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국어학자 - 박창해
2018년 10월 13일 01시 33분  조회:3649  추천:0  작성자: 죽림

‘철수와 영희, 바둑이’가 등장하는 초기 국어 교과서를 쓴 원로 국어학자 박창해 전 연세대 교수가 지난 14일(2010년 6월) 오전 8시께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3세.

 

박 전 교수는 광복 직후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사로 근무하면서 대한민국의 첫 국민학교(현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집필했다.  

그는 한글을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서구의 언어학 이론을 도입했다. 즉 ‘가갸거겨’식으로 글자를 중점적으로 배우게 했던 기존의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바둑아 나하고 놀자’식으로 소리와 글자, 단어, 문장을 동시에 가르치는 방식을 도입했던 것이다.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교과서로 평가되며 우리나라 국어 교과서 집필방식의 근간이 됐다. 
 
교과서 내용도 학생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내용을 많이 반영하도록 했다. 덕분에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는 철수와 영희는 당시 국민학생 이름의 대표격이 되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철수와 영희라는 이름을 갖기도 했다. 
 
고인은 그후 1952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해 1959년 이 대학 산하기관으로 한국어학당을 설립했다. 초대 학감(현 어학당 원장)으로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초석을 다지기도 했다. 
 
 
1976년 연세대를 떠난 그는 미국 하와이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1988년에 귀국했다. 이후에도 한국어 구조론, 현대 한국어 통어론 연구, 한국어 집중강습 등의 저서를 집필하며 활발한 연구활동을 했다. 

1916년 6월18일 만주 지린성 룽징(龍井)에서 태어난 고인은 연희전문학교(연세대 전신) 문과에 입학해 외솔 최현배 선생에게서 국어학을 수학했다. 

/신소연 기자



 

 

 

 

 

소리ㆍ단어 동시학습법 첫 소개…연대 한국어학당 설립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철수와 바둑이'가 등장하는 초창기 국어 교과서를 집필한 원로 국어학자 박창해 전 연세대 교수가 14일(2010년 6월) 오전 7시42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3세. 


1916년 6월18일 만주 지린성 룽징(龍井)에서 태어난 고인은 연희전문학교(연세대의 전신) 문과에 입학해 외솔 최현배 선생에게서 국어학을 배웠다.

1945년 광복 후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사로 근무하며 서구의 언어학 이론을 도입, '철수와 영희, 바둑이'가 나오는 대한민국의 첫 국민학교 국어 교과서를 집필했다.

이 교과서는 `가갸거겨' 식으로 글자만 학습하던 예전 방식에서 벗어나 '바둑아 바둑아 나하고 놀자' 식으로 소리와 글자, 단어, 문장을 동시에 가르치는 방식을 도입해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교과서로 평가됐다. 

1952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한 고인은 1959년 이 대학 산하기관으로 한국어학당을 설립, 초대 학감(현 어학당 원장)을 맡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초석을 다지기도 했다. 

1976년 연세대를 떠나 미국 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1988년 귀국했으며, 한국어 구조론, 현대 한국어 통어론 연구, 한국어 집중강습(An Intensive Course in Korean) 등을 저서로 남겼다.

유족으로는 의근(전 미주 조선일보 뉴욕지사 사장), 은성(한양대 음대 교수), 은희씨 등 2남1녀가 있다.


==========================///

<바둑이와 철수>


국어학자 - 박창해

 

 

 

 

“학교교육은 가장 중요한 나랏일이다.

바람직한 학교 교육은,

‘교원’과 ‘학생’,

그리고 ‘교육과정’이 서로 밀접하게 관계 맺을 때 비로소 이루어진다.

교육에 기본이 되는 알짬이 교과서이다.

 

교과서는 학교 교육은 물론,

사회, 문화 주요 매체로 지식과 정보 원천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우리는 교과서에서 지식과 기능을 얻고,

바르게 사는 길을 깨닫게 되었을 뿐 아니라,

더불어 사는 방법을 알았다.

 

교과서에는 우리 역사와 문화가 담겨 있고, 한겨레 얼이 서려 있다.

이번에 제정하는 ‘교과서의 날’은 우리나라 정부가 수립된 뒤

문교부가 최초로 발행한 ‘초등 국어1-1’ 교과서 편찬일인 1948년 10월 5일을

기리는 뜻에서 10월 5일로 한다.

10월은 개천절과 한글날이 나란히 하는 ‘문화의 달’이기도 하여 더욱 뜻 깊다.”

2006년 제정된 ‘교과서의 날’ 취지 간략이다. 

 

   
 

 


밝고 씩씩한 철수


“빛나는 졸업장을 타신 언니께

꽃다발을 한 아름 선사합니다.

물려받은 책으로 공부를 하며 

우리들은 언니 뒤를 따르렵니다.”

 

누구나 기억하고 있는 초등학교 졸업식에서 부르는 노래다.

지금이야 교과서를 물려받을 일이 없지만,

5, 60대 사람들은 딱히 교과서가 아니더라도 전과나 자습서,

위인전을 물려받아 쓰던 기억이 아슴아슴 피어나리라.

 

 

 

물려받은 책과 몽당연필,

그리고 구겨진 양은 도시락과 보자기 책보,

조개탄 난로가 스멀스멀 기어오르는 추억거리.

대한민국 장년이라면 철수와 영이

그리고 바둑이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소중한 추억이리라.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세워진 뒤 가장 먼저 만들어진 국정교과서는 다름 아닌

‘국어1-1’이다.

여기에 나오는 철수와 영이 그리고 바둑이는

어릴 적 동무마냥 살가운 이름들이다.

 

철수가 말한다.

“영이야, 이리 와 나하고 놀자.”

“영이야 이리 와 바둑이하고 놀자.”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영이가 영희로 바뀌었다.

그때 초등학생들은 철수처럼 착하고,

영희처럼 곱기를 꿈꿨다.

그래서 철수와 영희는 ‘국민 이름’이었다.

 

반마다 큰 영희,

작은 영희로 부르는 촌극이 심심치 않게 벌어졌다.

1960년대 시골이나 서울변두리 아이들은 거개가 검정 고무신을 신었던 터라

삽화에 나오는 철수와 영희가 신은 운동화가 몹시 부러워했다.

그만큼 교과서는 사람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바둑이와 철수’에 나오는 ‘철수’는

마치 일제강점기를 거친 적이 없는 애처럼 밝고 씩씩하다.

이 책을 펴낸 박창해(朴昌海 1916-2010)는

1916년 만주 지린성 룽징(吉林省 龍井)에서 태어났다.

 

당시 길림성 용정은 민족의식이 강한 기독교 세력이 뿌리를 내려 윤동주,

문익환 같은 이들을 낳은 곳이기도 하다.

넉넉한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난 박창해 말에 따르면 강아지를 동생처럼 키웠으며,

온 식구가 두레반상에 빙 둘러앉아 밥을 먹고,

할아버지 등에 올라타 말 타기를 하고,

아버지와 숨바꼭질도 하며,

동네에서 일본, 러시아, 중국, 동무들과 어울려 놀았단다.

 

여느 한국인들과는 달리 일제 식민지 아래에서도

식민지 의식이 거의 없이 자랐다고 보아도 지나치지 않았기에

철수와 영이가 그토록 밝을 수 있지 않았을까. 

60여 년 전 스토리텔러 박창해


자주의식이 강한 용정에서 태어나 독립정신을 이어받을 수 있었던 박창해는

연세대학교 전신인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들어가 외솔 최현배 선생을 만나

드물게 우리 정수인 한글 정신을 몸에 익혀 우리 얼을 품을 수 있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사로 뽑힌 박창해는

우리나라 최초 교과서 집필을 이끌었다.

박창해가 이끌어 펴낸 우리 최초 국어교과서는 ‘가갸거겨’ 따위 자모음 모양과

이름순으로 글씨만 배우던 그때까지 방식을 털어내고

“바둑아, 바둑아 나하고 놀자.”처럼

소리와 글씨, 낱말을 한꺼번에 아울러 가르쳐 놀라운 혁신을 이뤘다.

 

특히 박창해는 첫 단원에서 끝 단원까지 이야기가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이야기 전개 방식을 펼쳐 교과서를 만들었다.

60여 년 전에 박창해는 이미 스토리텔러였다.

 

뿐만 아니라 당시 국어교과서는 문화바로미터로 식민지에서 벗어나

해방을 맞은 한국 사회 말과 글 그리고 생각 프레임을 결정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박창해가 펴낸 국어교과서야말로 나라사람을 도타이 보듬는 나라

대한민국을 알리는 문화선포라고 하면 지나친 말일까. 

 

   
 

 


그 뒤로 1952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한 박창해는

1959년 연세대산하기관으로 한국어학당을 세운 뒤,

초대 학감을 맡아 외국인 한국어교육에 힘을 쏟았다.

 

환갑이 되던 1976년 연세대를 떠나

미국 하와이 대학에 가서 한국어를 가르치다가 열두 해 만인 1988년 다시 돌아와

일흔이 훌쩍 넘긴 나이에도

<한국어 구조론>, <현대 한국어 통어론 연구>,

<한국어 집중 강습(An Intensive Course in Korea)>를 펴내며 노익장을 과시했다.

 

2010년 6월 14일 향년 95세를 일기로 흙으로 돌아간 박창해.

너나들이 헐벗고 모든 것이 모자라던 때.

열심히 글을 깨우치고 배워,

어렵고 힘들었던 시기를 헤쳐 나갈 꿈만으로 허기진 배를 달랠 수밖에 없고

변변한 읽을거리조차 없던 그때 그 시절,

교과서는 살아갈 방향을 일러주는 지식과 정보, 정서를 채워주는 보물창고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477 국어학자 - 박창해 2018-10-13 0 3649
2476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순 우리말 바람이름 2018-10-11 0 3992
2475 [쉼터] - "곤드레만드레" 2018-10-11 0 3468
24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굴소년" 축구팀, 힘내라...화이팅!!! 2018-10-09 0 3763
247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훈민정음과 서예 2018-10-09 0 4716
2472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영화계에서의 "풍운아" 라(나)운규 2018-10-03 0 4939
2471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영화계의 초석 - "아리랑" 2018-10-03 0 4390
2470 [그것이 알고싶다] - "영화아리랑"과 각본, 주연, 감독 라(나)운규 2018-10-03 0 3874
2469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 영화계에서의 선구자 = 라(나)운규 2018-10-03 0 4696
2468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영화계에서의 춘사 라(나)운규?... 2018-10-03 0 5957
2467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은 1901년부터... 2018-10-01 0 5319
2466 [그것이 알고싶다] - 올해 "노벨문학상" 있을가? 없을가?... 2018-10-01 0 4478
2465 병든 꿀벌은 좋은 꿀을 만들수 없다 / 최균선 2018-09-25 0 3592
246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난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9-23 0 4074
24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소나무 떼죽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9-16 0 4188
246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차가 없으면 사람이 보입니다... 2018-09-16 0 4085
2461 [그것이 알고싶다] - 365일 "꽃말"?... 2018-09-16 0 4181
246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보배 중 보배" = 갈색 참대곰 2018-09-14 0 3727
2459 [별의별] - 녀자, 馬, 그리고 ... 2018-09-14 0 3730
2458 [타향소식] - 장백조선족자치현 60돐 닐리리... 2018-09-14 0 3419
2457 [타향문단] - 료녕성조선족문인들을 응원한다... 2018-09-11 0 3874
245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북극곰아, 여생을 맘껏 뛰여놀아라... 2018-09-11 0 4572
2455 [그것이 알고싶다] - 참새는 참새... 2018-09-10 0 4804
2454 [작문써클선생님께] - 매헌 윤봉길 알아보기... 2018-09-08 0 3712
2453 [그것이 알고싶다] - "퀴어축제"?... 2018-09-08 0 4875
245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보호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9-08 0 4319
245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나무 한 그루 = 포도 4천5백 송이 2018-09-08 0 4423
2450 [고향소식] - 우리 연변에도 "중국두만강문화관광축제" 있다... 2018-09-04 0 3363
2449 [고향소식] - 우리 연변에도 "중국조선족농부절"이 있다... 2018-09-04 0 3673
2448 [쉼터] - 나도 "엉터리"이다... 2018-09-04 0 3419
2447 [고향소식] - 우리 연변에도 "중국조선족농악무대회"가 있다... 2018-09-04 0 3563
244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9-04 0 4725
24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말(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30 0 4736
24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담배꽁초",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30 0 5021
24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한글통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29 0 3525
2442 [고향문단] - "칠색아리랑" 닐리리... 2018-08-29 0 3273
2441 [동네방네] - 우리 연변에도 "농부절"이 있다... 2018-08-29 0 3521
2440 [동네방네] - 우리 연변에도 "투우축제"가 있다... 2018-08-29 0 3045
2439 [별의별] - "참대곰화가" 2018-08-29 0 3435
243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원주민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24 0 4492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