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정의>
삼 ·모시 ·노(실 ·삼껍질 ·헝겊 ·종이 등으로 가늘게 꼰 줄) 등으로 삼은 신.
<일반사항 및 특징>
‘삼신’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구(뻔)이며, 마혜(麻鞋) ·망혜(芒姪)로 표기한다. 형태별로 보면 이(履:신목이 낮은 신발의 총칭)의 일종이다. 짚신보다 고급품이나 피혁제 ·포백제(布帛製) 신이 출현함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서민층 남녀가 사용하였고, 섬세한 제품만을 사대부 계층에서 편복에 사용하였다. 미투리를 통칭하여 삼신이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세분하면 삼신 ·절치 ·탑골치 ·무리바닥 ·지총미투리 등의 명칭이 있다. ① 삼신:재료가 주로 생삼인 데서 비롯한 명칭이다. ② 절치:거칠게 삼은 미투리로 절에서 신은 데서 비롯한 명칭이다. ③ 탑골치:튼튼하고 잘 삼은 미투리이다. 동대문 밖 탑골에서 삼은 데서 유래한다. ④ 무리바닥:무리(쌀을 물에 불려 갈아서 체로 받쳐 가라앉힌 앙금)를 바닥에 먹인 미투리이다. 고급품이다. ⑤ 지총미투리:종이를 꼬아서 만든 노로 총(미투리의 앞 ·옆쪽에 박힌 낱낱의 올)을 삼은 미투리이다.
[정의]
삼·노 따위로 삼은 신.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섯 날 내지 여덟 날에 총을 50∼60개 세워 바닥이나 총이 아주 정교하고 날씬한 형태이다. 마혜(麻鞋) 또는 마구(麻辜)라고도 하며, 재료로는 삼·왕골·청올치·백지·면사·견사 등이 사용되었다. 미투리는 재료나 만듦새에 따라 삼신·왕골신·청올치신·무리바닥·지총미투리 등으로 불렸다. 지총미투리는 종이를 꼬아서 총을 만든 것이고 무리바닥은 여덟 날로 만들고 바닥에 쌀가루를 먹여 만든[八經粉塗] 정제품이었다.
만든 곳에 따라 절에서 만들어 파는 것은 절치, 탑골의 장인들이 만든 것은 탑골치라 부르기도 하였다. 미투리는 선비들이 맑은 날 나들이에 신었으며, 조선 말기에는 종이미투리와 미혼남녀의 장식신인 꽃미투리도 있었다. ≪성호사설유선(星湖僿說類選)≫에서는 왕골신이나 망혜(芒鞋)는 가난한 사람의 신이었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미투리도 신분에 따라 그 재료나 구조가 달라졌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미투리는 조선시대 서민층 상류계급에서 신었던 대표적인 신이라 하겠다.
‘삼신’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구(屨)이며, 마혜(麻鞋) ·망혜(芒鞵)로 표기한다. 형태별로 보면 이(履:신목이 낮은 신발의 총칭)의 일종이다. 짚신보다 고급품이나 피혁제 ·포백제(布帛製) 신이 출현함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서민층 남녀가 사용하였고, 섬세한 제품만을 사대부 계층에서 편복에 사용하였다. 미투리를 통칭하여 삼신이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세분하면 삼신 ·절치 ·탑골치 ·무리바닥 ·지총미투리 등의 명칭이 있다. ① 삼신:재료가 주로 생삼인 데서 비롯한 명칭이다. ② 절치:거칠게 삼은 미투리로 절에서 신은 데서 비롯한 명칭이다. ③ 탑골치:튼튼하고 잘 삼은 미투리이다. 동대문 밖 탑골에서 삼은 데서 유래한다. ④ 무리바닥:무리(쌀을 물에 불려 갈아서 체로 받쳐 가라앉힌 앙금)를 바닥에 먹인 미투리이다. 고급품이다. ⑤ 지총미투리:종이를 꼬아서 만든 노로 총(미투리의 앞 ·옆쪽에 박힌 낱낱의 올)을 삼은 미투리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