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쉼터] - 빈민과 환경파괴, 그리고 올림픽 유치 포기하다(5)...
2017년 02월 14일 03시 15분  조회:3762  추천:0  작성자: 죽림
유치 확정 후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정부는 파벨라 119곳을 철거 대상으로 발표했다. 2013년 파벨라 철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 지난 3월까지 올림픽 때문에 이주당한 인구는 최소 29개 지역 1만6000여명으로 추산된다. 

2016년은 지구촌 최대 축제, 올림픽이 열리는 해. 개최지인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는 2014년 월드컵에 이어 올림픽까지 연달아 대형 스포츠 행사의 무대가 됐다. 남미에서는 처음으로 올림픽을 치르는 도시라는 영예도 얻었다. 

하지만 리우 올림픽은 시작 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이미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경기장 건설 지연, 심각한 수질오염, 치안 불안 등으로 행사 자체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더욱이 브라질 경제는 ‘신흥국 위기’라는 소용돌이의 한복판에 있고, 정치도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연일 불안정한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올림픽을 계기로 극심한 빈곤과 불균형 개발 등 사회적 모순이 폭발하고 있다. 

 
리우의 비야 오토드로모(Vila Autodromo)는 올림픽공원 건설이 한창인 지역과 가림막 하나를 사이에 두고 들어선 슬럼가, 즉 ‘파벨라(favela)’다. 1970년대 도시로 인구가 몰려들면서 형성되기 시작한 파벨라는 리우 시내에만 수백개에 이른다. 파벨라는 강도나 마약·살인 등 범죄가 창궐하고 갱단이 마을을 지배하는, 게다가 경찰 등 국가 통치기구마저 무력하기 짝이 없는 위험지역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대대로 수십만명의 주민들이 살아온 터전이기도 하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빈민가(파벨라)에 사는 한 소녀가 굴착기로 마을이 파헤쳐지는 모습을 보고 있다. / ‘리우 2016: 배제의 게임’ 보고서 (유튜브) 캡처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빈민가(파벨라)에 사는 한 소녀가 굴착기로 마을이 파헤쳐지는 모습을 보고 있다. / ‘리우 2016: 배제의 게임’ 보고서 (유튜브) 캡처

 

강제로 쫓겨나는 슬럼가 주민들 
미 시사주간지 <타임>이 지난 27일 전한 비야 오토드로모의 풍경은 폐허를 방불케 한다. 언덕 위에 아슬아슬하게 세워진 집들은 대부분 무너졌고, 곳곳에 버려진 살림살이가 나뒹굴고 있다. 부서진 콘크리트와 타일은 진흙더미와 함께 쌓여 있다. <타임> 기자는 굴착기가 마을을 파헤친 지 오래며, 흡사 전쟁지대에 온 것 같은 느낌을 준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주민들이 사라졌다. 리우의 파벨라 지원활동을 하는 시민단체 ‘캐털리틱 커뮤니티(Catalytic Communities)’는 과거 이 곳에 모여살던 700여가구 중에 현재까지 남아있는 이들은 40가구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모두 어디로 간 걸까. 대다수는 브라질 당국이 올림픽을 앞두고 벌여온 파벨라 ‘정비’ 대책에 따라 이주했다. 리우 시정부는 파벨라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빈민들에게 이주보상금을 주거나 공공주택으로 옮기도록 주선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파벨라에 수십년간 대대로 살아왔던 주민들로서는 강제로 쫓겨난 것이나 마찬가지다. 네 딸을 파벨라에서 키운 산드라 수자(47)도 “그들(정부)이 주겠다는 돈은 더러운 돈”이라고 비판했다. 

올림픽으로 강제철거 위기에 처한 리우데자네이루의 파벨라 비야 오토드로모의 모습. 마을에 남은 몇 안 되는 집 벽면에는 철거를 반대하는 문구가 적혀 있다. / ‘캐털리틱 커뮤니티’ 제공

올림픽으로 강제철거 위기에 처한 리우데자네이루의 파벨라 비야 오토드로모의 모습. 마을에 남은 몇 안 되는 집 벽면에는 철거를 반대하는 문구가 적혀 있다. / ‘캐털리틱 커뮤니티’ 제공


올림픽으로 벼랑 끝에 내몰린 파벨라 주민들 중 극소수는 아직 마을을 지키고 있다. 손수 일군 삶의 현장을 빼앗길 수 없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20년간 이 곳에서 살아온 한 주민은 “처음 왔을 때는 아무것도 없었다. 우리가 이 땅을 일궜다. 이 집은 내게 전부다”라고 말했다. 철거 반대투쟁에 적극 참여하는 루이즈 클라우디오(53)는 “올림픽은 핑계일 뿐, 그들은 우리의 인생사를 파괴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올림픽 유치 초기만 해도 파벨라 주민들에게는 기대감이 있었다. 올림픽 ‘특수’가 지역 발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정부도 포용적인 올림픽 개최를 공언한 터였다. 하지만 유치 확정 후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정부는 파벨라 119곳을 철거 대상으로 발표했다. 2013년 파벨라 철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 지난 3월까지 올림픽 때문에 이주당한 인구는 최소 29개 지역 1만6000여명으로 추산된다. 

올림픽이 브라질의 오랜 골칫거리인 빈곤과 양극화를 오히려 더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비야 오토드로모의 주민들은 올림픽이 끝나면 호화 콘도 개발 붐이 거세게 일 것으로 보고 있다. 라군을 끼고 있어 관광지로 적합한 데다 인근의 부유층 지역 ‘바하 다 티주카’ 때문에 부동산값이 폭등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미 쫓겨난 원주민들은 개발의 혜택에서 철저히 소외될 수밖에 없다. 리우 최대 슬럼가인 호싱야(Rocinha)에 최근 만들어진 골프장 역시 부유층의 전유물일 뿐이다. 

올림픽이 약속한 ‘번영’이 반쪽짜리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는 곳곳에서 드러난다. AP통신 리우데자네이루 특파원 줄리아나 바르바사는 월드컵과 올림픽 탓에 도시 개발이 주로 서부지역에 쏠리고 있다고 지적한다. 도심과 경기장을 연결하는 버스 노선도 정작 교통 인프라가 열악한 리우 북부지역 대신 개발에 따른 이득을 최대한 누릴 수 있는 서부에 집중되고 있다.

지난 2월 5일 미국 보스턴에서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에 관해 열린 첫 공청회에서 올림픽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올림픽 대신 더 좋은 학교와 주거를”이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보스턴시는 결국 재정난을 이유로 올림픽 유치를 포기했다. / AP연합뉴스

지난 2월 5일 미국 보스턴에서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에 관해 열린 첫 공청회에서 올림픽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올림픽 대신 더 좋은 학교와 주거를”이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보스턴시는 결국 재정난을 이유로 올림픽 유치를 포기했다. / AP연합뉴스


함부르크, 2024년 올림픽 포기 선언 
가뜩이나 위기인 브라질 경제가 올림픽을 치르고 나면 더욱 휘청거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올림픽에 소요되는 예산은 무려 400억 헤알(약 12조6200억원). 저유가와 환율 폭등으로 2015년 -3%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브라질이 감당하기 힘든 규모다. 경제난과 부패 스캔들로 탄핵위기에까지 몰린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도 불투명하다.

그렇다면 리우 올림픽이 과연 브라질만의 문제일까. 브라질이 현재 당면한 정치·경제적 위기가 중첩되어 있기는 하지만, 꼭 그렇다고만 볼 수는 없다. 대규모 이벤트를 이유로 벌어지는 도심 정비, 그리고 원주민들의 강제이주는 올림픽 역사상 되풀이돼 나타났다.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치른 우리에게 놀랍도록 익숙한 내러티브다.

 
국제적 규모의 행사를 위해 엄청난 돈을 치르느라 나라 전체가 빚더미에 앉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결코 낯설지 않다. 특히 올림픽의 효과가 사회 전반에 골고루 미치기는커녕 결국 부유층이나 개발업자들의 배만 불릴 것이라는 지적은 뼈아프게 들린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둔 우리는 과연 얼마나 다를까.
 
그런 면에서 최근 일부 나라들이 올림픽 자체를 거부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다. 지난달 말 독일 함부르크는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 포기를 선언했다. 주민투표 결과 과반인 52%가 올림픽 유치를 반대했기 때문이다. 파리 연쇄테러 이후 실시된 투표인 만큼 테러 불안이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올림픽이 환경을 파괴하고 재정부담을 가중시킨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컸다. 앞서 미국 보스턴과 캐나다 토론토도 비슷한 이유를 들어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포기한다고 밝혔다. 어쩌면 올림픽을 통한 발전모델은 이제 한계에 다다랐는지도 모른다. 

/김유진 경향신문 국제부 기자 

/////////////////////////////////////////////////////



지구촌 축제 외곽에는 소외된 이웃이 있었습니다.

외국 손님들에게 서울의 못난 모습을 보일 수 없다던 ‘미학의 시대’.

그 덕에 서울 상계동 달동네는 포클레인과 용역 깡패들이 들이닥쳤습니다. 수 십 년 꾸역꾸역 살아왔던 주민들은 그렇게 삶의 터전에서 쫓겨났고, 공권력에 맞선 이는 철창신세를 져야 했습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이야기입니다. 다큐멘터리 영화 ‘상계동 올림픽’은 올림픽의 뒤안길을 담담히 그려내고 있습니다.

리우의 철거촌 오토드로모 입구.

폐허가 된 마을 뒤로 올림픽 미디어 센터와 5성급 호텔이 보입니다. 올림픽 공원 주변은 지금 개발 붐이 일고 있지만, 정작 이곳에 살았던 주민들은 개발의 수혜를 입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 올림픽 취재를 위해 브라질 리우에 와 있습니다. 프레스 센터와 올림픽 경기장이 모여 있는 올림픽 공원 주변에는 고가 아파트와 호텔이 즐비합니다. 국내는 물론 외국 투기자본까지 몰려들면서 집값이 꽤 많이 올랐다고 합니다. 올림픽 공원 지척에는 오토드로모라는 빈민가가 있습니다. 제가 일하고 있는 방송 센터(IBC)에서 걸어서 10분이 채 되지 않는 거리입니다. 취재를 마치고 방송 센터로 들어가던 길, 폐허가 된 빈민가의 모습에 잠시 발목이 잡혔습니다. 잘 정돈된 올림픽 공원과 어색한 동거 때문이었습니다.

철거 직전에 몰린 주택에 주민이 쓴 저항의 흔적. 생존권을 보장해달라는 내용인데, 마지막 문장인 "Nem Todos Tem Um Preco!"는
"사람의 가치는 돈으로 매길 수 있는 게 아니다."란 뜻입니다.

불과 몇 년 전만해도 오토드로모는 조그만 어촌 마을이었습니다. 하지만, 리우가 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되면서 마을 주민의 삶은 송두리째 흔들렸다고 했습니다. 700가구가 수십 년 넘게 이곳에 살았지만, 올림픽 개최 결정 이후 계속된 브라질 정부의 빈민가 철거 작업에 대부분 쫓겨났습니다. 정부는 전기와 수돗물까지 끊었지만 끝까지 버틴 20가구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오토드로모를 찾아갔을 때 한 영국 언론이 취재를 하고 있었습니다. 브라질 정부는 리우 올림픽이 확정된 직후 빈민가 119곳에 대한 철거 계획을 발표했는데, 오토드로모는 올림픽 공원 가장 가까이 있어 부당한 철거의 상징이 됐습니다. 오토드로모를 포함해 지금까지 2만 명에 가까운 빈민가 주민이 철거로 인해 이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철거의 상흔은 곳곳에 남아있었습니다. 마치 폭격에 맞은 듯 여기 저기 널린 시멘트 덩어리들, 서슬 퍼렇게 드러난 철골, 주위를 덮고 있는 희뿌연 먼지. 그리고 곳곳에 저항의 흔적도 보였습니다.

철거 직전에 몰린 한 주택 벽면에는 이런 글귀가 적혀 있습니다. Nem Todos Tem Um Preco. “사람의 가치는 돈으로 매길 수 있는 게 아니다.” 오토드로모의 풍경은 폐허를 방불케 합니다.

언덕 위에 아슬아슬하게 세워진 집들은 대부분 무너졌고, 곳곳에 버려진 살림살이가 나뒹굴고 있습니다. 마을의 활력은 철거와 함께 잃어버렸고, 지금은 적막만 흐르고 있습니다. 탄압받는 이웃의 생존권보다 체면 구기는 걸 못 견뎌했던 시대. 이게 비겁한 줄 알면서도, 그래도 이 덕에 우리가 여기까지 올라올 수 있었다고 자위했던 역사. 이렇게 또 다른 희생을 정당화시키며 자본주의를 추동했던 권력. 그리고 이를 배겨내야 한다며 회초리를 들었던 언론까지. 서울과 리우가 지구촌 축제를 소비하는 방식은 이렇게 닮아있었습니다.

제가 지구 정반대편 브라질에서 본 풍광은 대한민국의 과거인 동시에 현재였고, 미래이기도 했습니다.  폐허 속 흰색 건물이 떠나지 않은 주민들의 임시 거처입니다. 일부 주민들은 끈질긴 저항 끝에 이곳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됐습니다. 현지 언론은 최근 오토드로모에 끝까지 남아 싸웠던 20가구가 잠시나마 자신의 집에 남을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해피 엔딩’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오토드로모에는 이들이 생활할 수 있도록 조그만 흰색 컨테이너 박스 건물이 마련됐습니다. 철거 이후 그나마 새로 생긴 터전입니다. 그런데, 정말 모든 게 좋게 끝난 걸까요. 정말 행복한 마무리였을까요. 1988년 그렇게 쫓겨난 상계동 그 분들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요.

/이경원 기자  /출처 : SBS 뉴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37 [쉼터 - ]"국가"에 가사가 없는 나라는 없다?... 있다!... 2017-02-14 0 5238
1036 [이것이 알고싶다] - 독일 "국가"는 3절만 부른다의 유래 2017-02-14 0 6198
1035 고향 연변에 "해란강여울소리"라는 가사전문지가 있다... 2017-02-14 0 3680
1034 고향 연변 미니영화 "발자취" 끝끝내 1등 하다... 2017-02-14 0 3716
1033 [쉼터] - 페막 올림픽 경기장 "눈 딱 감고" 철거, 재활용하기(6) 2017-02-14 0 5874
1032 [이것이 알고싶다] - 올림픽의 력사 2017-02-14 0 5325
1031 [쉼터] - 빈민과 환경파괴, 그리고 올림픽 유치 포기하다(5)... 2017-02-14 0 3762
1030 [쉼터] - 폐허 올림픽경기장들, 선례 실수를 더는 하지 말기(4) 2017-02-14 0 5238
1029 [쉼터] - 사진속의 폐허 올림픽경기장들, 남의 일 아니다(3) 2017-02-14 0 3833
1028 [쉼터] - 폐허가 되여가는 올림픽경기장들, 남의 일 아니다(2) 2017-02-14 0 3732
1027 [쉼터] - 폐허가 되여가는 올림픽경기장들, 남의 일 아니다... 2017-02-14 0 3957
1026 [쉼터] - "풀이 죽어 있다"와 "곧추 서 있다"와 헤르메스 기둥 2017-02-14 0 4026
1025 [쉼터] - 북경시 지도 한글판 보기 2017-02-14 0 5980
102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인젠 "리우올림픽"은 더는 없다!!!... 2017-02-14 0 6652
102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유적지 훼손행위는 전쟁범죄이다" 2017-02-14 0 3649
1022 금기(禁忌)가 건강생활관리에 나쁘다?... 좋다!... 2017-02-13 0 3332
1021 [이것이 알고싶다] - "은어"란?... 2017-02-12 0 6429
1020 [쉼터] - 야구를 할 때 "싸인"이라는것이 있다하는데?... 2017-02-12 0 5437
1019 [쉼터] - "사인사냥꾼" = "싸인장사꾼" 2017-02-12 0 4954
1018 [쉼터] - 혈압과 심박수의 관계를 알아보기 2017-02-12 0 4055
1017 [쉼터] - 음식찰떡궁합표와 음식상극궁합표 2017-02-12 0 6461
1016 [쉼터] - 오장육부에 색갈 음식 =적(赤), 황(黃), 백(白), 흑(黑), 록(綠) 2017-02-11 0 5570
1015 [쉼터] - 그릇과 음식과의 궁합이 없다?... 있다... 2017-02-11 0 3996
1014 [쉼터] - 음식에도 궁합(宮合)이 없다?... 있다!... 2017-02-11 0 3997
1013 [쉼터] - 올림픽 개막식의 "최고"와 "최악" 2017-02-11 0 4167
1012 [쉼터] - 축구공, 꿈과 희망과 함께 지구궤도를 돌다... 2017-02-11 0 4009
1011 [자료] - 엘리자베스 2세는 누구인가(5)... 2017-02-11 0 5440
1010 [자료] - 엘리자베스 2세는 누구인가(4)... 2017-02-11 0 5855
1009 [자료] - 엘리자베스 2세는 누구인가(3)... 2017-02-11 0 5657
1008 [자료] - 엘리자베스 2세는 누구인가(2)... 2017-02-11 0 5289
1007 [자료] - 엘리자베스 2세는 누구인가... 2017-02-11 0 7293
1006 [쉼터] - 엘리자베스 2세의 新기록 알아보다... 2017-02-11 0 4827
1005 [쉼터] - 한글이 상형문자?... 한글은 표음문자!!!... 2017-02-11 0 4192
1004 [이것이 알고싶다] - 알파벳문자 누가 만들었나?... 2017-02-11 0 5066
1003 [이것이 알고싶다] - 흥미로운 수학력사 나누기 기호의 유래 2017-02-11 0 6091
1002 [시문학소사전] - "상형(象形)문자"란?... 2017-02-11 1 9972
1001 [이런저런] - "상형문자시대"가 다시 돌아온다?... 오고있다!... 2017-02-11 0 3743
1000 [쉼터] - 지구상 최후의 그림문자 - 동파(東巴)문자 2017-02-11 0 4780
999 [이것이 알고싶다] - 그림이 문자로 바뀌다... 2017-02-11 0 3785
998 [쉼터] - 술, 숙취, 그리고 그 해소법 2017-02-11 0 5643
‹처음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