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0월 2024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2016년 10월 12일 21시 54분  조회:4051  추천:0  작성자: 죽림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고형렬

 


  졸짱붕알을 달고 명태들 먼 샛바다 밖으로 휘파람 불며 빠져나간다 덕장 밑 잔설에 새파란 나생이 솟아나올 때 바람 불면 아들이랑 하늘 쳐다보며 황태 두 코다리 잡아당겨 망치로 머리 허연 꼬리 퍽퍽 두드려 울타리 밑에 짚불 놓아 연기 피우며 두 마리 불에 구워 먹던 2월 어느날

  개학날도 다가오고 나는 오늘을 안 듯 눈구덩이 설악으로 끌려가는 해를 무연히 바라보다 오만 데 바다로 눈길 준 지 잠시인걸 엊그제 속초 설 쇠고 오다 미시령 삼거리서 사온 누렁이 두 마리 돌로 두드려 혼자 뜯어 먹자니, 내 나이보다 아래가 되신 선친이 불현듯 생각나

  아버지가 되려고 아들을 불러 앉히고 그 중태를 죽죽 찢어 입에 넣어주었다 그 황태 쓸개 간 있던 곳에서 눈냄새가 나고 납설수 냄새도 나자 아버지 냄새가 났다 슬프다기보다 50년 신춘에 이렇게 건태 뜯어 먹는 버릇도 아버지를 닮았으니, 아들도 나를 닮을 것이다

  명태들이 삭은 이빨로 떠나는 새달, 그렇게 머리를 두드려 구워 먹고 초록의 동북 바다로 겨울을 보내주면, 양력 2월 중순에 정월 대보름은 달려왔고 우리 부자는 친구처럼 건태를 구워 먹고 봄을 맞았다 남은 건 내 몸밖에 없으나 새 2월은 그렇게 왔다 가서 이 시만 이렇게 남았다

========================
 

 

감평

 

이 시를 접하면 아버지-시인-자식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손이라는 울타리에서 가정의 평화를 오버랩하게 한다.

덕장에서 아버지와 자식의 사랑을 면면히 이어주는 매개체 황태가 선친을 생각하게 하는 것은 시인도 아버지를 참 그리웠나보다.

황태를 누렁이라고 표현한 시적감각이 참 탁월하고, 부자간의 많은 대화는 없지만 자식의 입으로 넣어주는 중태가 이 세상에서 최상의 음식이 아닐까. 나도 미시령 고개 덕장 아래에서 황태를 즐길 수 있는 사내아이 하나 있었으면 참 좋겠다.

 

 

고형렬

1954년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났다. 1979년 『현대문학』에 「장자」등이 추천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대청봉 수박밭』『해청』『사진리 대설』『성에꽃 눈부처』『김포 운호가든집에서』, 장시집 『리틀 보이』, 동시집『빵 들고 자는 언니』등이 있다. 2003년 제3회 지훈상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시평(詩評)』을 편집하고 있으며 명지전문대 문창과 겸임교수로 출강하고 있다.
졸짱붕알을 달고 명태들 먼 샛바다 밖으로 휘파람 불며 빠져나간다 덕장 밑 잔설에 새파란 나생이 솟아나올 때 바람 불면 아들이랑 하늘 쳐다보며 황태 두 코다리 잡아당겨 망치로 머리 허리 꼬리 퍽퍽 두드려 울타리 밑에 짚불 놓아 연기 피우며 두 마리 불에 구워 먹던 2월 어느 날 … 엊그제 속초 설 쇠고 오다 미시령 삼거리서 사온 누렁이 두 마리 두드려 혼자 뜯어 먹자니, 내 나이보다 아래가 되신 선친이 불현듯 생각나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중에서 

■ 오랜 동안 조기는 서해였고 명태는 동해 그 자체였다. 대한민국 사람들마다 한평생 입 속으로 헤엄쳐들어간 평균 숫자는 몇 마리쯤 될까. 1백 마리는 지져먹고 졸여먹지 않았을까. 명태 1백 마리 지나가는 동안, 인생에 치는 물보라가 왜 없겠으며 가라앉는 기억의 앙금 또한 어찌 없겠는가. 시인은 아버지와 먹던 명태의 기억이 어느덧 아버지 전부가 되어 먹먹한 시간의 살을 씹는 중이다. 명태 알이나 난소는 곤(鯤)이라고 하는데, 이건 장자에서 북해의 명(溟)이라는 곳에 사는 몇 천리나 되는 사이즈의 물고기다. 그러던 명태가 언제 졸짱붕알로 쪼그라 들었는지 모르지만, '애'(간) 주고 '이리'(수컷의 정소) 주고 다 내놓으니 그 육보시 정신만은 통째 하염엾는 바다이다.  
명태 구워먹으니 겨울 가고 봄이 왔다...

밤 미시령

고형렬 시집|창비|129쪽|


 

산 돌을 밟으며 나는 상상할 수 있다, 이것이 화산이었다는 것을
이 돌들이 심장을 단숨에 연소시킨 불이었다는 것을
나무들은 그럼 어디서 왔는가 나는 모르지
그것이 설악의 화두다 알 길 없는
이 물음을 찾아 나는 설악의 돌을 밟고 걷는다


(시 ‘하늘에 떠 있는 수많은 돌’ 부분)


강원도 속초 출신인 고형렬<사진> 시인은 설악산에서 화강암 지대의 돌길을 걸으며 명상에 빠진다. 돌의 침묵 속에서 아주 오래된 어떤 소리를 들으려 하지만 쉽지 않다. 그 돌들은 아주 오래전 엄청난 불바다 속에서 ‘입이 불에 데어 말할 수가 없다’고 한다. 하지만 시인의 발걸음에 닿는 돌의 존재 그 자체가 마치 타오르는 불처럼 시인의 심장 속에서 뜨거운 비밀을 일깨운다. 불바다가 휩쓰고 간 뒤에 남은 돌은 비록 말을 못하지만, 세월의 풍화를 견디면서 마치 물음표와 같은 기호이거나, 말하는 혀를 연상케한다. 그 형상에서 시인은 정물이면서도 죽은 사물이 아닌 생명체로서 돌의 새 이미지를 빚어내 한 편의 시를 완성한다.

뼈의 나뭇가지들 아래 뒹구는 불타버린 이빨, 등골 자국들


널려있는 설악의 세계, 검은 화강암이 된
죽음의 길바닥을 만든, 울퉁불퉁한 혀들을 밟는다

나는 캄캄한 밤하늘로 올라가 돌아오지 않는 빛의 영혼들을 본다
머리를 들어, 아 하늘 속에 떠 있는 수많은 돌들을 쳐다본다

 

예로부터 인간은 죽은 영혼이 밤하늘의 별이 될 거라고 믿어왔다. 그런데 시인은 그 별들이 하늘에 떠있는 돌 덩어리라고 본다. 수많은 별들이 반짝이는 우주는 무수한 돌들이 깔려있는 산길과 같은 것이 된다. 시인은 설악산의 돌길에서 우주의 별밭을 감지한다. 그는 하나의 돌에 귀를 기울여 오랜 시간 여행 끝에 지구에 당도한 어느 별의 음악 소리를 듣는다. 

 

▲ 
고형렬 시인은 작은 생명의 숨결에서 거대한 창조의 손길을 느끼거나, 먼 별의 흔들림에서 깊은 내면의 떨림을 감지한다. 그는 여치를 들여다보면서

하느님이 처음 만들 때 눈빛과
손길이 보인다


고 하고,

저녁별 보고 있으면 나뭇잎들만 눈꺼풀에서 출렁여요
내 가슴속에서 나뭇잎 하나 흔들려요


라고 노래한다. 실제로 고형렬 시인은 여치처럼 연약한 눈웃음을 짓고, 나뭇잎처럼 얇은 음성으로 말한다. 설악과 동해로 표상되는 고향 강원도를 떠나 오랫동안 서울에서 일상을 영위하고 있는 시인은 고향의 명태를 시의 자양분으로 삼는다. 이를테면, 속초에서 설을 쇤 뒤 미시령에서 시인은 건태를 불에 구워 아들과 나눠 먹는다. 마치 그의 아버지가 어린날의 시인과 그러했듯이.


명태들이 삭은 이빨로 떠나는 새달, 그렇게 머리를 두드려 구워먹고 초록의 동북 바다로 겨울을 보내주면, 양력 2월 중순에 정월 대보름은 달려왔고 우리 부자는 친구처럼 건태를 구워 먹고 봄을 맞았다 남은 건 내 몸밖에 없으나 2월은 그렇게 왔다 가서 이 시만 이렇게 남았다


(시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부분)***

 

/// 박해현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83 <봄> 시묶음 2016-03-31 0 4398
1282 <목련> 시묶음 2016-03-31 0 5531
1281 실험정신 없는 詩는 죄악 - 詩作 16가지 2016-03-31 0 4808
1280 [목련꽃 하얗게 피는 아침 詩 한송이] 2016-03-30 0 4419
1279 <매화> 시모음 2016-03-30 0 5361
1278 <개나리> 시모음 2016-03-30 0 5860
1277 <풀꽃> 시모음 2016-03-30 0 4690
1276 [머리 뗑한 詩공부]- 詩는 하찮은것에서 始作...詩作... 2016-03-30 0 4206
1275 "협동조합형" 詩잡지 나오다... 우리는???... 2016-03-29 0 3961
1274 봄맞이 선물 - 녀자 독자들이 사랑한 詩人 10인 2016-03-29 1 4212
1273 잊혀진 詩人과 그 詩人의 아들 2016-03-29 0 4707
1272 [詩공부시간]- 詩에서 빈자리 보기 2016-03-29 0 4368
1271 [화요일 아침 詩 한송이 드리꾸매]- 지옥에서 보낸 한 철 2016-03-29 0 4079
1270 [월요일 아침 새록새록 詩]- 양파 공동체 2016-03-28 0 4550
1269 [봄날의 아침 詩 두 잔 드이소잉]- 젖지않는 물/ 숟가락의 무게 2016-03-28 0 4441
1268 詩는 물과 거울과 달과 꽃과 더불어... 2016-03-28 0 4741
1267 낯설음의 詩 한묶음 2016-03-28 0 4718
1266 [詩공부]- 詩는 어디에서?... 2016-03-26 0 4064
1265 [봄비가 추적추적 오는 날 슬픈 詩 한수]- 병상록 2016-03-26 0 3982
1264 [詩공부시간]- 백마디의 말보다 한송이 장미가... 2016-03-26 0 4096
1263 땡!~ 제2의 '동주' 나올수 있을가... 남에 일 아니다... 2016-03-25 0 4090
1262 [꽃샘추위하는 날 따끈한 詩 한잔]- 자유 지역 2016-03-25 0 3760
1261 [詩作初心] - 詩는 노력가의 결과물 2016-03-25 0 3967
1260 [따뜻한 봄날 아침 따끈한 시 한잔] - 숲 2016-03-24 0 3963
1259 [詩공부시간]- 詩창작의 비법은 없다 2016-03-24 0 4506
1258 [신선한 詩 한잔 드이소잉]- 토르소 2016-03-23 0 3747
1257 [詩作初心]- 은유는 천재의 상징 2016-03-23 0 4555
1256 누에가 고치짓지 않으면 누에는 죽는다... 2016-03-23 0 4248
1255 한국 50년대, 60년대, 70년대, 80년대의 詩계렬 2016-03-22 0 5343
1254 ... 2016-03-22 0 3880
1253 ... 2016-03-22 0 4221
1252 ... 2016-03-22 0 4322
1251 ... 2016-03-22 0 3950
1250 ... 2016-03-22 0 3962
124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인도 문학 2016-03-22 0 4503
124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일본 / 몽고 문학 2016-03-22 0 4861
1247 [복습해보는 詩공부]- 시속의 은유 2016-03-22 0 3889
1246 [춘분절기와 詩]- 봄나물 다량 입하라기에 2016-03-21 0 3820
1245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장춘(長春)- 긴 봄 2016-03-21 0 4080
1244 [월요일 아침 詩] - 물결 표시 2016-03-21 0 4709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