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정화가 된 "저체온의 성스러운 언어"로 시를 써야...
2016년 12월 22일 18시 54분  조회:2682  추천:0  작성자: 죽림

가혹한 운명의 겨울에 맞서 오염되지 않은 순수의 슬픔으로 
불씨 피워 빚어낸 詩라는 結晶… 비탄에 젖기보다 황홀을 찾아내 
황폐한 풍경을 견디게 하니 겨울을 깨달음의 계절로 만드네
 

박해현 문학전문기자
박해현 문학전문기자
'아름답다 너, 오 흰 설원이여!/ 가벼운 추위가 내 피를 덥힌다/ 내 몸으로 꼭 끌어안고 싶다/ 자작나무의 벌거벗은 가슴을.'

러시아 시인 예세닌이 쓴 시 '나는 첫눈 속을 거닌다'의 일부다. 첫눈을 맞은 기쁨을 '더운 피'로 표현했다. 혹독한 추위는 사람의 몸을 움츠러들게 하지만, 역설적으로 사람의 의식을 일깨우기도 한다. 가벼운 겨울바람은 적당한 생기를 불어넣는다. 뜨겁게 자작나무를 껴안겠다고 한 예세닌을 비롯해 수많은 시인의 겨울 노래는 황폐한 풍경 속에서 비탄에 젖기보다는 황홀을 찾아냈다. 시인은 겨울 풍경에 투명한 언어를 투사하고 생각의 불씨를 피워 추위를 녹이며 순백의 미학으로 순수한 영혼을 그려내 왔다. 추운 겨울을 견디게 하는 시의 힘이다.

한국 현대시에서 겨울을 예찬한 시인을 꼽으라면 황동규 시인(78)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1958년 스무 살에 등단해 지금껏 시를 써오는 동안 숱하게 겨울을 노래했다. '막막히 한겨울을/ 바라보는 자여,/ 무모한 사랑이 섞여 있는/ 그런 노래를 우리 부르자'라고 했다. '눈송이 하나하나가/ 눈이 내리는 소리로 바뀌는 소리 들린다'라고도 했다. 그의 시에서 눈송이는 천상과 세속 사이에서 떠도는 존재의 비유이고, 얼음은 시인의 의식이 빚어내는 결정(結晶)이고, 눈 내리고 그친 순간의 적요가 겨울을 깨달음의 계절로 만들었다.

황동규 시인은 최근 낸 열여섯 번째 시집 '연옥의 봄'에서도 겨울 노래를 멈추지 않았다. 그중 시 '나의 동사(動詞)들'이 대표적이다. '올 들어 가장 춥다는 날/ 오랜만에 허브차를 마시며/ 생각이 조금 따뜻해지기를 기다린다/ 그동안 나와 함께 살아온 동사들, 그중에도/ 떨구다 드러내다 털다의 관절들 아직 쓸 만하다/(중략)/ 가만, 현관 앞 나무들은 잔뼈들까지 모두 드러낸 채/ 추위를, 추위보다 더한 무감각을 견디고 있다/ 앞으로 나는 무엇을 더 떨구거나 드러내야/ 점차 더 무감각해지는 삶의 표정을 견뎌낼 수 있을까?'
 
칼럼 관련 일러스트
일러스트=이철원 기자

60년 가까이 시를 써온 시인이 요즘 아끼는 우리말 '떨구다'는 겸손, '드러내다'는 솔직, '털다'는 달관의 미덕을 각각 가리키는 듯하다. 그런 정신의 경지는 나목(裸木)을 자신과 동일시하며 절망하기보다는, 벌거벗었기에 더 감각이 예민해진 실존의 상징을 떠올리면서 삶이 지속되는 한 무감각해지는 것을 끝까지 경계하려는 의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시인이 추구하는 감각은 시 '외등(外燈) 불빛 속 석류나무'에 쓴 '간지럼 타는 눈송이의 살갗/ 어둠 속에서/ 그 간지럼 전하는 공기의 미진동(微振動)'처럼 섬세한 의식의 촉수로 포착한 심상(心象)으로 드러난다. 그의 또 다른 겨울 노래는 '몸이 말한다'이다. 날씨가 쌀쌀해지자 노령자 무료 독감 백신을 동네 병원에서 맞은 뒤 끙끙 앓고 나서 쓴 시다. '이제 감기 몸살하고도 인사 한번 나눠야 않겠나/ 빨리 가라고 자동차에 매질 않지만/ 재갈 물린 말은 채찍을 들어야 말처럼 달린다'며 노년의 건강한 해학을 풀어놓았다.

이처럼 자연의 겨울과 인생의 겨울을 버무린 시집 속에는 연작시 '연옥의 봄'도 들어 있다. 기독교에서 연옥(煉獄)은 천국과 지옥 사이의 장소를 가리킨다. 세속에서 죄짓고 온 인간 영혼이 고통을 겪고 정화되면 천국의 문으로 간다고 한다.

황동규 시인은 현존하면서도 연옥에 있다고 상상한다. 지난 몇 년 사이 오랜 친구들이 잇달아 세상을 뜨면서 허탈한 고통을 자주 겪어야 했기 때문이다. 시인은 자연히 죽음을 다룬 시를 자주 쓰면서 현실도 초현실도 아닌 정화계(淨化界)를 체험했기에 지금-이곳은 연옥이기도 하다. 종교적으로 연옥은 명계(冥界)이므로 황폐하고 어두운 겨울의 이미지에 가깝다. 문학적으론 고통의 승화가 향기롭게 피어나는 곳이다. 그래서 시인은 노년의 삶을 '연옥의 봄'이라 부른 모양이다.

시인은 또 다른 겨울 노래인 '마음 어두운 밤을 위하여'에서 눈 내리는 폐광촌의 술집을 무대로 삼은 극(劇) 서정시를 펼쳐놓았다. 눈바람에 기차 소리마저 얼어붙는 겨울밤, 외딴 술집에서 형광등 불빛 아래 시인의 분신 같은 어느 사내가 홀로 술을 마신다. 그는 '이 세상에서 마지막까지 떨치기 힘든 것은/ 이런 뜻 없는 것들'이라고 중얼거린다. '그래도 이 세상의 꼼수가 안 통하는 게/ 이 저체온(低體溫)의 슬픔, 이런 뜻 없는 것들이 아닐까'라고 덧붙인다.

시인이 패배적 허무주의에 빠진 것은 아니다. 그는 평소 감상(感傷)을 경계하면서 언어와 정서의 지적(知的) 통제에 바탕을 둔 서정시를 써왔기 때문이다. 육체의 삶이란 어차피 덧없기에 슬프다. 하지만 시인의 정신은 '이 세상의 꼼수가 안 통하는 저체온의 슬픔'을 놓지 않으려 한다. 꼼수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의 슬픔이다. 그것이 '저체온의 슬픔'인 까닭은 가혹한 운명의 겨울에 맞선 인간 육체의 하찮은 온기(溫氣)에 감싸여 있기 때문이다. 시인은 그 기운을 통해 정화된 영혼의 언어를 시집에 남긴다. 독자가 그 책을 음미하면서 상상하는 겨울의 밤하늘은 성(聖)스러운 슬픔의 흔적으로 아롱진다.


 

 

 ⓒ 조선일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254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253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196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779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068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1937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017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1927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367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2018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805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1826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1982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1995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135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816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1880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1889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766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1954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1908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049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296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1957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1973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792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154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1948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138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1929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165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179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161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129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403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1866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295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155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454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1865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