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쓰기 네가지 류형
2015년 05월 13일 22시 08분  조회:4305  추천:0  작성자: 죽림

  시 쓰기의 네 가지 유형

    —오세영 시집 표4의 글

 

 

 

 

 

 

   다음은 최근에 출간한 오세영 시집 『바람의 아들들』표4의 글입니다. 깊이 새겨 음미해 볼 내용입니다. 특히 신기(新奇)와 효빈(效顰)의 유행에 민감한 요즘의 신진들에게는 마음에 깊이 새겨야 할 지표가 될 만한 내용입니다.

 

 

 

      산문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시 쓰기에도 네 가지 유형이 있지 않을까 한다.

 

      첫째 쉬운 내용을 쉽게 쓴 시.

      둘째 쉬운 내용을 어렵게 쓴 시.

      셋째 어려운 내용을 어렵게 쓴 시.

      넷째 어려운 내용을 쉽게 쓴 시.

 

 

      첫째는 산문의 수준에 머물러 있어 아직 유치한 단계이다.

      둘째는 능력 부족이거나 남을 속이려는 자의 작품이다.

      셋째는 자기도 모르는 것을 쓴 것이니 의욕은 과하나 머리가 아둔한 경우이다.

      넷째는 시에 대해 나름으로 달관한 경지에 든 시인의 작품이다.

 

      그렇다면 독자들이여, 어떤 시가 훌륭한 시인지 분명치 않은가?

                                                                                                     __ 오세영

 

 

 

    과연 그렇습니다. 나는 시인과 독자의 관계를, 꼭 들어맞는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교사와 학생으로 비유해 보고 싶습니다. 다음은 내 37년 간의 고등학교 교직생활을 통하여 얻은 깨달음입니다. 교사인 내가 확실하고 분명히 아는 단원에 대해서는 학생들에게 매우 쉽고 즐겁게 가르쳐 줄 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교사인 내가 어렵게 깨친 단원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학생들에게도 어렵게 가르쳐 주고 만 것 같았습니다. 어쩌면 학생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만 경우도 많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시 속에 들어있는 중요한 가치나 내용 혹은 정서가 어떻게 독자의 마음에 가닿아야 할 것인지를 우리 시인들은 그와 같이 미루어 짐작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시의 문장 하나하나 그 자체가 무슨 말인지 그것을 쓴 시인 자신조차도 분명하게 설명할 수 없다면 그것은 아예 시가 아닙니다. 그렇게 외계(外界)의 언어로 쓰는 것이 그 시인의 필연일 수밖에 없다면, 그는 시인이 아니라 가엾은 정신분열자이거나 아마도 초월적인 존재 즉 주술사일 것입니다. 그는 제 정신이 들었을 때에는 평소와 달리 신기(神氣)에 접해서 자기 입으로 내뱉은 바를 본인 스스로도 왜 그렇게 말했는지 도저히 알지 못합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03 이육사 <<靑포도>>는 <<풋포도>> 2016-03-15 1 5429
1202 [ 이 아침 詩 한잔 드리꾸매]- 시간에 관한 짧은 노트 2016-03-15 0 3935
1201 내 인생은 처음부터 저주받았음이... 2016-03-14 0 4265
1200 詩공부시간- 詩퇴고 장소는 화장실... 2016-03-14 0 4331
1199 [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풍경 2016-03-14 0 4012
1198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목련꽃 우화 2016-03-14 0 4037
1197 [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그림자와 길 2016-03-14 0 4121
1196 조병화 시모음 2016-03-13 0 4792
1195 <아침> 시모음 2016-03-13 0 4281
1194 이시환 산문시 감상하기 2016-03-13 0 4085
1193 詩作初心 - 시에서 상투어를 사용하지 말기 2016-03-13 0 4498
1192 조선족 시문학 관하여(2000년 5월) 2016-03-12 0 4344
1191 윤동주, 아현동 굴레방다리 옛 간이역 앞 하숙방에서 詩 쓰다 2016-03-12 1 4180
1190 윤동주의 산문이 시와 함께 빛 발하다 / 연변에서 "동주" 소설이 나오다... 2016-03-12 0 5388
1189 詩作初心 - 텅빈것과 없음을 노래하기 2016-03-12 0 4070
1188 남영전 민족토템시 파헤쳐보기 2016-03-12 0 4996
1187 詩作初心 - 詩의 大空을 위하여 2016-03-12 0 4260
1186 시평론의 바른 자세와 "30년대 수준론" / 리상각 2016-03-12 0 4328
1185 詩作初心 - 詩에서 道와 깨달음 2016-03-12 0 4126
1184 詩作初心 - 詩로 상처를 어루만지기 2016-03-12 0 4207
1183 詩作初心 - 타령조詩를 알아보기 2016-03-12 0 3980
1182 詩作初心 - 한편의 시가 태여나기까지... 2016-03-12 0 4176
1181 詩作初心 - 시에서 보이지 않는 세계를 찾기 2016-03-12 0 4264
1180 詩作初心 - 마음속 "여래"를 찾기 2016-03-12 0 4134
1179 詩作初心 - 로마로 가는 길 여러가지... 2016-03-12 0 4932
1178 詩作初心 - 시에서 비움의 미학 2016-03-12 0 4639
1177 詩作初心 - 기행시 알아보기 2016-03-12 0 4510
1176 詩作初心 - 물이미지 2016-03-12 0 4505
1175 詩作初心 - 바람이미지 2016-03-12 0 3981
1174 詩作初心 - 대지이미지 2016-03-12 0 4148
1173 詩作初心 - 광물이미지 2016-03-12 0 4289
1172 詩作初心 - 식물이미지 2016-03-12 0 4576
1171 생명의 씨를 뿌리는 시인 - 이시환 2016-03-12 1 3845
1170 詩作初心 - 시에서 생명의 표현 활유법 2016-03-12 0 4487
1169 詩作初心 - 牧人을 기다리며 / 반복의 미학적 시법 2016-03-12 1 3928
1168 산문시 몇다발 / 李箱 시모음 2016-03-12 0 4204
1167 詩作初心 - 뒤집어 소재를 찾고 행동하기 2016-03-12 0 4076
1166 [안녕?- 이 아침 따끈따끈한 詩 한잔]- 진짜 어른 2016-03-11 0 3660
1165 [안녕?- 이 아침 따끈따끈한 詩 한잔]- 인사 2016-03-11 0 3636
1164 詩作初心 - 시의 본문과 제목과의 은유관계 알기 2016-03-11 0 6153
‹처음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