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의 친구 장준하, 문익환
2018년 06월 29일 22시 39분  조회:2512  추천:0  작성자: 죽림
 

 

 

 

 

 

 

 

 

 

 

 

 

 

 

 

 
 
영화 ‘1987’의 피날레 장면. 수많은 군중 앞에서 한 야윈 노인이 피를 토하듯 절규한다. “전태일 열사여, 장준하 열사여, (중략), 박종철 열사여… 이한열 열사여!” 1987년 7월 9일 연세대에서 열린 이한열 열사 장례식 도중에 나온 장면이다. 우리 민주화 역사에서 빠지지 않는 결정적 순간이기도 하다. 이 노인이 바로 당시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의장이던 문익환(1918~1994) 목사다. 1년여의 옥고를 치르고 전날 출옥한 참이었다.

   
 
그는 1970년대 후반~1990년대 민주화 및 통일 세력의 ‘대부’로 통했다. 1976년부터 1994년 1월 18일 타계할 때까지 생의 마지막 17년 중 11년 반을 감옥에서 보냈다. 만주 북간도 용정에서 윤동주(1917~1945), 장준하(1918~1975)와 함께 자란 그가 사회문제에 눈을 뜬 것은 50대 중반이 지나서였다. 1975년 8월 17일 친구 장준하가 의문사한 것이 계기다. 그는 뒤늦게 세상에 눈을 떴다는 의미로 자신의 호도 ‘늦봄’이라 지었다. 1987년 이후 통일운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그는 1989년 3월 25일 마침내 ‘대형 사고’를 친다. 정부 승인 없이 평양을 전격 방문, 김일성 주석과 회담 함으로써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은 것이다.

문 목사는 귀국 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다시 투옥된다. 하지만 당시 그가 평양에서 발표한 ‘자주적 평화통일과 관련된 원칙적 문제 9개항’의 핵심 내용은 ‘판문점선언’을 비롯한 모든 남북합의문의 근간이 된다. 자주·평화·민족대단결 3원칙에 기초해 통일문제 해결, 정치·군사 회담을 진전시켜 정치적·군사적 대결상태 해소, 다방면 교류·접촉 실현 등이 주요 내용이다.
어제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의 논의 주제도 이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마침 어제는 ‘늦봄’ 문익환이 탄생한 지 100주년되는 날이었다. 이를 기념해 3일 서울역에서는 ‘평양행 기차표를 다오’ 행사가 열린다. 시민들이 특별열차 편으로 도라산역까지 왕복하며 고인의 큰 뜻을 되새긴다고 한다. 그가 1989년 1월 1일 새벽에 쓴 시 ‘잠꼬대 아닌 잠꼬대’의 한 구절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오늘 역사를 산다는 건 말이야 / 온몸으로 분단을 거부하는 일이라고 / 휴전선은 없다고 소리 치는 일이라고 / 서울역이나 부산, 광주역에 가서 / 평양 가는 기차표를 내놓으라고 / 주장하는 일이라고’.

///이승렬 논설위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282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402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296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883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146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1997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110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1967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524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2151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892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1905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2034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2062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221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856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1951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2008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844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2005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2035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126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376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2033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2053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839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222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2006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187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1991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230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246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239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172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538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2030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376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254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573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1994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