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타산지석] - 우리 이곳에서도 "문인보호구역" 만들었으면...
2018년 01월 26일 01시 19분  조회:3223  추천:0  작성자: 죽림
문인보호구역
2017년3월25일  작성자: 박명호
과거에는 흔하게 있었지만 흔했기 때문에 소홀히 여기다가 멸종해 버린 것이 많다. 멸종위기 종일 경우 보호 대책을 빨리 세우지 않으면 다시는 복원하기 어렵다. 요즈음 여기저기서 '문인보호구역'이라는 말이 심심찮게 들린다. '말'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상 '신음'에 가깝다.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 그것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은 경우가 많다. 신음이 들릴 때 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정말 문인들이 멸종해버릴지 모른다. 문인들이 없는 사회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의 끔찍한 사회일 것이다.

요즘 넘쳐나는 것이 문인인데 무슨 뚱딴지같은 소리인가? 이렇게 반문할 사람들이 있을지 모른다. 물론 지금 문인 숫자가 과거보다 훨씬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오히려 멸종위기라는 역설이 가능하다. 과일나무들이 병이 들면 갑자기 열매가 많이 달리듯이 문학도 스스로 위기를 감지했는지 문인이 엄청 많이 늘어났다. 숫자가 많다 보니 질적 저하는 물론이고, 그것 또한 여러 요인과 합해져서 문학의 멸망을 재촉한 경우가 되어 버렸다.

아무튼, 멸종의 징후 가운데 확실한 것 하나는 책이 팔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안 팔려도 너무 안 팔린다. 대한민국 최고의 인기 작가들이 책을 출간해도 책이 잘 팔리지 않는다. 아직도 인기 작가가 소설책을 내면 며칠 전부터 서점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이웃 일본의 풍경은 우리에게 정말 꿈같은 세상이 되고 말았다. 그런 풍경을 단순히 부러워하는 정도가 아니라 멸종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니 우리 사회가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는지 서글프기 그지없다.

언제부턴가 작가에 대한 신비감이나 존경심마저도 사라졌다. 게다가 문인들을 대우하지도 않는다. 이러한 작가경시 풍토는 교육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학작품을 많이 읽고 좋아하도록 이끄는 것이 교육인데 우리의 교육은 그 반대인 것이다. 시나 소설을 가르치면서 언어의 기능적인 부분에 치중하다 보니 작가에 대한 부분을 가르치지 않는다. 그것은 수능시험에 출제하지 않기 때문이다.

작품을 읽는다면, 작품에 감동을 받는다면 그 작품을 생산한 작가에 대한 관심은 당연한 것인데 그것을 제외시킨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어떤 경우는 작품보다 작품 뒤에 숨겨진 작가의 삶이 더 감동을 준다. 국어 영역 전체 45문항 가운데 시 3문항, 소설 3문항 정도밖에 출제하지 않는다. 그것도 작품 감상에 대한 문제는 1문항뿐이다. 고작 한 문제를 풀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그렇게 많은 시를 읽고, 소설을 읽었던가를 생각하면 너무 허탈해하지 않았을까. 이런 판에 누가 시집을 사서 읽고 누가 소설책을 사서 읽을 것이며, 누가 시인이고 소설가를 존경하겠는가. 지금 와서 그런 원인을 따지는 것도 한가한 일일지 모른다.

'밀다원 시대'가 있었다. 피란 시절 광복동 다방 거리는 일종의 문인보호구역이었다. 일가친척 피붙이 하나 없이 피란 온 문인들이 그야말로 생존 그 자체에 매달리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그 시절에도 그들이 꿈을 꾸고 시를 쓰고 소설을 쓰면서 인생을 논하던 공간이 있었다. 그들은 그곳에서 그나마 숨통을 틜 수 있었다. 문학이라는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그곳은 밀다원 같은 다방이었다. 그곳은 문인보호구역이었고, 거기서 생산된 문학작품, 그 작품을 생산한 작가들과 그들의 문학적 영혼은 살아서 오늘날 한국문학의 밑거름이 되었다.

중국 조선족 사회의 경우 과거 200만 명이 넘는 동포가 중국의 동북 3성에 주로 모여 살고 있었다. 우리의 언어와 풍습을 잘 지키며 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오히려 강한 자긍심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한국에 70만 명 이상이 들어왔고 중국의 다른 지역 대도시로도 많이 떠나버리고, 조선족 사회는 붕괴 또는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그러나 아직도 조선족 사회가 붕괴하지 않고, 아니 쉽게 붕괴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주는 그 중심에는 문학이 있다. 조선족이 여러 곳으로 뿔뿔이 흩어져도 그들이 지금껏 간행하던 각종 문학잡지는 여전히 간행되고 있고(오히려 몇몇 잡지는 새롭게 창간되었다) 창작도 왕성하고 독자들도 여전하다. 지난해에는 총상금 5000만 원에 해당하는 단군문학상을 제정하기까지 이르렀다. 한국사회에서도 힘든 5000만 원 문학상금이라 그들 사회에서 문학을 대하는 태도를 짐작할 만하다.

'문화로 융성하는 부산'이란 부산시의 표어가 공허하게 느껴지는 것은 문화의 기초인 문학이 빈사 상태에 있는데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아무리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미술계를 대표한다는 부산비엔날레가 거창하다 해도 그것은 먼 나라 이야기가 되고 만다. 호주가 문화의 기초인 문학을 등한시하고 영화 같은 이차 삼차 예술 분야에만 관심을 쏟다가 정작 호주다운 문화를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밀다원' 같은 공간을 기대하는 것은 욕심일까. 누가 알겠는가? 이 글을 읽은 어느 뜻있는 독지가가 나타날지….

///박명호 소설가(한국)
///국제신문 
2017-03-24


 

 

 

25일(현지시간) 새벽 필리핀 마욘 화산 폭발,-
신혼부부 화산분출 배경으로 웨딩촬영을ㅡ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53 [쉼터] - 도전, 도전, 재도전... 2018-02-14 0 5315
1952 [동네방네] - 밀가루는 요술쟁이... 2018-02-14 0 4770
1951 [알콩달콩] - 쌍둥이 렬차장 2018-02-14 0 4657
1950 아버지 김철호동시인과 아들 김휘화가 그림동시집 선물하다 2018-02-14 0 3628
1949 [이런저런] - 취소한 항공권이 목숨을 구하다... 2018-02-14 0 3082
1948 [이런저런] - 세월아 네월아, 네가 말해라... 2018-02-14 0 3376
1947 [동네방네] - "북녀미녀응원대" 2018-02-14 0 6381
1946 [동네방네] - 아이디어가 팍팍하고 쏠쏠한것들... 2018-02-14 0 5133
19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까치들아 오리들아, 서로 같이 살쟈... 2018-02-14 0 4706
19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쇠오리들아, 나와 놀쟈... 2018-02-14 0 4673
1943 [그것이 알고싶다]-겨울올림픽에서 시상식 두번씩 하는 리유? 2018-02-14 0 3566
1942 [동네방네]-84세 할매 겨울 수영 즐기다...인제라도 늦지않다! 2018-02-12 0 3960
1941 [타산지석] - "문화재 방재", 남의 일 아니다... 2018-02-12 0 3887
1940 [이모저모] - 상의 뒷끈 풀려도 경기 도전정신 빛나다... 2018-02-12 0 4796
1939 [이런저런] - 눈표범아, 나와 놀쟈... 2018-02-11 0 3226
193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通은 統이고, 通으로 統이 되기를... 2018-02-11 0 5364
1937 [이모저모] - 개막식 무대가 제집 마당인가... 2018-02-11 0 3340
1936 [그것이 알고싶다] - 만약 인간 활동이 없었다면... 2018-02-11 0 5111
1935 [그것이 알고싶다] - 1218쇼의 비밀? 2018-02-11 0 2834
1934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어로축제"가 있었으면... 2018-02-11 0 2775
1933 [문단소식] - 동시야 나랑 놀자... 어린이들도 평심위원이래요... 2018-02-11 0 2572
1932 [동네방네] - 잊지 못할 력사의 한 순간, 달항아리는 말한다... 2018-02-11 0 2933
193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끼 호랑이야, 너 지금 괜찮니?... 2018-02-09 0 2891
1930 [이렇쿵저렇쿵] - 요지경 세상과 "괴물" 세계 그리고... 2018-02-08 0 5504
1929 [이렇쿵저렇쿵] - "사자" 때문에 올림픽 출전 접은 나라는?... 2018-02-08 0 4183
1928 [알콩달콩] - 사랑에는 국경이 따로 없다... 2018-02-08 0 4523
1927 [그것이 알고싶다] - 자랑스럽고 신성한 國賓衛士들 2018-02-08 0 3267
19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멸종위기 야생동물 위한 자선가 녀성 2018-02-08 0 2982
1925 [알콩달콩] - 75년만에 다시 만난 89세 커플 2018-02-07 0 3147
1924 [이런저런] - 대형 넙치 = 183 = 70 = 618 = 160 2018-02-07 0 2574
1923 [이런저런] - "세계에서 가장 털 많은 사람" 2018-02-07 0 2521
1922 [이런저런] - 괴짜 = 재활용 = 로켓 = 쏘다... 2018-02-07 0 4123
1921 언어는 의사소통의 도구이고 사유의 도구이다... 2018-02-06 0 3126
1920 [그것이 알고싶다] - "의류"들 유래?... 2018-02-06 0 4624
1919 [그것이 알고싶다] - "악수"의 유래?... 2018-02-06 0 4538
1918 [동네방네] - 우리 연변에서도 "희귀 자생식물전" 있었으면... 2018-02-06 0 3956
1917 [그것이 알고싶다] - 장수동물한테서 배우라... 2018-02-06 0 4196
1916 [이런저런] - 강아지 덕분에 불난 집에서 뛰쳐 나오다... 2018-02-06 0 3481
191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산양아 , 너 지금 괜찮지?... 2018-02-06 0 5392
19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친구, 친인척, 친화적... 2018-02-06 0 3081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