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라(나)침반 보는 방법...
2018년 01월 07일 21시 11분  조회:5566  추천:0  작성자: 죽림

 

 

나침반 보는 방법

 

일상생활에서 사용하시는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냥 보면 되죠.

N이라고 쓰인 바늘이 북쪽을 향하고, S라 쓰인 바늘이 남쪽을 가리키니까요.

 

독도용 나침반의 경우 뚜껑을 열고 가늠자를 세운후 가늠자의 홈과 뚜껑에 달린 실을 목표물과 일치 시켜요.

 (나침반을 수평으로 든 상태에서 나침반을 눈앞에 두고 가늠자의 홈 가운데에 실이 오도록 맞춰요.

 이상태에서 방향을 조절하여 목표물과 실, 가늠자가 겹쳐보이게하면 되요)

그리고 가늠자에 달린 구명(렌즈가 달려있기도 해요)으로 나침반에 적힌 방위를 읽으면 되요.

 

 이걸 좀더 정확히 사용하려면 독도법을 배워야 해요.간단히 말씀 드리면 ......

 

1.지도를 평평한곳에 편다.

 

2. 지도상의 자북과 나침반을 일치시킨다.

 -지도 구석에 별모양이나 4자 모양으로 방향이 표시되 있어요. 별에 N이라고 쓰인방향이나

4자의 위 꼭지점이 북쪽이죠.이 세로선에 나침반 옆면 의 직선인 모서리를 맞춘후

지도를 돌려서 정확한 방위를 맞춰요. 이렇게 하면  실제 지형지물과 지도가 닮은꼴이 되죠)

 

3. 현위치를 확인한다.

-2 개 이상의 지도상 확인 가능한 목표물의 방위를 측정하고 지도상에 목표로부터 각도계로 각을 제어

작도(선긋기)하여 2선이 교차하는곳이 현재 내 위치

 

4. 지도상에서 현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각도와 거리를 잰다.

 

5. 축척을 이용하여 거리를 환산하고, 나침반으로 방향을 확인한다.

-축척이란 지형을 줄인 비율로써. 예를들어 10m의 거리를 지도상에 1Cm로 표기하면 1/1000이라고 표기하죠. 

방향 확인은  지도상 현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선과 남북 방향사이의 각을 각도기로 측정하고 

그 각도만큼 나침판 을 돌려 가리키는 방향을 확인하면 되요(각이 북쪽에서 동쪽으로 20도라면

나침반의 N 바늘이 좌측으로 20도만큼 돌아가게 조절하면 나침반이 향하는 방향이 목적기,

보다 정확하게 하려면 실과 가늠자를 이용하세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서   

 



East - 동쪽

West - 서쪽

South - 남쪽

North - 북쪽

 

 

 

 

 

 

 

 

나침반 보는 방법으로는 나침반을

평평한 곳에 놓기 전
바늘이 N으로 향하게 맞춘 뒤

보는거라고 하네요~

 

그렇게
북쪽으로 향해 있을 때

왼쪽이 서쪽 ,
오른쪽이 동쪽으로 보고

방향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


 

오지에서 방향을 잃었을 때, 내가 가야할 방향이 어딘지를 확인하고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략 남쪽에 목적지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도, 정작 어디가 남쪽인지를 알지 못하면 움직일 수가 없다. 
나침반이 없는 경우라도 간단하게 방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먼저 아날로그 시계가 있는 경우이다. 시계의 시침을 태양과 일치 시키고, 시계판의 12시 방향과 태양 사이의 중간 지점이 대략적인 남쪽이다. 
생존 리얼리티 쇼인 'Man VS Wild'에서도 베어그릴스가 이 방법을 주로 이용해 방향을 잡는다. 이 방송에선 주인공이 대략적으로 어느 방향에 무엇이 있다는 것을 사전에 알고 있다. '남쪽에 대륙횡단 철길이 있다' '동쪽에 정착 원주민 마을이 있다' 이런 식으로 목표지점을 미리 알고 시작하는 것. 
또 목표지점을 모르더라도 강을 찾아 계속 하류로 내려 갈 것을 권하고 있다. 물줄기를 따라 내려가다 보면 꼭 사람이 사는 곳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아날로그 시계가 아닌 전자 디지털 시계라도 시계판을 만들어서 시침을 그린 후에 대입하면 되므로 어려울 것은 없다. 그런데 아예 시계가 없다면 어떡해야 할까. 이런 때는 간단하게 태양의 그림자를 통해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막대를 땅에 꽂은 뒤에, 막대 그림자의 끝부분을 표시해 둔다. 약 15분 정도 지나서 태양의 이동에 따라 그림자도 위치가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이동한 그림자의 끝을 다시 표시하고 두 지점 사이를 선을 그어서 길게 이어준다. 처음 그림자의 끝부분이 서쪽방향이며, 나중에 표시한 포인트가 동쪽 방향이 된다. 

첫지점에 왼발을 놓고, 두번째 지점에 오른발을 놓고 바로 서면 자신이 바라보고 있는 지점이 북쪽이 된다. 
정확한 방향을 측정해야할 필요가 있다면 막대기를 중심으로 적당한 크기의 원을 그린 후에 오전에 한번, 오후에 한번. 그림자가 원에 접한 지점을 표시한다. 그 두 지점을 이어 연결하면 정확한 동쪽과 서쪽방향이 나온다. 
날씨가 흐려 정확히 태양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없다면 일출과 일몰 정도는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것으로 방향을 잡거나 궁여지책으로 숲에 있는 나뭇가지가 풍성한 방향을 남쪽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단, 나이테를 가지고 방위를 정하는 것은 위험하다. 남쪽의 나이테가 넓게 나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 상황에 따라 정원이 될 수도 있고 다른 방향의 나이테가 더 넓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태양이 없는 밤이라면 인류가 기원전부터 방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용했던, 북극성을 찾아 방향을 확인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북극성이 가장 밝은 별이 아니라는 점이다. 북극성은 움직이지 않는 별이다. 북두칠성과 카시오피아의 더블류 형태의 별만 찾으면 어렵지 않게 북쪽을 확인할 수 있다. 국자 끝부분에서 일곱 마디 정도를 이동하면 북극성을 볼 수 있다. 북극성을 찾은 후에 시선을 아래로 떨어뜨리면 그 곳이 북쪽 방향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방향 파악법은 모두 북반부 중심이라는 점이다. 남반부에 가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 막대기 그림자를 이용
    나침반이 없어도 그림자가 생길 정도의 햇볕이 있으면 그 그림자로 방향을 알 수 있다.
    ① 먼저 그림자가 뚜렷하게 보이도록 지면을 판판하게 한 다음, 1m 길이의 막대기를 세운다. 정확한 수직이 아니라도 좋다.
    ② 막대기를 세운 뒤, 그림자의 끝부분에 표시를 한다. 표시 방법으로는 작은 돌이나 나뭇가지를 이용해도 되고 땅에 그려도 된다. 또 눈이 덮여 있으면 손가락으로 눈 위에 구멍을 내도 된다.
    ③ 15분 정도 지나서, 그림자의 끝이 이동했을 때 거기에 또 표시를 한다.
    ④ 다음에 첫 번째 표시에서 두 번째 표시 쪽으로 직선을 긋고 그 선을 30㎝정도 연장한다.
    ⑤ 첫 번째 표시에 왼쪽 발을 놓고 두 번째 표시 쪽으로 그려놓은 직선의 끝 부분에 오른쪽 발을 놓는다. 그러면 그 자세로 보았을 때 앞이 북이고 오른쪽이 동, 왼쪽이 서쪽이다.
    이방법은, 지구위의 어디에서나 태양은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이동하지만, 막대기의 그림자는 이와 반대로 첫 번째 표시가 서쪽, 두 번째 표시가 동쪽에 위치한다는 기본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따라서 북반구, 남반구에 관계없이 지구 위에서는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시계와 태양을 이용 
    바늘이 있는 시계로 대체적인 방위를 알수 있다. 다만 이것은 북반구, 남반구 모두 23°30'에서 66°30'까지의 중위도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① 북반구의 경우, 먼저 시계를 수평으로 쥐고 짧은 바늘이 태양을 바라보게 한다. 그리고 짧은 바늘과 글자판이 12시의 중간점을 본다. 그때 그곳이 남쪽이다. 또 그곳에서 시계의 중앙을 지나서 남북선이 달리게 되므로 반대쪽이 북이다. 다만 이것은 그 지방의 표준시에 시간이 맞춰진 경우이므로 시차에 따라서 수정을 해야 한다.
    ② 남반구의 경우는 북반구 때와 반대로 글자판의 12시를 태양쪽으로 돌리고 짧은 바늘과의 중간 방향을 북으로한다.
    ③ 날이 흐려서 해가 보이지 않을 때에는 시계의 중앙에 성냥개비 크기의 나무를 세우고 그 그림자가 시계의 짧은 바늘과 일치할 때까지 시계를 돌려서 그림자와 12시와의 중간점을 본다. 그때 그 방향이 북이 된다.

    추천
  • 답변

     

    그림자가 생기겠죠? 그 그림자 끝에 점을 찍으세요. 몇 분간 기다리세요.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유는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태양이 움직여가기를 기다리기 위해서죠. 잠시 후 그림자 위치가 바뀌겠죠? 그럼 그 그림자 끝에도 점을 찍으세요.
     
    그 두 점을 연결하세요. 그러면 직선이 하나 생기죠? 처음 점을 찍은 쪽이 가리키는 곳이 서쪽, 반대편이 동쪽입니다. 그러면 남쪽과 북쪽은 어딘지 아시겠죠?
    ============================

    @@시계라면 가능합니다

    작은 막대기를 세움 ㅡ 시침과 일치시킴

    ㅡ 12시와 시침 일치점의 중간이 북쪽임

     

    @@

    나무의 가지가 무성한 쪽이 남쪽

    나이테의 촘촘한 쪽이 북쪽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73 [쉼터] - 35년만에 보는 세 종류의 달 2018-01-30 0 3489
1872 [이런저런]-다람쥐야,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면 네가 일등이야... 2018-01-30 0 4341
1871 [이런저런] - 고드름 땅에서 자랄수 없다?... 있다!... 2018-01-30 0 3751
1870 [이런저런]-"쪼꼬말"때 많이많이 듣던 얘기들, 믿거나 말거나... 2018-01-30 0 3127
1869 [이런저런] - "불의고리", 남의 일 아니다... 2018-01-29 0 3327
1868 [쉼터] -세계에서 가장 비싼 원두커피=코끼리배설물원두커피 2018-01-29 0 3307
1867 [이런저런] - 개해에 개가 쏜 총에 개주인 개사냥감 되다... 2018-01-28 0 2926
1866 [쉼터] - "우리 연변에서도 하루빨리 교향악 발전시켜야"... 2018-01-28 0 3465
1865 [쉼터] - "전통무용 전공자들 일자리가 없어 전전긍긍"... 2018-01-28 0 2648
1864 [이런저런] - 꼬리깃 깊게 파인 처음 보는 "검은바람까마귀" 2018-01-28 0 3802
1863 [이런저런] - 폭탄 발견, 남의 일 아니다... 2018-01-28 0 4144
1862 [그것이 알고싶다] - "가위, 바위, 보" 유래?... 2018-01-28 0 2921
1861 [그것이 알고싶다] - "단동십훈" 유래?... 2018-01-28 0 3139
1860 [그것이 알고싶다] - 짝짝꿍, 도리도리, 곤지곤지, 잼잼... 뜻? 2018-01-28 0 8045
185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세계 최고령 60살 할매 고릴라 가다... 2018-01-28 0 5848
1858 [이런저런] - 붉은 "C"를 머리에 이고 사는 잉어 2018-01-28 0 4278
1857 {재료} - 해외 교포 2018-01-28 0 4565
1856 {재료} - 중국 조선족 2018-01-28 0 4465
1855 {쟁명} - 조선족, 재중 교포... 2018-01-28 0 2662
1854 {쟁명} - 조선족, 중국 동포, 중국 교포, 재중 동포...??? 2018-01-28 0 4299
1853 [그것이 알고싶다] - "새 화석" 유럽에서 고향 료녕 돌아오다... 2018-01-27 0 3930
1852 [그것이 알고싶다] - "라바절(臘八節)"유래?... 2018-01-27 0 4526
1851 [그것이 알고싶다] - "하늘로 향하는 계단"???... 2018-01-27 0 4151
1850 [이런저런] - "납육(臘肉)" 먹어봤어ㅠ?... 2018-01-27 0 3586
1849 [쉼터] - 14t 책 = 11m 탑 2018-01-27 0 4119
184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나무늘보, 너 지금 괜찮니?... 2018-01-27 0 2825
1847 [그것이 알고싶다] - 한 중 일 미술품 호랑이 모습?... 2018-01-27 0 3099
184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두루미야, 어서 나와 놀아보쟈... 2018-01-27 0 2320
1845 [타산지석]-우리 조선민족은 이중 삼중 언어로 승부를 걸어야 2018-01-27 0 2466
1844 [문단소식] - 아동문학 리론가 김만석 "기초글짓기공부" 선물 2018-01-26 0 2840
1843 [타산지석] - "간판문제"는 합심해 해결해야 할 "간판문제" 2018-01-26 0 3210
1842 [타산지석] - 그래도 우리 한민족 정중한 옛말씨가 구수해ㅠ... 2018-01-26 0 2950
1841 [타산지석] - "연길"이는 어디고 "옌지"는 또 어딘고?... 2018-01-26 0 3231
1840 [타산지석] - 너도나도 "화페문화" 잘 지키기... 2018-01-26 0 3105
1839 엄마, 아빠 하며 배운 모어 피에 섞이고 뼈에 스며들어야... 2018-01-26 0 2849
1838 [타산지석] - 우리 이곳에서도 "문인보호구역" 만들었으면... 2018-01-26 0 3222
1837 [타산지석] - 설마... 설마... 남의 일 아니다... 2018-01-26 0 3721
18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들과 인간은 언제나 친인척... 2018-01-26 0 4600
183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북호랑이 풍채 2018-01-26 0 2840
1834 우리 조선민족의 문화유산수집사업은 미룰수없는 사명이다... 2018-01-25 0 2786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