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뜯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안 뜯어보면 한 사람이 죽는다?..."
2017년 02월 08일 19시 09분  조회:5451  추천:0  작성자: 죽림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고봉리에서 채록된 설화. /집필자: 박순호

1989년 6월 당시 57세의 최운택에게서 채록된 「정월 대보름 오곡밥의 유래」 설화는
2000년에 간행된 
『군산 시사』에 기록되어 있다. (주:전라도 사투리로 된 글) 



그전 고구려 시대 때 어느 왕이 참, 이 농촌에 시찰을, 지금으로 말허자먼 시찰이나 한가집니다. 나와서 신하를 멫을 데리고 참 어느 어느 산골짝을 가는디, 가그매깐치[까막까치]가 꽉꽉 그 가는 질 앞으서 울고 있다 이거여. 하, 그런게 그 왕이 있다가,

“멈춰라. 이거 질이, 질 앞으 신작로 앞으 가서 가그매[까마귀]가 울고 있으니 묘헌 일이다. 멈춰라.”

그런게 신하들이 딱 뭐 멈추고 본게, 왕이 동서 남방을 죽 훌트리 보니 아무 거시기도 없고 저 서행쪽으로 연못이 있는디. 연못이라는 것, 둠벙이나 한가집니다. 못이 있는디 못에서 사람 하나가 빠져 가지고 모가지만 들어갔다 나왔다. 그 이렇게 허드라 이거여. 왕이 치다본게. 근게 그 임금이 있다가 신하를 부름서

“너 저그 좀 갔다 와봐라. 저 연못에 가면, 느덜 눈에는 안 뵈냐? 내는 뵌 게 사람 빠졌으니 금방 죽는다. 올라갔다 앉았다 헌게 어서 가봐라. 가서 그 사람을 구해라.”

신하가 참 그 말을 듣고서나 바로 그 못 가에 갔어요. 갔더니 아니나다를까 사람이 빠져 가지고 모가지만 폭 들어갔다 나왔다 들어갔다 이짓을 허드라 이거여. 그런게 신하가 인자 벗을 여가도 없고 사람이 죽게 생겼은게 그냥 옷 입은 그대로 막 그 못가를 들어갔시요. 그 사람을 구헐, 들어가 본게 인자 모가지가 쏙 빠지고 손만 이러고 있어요 손만. 그 손이가 편지 한 장을 들고 있드라 이거요. 그서 인자 꼭 잡고 손을 잡고 이렇게 끄시내[끌어내]볼란게[보려니까] 손도 없어지고 사람도 없어지고 편지만 자기 주먹으로 쥐어 있드라 이거요. 그려서 이상허다 허고 그 부근을 훑어봤더니 사람은 시체가 없어요. 아까 빠진 사람, 모가지 내놓다 들어간 사람이 그서 그냥 와서나 임금에게 고(告)허기를,

“가 봤더니 사람은 읎고, 편지 들고 이렇게 있습니다. 그서 찾아봤더니 읎고 그서 건지든 못허고 그서 이렇게 편지만 갖고 왔시요.”

그맀어. 그서 왕기다, 인자 임금기다 딱허니 그 편지를 전해본게 임금이 있다가 읽어본게 ‘뜯어보면 두 사램이 죽고 안 뜯으면 한 사램이 죽는다.’ 이 겉봉으가 써 놨다. 이거여. 뜯으면 두 사람이 죽어요, 안 뜯으면 한 사램이 죽고, 헌게 그 임금님이 참 묘허거든, 근게.

“야, 내가 이 농촌 이런 거시기를 살피로 왔더니 오늘 일수가 나쁘고 되로 대궐로 돌아가자.”

그 신하를 데리고 감서, 인저 데리고 간 신하를 데리고 도로 대궐로 들어갔어요. 들어가서나 즉시 이 좌의정 우의정 다 불러가지고 인자 회의를, 회를 혔답니다. 회를 혔는디,

“내가 아무디 아무디를 갈라고 힜더니 가그매간치가 있어서 이런이런 꼴이 있으니 이 편지를 받었는디 다 해석혀서 내 놔라.”

그맀어. 근게 우의정이나 좌의정이나 다 한 패는,

“뜯어보면 두 사램이 죽고 안 뜯어보면 한 사램이 죽은게 사람 목숨이 귀헌게 뜯어볼 것이 읎이 한 사람만 죽입시다.”

그맀어 그 정승들이, 또 정승들 한 사람은,

“그나지나 뜯어 봅시다. 한 사람을 더 죽이더라도 목숨이 귀허지만 뜯어 봅시다.”

그 정승들이 있다가 서로 이러쿵 저러쿵 허네, 그 수도 등등허고 뜯어 보자커니 안뜯어 보자는 숫자가 동등혀요. 근게 임금이 있다가,

“야, 내가 결정헐 테니 나 허잔 대로 혀라.”

그맀어. 임금님이 결정을 뭐라고 내렸나먼,

“이걸 뜯어보얀다.”

그서 그걸 그 자리서 뜯어 봤어요. 뜯어 봤더니 오늘 저녁으, 지금은 시간적으로 인자 시간 있은게, 밤 한 시랄지 두 시랄지 그런 자시네 뭐 축시네 뭐 인시네 아니요? 지금 시간으로 바서 한 두어 시나 됐든 겝디다. 근게 자시나 되지.

그런데 인자 임금님이 칼 잘 쓰는 무사, 무사면은 칼 잘 쓰는 사람을 무사라고 혀요. 〔조사자 : 예, 그렇죠〕무사를 막 대궐인게 앞뒤로 한 이십명 막 순시히 놓고서나 그 두 시쯤인게 자시나 될, 될 것이며, 그 시간에 무사를 불러가지고,

“농문을 열어 봐라.”

그맀어. 근게 농문을 딱 허니 열은게 머리 빡빡 깍은 중이 나오더라 이거여. 그 중을 내다가,

“너 무신 이유로 이 내방에 와서, 이게가 어느 방이가니…”

임금님 말씀이,

“이게 어느 방에, 니가 내 방으 내 농 속에 들어 있냐?”

그렇게 물었어. 그놈 보고, 물으먼 그냥 묻겄어? 인자 주리를 틀트지. 근게 이뇜이.

“예, 죽기를 작정헌 몸입니다.”

“어찌서 죽기를 니가 작정헌 몸이냐?”

“예….”

임금님이 나이가 많았던게 벼. 그러고 임금쯤 되먼 각시가 여럿이 많이 있을 거여. 작은이가 되았던가 근게, 이 임금님이 그 각시 보고, 후딱 말허자먼 뭐라고 허딘가? 대비 마마라고 허던가? 근디,

“대비 마마가 나를 청을 혔습니다.”

그맀어.

“그서 대비 마마의 청을 안 들어도 죽고, 내가 그 청을 안 들어도 죽고 청을 들어도 죽을지는 알고 있습니다.”

“멫 달이나 됐냐?”

근게,

“석 달 됐다.”

고, 그렇게 말을 허드래요. 근게,

“응, 그렇겄다.”

그러고서나 인자 그놈을 집어내고서나 목을 빌 판여. 근디 인자 후딱 말허자먼 임금님 각시까지 둘이 목을 비여. 목을 딱 허니 막 비어 버렸어. 인자 물어 볼 만큼 물어보고 중도 목비고 임금님 각시도 목을 비고 딱 비었어. 그런게 그 핀지 내용이 뜯어봤은게 중허고 임금님 각시허고 죽었어. 말허자먼, 근게 뜯어봐서 중허고 각시하고 죽고 안 뜯어 보면 그 중이 칼을 품고 농속에 숨어서 그날 저녁은 쥑이기를 약속했어 왕을, 그 나라 왕을 죽이기로 약속을 혔당게. 그래가지고 인자 안 뜯어 보먼 그날 임금님이 죽어. 그날 저녁으 뜯어봤은게 살고, 그런게 ‘하, 이게 참 내 운명이 참 하늘이 돌봤구나!’ 물팍[무르팍]을 탁 침서 신하들 보고

“여봐라 오늘 날, 날짜가 메친 날이냐?”

그랐어.

“예 정월 보름날입니다.”

“어, 정월 보름날이냐? 그러먼 가그매 간치가 나를 살렸으니 오곡을 혀서 막 사방으다 뿌려라. 오곡밥을 혀서….”

아, 보름달 오곡밥 안 혀 먹어요? 오곡밥을 혀서 사방에다 막 질이고 문 앞이고 다 뿌려라. 그렇게 백성기다 통보를 혀라 그맀어. 그려서 ‘보름달 오곡밥을 먹는 것이 원인이 거기가 있다.’ 소리를 내가 들었시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93 [고향특보추적] - 중국 연변 연길 룡화석과 악어화석 줄줄이... 2017-06-09 0 2960
1192 [쉼터] - 절벽 도로가 세상밖으로 열리다... 2017-06-09 0 3298
1191 [쉼터] - 로봇트 대학 시험치다... 2017-06-09 0 3243
1190 [쉼터] - 참다랑어야, 나와 놀자... 2017-06-09 0 2837
1189 진짜 자유로운 령혼의 소유자가 되여보기... 2017-06-09 0 3275
1188 [쉼터] - 혈액이야, 함께 놀자... 2017-06-09 0 2868
1187 [쉼터] - 고혈압이야, 어서 물러가거라... 2017-06-09 0 3029
1186 [고향문단소식] - 그윽하여라 만방에 넘치는 시조의 향기... 2017-06-09 0 3192
1185 인공지능 "벤자민" 쓴 각본으로 8분짜리 단편영화 나오다... 2017-06-02 0 4931
1184 [그것이 알고싶다] - "새" 깃털 공룡?... 2017-06-02 0 2717
1183 [그것이 알고싶다] - 호박(瑚珀)속의 깃털 공룡화석?... 2017-06-02 0 2983
1182 [쉼터] - 손톱아, 놀자... 2017-06-01 0 3289
1181 [그것이 알고싶다] - 로렉스 시계의 유래?... 2017-06-01 0 3662
1180 [그것이 알고싶다] - 하이힐의 유래?... 2017-05-31 0 5312
1179 [그것이 알고싶다] - 웨딩드레스의 유래?... 2017-05-31 0 5282
1178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최소 크기의 공룡화석?!... 2017-05-31 0 3428
1177 [그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공룡화석 아시아에서 발견?!... 2017-05-31 0 5506
1176 [그것이 알고싶다] - 공룡의 알은?... 2017-05-31 0 5337
1175 [그것이 알고싶다] - 반도 땅에서도 공룡이 살았다?!... 2017-05-31 0 16623
1174 [이런 저런] - 공룡화석 뼈로 "설렁탕" 해 먹다?... 2017-05-31 0 3522
1173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최대 공룡화석?... 2017-05-31 0 4408
1172 [그것이 알고싶다] - 사상 가장 큰 공룡화석?... 2017-05-31 0 3891
1171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에서 가장 큰 공룡 발자국?... 2017-05-31 0 3528
1170 [쉼터] - 나도 해볼가ㅠ?... 파인애플 꼭지 심어보기... 2017-05-31 0 3544
1169 [그것이 알고싶다] - 공룡은 왜 멸종했을까?... 2017-05-29 0 5586
1168 [그것이 알고싶다] - 공룡이 닭으로 됐다???.../101번째 리론! 2017-05-28 0 5200
1167 [추적보도] - "연변에서 1억년전에 공룡이 살았다오..."(3) 2017-05-28 0 5182
1166 [특보칼럼] - 공룡후(恐龍吼)= "인류여, 정신 차리라!" 2017-05-28 0 5499
1165 [추적보도] - "연변에서 1억년전에 공룡이 살았다오..."(2) 2017-05-28 0 4456
1164 [그것이 알고싶다] - 단오의 유래?... 2017-05-28 0 4899
1163 [그것이 알고싶다] - 백악기 시기 공룡들은?... 2017-05-28 0 7401
1162 [추적뉴스] - 연길 공룡화석 발견되자 "공룡우표" 발행되다... 2017-05-28 0 4440
1161 [추적보도] - "연변에 공룡이 살았다오..." 2017-05-28 0 4389
1160 [특보]연길룡산공룡화석군 시구역내 발견 전세계상 제일 커!... 2017-05-28 0 3821
1159 [뉴스특보]-연길 룡산공룡화석 발굴현장 공룡치아화석 발견! 2017-05-28 0 5740
1158 [특보소식]= 연변 연길 룡산 공룡화석 발견, 세계가 주목하다... 2017-05-28 0 5574
1157 [그것이 알고싶다] - "비키니"의 유래?... 2017-05-24 0 3622
1156 [그것이 알고싶다] - 행주치마의 유래?... 2017-05-24 0 4318
1155 [고향문단소식]- "28년"아, 외쳐라... "100년"아, 이야기하라... 2017-05-24 0 4229
1154 [그것이 알고싶다] - 치파오의 유래?... 2017-05-24 0 16771
‹처음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