기다...인제라도 늦지않다! 2018-02-12 0 3960
1941 [타산지석] - "문화재 방재", 남의 일 아니다... 2018-02-12 0 3887
1940 [이모저모] - 상의 뒷끈 풀려도 경기 도전정신 빛나다... 2018-02-12 0 4796
1939 [이런저런] - 눈표범아, 나와 놀쟈... 2018-02-11 0 3226
193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通은 統이고, 通으로 統이 되기를... 2018-02-11 0 5364
1937 [이모저모] - 개막식 무대가 제집 마당인가... 2018-02-11 0 3340
1936 [그것이 알고싶다] - 만약 인간 활동이 없었다면... 2018-02-11 0 5111
1935 [그것이 알고싶다] - 1218쇼의 비밀? 2018-02-11 0 2834
1934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어로축제"가 있었으면... 2018-02-11 0 2775
1933 [문단소식] - 동시야 나랑 놀자... 어린이들도 평심위원이래요... 2018-02-11 0 2572
1932 [동네방네] - 잊지 못할 력사의 한 순간, 달항아리는 말한다... 2018-02-11 0 2933
193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끼 호랑이야, 너 지금 괜찮니?... 2018-02-09 0 2891
1930 [이렇쿵저렇쿵] - 요지경 세상과 "괴물" 세계 그리고... 2018-02-08 0 5504
1929 [이렇쿵저렇쿵] - "사자" 때문에 올림픽 출전 접은 나라는?... 2018-02-08 0 4183
1928 [알콩달콩] - 사랑에는 국경이 따로 없다... 2018-02-08 0 4523
1927 [그것이 알고싶다] - 자랑스럽고 신성한 國賓衛士들 2018-02-08 0 3267
19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멸종위기 야생동물 위한 자선가 녀성 2018-02-08 0 2982
1925 [알콩달콩] - 75년만에 다시 만난 89세 커플 2018-02-07 0 3147
1924 [이런저런] - 대형 넙치 = 183 = 70 = 618 = 160 2018-02-07 0 2574
1923 [이런저런] - "세계에서 가장 털 많은 사람" 2018-02-07 0 2521
1922 [이런저런] - 괴짜 = 재활용 = 로켓 = 쏘다... 2018-02-07 0 4123
1921 언어는 의사소통의 도구이고 사유의 도구이다... 2018-02-06 0 3126
1920 [그것이 알고싶다] - "의류"들 유래?... 2018-02-06 0 4624
1919 [그것이 알고싶다] - "악수"의 유래?... 2018-02-06 0 4538
1918 [동네방네] - 우리 연변에서도 "희귀 자생식물전" 있었으면... 2018-02-06 0 3956
1917 [그것이 알고싶다] - 장수동물한테서 배우라... 2018-02-06 0 4196
1916 [이런저런] - 강아지 덕분에 불난 집에서 뛰쳐 나오다... 2018-02-06 0 3481
191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산양아 , 너 지금 괜찮지?... 2018-02-06 0 5392
19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친구, 친인척, 친화적... 2018-02-06 0 3081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