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의 유해는 25일 오후 1시 반 김해국제공항을 통해 들어왔다. 유해함을 안은 플로리안 리임 국제통영음악재단 대표는 독일에서 출발해 일본을 경유한 뒤 한국에 입국했다. 리임 대표는 통영시추모공원에서 대기 중이던 선생의 아내 이수자 씨(91)에게 유해를 전달했다. 이 씨는 담담한 표정으로 건네받은 유해를 추모공원 내 공설봉안당에 안치했다. 입국과 이후 일정은 통영시와 통영국제음악재단 일부 관계자만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진행됐다.
독일 현지 이장식은 23일(현지 시간) 베를린 가토 공원묘지에서 진행됐다. 유해를 받아든 딸 윤정 씨(67)의 눈가가 촉촉이 젖어들었다. 이장식에는 정범구 주독 한국대사, 권세훈 주독 한국문화원장, 리임 대표, 최영숙 한민족유럽연대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윤이상의 귀환은 탄생 100주년이던 지난해 여름부터 추진됐다. 이수자 씨가 ‘제 나이도 아흔을 넘었는데, 통영에 묻히고 싶어 했던 남편과 함께하길 원한다’는 편지를 베를린시에 보내면서 급진전됐다. 정부와 통영시도 적극 나섰다.
그러나 국내 안장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선생은 1967년 동백림(東伯林·동베를린) 간첩단 사건에 연루된 뒤 이념 논쟁에 시달려 왔다. 재독 경제학자 오길남 씨에 대한 입북 권유 논란, 망명 후 북한과의 교류 등으로 ‘친북 인사’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녔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노무현 정권 당시 송두율이 귀국한 데 이어 이제는 이장까지 해가며 윤이상을 띄운다”며 비판했다. 오길남 씨(76)는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면서도 “북한에 두고 온 두 딸은 죽기 전에 꼭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당 소속인 김동진 통영시장(67)은 “선생에 대해 친북활동과 사상적 편향성 시비가 있었지만 이제 인도적 차원에서 자유로워져야 할 때도 됐다”며 “김동리문학관이 문학도의 순례지가 된 것처럼 윤이상 선생의 흔적을 찾는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용민 통영국제음악당 예술기획본부장은 “윤 선생은 소중한 문화적 자산”이라며 “더 이상 분열 없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이상은 1972년 뮌헨 올림픽 개막 축하 행사 무대에 올린 오페라 ‘심청’의 성공 이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손혜리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이사장은 “윤이상은 유럽 평론가들이 뽑은 ‘20세기의 중요 작곡가 56인’에 이름을 올릴 정도로 명망이 높은 분”이라며 “이제라도 국내외에서 선생의 음악이 자주 연주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통영=강정훈 / 이설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