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쉼터] - 술, 숙취, 그리고 그 해소법
2017년 02월 11일 12시 43분  조회:5246  추천:0  작성자: 죽림
숙취는 왜 생기는 것일까?
숙취는 왜 생기는 것일까?

“자, 이 술 한잔으로 좋은 일은 간직하시고,
나쁜 일은 모두 잊도록 하십시다.
그리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회사 동료, 동문회, 동호회 등 연말에는 평소보다 술자리도 많다. 그러나 어제의 즐거움도 잠시, 아침에 일어나기가 평소보다 어렵고 속은 울렁거리고 머리는 지끈지끈 아프다. 이유는 흥겨움에 한, 두 잔 마셨던 술로 인한 숙취 때문이다.

숙취란, 술을 마시고 수면에서 깬 후에 느끼는 특이한 불쾌감이나 두통, 또는 심신의 작업능력 감퇴현상 등이 1~2일간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렇다면 숙취의 원인은 무엇일까?
우리가 숙취를 느끼는 주 원인은 물론 술 때문이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때문이다.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분해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가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는데, 이 아세트알데히드가 미주신경, 교감신경내의 구심성신경섬유를 자극하여 구토 및 어지러움, 동공확대, 심장박동 및 호흡의 빨라짐 등 흔히 말하는 숙취를 일으키는 것이다. 참고로 미주신경(Vagus Nerve)은 운동과 지각, 내장의 기능과 관련있는 신경이고, 교감신경(Sympathetic Nerve)은 신체가 외부환경으로부터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작용하는 신경이다.결국 우리가 “숙취를 느낀다”라는 것은 체내에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가 남아있어 지속적으로 신경을 자극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술이 깬다”라는 것은 아세트알데히드가 분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음날 아침이나 점심에 주로 숙취를 느끼게 되며, 심할 경우 1~2일간 숙취를 느끼는 사람도 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공장폐수나 오염된 공기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 유해물질이다. 새집증후군 및 암모니아와 함께 생활냄새의 주범이기도 하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아이나 노약자에게는 두통, 구토,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최근 인기가 있는 공기청정기의 기능 중 하나가 바로 이 아세트알데히드를 줄이는 것으로 보아 그 유독성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숙취를 없애는 방법은 무엇일까?

결국 이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것에 달려 있으므로 간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알코올 및 알데히드 분해효소의 생성에 도움을 주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숙취로 고생하는 사람이라면, 
아침에 시원한 콩나물 해장국과 북어국 생각이 간절할 것이다. 콩나물에는 아스파라긴산과 비타민C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들은 알코올분해효소의 생성을 촉진하고, 북어 속에 들어 있는 글루타치온 성분은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해 체내 세포의 지질과 단백질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준다고 하니 어느 정도 숙취에는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숙취 제거용 음료나 약품도 많이 있는데, 음료 자체에 알데히드 분해효소를 넣은 제품도 있고, 호박산이 아세트알데히드를 체내에 생성되는 것을 억제한다는 점을 이용해 호박산을 넣은 제품도 있다. 또 유산균을 이용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돕는 요구르트도 개발되었다. 북한에서는 로열젤리가 숙취 제거에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는 로열젤리에 들어있는 트립토판이라는 아미노산이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과학적인 근거를 차치하고서라도 나라별로 전통적인 숙취해소법은 다양한데,
몽골인들은 양의 눈알을 절인 뒤 이를 토마토에 섞어 먹는다고 하고,
이탈리아에서는 쌀, 파스타, 유가공제품 등 흰색 음식을 먹고,
러시아인들은 식초에 절인 오이나 양배추의 국물을 주로 애용한다.
핀란드에서는 절인 청어와 맥주를,
유럽 일부국가에서는 보드카에 토마토 즙을 탄 칵테일을 해장술로 먹는다고 한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숙취 해소법도 제법 많다. 
사우나에 가는 것은 혈관을 확대하여 결과적으로 알코올 분해에 도움이 되지 않고, 맵거나 뜨거운 해장국을 먹는 것은 술로 인해 손상된 위벽이나 장에 자극을 더할 뿐이다. 한, 두 잔의 커피는 이뇨작용을 도와 숙취에 도움을 주나 너무 많이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 공복감에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것도 결과적으로는 위에 무리를 주는 일이다. 

백약지장(百藥之長)과 백독지원(百毒之源)은 모두 술에 관한 사자성어이다.

술에 대한 상반된 평가는 술 자체가 아니라 술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에 달려 있는 것이다. 건강을 위해 자신에 맞는 적당한 음주법을 따라야 할 것이다.
/(과학향기 편집부)
====================덤으로 흠상해보기@@=+
 

짧은 시 모음

 

 

 

그 꽃 / 고은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못 본 그 꽃

 

 

 

 

천적 / 조병화

 

결국,

나의 천적은 나였던거다.

 

 

 

섬 / 정현종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지렁이 / 이외수

 

내가 뭘 잘못 했습니까

 

 

 

 

옛날 애인 / 유안진

 

봤을까?

날 알아봤을까?

 

 

 

 

 

 

풀꽃 / 나태주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달밤 / 박용열

 

달밤 달이 밝아서

연잎 위에 청개구리

퐁당 달 따러가네.

 

 

 

 

너에게 묻는다 / 안도현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그리움 / 유치환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임은 뭍같이 까딱 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날 어쩌란 말이냐.

 

 

 

 

 

엄마야 누나야 / 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12월 어느 오후 / 손석철 

덜렁 달력 한 장 
달랑 까치 밥 하나 
펄렁 상수리 낙엽 한 잎 
썰렁 저녁 찬바람 
뭉클 저미는 그리움

 

 

 12월/장석주

 

 

 해진 뒤 너른 벌판,

 하늘엔 기러기 몇 점.

처마 밑

 알록달록한 거미에게

 먼 지방에 간 사람의 안부를 묻다

 

 

세상에서 가장 짧은 소설


- 작가 : 헤밍웨이


- 소설 제목 : 팝니다(For sale)

- 소설 내용 : 아기 신발, 단 한 번도 신지 않았음(baby shoes, never worn.)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93 [고향특보추적] - 중국 연변 연길 룡화석과 악어화석 줄줄이... 2017-06-09 0 2964
1192 [쉼터] - 절벽 도로가 세상밖으로 열리다... 2017-06-09 0 3312
1191 [쉼터] - 로봇트 대학 시험치다... 2017-06-09 0 3253
1190 [쉼터] - 참다랑어야, 나와 놀자... 2017-06-09 0 2837
1189 진짜 자유로운 령혼의 소유자가 되여보기... 2017-06-09 0 3284
1188 [쉼터] - 혈액이야, 함께 놀자... 2017-06-09 0 2868
1187 [쉼터] - 고혈압이야, 어서 물러가거라... 2017-06-09 0 3029
1186 [고향문단소식] - 그윽하여라 만방에 넘치는 시조의 향기... 2017-06-09 0 3204
1185 인공지능 "벤자민" 쓴 각본으로 8분짜리 단편영화 나오다... 2017-06-02 0 4931
1184 [그것이 알고싶다] - "새" 깃털 공룡?... 2017-06-02 0 2729
1183 [그것이 알고싶다] - 호박(瑚珀)속의 깃털 공룡화석?... 2017-06-02 0 2983
1182 [쉼터] - 손톱아, 놀자... 2017-06-01 0 3289
1181 [그것이 알고싶다] - 로렉스 시계의 유래?... 2017-06-01 0 3669
1180 [그것이 알고싶다] - 하이힐의 유래?... 2017-05-31 0 5323
1179 [그것이 알고싶다] - 웨딩드레스의 유래?... 2017-05-31 0 5282
1178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최소 크기의 공룡화석?!... 2017-05-31 0 3428
1177 [그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공룡화석 아시아에서 발견?!... 2017-05-31 0 5506
1176 [그것이 알고싶다] - 공룡의 알은?... 2017-05-31 0 5337
1175 [그것이 알고싶다] - 반도 땅에서도 공룡이 살았다?!... 2017-05-31 0 16623
1174 [이런 저런] - 공룡화석 뼈로 "설렁탕" 해 먹다?... 2017-05-31 0 3532
1173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최대 공룡화석?... 2017-05-31 0 4408
1172 [그것이 알고싶다] - 사상 가장 큰 공룡화석?... 2017-05-31 0 3899
1171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에서 가장 큰 공룡 발자국?... 2017-05-31 0 3539
1170 [쉼터] - 나도 해볼가ㅠ?... 파인애플 꼭지 심어보기... 2017-05-31 0 3544
1169 [그것이 알고싶다] - 공룡은 왜 멸종했을까?... 2017-05-29 0 5586
1168 [그것이 알고싶다] - 공룡이 닭으로 됐다???.../101번째 리론! 2017-05-28 0 5200
1167 [추적보도] - "연변에서 1억년전에 공룡이 살았다오..."(3) 2017-05-28 0 5186
1166 [특보칼럼] - 공룡후(恐龍吼)= "인류여, 정신 차리라!" 2017-05-28 0 5499
1165 [추적보도] - "연변에서 1억년전에 공룡이 살았다오..."(2) 2017-05-28 0 4456
1164 [그것이 알고싶다] - 단오의 유래?... 2017-05-28 0 4899
1163 [그것이 알고싶다] - 백악기 시기 공룡들은?... 2017-05-28 0 7405
1162 [추적뉴스] - 연길 공룡화석 발견되자 "공룡우표" 발행되다... 2017-05-28 0 4451
1161 [추적보도] - "연변에 공룡이 살았다오..." 2017-05-28 0 4408
1160 [특보]연길룡산공룡화석군 시구역내 발견 전세계상 제일 커!... 2017-05-28 0 3829
1159 [뉴스특보]-연길 룡산공룡화석 발굴현장 공룡치아화석 발견! 2017-05-28 0 5745
1158 [특보소식]= 연변 연길 룡산 공룡화석 발견, 세계가 주목하다... 2017-05-28 0 5574
1157 [그것이 알고싶다] - "비키니"의 유래?... 2017-05-24 0 3622
1156 [그것이 알고싶다] - 행주치마의 유래?... 2017-05-24 0 4318
1155 [고향문단소식]- "28년"아, 외쳐라... "100년"아, 이야기하라... 2017-05-24 0 4229
1154 [그것이 알고싶다] - 치파오의 유래?... 2017-05-24 0 16789
‹처음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