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는 農村을 對相하라...
2015년 08월 07일 23시 12분  조회:4073  추천:0  작성자: 죽림
[ 2015년 08월 04일 08시 36분 ]

 

 

음력 6월 15일, 조선족의 전통 명절인 ‘류터우제(流頭節)’.

헤이룽장(黑龍江)성 닝안(寧安)시 보하이(渤海)진의 많은 조선족은 이날 장시(江西)촌에 모여 전통 풍습대로 제사, 머리 감기, ‘류터우옌(流頭宴)’ 연회 등 행사에 참가했으며, 가무 공연과 스포츠 시합을 열어 조선족의 명절을 축하했다.

‘류터우제’는 고대 농경사회에서 기원한 명절로서 ‘류터우’라는 단어는 ‘둥류수이터우무위(東流水頭沐浴,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를 줄인 말이다. 매년 음력 6월 15일마다 조선족 부녀자들은 동쪽으로 흐르는 하류에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며, 농경신과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몸을 정갈하게 하여 잡귀를 쫓고, 풍년과 건강을 기원한다.

===========================================================
신경림의 시는
농촌을 배경으로 한 것이 대부분으로
1960년대 중반에 들어

신경림(申庚林)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예술가명 : 신경림(申庚林)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생몰년도 : 1935년~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전공 : 시
신경림의 시는 농촌을 배경으로 한 것이 대부분으로 1960년대 중반에 들어 <겨울밤>, <원격지>, <눈길>, <전야>, <폐광> 등을 발표하며 문단의 주목을 끌었다. 초기의 <갈대> 등에서 보인 인간존재를 다룬 관념적인 세계를 말끔히 씻고 주관적인 표현에서 객관적인 표현법을 사용함으로써 단편소설적인 이야기시의 성격을 진하게 풍긴다. 그의 시 <농무>는 그의 작품 경향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죽음의 현장인 도수장 앞에 와서야 겨우 한 다리를 들고 날라리를 불고 고갯짓을 하며 어깨를 흔드는 농민들의 발버둥을 통해서 인간의 숙명적 정한의 새로운 질서와 조화를 형성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 시적 대상은 막연하고 평면적인 농촌현실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 한, 울분, 고뇌 등이 끈질기게 깔려 있는 장소로서의 농촌현실이며, 때문에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의 제현상이 구체적으로 파헤쳐진다. 원시적인 리듬의 무리없는 구사에 있어서도 평범한 토속어를 기반으로 현재의 경험에 의해 재생시킨 밀도있는 시어로 표현함으로써 토속어의 새로운 감각을 창출시킨다. 이는 역사 속에서 잊혀져 가는 사실들을 재발견하여 현재의 특성을 점검하는 데 매우 긴요한 요소가 되며, 객관적 세계로 시를 끌어감으로써 한국의 시를 민중현실 및 민중감정과 격리시켜 온 과거의 여러 불투명한 형태들을 청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장시집인 <남한강>은 농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우리 역사를 바라보고자 한 시도로서, 서사적인 스케일을 보여주는 방대한 작품이다. 그는 이것을 기초로 민중현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시도를 꾸준히 계속하고 있다. 

- 참고: <한국현대문학작은사전>, 가람기획편집부 편, 가람기획, 2000
<국어국문학자료사전>, 국어국문학편찬위원회 편, 한국사전연구사, 1995

 
 
    생애
 
 
충북 중원에서 출생한 신경림은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했으며, 1956년 <문학예술>에 <갈대> 등이 추천되어 등단했다. 건강상 낙향해 초등학교 교사, 요양생활 등을 하다가 상경, 한때 붓을 꺾기도 했다가 1965년에 다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73년 첫 시집 <농무>를 간행하였고, 이어 여러 시집과 평론집 <한국 현대시의 이해> 등을 펴냈다. 1974년 시집 <농무>로 만해문학상을 수상했고, 1981년 한국문학작가상, 1990년 이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04년 현재 민족예술인총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약력
 
1935년 충북 충주 출생
1955년 동국대학교 영문과 입학
1956년 <문학예술>지에 이한식의 추천으로 <갈대>·<석탑>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
1965년 한국일보에 <겨울밤>을 발표함으로써 작품활동 재개
1967년 동국대학교 영문과 졸업
1975년 고은, 백낙청, 이문구 등과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창립
1980년 김대중내란음모사건에 연루되어 수감
1984년 정희성 등과 민요연구회 결성 · 1989년까지 의장으로 활동 /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고문
1988년 민족문학작가회의 창립에 참여
1989년 김윤수, 황석영 등과 민족예술인총연합 창립 · 사무총장 취임
1992년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장 / 민족예술인총연합 공동대표
1993년 출국금지가 풀려 연변, 백두산 등 중국 동북지방 여행
1995년 파리에서 열린 한국문학의 해 행사에 박완서, 고은, 조세희 등과 참석
1997년 동국대학교 석좌교수에 위촉
1998년 콜롬비아 세계시인대회 참석
1999년 독일 함부르크 한국문학의 날 행사에 이문열, 김원일 등과 참석
2004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피선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상훈
 
1974년 만해문학상(창작과비평사 제정)
1982년 한국문학작가상(한국문학사 제정)
1988년 동국문학상(동국문인회 제정)
1990년 이산문학상(문학과지성사 제정)
1994년 단재문학상(한길사 제정)
1998년 공초문학상(서울신문사 제정) / 대산문학상(대산문화재단 제정)
2001년 현대불교문학상
2002년 만해시문학상
 
 
    저서
 
 
 
• 시집 
<농무>(1973) <새재>(1979) <달넘세>(1985) <남한강>(1987) <씻김굿>(1987) <가난한 사랑노래>(1988) 
<길>(1990) <여름날>(1991) <쓰러진 자의 꿈>(1993) <갈대>(1996)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998) 
<뿔>(2002) 

• 평론집 
<문학과 민중>(1977) <한국 현대시의이해>(1981) <삶의 진실과 지적 진실>(1982) <우리 시의 이해>(1986) 

• 수필집
<민요기행1>(1985) <한밤중에 눈을 뜨면>(1985) <다시 하나가 되리라>(1986) <민요기행>(1989) <시인을 찾아서1>(1998) <바람의 풍경>(2000) <시인을 찾아서2>(2002)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새재
(창작과비평사,1979)]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가난한 사랑노래
(실천문학사,1988)]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쓰러진 자의 꿈
(창작과비평사,1993)]
 
 
    작품세계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작가의 말
 
(……) 우선 급한 것은 시를 통해서, 소설을 통해서 발언하고 운동을 하고 그 시와 소설이 운동성을 가지게 해야 합니다. 그 다음의 것이 그 시나 소설에 걸맞는 행동으로서의 운동입니다. 다시 말해, 문학이 살아 있기 위해서는 운동성이 있어야 하는데, 그 운동성은 두 가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는 가령 시낭송회와 같은 데서 얻은 운동성, 즉 현장에서의 운동성이요, 또 하나는 현장성을 떠났을 때의 독립적으로 갖는 운동성입니다.
그렇다면 독립적으로 갖는 운동성은 어떻게 획득되는 것일까요? 그것은 문학작품이 예술적으로 뛰어날 때 가능해집니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운동성이 획득되는 것이지요. 톨스토이의 소설이 바로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죠. 그러니까 제 얘기는, 시인의 운동이란 ‘운동, 운동’ 한다고 되는 게 아니고, 또 그것만 너무 강조하지 말고 무엇보다 뛰어난 시를 쓰는 것이 운동에 큰 보탬이 된다는 것입니다. (……)
첫째로, 우리 시가 좋은 시가 되려면 서정성이란 걸 다시 해석을 해서 그 참된 서정성을 우리 시에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럴 때 우리 시는 재미있고 올바른 서정시가 되어 갈 것입니다. 
둘째로, 민중언어를 찾아내어 올바른 민중시가 되는 한 길을 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여러 예를 들었던 것 같습니다.
끝으로, 민족적 동질성과 순수성을 회복하는 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통일지향의 문학을 해야 한다는 것은 입으로만 하는 게 아니라 이러한 구체적인 작업을 통해서만 가능한 일이지요. 
제 입장에서는 기본적으로 바로 이러한 몇 가지 측면에서 반성을 하고 극복해나갈 때 우리 시가 다시 참다운 재미를 회복하게 되고, 그래서 우리 역사의 나아가는 길에서 시가 시답게 한몫 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
- ‘우리 시의 올바른 길’, 신경림, <진실의 말 자유의 말>, 문학세계사 1988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평론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농무
(창작과비평사,1975)]
처녀시집 <농무> 이후 신경림은 적지 않은 수효의 시편과 시집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는 일관되게 <농무>에서 보여준 시적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그는 고향노래만을 부르고 있는 고향의 터주노래꾼이다. 고향을 노래하지 않는 시인이 어디 있느냐고 되물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노래를 잃어가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상소리와 독설과 재담의 시는 재미있고 실감나지만 벌써 노래는 아니다. 오늘의 도시적인 삶이 제기하는 여러 상황에 괴로워하고 속상해하고 그 아픔과 극복에 관해서 생각하는 시도 많고 그러한 시가 우리에게 호소하는 바도 크다. 그러나 그것은 노래라기보다 토막생각이나 사고의 비명인 경우가 많다. 외마디 아픔의 비명은 노래로 이어지지 않는 법이다. (……) 그의 고향노래는 구체적인 사회역사적 차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늘 서사적 충동을 가지고 있다. (……)
신경림 시의 또 하나의 특징으로 우리는 진한 서정성을 들 수 있다. 서사적 충동도 이 진한 서정 속에 용해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초기작품에서 후기작품까지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서정성은 쓸쓸하다든가 슬프다든가 하는 감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것은 개체적인 삶에 대한 충실에서 나온 것이지만, 울분과 노여움의 시에서마저 우리는 서정이 울분과 노여움을 감싸고 있음을 보게 된다. 우리가 그를 고향의 터주노래꾼이라 부르게 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지난날 우리 고향의 특징은 뭐니뭐니해도 지극한 가난이었다. 오늘에 있어서도 가난이 완전히 해결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 긍정적인 방향에서건, 부정적인 방향에서건, 신경림의 시는 많은 비평가, 시인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고, 앞으로도 그러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그 관심의 깊이와 넓이에 반하여, 그의 시세계를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해석하는 작업은 유종호의 매우 뛰어난 한 편의 글에서밖에는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그의 시는 대개 농민문학론의 수일한 예로 제시되거나, 아니면 시대착오적인 농촌 묘사의 한 예로 제시되어, 문학이론의 시녀노릇만을 해왔다. 그것은 시인 신경림에서는 득이 될 수도 있었고, 실이 될 수도 있었다. 그는 그것 때문에, 여하튼, 농민문학론의 기수가 되어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그것은 득이다. 그것 때문에 그의 시적 움직임의 폭은 크게 줄어들었다-그것은 실이다. (……)
초기 신경림에게 있어, 삶이란 내면화된 정적 울음이다. 그 인식론적 각성 때문에 신경림이 수동적, 체념적 세계관을 수락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삶이란 내면화된 정적 울음이지만, 그 울음들이 같이 울릴 때 그것을 통곡이 될 수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 나의 울음이 개별적이고 단독적일 때 그것은 울음으로 끝나지만, 그것이 집단적이고 집합적일 때 그것은 통곡이 되어 큰 외침이 된다. 그러나 신경림의 특이한 점은-이것이 시인으로서의 그의 성공을 보장해준 것이라 나는 생각하는데-그것이 울음이든, 통곡이든, 신경림까지도 울고 통곡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그는 울음, 통곡의 현장에 우는 사람, 통곡하는 사람과 같이 있지만, 같이 울지는 않는다. 그는 같이 울고 통곡하는 대신에, 울고 통곡하는 모습을 보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것을 노래한다.
 
 
    연계정보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관련도서
 
<신경림 시전집>, 창작과비평사, 2004

<우리시대의 시인 신경림을 찾아서>, 신경림 외, 웅진닷컴, 2002
<신경림 문학의 세계>, 구중서·백낙청·염무웅 편, 창작과비평사, 1995
<신경림 문학앨범>, 신경림 외, 웅진출판, 1992
<진실의 말 자유의 말>, 신경림 외, 문학세계사 1988

<신경림 시의 서사성 연구>, 강정구, 경희대 박사논문, 2003
<한국 현대 농민시 연구>, 성기각, 경남대 박사논문, 1999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03 詩는 시인의 눈에 비친 그림 2015-12-31 0 3368
802 詩의 징검다리는 어디?... 2015-12-31 0 3692
801 詩의 생명력 /// 난해시에 대하여 ///난해시 사랑 2015-12-31 0 3666
800 詩에서의 상징주의 2015-12-31 0 4242
799 극단적 미래파 詩는 사기... 2015-12-31 0 4030
798 난해함 대신 일상 파고드는 시쓰기... 2015-12-31 0 3474
797 삶속에서 게으름 피우며 詩라는 배에 타보라... 2015-12-31 0 3435
796 동시창작은 다양화되여야 한다 /// 창작은 모방인가? 2015-12-30 0 3320
795 윤동주는 우선 동시인 2015-12-30 1 4047
79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의 선구자 - 채택룡 2015-12-30 0 3893
793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경청 - "길 하나 보인다..." 2015-12-28 0 3843
792 <<현대시 100년 詩의 계보>>를 위하여... <<로시인, 詩를 고발하다>>를 추천하매... 2015-12-28 0 3530
79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현대시>>시리즈를 일단락 마치며 - <<절실한 한마디>>를 추천한다... 2015-12-27 0 3854
790 윌리엄 불레이크, /// 칼 크롤로브 시해설 2015-12-10 0 6152
789 詩를 <<쉽게>> 짖자... /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2015-12-10 0 3837
788 로신과 한국 2015-12-05 0 4656
787 천재시인 - 李白의 음주시 연구 /// 술과 시인 2015-12-05 0 5068
786 남영전의 토템시 연구 2015-12-05 0 4915
785 민족시인 심련수 유작시의 정리와 출판을 두고 / 그의 대표작 시 해설 2015-12-05 0 4528
784 중국 조선족 문학의 흐름과 전개과정 2015-12-05 0 3927
783 중국 조선족 한글문학의 현황과 과제 2015-12-05 0 4531
782 중국 조선족의 文學地圖 다시 그려야 2015-12-05 0 4100
781 중국 력사상 가장 영향력이 컸던 詩 10首 / 초현실주의 대하여 2015-12-04 0 3849
780 한국 문단의 <<4대 비극>> /// <락서> 시모음 2015-12-03 1 4421
779 중국 조선족 시단의 奇花異石 - 한춘詩論 2015-11-21 0 4573
778 詩碑의 喜悲쌍곡선 2015-11-13 0 4415
777 詩人共和國, 碑共和國 2015-11-13 0 4193
776 詩碑가 是非로 되지 않기까지의 詩碑로 되기... / 詩를 고발하다... 2015-11-13 0 4564
775 詩碑 是非 ㅡ 세상보기 2015-11-13 1 4311
774 是非의 나라, 詩碑의 나라 2015-11-13 0 4851
773 詩碑의 是非 2015-11-13 0 4134
772 시를 지을 때 비법은? / 시와 련애하는 법 2015-11-11 0 4650
771 선생은 詩 읊기를 좋아하지 않습니까... 2015-11-11 0 4772
770 고로, 난 시인이 아니다! 2015-11-09 0 5156
769 하늘 저 켠을 공연스레 볼 뻔하였다... 시는 시적인것. 2015-11-06 0 4118
768 사랑 詩 10수 / 가슴으로 하는 詩 2015-11-06 0 4338
767 "온몸시론" 2015-11-06 0 4013
766 시는 언어를 통한 언어 파괴의 자화상이다...?! 2015-11-06 0 4344
765 참된 령혼이 시인을 만든다... 2015-11-06 0 4353
764 이미지즘과 한국詩 2015-11-06 0 4276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