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렬
http://www.zoglo.net/blog/xql 블로그홈 | 로그인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작품

아버지 부처 어머니 보살 诗 外1首
2014년 01월 25일 14시 37분  조회:2036  추천:4  작성자: 허창렬
아버지 부처 어머니 보살 

 
아버지 부처ㅡ
어머니 보살ㅡ
하늘이 내려주신 천서(天书)
글이 없는 무자경(无字经)을
두 손으로 받듭니다
가슴을 열고 심안(心眼)으로
조심스레
읽고 또 읽습니다
 
인생은 쟝르
생활은 소재
가령 생활이 그대를
속이거나 우롱할지라도
그대여 슬퍼하거나
외면하지도 마라!
가령 생활이 그대를
멀리하거나 울릴지라도
그대여 후회하거나
방황하지도 마라!
 
아버지 소설속의
주인공은
항상 당신이 아닌
우리들이였습니다
어머니 시속의
진한 감동은
항상 자신이 아닌
이 못난 자식들이였습니다
 
그리움이 없이는 읽을수조차 없는
아버님의 일대기
눈물이 없이는 펼쳐들수조차 없는
어머님의 자서전
뼈마디가 굵직한 아버지의 좌우명을 읽고 또 읽노라면
가슴이 항상 너무 짠합니다
솜방망이처럼 부드러운 어머니 꾸지람을 읊고 또 읊노라면
오늘도 마침내 오열이 왈칵 터집니다
 
아아
내가 이제 이 세상 누군가의
경이 되고 념불이 되고
소설이 되고 수필이 되고
자서전이 되여 읊혀져야 할
무상한 세월
이 세상 부모 마음
내가 부모되여 다 알랴?
 
아버지 부처 ㅡ
어머니 보살 ㅡ
하늘이 내려주신 천서(天书)
글이 없는 무자경(无字经)을
오늘도 두 손으로 받드옵니다
가슴을 열고 심안(心眼)으로
한 페이지 또 한 페이지
조심스레 읽고 또 읽어갑니다
 
 
추는 왜긍하《倭肯河》 
 
나는 왜 아버님을 그곳에 묻고 여기까지 왔을까?
나는 왜 아버님을 가슴마저 꽁꽁 얼어붙은
왜긍하 그 황량한 기슭에 고스란히 묻고
심양 이 낯선 도시에 또 혼자 와 있을까?
조선 함경북도 무산군 계룡면이 고향이신 우리 아버지
일곱살에 술주정뱅이 한의사이신 할아버지 등에 업혀
살길 찾아 첨벙첨벙 눈물로 두만강을 건너서
화룡 서성진 합신이라는 두메산골에서
야장쟁이로 젊음을 고스란히  
모진 가난과 배고픔으로 허덕이셨고
거미처럼 늘어나는 자식들을 배불리 먹여보겠다고
안쪽인 계동 계림향 단결촌에 이르러
환갑연에 여섯살나는 이 막내아들 무릎우에 털썩 앉혀놓고
<<내새끼 너무 이쁘다>>고 코물이 얼룰덜룩한
내 두볼마저 쪽쪽 빨아주셨고
남보다 좀 더 잘 살아보겠다고
막무가내로 이주하는 형님들을 따라
벌리 행수향 동명촌에서
삼년은 왕가물 삼년은 큰 홍수에
<<내 팔자 왜 이리 사나울가>> 거듭 락루하시며
그래도 사품치는 왜긍하물에
반달같은 보습날을 썩썩 딲으시다ㅡ
밭고랑처럼 등이 휜 우리 아버지
나는 왜 불쌍한 우리 아버지를
이제는 인적마저 드문 그곳에 묻고
이곳에 혼자 와 있을까?
나는 왜 그처럼 고향을 그리워하시던
아버지를 4백리 허허벌판 가슴에 묻고
인정마저 메말라가는 이곳에 와 있을까?
아아 춤추는 왜긍하는 부름이다
노래 부르는 왜긍하는 웃음이다
피리 부는 왜긍하는 통곡이다
퉁소 부는 왜긍하는 동년의 너무 아픈 기억이다
천년을 철퍼덕ㅡ 철퍼덕ㅡ
제 곬을 못 찾고 여울져 흐르는 강
오늘도 4백리 벌판에서 어리둥절 서성거리다가
해 지는 지평선에 슬며시 꼬리를 감추는
왜긍하는 내 삶의 또 하나의 인생정거장이다
언젠가면 다시 찾아가야할
잃어버린 두번째 머나먼 고향이다


**송화강지류ㅡ흑룡강성 벌리현경내에 있음. *
 
      2013년6월27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71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1 [시]욕실안에서 1 2014-07-02 10 2673
90 [시]명상 32 2014-06-29 5 2371
89 [시]지금 천당에는(외 3 수) 2014-06-25 10 2359
88 갈 대 2 (외 1 수) 2014-06-20 13 2990
87 [시]진리 2014-06-18 15 2606
86 [시]백두산에 오를때면(외 3 수) 2014-06-14 6 2455
85 시]솔로몬(所罗门) 2014-06-11 12 2457
84 [시]먼 우뢰소리 2014-06-08 13 2716
83 [시]고향집 (외 1 수) 2014-06-04 10 2894
82 우리 문학수준 이대로 과연 좋은가? 2014-06-03 9 4005
81 시]6월이 온다(외 2 수) 2014-05-30 6 2363
80 [시] 몽유(梦游) (허창렬) 2014-05-25 3 2415
79 에밀도 11 2014-05-22 5 2116
78 [시]연변(허창렬) 2014-05-16 3 2344
77 시] 편지 2014-05-15 2 1991
76 [시] 지랄을 하세요 (외2수) 2014-05-14 5 2393
75 [시]꽃잎은 벌써 시들어 (외 2 수) 2014-05-13 3 2173
74 지렁이 2014-05-10 2 2067
73 [시]바람 (외1수) 2014-05-06 8 2488
72 [시]명상 5 외 8 수 2014-05-05 4 2381
71 [시]꽃 1(허창렬)외2수 2014-05-02 6 2271
70 [시] 칼1(허창렬) (외4수) 2014-04-29 6 2036
69 [시]시와 시 사이에서(허창렬) 2014-04-25 7 2625
68 [시세월의 무게(허창렬) 외 1 수 2014-04-22 5 2288
67 [시]파파라치(허창렬) 외1수 2014-04-20 3 2073
66 [시]두만강(허창렬) 외 1 수 2014-04-18 11 2302
65 [시]태양의 눈동자(허창렬)외 2 수 2014-04-15 7 2281
64 [시]세월앞에 무릎을 꿇고(허창렬) 외 4 수 2014-04-14 5 2275
63 [시]바람2(허창렬) 외 1 수 2014-04-13 4 1956
62 [시]참 낯 뜨겁다(허창렬) 외 1수 2014-04-12 12 2381
61 [시]솟을 뫼 굿자리에 얼룩이 지고(허창렬)외 1수 2014-04-11 4 2281
60 [시] 아버지 (허창렬)외 4 수 2014-04-07 9 2324
59 절대로 자신을 높게 평가하지 말자 2014-04-04 3 2183
58 [시]뼈없는 도자기 (허창렬)(외1수) 2014-04-02 5 2199
57 [시]사랑 1(허창렬)(외1수) 2014-03-30 8 2448
56 법고현에 들려 2014-03-29 4 2011
55 [시] 무제(허창렬) 2014-03-28 5 1976
54 [시]나팔꽃(허창렬) 2014-03-26 12 2392
53 [시] 세 사람의 세계(허창렬) 외 2 수 2014-03-25 9 2629
52 [시]혈(血)(허창렬) 외 3 수 2014-03-24 7 2305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