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현대시는 외형률보다 내재률을 통해 음악성을 강조해야...
2017년 01월 21일 18시 20분  조회:3196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제 전문 결혼식사진 협회’ (ISPWP)에서
2016년 한해동안 가장 아름다웠던 결혼식사진 공개, 그중 한컷...


 

시창작 강의-7(시의 운율)  
김송배   

ㅁ 시를 사랑하는 모든 분들, 성탄절은 잘 보내셨는지요. 이제 2002년도 서서히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잡다한 일상사를 정리하고 내년에는 반드시 무엇인가 성취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시도 많이 쓰시고 이곳 ‘시창작교실’도 많이 사랑해 주세요. 그럼 전번에 이어서 운율에 대해서 좀더 알아 봅시다.

③ 음수율(syllabig system)
  이 음수율은 각 시행의 음절수(音節數)를 일정하게 맞추는 운율입니다. 영시(英詩)에서는 음보(音步-metre)가 있고 한시(漢詩)에서는 다섯 글자로 맞추는 오언(五言)과 일곱 글자로 맞추는 칠언(七言)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정형시인 시조나 가사, 기타의 신문학 초기의 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3 . 4조나 4 . 4조, 또는 7 . 5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 조선조 중기의 문인이었던 양사언의 시조에서 이를 알 수 있습니다.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이렇게 시조처럼 일정한 글자수를 맞추는 형식인데 지금 현대시에서는 별로 중요시 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김소월의 [먼 후일]이라는 작품에서도 이와 같은 글자수의 배열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그 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당신이 속으로 나무라시면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그래도 당신이 나무라시면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어제도 오늘도 아니 잊고
  먼 훗날 그 때에 “잊었노라”

  그리고 한시에서는 전형적으로 이러한 오언이나 칠언절구를 갖추고 있습니다. 참고로 만해 한용운의 [차영호화상(次映湖和尙)]이란 작품을 봅시다. 내용은 “시와 술로 시름하는 나입니다만 / 당신도 문장으로 늙으시네요 / 눈보라와 더불어 부쳐온 글월 / 속절없이 설레이네 오가는 두 정”이지만 우리는 오언절구라는 운율에 유념하여야 하겠습니다.

  詩酒人多病 文章客亦老(시주인다병 문장역객로)
  風雪來書字 兩情亂不少(풍설래서자 양정난불소)

  역시 칠언절구도 마찬가지 입니다. 김삿갓의 시 [무제(無題)]를 보면

  四脚松盤粥一器 天光雲影共徘徊(사각송반죽일기 천광운영공배회)
  主人莫道無顔色 吾愛靑山倒水來(주인막도무안색 오애청산도수래)

라고 하여 일곱 글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시의 내용은 김삿갓이 방랑을 하다가 어느 집에서 쉬어가게 되는데 주인이 너무 가난하여 죽 한 그릇으로 대접을 하면서 어쩔줄 몰라는 모습을 보고 지었다고 합니다. “네 다리 소반에 놓인 죽 한 그릇 속에 하늘빛과 구름의 그림자가 함께 떠 있구나. 주인은 도리가 아니라고 쩔쩔 매지 마시오. 나 본래 청산과 물이 비치는 것을 무척 사랑한다오” 쯤으로 알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3-1-2. 내재율(內在律)
  지금까지 외형율, 그러니까 외적으로 나타나는 운율을 살폈지만 지금부터는 안으로 내재되어 확인되는 않지만 현대시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내재율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내재율은 한 마디로 시의 호흡이나 템포(tempo-속도, 박자)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정형시에서의 외형율처럼 일정한 형태를 지니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무엇인가 있기는 있으나 분명히 지적할 수 없는 속으로만 생명처럼 존재하는 시인의 호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의 저변을 흐르는 언어의 억양과 색조가 빚어내는 어떤 리듬입니다. 바로 현대시에서 언어가 갖는 속성이나 기능을 종합한 무형의 리듬이 형성된 것입니다.
  이 내재율은 일정한 규칙이 없기 때문에 시를 쓰거나 읽으면서 스스로 체득하는 길 밖에 없습니다. 가령 윤동주의 [서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 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처럼 시의 외형상의 리듬은 보이지 않지만 속살로 흐르는 시인 특유의 맥박과 호흡니 살아 있습니다. 이것이 현대시에서 필요로 하는 내재율입니다. 다시 산문시의 형태를 갖춘 나의 졸시 [사랑법 . 9-시인의 사랑]이란 작품을 읽어 봅시다.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거나 솔바람곁에 뿌리는 라일락 향기로 그대는 
  내게 다가 왔다. 어느 후미진 언덕배기에서 안개 속 잡풀의 흔들림을 
  보거나 마알간 냇물이 흰구름을 안고 치억들을 어루만지거나 아니 서
  해 바닷가 갈매기 울음을 듣거나 그대 눈빛은 항상 내 가슴 깊이 안
  기어 촉촉하다. 더러는 연한 불꽃으로 타오르는 무지개였다가 별안간 
  이슬 한 모금 삼킨 주홍빛 꽃잎이었다가 스스로 앵두 입술 지그시 깨
  물고 사유의 골짜기를 오르내리는 순한 바람이었다가 아아 그대여, 이
  제 진실로 그대에게 들려줄 수 있는 한 마디 ‘사랑해’ 그 화음이 해뜰
  녘이거나 저물녘이거나 늘 함께 푸른 강물로 젖어 있다. 멀고 가까움
  이 이제 지워진 그 시인의 사랑 그리고 사랑법.

  이런 작품을 언뜻 보면 산문처럼 생각되지만 산문시의 형태로 표현되어서 명심해서 읽어보면 시의 맥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대시는 외형율보다 내재율을 중시한는 점을 다시 강조합니다. 비록 자유시(현대시)라 할지라도 김소월과 김영랑 등 자연파 시인들은 음악성을 강조하는 작품을 많이 남기고 있는 점도 어찌보면 시는 음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시와 그림(繪畫-이미지)과의 관계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히...


================================================================

 

 

 

우편 4 
―장이지(1976∼ )

내 간지러운 사춘기의 후미진 길목에는
지천으로 번진 채송화의 요염한 붉은빛 따라
남몰래 같은 학교 남학생을 쫓아다니던
축축한 꿈도 있지요만

그 기분 나쁜 미행의 꼬리를
나무라지 않은 안경잡이의 그 넉넉한 마음과도
아쉽게 갈라서버리고
실은 안경잡이의 쌍둥이 누나를 혼자 좋아했는데

안경잡이의 누나는 매정했고
나는 유서를 쓰고 죽는다든지
안경잡이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파국의 장면 같은 것을 부질없이 준비했으나

시간은 늙어서 자연이 되고
쌍둥이 남매를 뒤쫓던 학교 앞 공지
공지 담장 위로 오르내리던 남매의 머리끝 같은 것의
리듬이 자아내는 파국 없는 애상을 종종 불러내어

 

 

내 현실의 때 묻은 창을 좀 투명하게 하고
가문 하늘에 비구름도 좀 보태어주고 해오던 것인데
그 자연사의 폐허에 서 있지 않고는
삶에 대해, 옅어진 삶에 대해 부를 수 있는 노래가
없으리라고.

오늘은 내 자신 수취인 없는 개인적 기록으로
빛의 먼지를 뒤집어쓰고 세속도시를 지우고.



 

 

애티가 사라지고 그 곱던 얼굴에 여드름이 돋아난다. 몸처럼 마음도 한창 자라느라 활화산처럼 불안하다. 어떻게든 튀려 하거나 극심한 권태에 가라앉는다. 숙제를 발표할 때도 급우들을 웃기지 못하면 실패라 여기고, 한편 비극적 ‘파국의 장면’ 주인공을 꿈꾼다. 미처 경험 못한 사랑의 욕구가 끓어 넘치니 동성에게도 끌리고 이성에게도 끌리는데, 그 사랑은 대개 짝사랑으로 끝난다. 사랑에 대한 욕구가 아주 강한 시기가 용모가 썩 아름답지 못한 시기와 겹치는 게 사춘기의 비애라지. 미숙하고 어색하고 불안정한 사춘기.

독자는 화자가 불러내는 사춘기의 ‘파국 없는 애상’에 함께 젖는다. 장이지 시인에게 있어 사춘기를 비롯한 어린 시절로 돌아가 보는 시간은 ‘현실의 때 묻은 창을 좀 투명하게’ 하는 시간이다. 나이가 들어 매사 무덤덤한 것이 화자는 슬픈 것이다. ‘현실의 때’는 외부에 대해 보호기능을 하지만, 단절도 시킨다. 시인의 사춘기는 지난 세기의 80년대 말과 90년대 초였을 테다. 컴퓨터가 친구인 지금 청소년이 어른이 되면 어떤 추억으로 ‘현실의 때’를 벗을까. 끝내 ‘삶에 대해, 옅어진 삶에 대해 부를 수 있는 노래가 없으리라’. 사춘기에도 삶이 옅었기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50 시와 이미지는 쌍둥이 2017-02-19 0 2158
249 "자화상"으로 보는 낯설음의 미학 2017-02-19 0 2582
248 사랑의 서정시에서 사랑을 풀다... 2017-02-18 0 2569
247 "아리랑꽃" 우리의 것과, 타민족 타지역의 것과, 가슴 넓히기... 2017-02-18 0 2374
246 "매돌"과 "한복"을 넘어서 우주를 보여주다... 2017-02-18 0 2608
245 서정시, 낯설게 하기와 보기 2017-02-18 0 4185
244 시인은 언어라는 무기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수 있다... 2017-02-18 0 2710
24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기괴하다" = "괴기하다" 2017-02-18 0 4972
242 [시문학소사전] - "르네상스"란?... 2017-02-18 0 2423
24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께하다"의 띄여쓰기는?...(우리 중국 조선어문 문법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2017-02-18 0 2566
240 백명의 시민, 백년의 시인을 노래하다... 2017-02-17 0 2653
239 시조 한수는 마흔 다섯자안팎의 언어로 구성돼 있다... 2017-02-17 0 2773
238 시조문학의 지평선을 더 넓히자... 2017-02-16 0 3016
237 저기 폐지수레 끄는 할배할매들이 저희들의 친지입니다... 2017-02-15 0 2695
236 현대시 100년 "애송 동시" 한 달구지 2017-02-15 0 3944
235 "부끄럼"은 완숙된 시에서 우러나온 맛이다... 2017-02-15 0 2681
234 시는 만들어지는것이 아니라 몸을 찢고 태여나는 결과물이다 2017-02-15 0 2392
233 아일랜드 시인 - 사뮈엘 베케트 2017-02-14 0 3745
232 국어 공부 다시 하자, 시인들을 위하여!... 2017-02-14 0 2537
231 미국 신문 편집인, 발행인 - 퓨리처 2017-02-14 0 3936
23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방방곳곳"이냐? "방방곡곡"이냐!... 2017-02-13 0 4098
229 시작에서 좋지 못한 버릇에 길들면 고치기가 힘들다... 2017-02-13 0 2745
228 방방곡곡으로 못가지만 시로써 아무 곳이나 다 갈수 있다... 2017-02-13 0 2950
227 당신의 도시는 시속에 있어요... 친구의 시인이여!... 2017-02-13 0 2637
226 추천합니다, 노벨문학상 관련된 책 50 2017-02-13 0 2562
225 저항시인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2017-02-13 0 2490
224 동요동시 대문을 열려면 "열려라 참깨야"라는 키를 가져야... 2017-02-11 0 3267
223 동시를 낳고싶을 때에는 동시산실에 가 지도를 받으라... 2017-02-11 0 2424
222 동시인이 되고싶을 때에는 그 누구인가의 도움을 받고싶다... 2017-02-11 0 2767
221 상(賞)에 대한 단상 2017-02-11 0 2461
220 젊은 조선족 문학도 여러분들에게... 2017-02-11 1 3228
219 시란 "자기자신이 만든 세계를 깨부시는" 힘든 작업이다... 2017-02-11 0 2556
21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 우리 애들도 발음 좀 정확히... 2017-02-10 0 2759
217 시와 삶과 리듬과 "8복" 등은 모두모두 반복의 련속이다... 2017-02-10 0 2437
216 혁명이 사라진 시대, 혁명을 말하는것이 어색한 시대... 2017-02-09 0 3057
215 세계 47개 언어로 엮어서 만든 "인터내셔널가" 2017-02-09 0 2791
214 시인 백석 한반도근대번역문학사에 한획을 긋다... 2017-02-09 1 3602
213 불후의 명곡 "카츄샤"는 세계만방에 울러 퍼지다... 2017-02-09 0 3627
212 "카츄샤"는 떠나갔어도 "카츄샤"의 노래는 오늘도 불린다... 2017-02-09 0 4060
211 시의 형태는 시가 담겨지는 그릇과 같다... 2017-02-09 0 2480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