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연변 작가계렬 취재 1
2015년 06월 22일 22시 00분  조회:4448  추천:0  작성자: 죽림
 
[중국조선인60세이상작가계열취재1] 


황혼이 다가와도 저녁놀은 아름답게”
 
 
 
 
“나의 인생은 어언 석양길에 들어섰고 글쓰기에서도 오래잖아 황혼이 다가올 것이다. 최후의 피 한방울까지 불 태워 쓰는 글로써 내 인생의 저녁놀을 조금이라도 어여쁘게 물들이고 싶은 욕망, 아직도 살아있다.” _김응준
 
 
김응준, 그의 숙명은 문학이요, 그의 천명은 시인이다. 광풍이 련련히 몰아치고 고패치는 그 세월에 한때 억울한 서리를 맞고 변강 벽지에 가서 움츠러들어 거의 절필하다시피 했던 시절에도 그는 마음속 깊이 알게모르게 움틀거리는 문학에 대한 욕망을 앞으로 언젠가는 터치울 것이라는 다짐을 했다. 때는 일찍 그가 뿌리를 내린 중국 변강의 땅 훈춘으로 이른다. 
 
 
 
가난한 학창시절
 
그는 1934년 10월 14일(음력) 길림성 훈춘시 밀강향 태평구(현 해방촌)의 한 농민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12살적 월사금을 내지 못해 학교에서 쫓겨났는데 그때 아버지는 검정귀버섯을 팔아 공부를 계속시키려는 목적으로 산에 갔다가 전염병(왜놈들이 패망하기 직전 동북대륙을 휩쓸던 그 몹쓸 전염병 콜레라로 인해)에 걸려 결국 열흘만에 사망하고 연이어 삼촌과 여동생을 모두 잃었다. 태평소학교를 다녔던 그는 어릴적부터 공부를 유난히 잘하였지만 가난한 살림때문에 부득불 학교를 중퇴했어야만 했다. 이젠 농사를 하려고 하던 찰나, 1942년 로을룡선생의 간곡한 권고 하에 그는 2년간 짚신을 신고서 밀강소학교에 통학을 하게 된다. 그 시절, 가난한 살림에 도시락을 싸갖고 가지 못하여 배고픔을 달래러 마을 관자집에 들어가서 타래떡 냄새를 맡군 하였는데 그렇게 향기로울 수가 없었다. 5,6학년을 밀강소학교에서 마치고 또 다시 집안일을 도우려고 다짐을 하였다가 초중입학시험 일주일 전 전학손선생의 “초중에 입학하면 5원의 조학금을 받을 수 있고 또한 기숙사에도 들어갈 수 있다. 절대 포기하지 말고 공부를 계속하라”는 의미심장한 얘기에 생각을 바꾸었다. 후에야 그는 그때 전학손선생이 통신학부에 “앞으로 계속 노력하면 우수한 머리에 무한한 발전을 기할 것이다.”라는 글을 쓴 것을 보고 희망찬 앞날에 대한 신심을 가지게 되었다. 초중입학시험 결과 12명중 2명이 입학하게 되었는데 그도 포함되었다. 
 
훈춘중학에 입학하여 과외독서와 글쓰기에 매진한 그는 작문경색에 나가 우수상을 받게 되었는데 이는 앞으로 걷게 될 문학의 길에서 재능과 소질이 있음을 보여준 사건이라 할수 있다
 
고중에 올라갈 무렵인 1952년, 그는 리학용 담임선생님의 권고로 학비가 안드는 연변한어사범학교(로동자문화궁 서켠에 있는 공상은행 사무소 자리에 허름한 단층 벽돌집)에 입학하였다. 이는 나중에 연변대학 중문계로 입학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이 학교에서는 자연과를 설치하지 않고 주로 중문을 몇개 과목으로 나누어 배우는 외에 조선어, 정치, 력사, 지리, 음악 등 과목을 더불어 가르쳐주었다. 자연과학을 전공할 길은 막히고 문과를 전공하는 길밖에 없었다. 초중시절 문학에 흥취를 갖고있었고 작문 경색에서 입상한적도 있었던 그는 그곳에서 문학의 길을 가려고 다짐하였으며 고리끼와 푸쉬킨, 조기천 등 문학거인들의 작품을 남김없이 열독하였다. 드디어 1954년 초 처녀작 <<념원>> 이 연변문예에 발표되었다. 그 이듬해인 1955년 5월에는 작품 <<령을 넘으며>>가 역시 연변문예에 발표 되었는데 1956년 8월 연변작가협회 창립시 학생신분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문예상과 함께80원의 상금까지 받아안았다. 그 80원의 상금으로 그는 여동생을 데리고 볼품없는 초가집에서 살고있는 어머니에게 50원을 보내여 새로이 집을 장만하게 하였다. 1955년 그는 연변대학 중문계로 입학하게 되는데 1956년 말부터 1958년 7월까지 북경대학 중문계로 연수를 떠난다. 이러한 좋은 기회가 따라준 것은 연변한어사범학교 시절인1955년의 사연이 계기가 되었다. 그해 5월, 교도주임은 우수한 학생들을 불러 연변대학 중문학부에 입학할 자격에 부합되는 학생들을 선발하겠다고 선포하였던 것이다. 운동대회에서 문예대회, 졸업생대표발언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우수한 학생이었던 그는 마침내 연변대학 중문학부에 입학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그가 북경대에 연수를 가게 된 첫걸음이었다. 
 
연변대학 중문학부에서 그는 <<고추밭이야기>>, <<내 조국의 생일에>>, <<뜨거운 마음으로>> 등 작품을 발표하였고 북경대학 시절에는 <<선녀들도 부러웁게>> 등 다수의 글을 써냈다. 북경대학은 중국 최고의 학부인만큼 일류의 학습환경을 구비하였고 동방어문학부에는 도서들이 굉장히 많았는데 그는 이 자원을 충분히 이용하여 열람식에서 2년동안이나 폐문독서를 하며 문학지식을 늘였다. 고문과 열독에 몰두하였으며 <<공사인민들은 당을 생각하네>>라는 한문으로 된 7언시도 발표하였다. 
 
 
 
훈춘에서의 20년 세월
 
시작이 좋아 한창 부풀어오르던 이 시절, 반우파투쟁이 일어나 기술실무만능주의(白专道路: 문학에만 열중하고 정치적활동에 적극적이지 못하였다.)로 “우파언론이 있고, 공청단원 1년간 보류, 사용제한”(有右派言论, 留团查看1年, 限制使用)이라는 처분을 받고 1959년 8월 훈춘시 제2고중에 분배받게 된다. 그는 그곳에서 14년동안 한어교원사업에 충성하였고 모범공청단원이 되면서 사회주의 교양운동으로 인해 공작대대장 리용눌으로부터 1965년 6월에 재해방 되면서 입당을 하였고 부교무주임으로 승진하였다. 문학에 대한 욕구를 제대로 표출하지 못했을 그때, 리상각과 김성휘, 김철 등 문학친구들의 권고로 다시 필을 든 그는 <<없어진 고개>>, <<운전수>>, <<옥수수다락>>, <<아버지의 사발>> 등 작품을 써냈다. 1973년, 그는 훈춘시 서기 김성화의 추천으로 훈춘시 외사반공실 주임으로 전근하게 되어어 6년간 그곳에 있었다. 그후 1978년 즈음 훈춘시 진교향당위서기로 1년간 종사하다가 1979년 3월 훈춘을 떠나 연변작가협회 부비서장으로 임명되었지만 편제가 없어 1년간 연변군중예술관 “해란강”잡지(문예지)의 편집을 맡게 되었고 1980년 3월부터는 연변인민출판사에 30년의 청춘을 바쳤다. 
 
 
 
문학의 봄날
 
문학의 꽃망울을 틔우려다 사그러든 그는 다시 문학의 봄날을 맞이하게 되었다. 1980년대 말, 지식분자들이 걸어온 역사를 돌이키며 해방받지 못한 울분을 토한150행에 이르는 <<중년의 노래>>를 발표하였고, 1984년 10월에는 아내를 잃은 슬픔으로 쓴 연변문학상을 수상한 <<사랑의 애가>>(대표작가운데의 하나)를, 1980년대 말에는 100수에 달하는 인생3부작인 연작시 <<불타는 황혼>>(연변문학상 수상작품), 사랑주제 <<사랑별곡>>, 겨례의 역사 <<깊은 뿌리>>를 써냈다. 이 시기에 쓴 가요 <<연변사람>>은 2007년도 장백산문학상 수상작이기도 하다.
 
1993년 해외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그는 1993년에는 러시아, 1996년, 1997년, 2000년 3차례에 거쳐 약 2년간 미국에 머물었다. 그 시기 그는 여행을 하고 글을 쓰며 손군들을 키우는 등 일들을 하였으며 사랑하는 딸을 잃은 아픔으로 <<그리움삼만리>>라는 기행시집을 써냈다. 그리고 자본가의 상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맑스의 <자본론>중 잉여가치의 이론을 직접 체험하기도 하였다. 그곳의 선진문화를 폭넓게 받아들여 문학의 전통에서부터 현대에로의 탈바꿈을 시도한 그를 평론가 우상렬은 “인류를 내다보는 시인”이라고 칭하기도 하였다. 
 
2006년 3월, 그는 연변시인협회를 창립하여 현지창작과 도서출간, 시상식 등과 같은 활동들을 활발히 펼치고있다. 그는 장백산의 웅위함은 수많은 여러 봉우리들에 있다고 말한다. 시인협회의 창립 역시 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좋은 시를 뽑아 웅기중기 솟아서 이채를 돋구어 새로운 각자의 향기를 풍기게 하기 위함에 있다고 한다. 
 
 
돌아보면 아득한 세월, 류수처럼 구름처럼 무정한 세월은 흘러흘러 그의 생에도 어언 황혼의 석양무렵이 다가왔다. 이팔청춘에 아침노을을 곱게 짜보려고 직기에 올라탔다가 때아닌 서리를 맞고 광풍에 휘말려 가슴깊이 상흔을 남긴적도 있었다만 문학에로의 사랑, 시에로의 사랑은 올곧이 인이 박혀 그한테서 떨어지지를 않았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좋은 시절을 맞이하여 봄바람을 타고 꽃노을을 짜는 직기에 다시 오른지도 30년의 세월, 그리고 지금도 짜고있는 저녁노을쪼각이 앞으로 우리의 겨례가 나아가는 앞길에 한송이 꽃댕이나 한오리 옷고름으로 날릴수만 있다면 그는 흔쾌히 웃을 것이다. “시쟁이”인 그는 인생의 황혼이 바득바득 다가오는 석양무렵에도 그냥 분초를 다투어 연소하고 있다. 
 
 
 
김응준시인 략력
 
1934년 10월 14일(음력) 길림성 훈춘시 밀강향 태평구 출생
 
1959년 연변대학교 중문학부 졸업후 훈춘시 제2고중, 훈춘시외사판공실 근무
 
1979년이래 문학편집, 연변인민출판사 편심, 중국작가협회 회원, 연변시인협회 회장, 시총서 <시향만리> 주필 력임
 
1954년 처녀작 발표, 시집 ≪별찌≫, ≪남자와 녀자와 사랑과 시≫, ≪김응준시선집≫ 등 17부 출간, 편저 ≪세계명언≫(공저), ≪문학묘사사전≫(공저), ≪문학명작소개≫(공저) 등 출판
 
수필 “솜저고리에 깃든 이야기” (1962), “진달래꽃”(2005) 등 60여편 발표
 
시초 “사랑의 애가”, 련작시 “불타는 황혼”, 련작시 “연변사람”, 가요 “사랑아 어찌 늙으랴”, “두만강천리” 등 60여편 수상
 
 
김응준시인 출판시집
 
1. ≪별찌≫(1988년)
 
2. 장시집≪사랑의 향토≫(1994)
 
3. ≪남자와 녀자와 사랑과 시≫(1999년)
 
4. ≪그리움 삼만리≫(2002년)
 
5. ≪사랑새를 기다린다≫(2004년)
 
6. ≪남으로 나는 기러기떼≫(2005년)
 
7. ≪최후의 밀회≫(2005)
 
8. ≪깊은 뿌리≫(2006년)
 
9. ≪불타는 황혼≫(2006년)
 
10. ≪사랑별곡≫(2006년)
 
11. ≪어머니 장백산≫(2006년)
 
12. ≪사랑은 날개≫(2006년)
 
13. ≪장미꽃 함께 있으면≫(2006년)
 
14. ≪마감 웃는 꽃≫(2006년)
 
15. ≪하얀 손수건≫(2006년)
 
16. ≪연변사람≫(2009년)
 
17. ≪김응준시선집≫(2009년)
 
18. ≪외로운 마을≫(2009년)
 
19. ≪사랑으로 가는 길≫(2014년)
 
 
 
 
 
20140528_094326_副本.jpg

20140528_094413_副本.jpg

20140528_095020_副本.jpg

20140528_095149_副本.jpg

20140528_100018_副本.jpg

20140528_100037_副本.jpg

20140528_100042_副本.jpg

20140528_100103_副本.jpg

20140528_100328_副本.jpg

20140528_101705_副本.jpg

20140528_101711_副本.jpg

20140528_101720_副本.jpg

20140528_101731_副本.jpg

20140528_115048_副本.jpg
<김응준의 소년시절>
 
 
 
 
20140528_114942_副本.jpg
<김응준의 청년시절>
 
 

 
20140528_115150_副本.jpg
<북경대학 연수시절 딱친구 곽전유(중간)와 김세걸(오른쪽)과 함께>
 
 
 
 

20140528_115214_副本.jpg
                               <나이아가라폭포앞에서>
 
 
 
 
 

 
20140528_115315_副本_副本.jpg
< 1974년 1월, 훈춘시정부 외사반공실주임으로 있었던 시절>
 
 
 
 
 
 
 
20140528_115530_副本.jpg
<1956년 7월 11일, 연변대학 중문학부에서 북경대학 중문학부로 
 
연수를 가게 되었을 때의 기념사진_앞줄 오른쪽 두번째>
 
 
 
 

 
20140528_115742_副本.jpg
 
<1955년 7월, 연변한어사범학교 문학써클_뒷줄 왼쪽 첫번째>
 
 
 
 
 
 

 
20140528_115839_副本.jpg
<2000년, 샌프로시스코, 유람선위에서의 김응준>
 
 
 
 

 
 

20140528_120215_副本.jpg
<1960년, 친구 손종규와>
 
 
 
 
 
 
 
20140528_120029_副本.jpg
 
<1982년, 사랑하는 아내와 딸 홍화와 함께>
 
 
 
해란강닷콤 류설화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03 이육사 <<靑포도>>는 <<풋포도>> 2016-03-15 1 5201
1202 [ 이 아침 詩 한잔 드리꾸매]- 시간에 관한 짧은 노트 2016-03-15 0 3594
1201 내 인생은 처음부터 저주받았음이... 2016-03-14 0 4019
1200 詩공부시간- 詩퇴고 장소는 화장실... 2016-03-14 0 4022
1199 [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풍경 2016-03-14 0 3769
1198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목련꽃 우화 2016-03-14 0 3806
1197 [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그림자와 길 2016-03-14 0 3858
1196 조병화 시모음 2016-03-13 0 4467
1195 <아침> 시모음 2016-03-13 0 4021
1194 이시환 산문시 감상하기 2016-03-13 0 3921
1193 詩作初心 - 시에서 상투어를 사용하지 말기 2016-03-13 0 4396
1192 조선족 시문학 관하여(2000년 5월) 2016-03-12 0 4191
1191 윤동주, 아현동 굴레방다리 옛 간이역 앞 하숙방에서 詩 쓰다 2016-03-12 1 3967
1190 윤동주의 산문이 시와 함께 빛 발하다 / 연변에서 "동주" 소설이 나오다... 2016-03-12 0 5268
1189 詩作初心 - 텅빈것과 없음을 노래하기 2016-03-12 0 3828
1188 남영전 민족토템시 파헤쳐보기 2016-03-12 0 4691
1187 詩作初心 - 詩의 大空을 위하여 2016-03-12 0 4099
1186 시평론의 바른 자세와 "30년대 수준론" / 리상각 2016-03-12 0 4167
1185 詩作初心 - 詩에서 道와 깨달음 2016-03-12 0 3901
1184 詩作初心 - 詩로 상처를 어루만지기 2016-03-12 0 3960
1183 詩作初心 - 타령조詩를 알아보기 2016-03-12 0 3770
1182 詩作初心 - 한편의 시가 태여나기까지... 2016-03-12 0 3925
1181 詩作初心 - 시에서 보이지 않는 세계를 찾기 2016-03-12 0 4121
1180 詩作初心 - 마음속 "여래"를 찾기 2016-03-12 0 3916
1179 詩作初心 - 로마로 가는 길 여러가지... 2016-03-12 0 4614
1178 詩作初心 - 시에서 비움의 미학 2016-03-12 0 4299
1177 詩作初心 - 기행시 알아보기 2016-03-12 0 4357
1176 詩作初心 - 물이미지 2016-03-12 0 4353
1175 詩作初心 - 바람이미지 2016-03-12 0 3722
1174 詩作初心 - 대지이미지 2016-03-12 0 4008
1173 詩作初心 - 광물이미지 2016-03-12 0 4034
1172 詩作初心 - 식물이미지 2016-03-12 0 4366
1171 생명의 씨를 뿌리는 시인 - 이시환 2016-03-12 1 3663
1170 詩作初心 - 시에서 생명의 표현 활유법 2016-03-12 0 4196
1169 詩作初心 - 牧人을 기다리며 / 반복의 미학적 시법 2016-03-12 1 3655
1168 산문시 몇다발 / 李箱 시모음 2016-03-12 0 4010
1167 詩作初心 - 뒤집어 소재를 찾고 행동하기 2016-03-12 0 3857
1166 [안녕?- 이 아침 따끈따끈한 詩 한잔]- 진짜 어른 2016-03-11 0 3420
1165 [안녕?- 이 아침 따끈따끈한 詩 한잔]- 인사 2016-03-11 0 3418
1164 詩作初心 - 시의 본문과 제목과의 은유관계 알기 2016-03-11 0 6011
‹처음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