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지방 쓰는 법, 명정 쓰는 법
2021년 01월 11일 22시 52분  조회:4018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사상식사전

지방 쓰는 법

 

 

 지방(紙榜)은 명절 차례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 쓰이는 신주(神主)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뜻한다. 현대에는 신주·위패 등을 모시지 않기 때문에 이들을 대신하여 종이로 지방을 만들고, 제사나 차례가 끝나면 태우게 된다.
 
 
 
 
 

 

외국어 표기

 

 

 

 

출처: 픽사베이

지방은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한 것이므로 신주와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다지방의 규격은 가로 6cm·세로 22cm위쪽은 둥글게 하고 아래쪽은 평평하게 한다글자는 깨끗한 한지(백지창호지)에 먹으로 쓰는데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기도 한다글씨는 세로쓰기로 위에서 아래로 적는데지방의 상단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지방에는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와 이름’, ‘신위(神位신령의 자리로 설치된 장소)’ 순으로 작성해야 한다.

 
지방 쓰는 법

① 제주(祭主)와의 관계 
 
지방의 가장 윗부분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을 기리기 위해 고인이여, 나타나십시오라는 의미인 나타날 현()’ 자를 쓴다다음으로 제사를 올리는 제주(祭主제사를 모시는 사람)와의 관계를 적는데이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 

 

 

현고()

 

 

어머니 

 

 

현비()

 

 

조부 

 

 

현조고()

 

 

조모 

 

 

현조비()

 

 

증조부 

 

 

현증조고()

 

 

증조모 

 

 

현증조비()

 

 

고조부

 

 

(현고조고)

 

 

고조모

 

 

(현고조비)

 

 

남편 

 

 

현벽()

 

 

아내 

 

 

망실(), 고실()

 

 

 

 

현형()

 

 

동생 

 

 

망제(), 고제()

 

 

자식 

 

 

망자(), 고자()

 

② 고인의 직위와 이름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써주고벼슬을 안 한 경우에는 學生(학생)’이라고 쓴다
學生(학생)’은 본래 관직이 없거나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경우를 뜻하는데다만 과거제도가 없는 현대에는 특별한 변형 없이 고인이 남성이라면 모두 '學生(학생)'으로 적는다그 다음에는 府君(부군)’이라고 쓴다
 
여자 조상은 남편의 벼슬 급에 따라 나라로부터 부여 받은 貞敬夫人(정경부인貞夫人(정부인淑夫人(숙부인등의 호칭을 쓰면 되는데일정한 봉작이 없다면 孺人(유인)’이라 적는다그 다음에 고인의 이름을 쓰는 부분에는 본관과 성씨(. 김해 김씨)를 적는다

③ 신위(神位)
 
지방의 맨끝에는 공통적으로 '신위(神位)'라고 써야 한다여기서 신위는 제사를 지내는 주인공이 위치할 곳이라는 뜻이다

 
부모의 지방 쓰는 법

부모의 지방을 쓸 때 제주와의 관계를 적는 부분에서는 아버지를 왼쪽에 쓰고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만약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아버지 지방의 경우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라고 쓰는데 이때 ()은 존경의 의미를 지니며 ()는 고인이 제주의 아버지임을 의미한다그 다음에 오는 學生(학생)’은 본래 관직이 없거나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경우를 뜻하는데다만 과거제도가 없는 현대에는 특별한 변형 없이 고인이 남성이라면 모두 學生(학생)으로 적는다府君(부군)은 제사 대상이 남자일 경우 적는 것이며마지막에는 조상의 자리를 의미하는 神位(신위)를 적는다
 
어머니 지방의 경우 顯妣孺人光山金氏神位(현비유인광산김씨신위)’이라고 적는데여기서 ()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뜻한다여성의 경우 과거에는 정경부인(貞敬夫人등 봉작이 있다면 봉작을 적지만일정한 봉작이 없다면 孺人(유인)이라 적는다. 그 다음에 고인의 이름을 쓰는 부분에는 본관과 성씨(광산김씨)를 적는다그리고 마지막에는 조상의 자리를 의미하는 神位(신위)를 적는다. 

 
지방 접는 법

지방을 접기 위해서는 우선 깨끗한 창호지나 한지 등의 백지를 가로 40cm, 세로 25cm 크기로 준비한다. 그리고 종이를 세로로 4등분해 선을 만든 다음 양쪽 면을 중심쪽으로 접는다. 다음으로 양쪽 모서리를 접은 다음 뒤집어, 삼각형 부분을 위아래 모두 앞쪽으로 꺾어 접는다. 그리고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을 뒷쪽으로 접은 후, 이 상태에서 위아래의 접힌 부분을 각각 재끼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지방 쓰는 법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

방법사전

지방 쓰는 방법

전통 제례 예절

 

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位牌), 즉 신주(神主)를 모신 사당이 있었다. 사당은 조선시대 양반층이 먼저 만들기 시작해서 조선 후기가 되면 각계각층으로 일반화되었다. 가난한 사람들도 집안 한쪽에 간단하게나마 조상의 위패를 모신 자리를 마련하였다. 제사를 지낼 때는 이 위패를 모셔다 지냈다. 그런데, 오늘날은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당도 없고 조상의 위패도 없다. 그러니 제사 등을 지낼 때 형편상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임시로 위패를 대신 삼는 것이 바로 지방이다.

지방은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이다.

지방 쓰는 법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에도 한 분만 쓴다. 그런데, 두 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쓴다.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지방 쓰는 법.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 祭主)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를 적고,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각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인과 제주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쓴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쓴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쓴다.

2. 고인의 직위 
전통적으로는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서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등의 호칭을 나라에서 받았기 때문에 그 호칭을 썼다.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學生(학생)’이라 쓰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이라 썼다.

3.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이라고 쓰며,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사례에서는 ‘김해 김씨’)를 쓴다.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사례에서는 ‘길동’)을 쓴다.

백숙부모, 형제, 부부, 자식의 지방 쓰는 법.

다양화된 현대 사회에서는 공직이 아니더라도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여자가 공직을 지낸 경우도 흔하다. 예를 들어 밀양 박씨 여자가 서기관을 지낸 경우 현대 사회상에 맞추어 직위에 ‘서기관’이라고 쓸 수도 있을 것이다.

지방쓰기에 참고할 사항

지방에 고인 외에 제사를 받드는 봉사자를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큰 아들인 경우 ‘孝子’, 작은 아들인 경우 ‘子’, 큰손자이면 ‘孝孫’, 증손자이면 ‘孝曾孫’, 남편이면 ‘夫’라 쓴다. 봉사자는 오른쪽으로부터 마지막 줄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孝子○○봉사’라고 쓴다. ○○는 이름이다. 최근에는 한글로 지방을 쓰는 집안도 늘어나고 있다. 이때는 ‘어머님 신위’, ‘아버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쓸 수도 있고, 한자의 우리말 표기만 써서 ‘현고학생부군신위’와 같이 쓰기도 한다.

 

 
 

관련이미지 3

  • 지방 
  •  
  • 지방 서식 구성항목 
  •  
  • 지방 
  •  
  •  
  •  
  •  
  •  
  •  
  •  
  •  
  •  
  •  
지방

지방신주를 모시고 있지 않는 집안에서 차례나 기제사에 종이에 써서 모신 신위.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지방 쓰는 방법 - 전통 제례 예절 (방법사전, 용인시 예절교육관)

 




===================================================================///


◐  명정(銘旌)

 

 (1) 명정은 한글로 비단 홍포(紅布)에 흰색 글씨로 (00(직함)00(본관)00(성명)의널(구)이라고 쓰며 그 크기는 온 폭으로 길이 6척, 폭 1.5척 정도로 씁니다.

 
(2) 옛 풍속대로 한문으로 쓴다면 벼슬이 없는 분은 학생능성구공한진지구(學生綾城具公漢振之柩) 또는 여자의 경우에는 유인태인허씨이름지구(儒人泰仁許氏이름之柩)라고 쓰며, 벼슬이 있는 분은 학생 대신 관직을 넣으면 되고, 여자 역시 유인 대신 품계를 적어 넣으면 됩니다. 
그리고, 만 20세 미만의 사망자는 원래 초상을 치르는 것이 아니므로 명전이 따로 없으나, 만 20세가 넘은 성인 총각의 초상에는 동자능성구공현철지구(童子綾城具公之柩)라고 쓰며, 만 20세가 넘은 성인 처녀 초상에는 동녀태인허씨지구(童女泰仁許氏之柩)라고 쓰면 됩니다. 
물론 본관과 이름은 모두 해당 고인에게 맞춰 적어 넣으면 될 것이며, 요즘에는 보통 벼슬 없는 분의 명정은 고인의 이름을 적지 않는 것이 관례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3) 명정을 쓴 다음에는 위아래의 끝에 대를 넣어 편편하게 하고 출상(出喪)전에는 관을 모신 동편에, 출상 시에는 긴 장대에 달아 영구 앞에서 들고 가며, 하관 시 관 위에 덮고 묻습니다. 이것은 상여로 출상할 때의 경우입니다.
명정에 흰 글을 쓰는 것은 백분에 아교를 섞어서 쓰지만, 붓에 물이나 조선 간장을 묻혀 쓰고 백분이나 밀가루를 뿌리면 편리합니다만 요즈음에는 은분으로 대개 명정을 쓰고 있으나 그것은 보기에는 매끄럽고 반짝반짝 빛나 보여 좋아 보일지는 몰라도 땅에 들어가면 비단은 썩어도 글자만 썩지 않을 우려도 있어 자제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07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영화 황제 김염과 제주도 2021-05-08 0 2432
3076 [별의별] - 국경과 농부 2021-05-07 0 2585
307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고구마혁명",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4-28 0 2377
30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유산모으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4-28 0 2561
3073 [그것이 알고싶다] - 오스카상... 2021-04-27 0 2592
3072 [그것이 알고싶다] - 윤여정과 "선물가방" 2021-04-27 0 4304
3071 [그것이 알고싶다] - "팔도 김치" 2021-04-16 0 2888
3070 [고향소식] - 화룡 길지 "돌"로 뜨다... 2021-04-01 0 2800
30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바다환경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3-30 0 2661
3068 [그것이 알고싶다] - 수에즈 운하 2021-03-30 0 3421
306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치마 시위" 2021-03-30 0 2954
306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다 잘 될거야"... 2021-03-30 0 2863
306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차라리 날 쏴라"... 2021-03-30 0 2520
3064 [세상만사] - 눈사람과 환경미화원 2021-01-30 0 2445
30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폐의약품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1-28 0 2481
306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철조망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1-28 0 2798
3061 "시는 그림자도 춤추게 하는 메아리" 2021-01-26 0 2240
3060 [세상만사] - 하면 된다... 2021-01-26 0 2396
3059 [그것이 알고싶다] - 색... 2021-01-21 0 2465
3058 [그것이 알고싶다] - 22... 계관시인... 2021-01-21 0 2780
3057 [그것이 알고싶다] - 그림자... 2021-01-21 0 2603
3056 [그것이 알고싶다] - 4... 8... 2021-01-19 0 2253
3055 [타산지석] - 본받을만한 훌륭한 아버지... 2021-01-17 0 2394
3054 [회초리] - 표절, 도용, 저작권, 량심... 2021-01-17 0 2753
3053 [그것이 알고싶다] - "김"씨냐, "금"씨냐... 2021-01-15 0 2538
3052 가장 진실되고 독창적인 목소리를 내야... 2021-01-15 0 2527
3051 [그것이 알고싶다] - 돌잔치와 돌잡이 2021-01-14 0 3938
3050 [세상만사] - "아리랑과 외국인" 2021-01-14 0 2384
3049 [그것이 알고싶다] - 지방 쓰는 법, 명정 쓰는 법 2021-01-11 0 4018
3048 [세상만사] - "꽁꽁" 2021-01-11 0 2369
3047 [세상만사] - "영화와 경계선" 2021-01-09 0 2660
3046 [세상만사] - "기부자와 기부금" 2021-01-08 0 2475
3045 [그것이 알고싶다] - "민주와 민주" 2021-01-07 0 2705
30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 호랑이 "두만"이... 2020-12-29 0 3195
30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범"아, 어서 어서 돌아오라... 2020-12-26 0 3460
3042 [세상만사] - "지문" 있다?... 없다!... 2020-12-26 0 3040
3041 [록색문학평화주의者]-백두산 호랑이 = "두만"아, 잘 가거라... 2020-12-20 0 2746
304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쓰레기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12-20 0 2893
3039 [세상만사] - "유산 싸움과 월드컵 축구경기..." 2020-12-18 0 2638
3038 [세상만사] - "연등 = 인류무형유산" 2020-12-16 0 280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