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jinge 블로그홈 | 로그인
김혁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홈 > 전체

전체 [ 442 ]

322    “죄악의 소굴” 댓글:  조회:2612  추천:12  2015-10-24
룡정지역 항일유적지 순람 (2)   “죄악의 소굴” - 간도일본총령사관   김 혁   룡정의 많은 유적지 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이는 곳이 있다. 바로 룡정의 도심에서 동쪽으로 치우친 곳에 어마어마한 부지를 안고 둘러쌓인 주홍빛 담장과 그 안에 솟은 고풍스러운 건물이다. 룡정시 륙도하로 869번지. 그곳은 바로 바로 악명이 자자한 간도일본총령사관옛터이다. “간도일본총령사관”의 전신은 “조선통감부간도파출소”였다. ​ 1905년 로일전쟁에서 승전한 일본은 기고만장하여 로씨야로부터 료동반도 조차권과 남만철도 운영권을 따내였다. 그와중에서 일본은 “간도에 있는 조선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는 구실아래 1907년 8월 “조선통감부간도파출소”를 세우게 된다. 여기서 통감부란 을사조약에 의해 강제로 성립된 조선의 주권을 간섭하는 일제의 기관을 가리켜 말한다. 일로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은 완전히 저들의 식민지로 삼으려는 야욕에서 당시 일본 추밀원 의장이였던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를 일황의 특사로 파견했다. 이토히로부미는 바로 모두가 다 아는 안중근에 의해 할빈역두에서 저격당한 조선침략의 괴수이다. 1906년 2월 1일에 통감부의 개청식이 있었고 초대 통감으로 이토히로부미가 취임했다.개청식을 가진 통감부는 그 이듬해에 급급히 간도지역에 진출해 파출소를 세우는 신속한 행동을 취한다. 조선통감 이토히로부미는 륙군중좌 사이토 스에지로(齐藤季次郎)에게 간도출병임무를 맡겼다. “순종실록 3권”에 그 과정이 상세하게 기재되여 있다. “일본은 명치(明治) 40년 2월 1일에 통감부 파출소를 설치하고 동경(東京)에 사무소를 창설하였다. 같은 해 8월23일에 이 사무소를 간도(間島) 용정촌(龍井村)에 옮기고 그에 대한 사무를 시작하였다. 명치 41년 4월 10일 통감부임시 간도 파출소의 관제를 발포(發布)하고 육군 보병(陸軍步兵) 중좌(中佐) 사이토 스에지로를 소장으로 임명하였다.” 1907년 8월, 사이토는 군경 63명을 회녕에 집결시켜 3개 반으로 나누고 19일, 헌병대를 령솔하여 간도에 침입했다. 이들은 1907년 8월 23일에“조선통감부 간도림시파출소”란 간판을 내걸고 사무를 보기 시작하였으며 동시에 “고시문”을 내다붙였다.     초기의 “간도일본총령사관”의 모습   조선통감부 간도파출소는 바로 현 룡정 고중학교자리에 세워졌다. 일제는 그곳에 기념비석을 세웠었는데 광복이 나고 일제가 패망하면서 그 비석은철거되였다. 이후 간도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호시탐탐 꾀하던 일본은 1909년 9월4일 청나라를 강요하여 “간도협정”을체결한 일제는 길림으로부터 조선회령에 이르는 길회철도수축권을 얻었으며 국자가, 배초구, 투도구, 룡정 등을 일본에 개방하는 상업도시로 정하고 연변에서의 령사재판권을 얻었다. “간도협약” 제2조, 제7조의 규정에 의하여 그해 11월1일 일제는 룡정에 설치하였던 “통감부간도파출소”를 “간도일본총령사관”으로 개칭하였다. 따라서 간도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침략활동을 감행하기 시작했다. 같은해 11월에는 린근의 국자가와 두도구, 훈춘등지에 령사분관까지 설립하고는 엄청난 조직으로 발톱을 키워나갔다. 그러던1922년 11월 27일 밤, 룡정 일본총령사관은 느닷없는 화재로 전소되였다.  이는 반일청년들에 의한 방화로 추정되고있다. 일제는 서둘러 령사관을 재건했다. 20여 만 엔을 들여 3년 이란 시간에 령사관청사를 재건하였는데 울안 면적이 4만 2944평방메터 이고 주요청사 건축면적은 2397평방메터, 부속건물면적은 4300평방메터였다. 청사 둘레는 높이 2메터가 넘는 당장에 싸여있어 큰 울안으로 형성되였다. 주요청사는 미황색의 타일을 붙이고 록색 뼁끼를 칠한 양철지붕의 3층집이였는데 지하에 1층이 있고 중간 남쪽이 5층으로 되였다. 청사는 1926년에 준공되였다. 령사관을 재건한뒤 일제는 더욱 기고만장하여 총령사관 경찰부의 관할밑에 룡정촌, 국자가, 투도구, 동불사, 로투구, 팔도구, 천보산, 의란구, 팔도하자, 배초구,  훈춘 등 18개곳에 경찰서 혹은 경찰분서를 증설하였다. 1935년5월의 통계에 의하면 이에 배치된 경관은 646명이였다. 이처럼 간도일본총령사관은 외교사무를 떠난 일제의 명명백백한 침략기구였다.   령사관 주청사뒤에 지하실로 내려가는 문이 있다. 이곳은 반일지사들의 취조했던 감옥이다. 지하고문실은 시정부가 지난 1990년초 항일전쟁승리 50주년 기념행사 일환으로 3만원을 들여 “룡정 혁명력사 전시관”으로 꾸며놨다. 지하고문실의 재현에 직접 관여했던 룡정시 민속박물관 전임관장 김동수씨는 “당시 일본총령사관은 간도지방에서 가장 악명높은 만행을 저질렀던 곳이였습니다”고 설명했다”. 지하실문을 여니 한 여름에도 훅 끼쳐오는 랭기와 더불어 좁고 음산한 복도가 나진다. 복도 량켠에는 여러 칸의작은 방들이 있었는데 간방과 고문실이였다고 한다. 정부울안을 정비하면서 발굴한 일제가 사용하던 총칼이며 취조시 사용했던 수갑, 족쇠, 채찍, 집게, 참대꼬챙이, 망치등 도구들이 그곳에 진렬되여있다. 그리고 반일지사들을 상대로 사용했던 물감옥과 고문형틀, 일본 헌병들의 총과고문피해자 옷가지 등 모두 2백70여점의 력사유물과 유품이 전시돼 있다.   그 몸서리치는 고문기구들에서 당시 일제의 잔학한 핍박속에 절규했을 지사들의 옥고가 떠오른다. “령사관에서는 반일정서를 탄압하고자 미친듯이 반일지사와 혐의인들을 체포했는데 ‘9.18’사변이후인 1934년 한해의 례만 들어도 놀랍습니다. 한해동안에 3635명이 체포되였는데 그때 연변에 조선족들이 42만 6000여명이였으니인구비례를 따지면 170명당 1명이 체포된셈이지요. 혐의자들을 가둘 감방이 모자라 여북하면 보이라실까지 감방으로 고쳐만들었겠습니까?” 김동수씨는 설명을 이어나갔다.   ​ 연변대학 력사학교수였던 고박창욱선생의 론문 “1907년 - 1945년 일본제국주의의 통치하에 연변조선족인민들이 받은 피해정황”에 따르면 1907년부터 1945년사이에 간도일본총령사관의 사촉하에 일제는 연변지구에서 조선족반일군민 4만여명을 살해했고 3만8000여명을 체포구류했다. 그중 반일 인사가 1만 165명이다. “총적으로 간도일본총령사관은 연변을 침략하고 항일무장투쟁을 탄압하고 연변의 풍부한 자원을 수탈하는 수뇌부였습니다.”고 김동수씨는 개괄해 말했다.       흉물스러운 괴물처럼 도사리고앉아 음위(淫威)를 떨쳤던 건물은 외견상 석조의 고풍스러움을 갖고 있었지만 당시 반일지사들이 당했을 고초와 멍든 한이 짙게 베여있는듯 을씨년스러움과 함께 팽팽한 긴장감도 함께 전해주고 있다. 80여년의 풍상속에 수차례 주인이 바뀌며 변해버린 총령사관 본관은 현재 룡정시청사로 사용되고 있고 건물 뒤편2층 연립의 총령사 및 부령사 관저는 공안국 부속건물과 길림성 룡정 시 라디오TV방송국으로 바뀐지 오래다. 또한 길림성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여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당년의 일제의 잔학상을 말해주고 있다.    사진: 리련화 기자   “연변일보” 2015년 6월 10일 ​
321    원죄(原罪) 댓글:  조회:2641  추천:40  2015-09-22
(김혁 소설 중문으로 읽기) ​ 中篇小说      原 罪    原著: 金   革 译者:沈胜哲   1.      案子的负责人是吴警官。      吴警官的警察生涯也将近13个年头了,可他还头一回碰到这种家伙。  即使那些块头大的家伙,只要迈进派出所审讯室的大门,面对威严的警官,也免不了要垂头丧气。可是,两天以来,这个小家伙连嘴都没张一下。无论谁去问话,他都紧紧地闭着嘴,用冷酷的沉默来表示抗议。真是个另类!      那个极度轻率和没皮没脸的孩子坐在铁椅子上,若无其事地望着这边。看到吴警官走进来,那孩子调整了一下坐姿。      吴警官拽过椅子坐在他的对面,用低沉的声音问。  ——为什么?      孩子望着吴警官,没回答。孩子显得很疲倦,可是眼神还很亮。吴警官又问了一句。  ——为什么?      孩子直勾勾地盯着吴警官,迫不得已地答道。  ——不为啥。      吴警官大声问。  ——我问你为什么?  ——不为啥。      吴警官气呼呼地掏出香烟叼在嘴里,打火机怎么也点不着火,他把打火机撇到一边。吴警官一下子扑过去毫不留情地打了孩子的耳光。一边打一边怒吼。  ——我穿警服都快13年了,还头一回看到你这样的家伙。我们所里有规定,不准打犯人……但是……你这小畜生。我就是挨罚也不能饶了你这不要脸的狗东西。饶不了你!     几位警官进来拉开了吴警官。  ——算啦。算啦。吴警官。      孩子用直勾勾的眼神抬头看着吴警官,脸肿得像个刚出锅的馒头。      吴警官气喘吁吁地回到办公室,重新拿起了值班警官做的记录。      绰号:“张国荣”      性别:男      年龄:16岁      某校初中3年1班      犯罪经过:杀人    2.      正在播放早间新闻。      煤气台上火苗正旺。      菜刀在砧板上飞舞。      辣白菜汤正在翻滚。     电饭煲里冒着热气。      用饭勺盛好了米饭。      从冰箱里拿出泡菜。      整齐地摆好了碗筷。  熟练地做完这一切,望着餐桌的人是爸爸。  爸爸在围裙上擦了擦手进了卧室。  卧室的墙上贴着香港明星张国荣的照片,国荣趴在那里还在酣睡。爸爸拍拍孩子。  ——国荣啊,国荣!太阳都照屁股啦。迟到了,可别怪爸爸呀。    3.      每天早晨为了赶上学时间,家里就像发生了战争。国荣推着自行车急急忙忙走出院子,爸爸追出来塞给他两瓶酸奶。  ——不要,我又不是小孩子。  ——拿着。第三节下课的时候把它喝了,对身体有好处。      国荣很不情愿地接过来跨上了自行车。骑了几下以后,回头看了一眼,发现爸爸还在守望着自己。      骑到十字路口国荣停下来,从口袋里掏出那两瓶酸奶,整齐地摆在路边的垃圾箱上。      然后,跨上自行车飞奔而去。    4.      派出所。      一个端庄文雅的女学生坐在那里。梳着长辫子的女学生显得坐立不安犹犹豫豫地开了口。  ——他本来是个好孩子。      女学生说着说着发出抽泣声。      吴警官看了一眼打印出来的女学生的证词。        绰号:“录像公主”      性别:女      年龄:16岁      某校初中3年1班    5.      大白天,录像带出租屋里空荡荡。“录像公主”坐在窗边正整理还回来的录像带。      吊在门上的风铃发出清脆的声音。国荣手里拿着录像带走进来。看到国荣,“录像公主”的脸上露出了灿烂的微笑。  ——这么快就看完了?  ——嗯。  ——还接着看不?  ——嗯。        国荣不情愿地答道。  ——你的兴趣也太特别了吧。别的男孩子都喜欢看成龙的功夫片……像个女孩子似的,看什么《冬日恋歌》呀?!哎,我给你推荐最有意思的。《魔戒3》到货了。      “录像公主”从货架上找出录像带递过来,国荣一边付帐,一边摇摇头。  ——还是接着看原先的吧。      “录像公主”推开国荣的手。  ——收起来吧。同学之间还……      国荣把钱扔到柜台里。走到门口,回过头说了一句。  ——其实,这个录像带不是我看的。  ——那是谁?  ——我爸。    6.      录像带出租屋的前面有一家“足道馆”。前一阵子,流行了一段按摩院。最近,好像人人得了脚气,又流行起足道馆来了。      拎着录像带的国荣停在“足道馆”前面。      迎着耀眼的阳光望过去,女按摩师正在往晾衣架上搭着白毛巾。      晾衣架上还有一件乳罩。      女按摩师脚上的拖鞋,就像一伸一缩的舌头被拽来拽去。湿漉漉的脚丫子触到拖鞋的时候,传来了滑溜溜的轻快节奏。      按摩师刚转过身就和国荣的视线碰到了一起。国荣惊慌失措地转过脸,装出一副若无其事的样子。      晾完毛巾,按摩师蹲在“足道馆”门前的台阶上,掏出一把瓜子嗑起来。      转过胡同口,国荣立刻就像只猫似的贴在墙壁上,偷偷地望着按摩师的容貌,简直看入了迷。国荣的耳畔传来清脆的嗑瓜子的声音。      接近中午时分,坐在阳光下的女人,看起来就像散发光彩的光环。    7。      爸爸是个看录像的狂热分子。每天大部分时间都花费在看录像上。……韩国电视连续剧。今天也不例外,一边看着早已过时的连续剧《冬日恋歌》,一边流着泪。      看到国荣从自己的房间里出来,爸爸偷偷抹了一下眼角。  ——爸爸,别再看了。  ——咋啦?  ——你就非得看那个过时的《冬日恋歌》?  ——你们不懂。多好的电影啊。别说……南朝鲜人拍的电影还真不错。  ——那以后,再也别叫我去换录像带啦。  ——还不是因为那家出租屋是你的同学家开的吗?!就那个叫什么“录像公主”的孩子。  ——要看,就换个别的吧,也不怕别人笑话。      爸爸的眼睛还是离不开电视画面。国荣拿起遥控器关掉了电视。回卧室的时候,还故意用力哐当一声关上了房门。  ——嘿!臭小子,这脾气,真是……      爸爸重新打开电视,把录像带倒回来继续看起来。      8.  派出所。  一个戴着耳麦的孩子坐在那里。也许是音乐太带劲了,孩子在晃着头,还不时地摇动着身体。  直到警察过来拍了一下他的肩膀,孩子才慌忙摘下耳麦。  ——他本来不是坏孩子。      吴警官拿起了打印好的记录。        绰号:“舞王”      性别:男      年龄:16岁      某校初中3年1班      9.      国荣经常跑到房顶上去。      他喜欢那里。但并不是因为在那里可以俯瞰全市的风景。虽然小了一点,那里是国荣和同伴们的秘密联络地点。      国荣和“舞王”他们在嘈杂的音乐声中跳着街舞。      孩子们的舞姿好像一只只飞向天空的小鸟。从手指到肩头的曲线像波涛在荡漾。这种街舞虽然不需要特殊的技巧,只要随着节奏摆动身体就可以,但是,孩子们的脸上仍旧显露着某种韵味。      连续跳了几个曲子,累得他们汗流浃背。孩子们靠在屋顶的栏杆上喝着罐装可乐,抽起了香烟。  ——照这样下去,这个学期的街舞大赛咱们一定能拿名次。      一个倒三角脸型的孩子冲着国荣举起了拇指和食指。      那个长得像猫脸那样饱满,充满傲气的孩子,就是“舞王”。  ——国荣,你真棒!进步很快。      别说是在小组里,就是在全校,“舞王”的街舞实力也是出了名的。能得到他的认可,这说明自己的实力也不一般了。国荣非常得意。  ——我是谁啊?是张国荣啊。看名字就知道有艺术细胞,不是吗?!      有一个同伴挤眉弄眼地说。  ——所以,你叫国荣啊?可是,我听说你爸爸被国营公司炒了鱿鱼,所以,给你起的名字是国营啊!        孩子们笑得把嘴里的可乐都喷了出来。长得贼眉鼠眼的家伙,还有那个做倒立挫了脖子,现在还缠着石膏绷带的家伙总是那么可恶。  ——不管怎么说,国荣他家,有他妈从韩国汇钱回来,还开了一家足道馆,净是好事!      又一个同伴补了一句。  ——妈的,又是足道馆呵?都一家挨一家了。  ——这个地方的人,除了开酒吧还会什么呀?去韩国赚了大钱,回来就知道开酒吧,要不就是桑拿和茶座。      “舞王”冲着国荣问。  ——你妈出国几年了?  ——第6年了。      回头又问了脖子上缠着石膏绷带的小子。  ——你呢?你妈是不是更早?  ——差不多7年。爸爸和妈妈一起去的,是我上幼儿园大班的时候出去的。怎么办好呢?我现在都想不起来他们长什么模样了。      这些话引起了共鸣,孩子们你一句我一句,乱成了一团。  ——打电话的时候,怎么哀求也不回来。  ——再忍几年吧。等妈妈挣了大钱回去咱们就能过上好日子了。总是这么说。  ——挣大钱又能怎么样?该在的时候不在,到那时也许就用不着妈妈了。  ——啥叫孤儿啊?这就是孤儿耶。      “舞王”的语调提高了八度。  ——我们的父母都应该好好反省了。      国荣自言自语地嘟囔道。  ——这么说,凑到一起的我们,是一群受伤的小鹿阿。  ——所以,组长给咱们组起了那么带劲的名字啊。“屋顶上的迷路儿”。  ——起得好。      孩子们这么一说,“舞王”神气地说。  ——我呀,除了跳舞还懂啥呀?没有街舞就是个躯壳。      这些孩子们为了马上就要举行的街舞大赛赌上了一切。可是,“舞王”却突然垂头丧气地说。  ——我在想管他什么大赛不大赛的,干脆都放弃算啦。  ——喂,组长,你又怎么了?  ——其实,我姨最反对我跳舞了。  ——为什么?你姨不是对你挺好的吗?  ——好是好,再好还能比得了父母吗?名头还是个老师呐,每句话都离不了警告。警告!嗓门活像个警笛。警笛!我为什么非得让我妈和我姨捏来捏去呢?嗯?真他妈不想回家。真想在网吧包月住在那儿。妈的。  ——行啦。别净扯那些没用的,说点正经事儿吧。  ——喂,你们听到“愤怒的酱曲”那个组,说什么了没有?他们在练什么?  ——不是爱情,就是离别,还能有什么呀?  ——所以,咱们要么选最激情的,要么选最新式的。妈的,爱情真让人讨厌。拉倒吧。  ——离别,更烦人。      国荣嘟囔着顺着组长说。  ——好。咱们再练一次。      孩子们重新投入到了街舞当中。屋顶变成了狂热的舞台。      音乐突然消失了。      一个结结实实的女人掐着腰站在屋顶的入口处,正虎视眈眈地盯着他们。孩子们的目光一起朝着“舞王”看去。      脖子上缠着石膏绷带的小子悄悄地对孩子们说。  ——把耳朵捂住。警笛要响了。      从屋顶发出的划破天空的高音,震动了整个小区。  ——哎哟,这帮小子!不好好学习,都跑到这里来啦!你们的父母为了你们,在韩国拼死拼活地干活,可你们……    10.      国荣拎着替爸爸换回来的录像带,走到“足道馆”门前,不知不觉地停下脚步。      袒露胸背的按摩师正在晾毛巾。每当她弯腰的时候,都会露出那优美的前胸。      国荣呆呆地望着那光景。      按摩师晾完毛巾蹲在“足道馆”门前的台阶上,掏出一把瓜子嗑起来。        按摩师的目光和躲在房角偷看的国荣的视线碰到了一起。清澈的目光和高高的鼻梁活像一幅从时尚杂志上撕下来的画。她的目光犹如清爽的露珠朝着国荣飞来。国荣吓得拔腿就跑。    11.      漂亮的按摩师姐姐总是蹲在“足道馆”门前的台阶上嗑瓜子。      姐姐把瓜子扔到地上。然后,念起了咒语。      葵花长得飞快,很快超过了屋顶,开出的花覆盖了整个房盖儿。      按摩师姐姐围着葵花跳起了非常性感的舞蹈。      国荣躺在花盘上欣赏着舞蹈。      ——国荣啊,国荣啊,快起来,吃饭啦……      传来了爸爸那铜钟般的呼声,太遗憾了,原来是一场梦。      按摩师姐姐总是浮现在眼前,国荣已经无法摆脱对按摩师姐姐的思念了。    12.      一个长得敦敦实实的孩子被传唤到派出所。  ——他怎么会干那种事儿呢?他是个好孩子啊!      吴警官看了一眼打印好的证人身份记录。      绰号:“巧克派”      性别:男      年龄:16岁      某校初中3年1班    13.      “巧克派”坐在电脑前,国荣站在旁边。“巧克派”嚼着巧克力派摆弄着电脑。握着鼠标器的小胖手移动起来异常灵活。      屏幕上出现了长白山天池的全景和国荣的脸庞,然后是一位中年妇女的面容。  ——这是我妈。是个大美人。      “巧克派”正在用软件合成照片,国荣站在旁边感慨地说。  ——用妈妈汇来的钱旅游,去了长白山,可不知怎么回事,没看到天池。      后来,作文得了大奖,又有了一次机会,可还是没看到天池。天公老是不作美。别人都到天池照全家福,多有意义啊!可我……      “巧克派”在全神贯注地操作着,国荣把巧克力派的包装纸撕开递给了他。国荣和妈妈以晴朗的长白山天池为背景的合成照片终于完成了。      国荣兴奋不已。虽然是合成的,但是,他觉得这张照片足以让整个房间充满温馨。  ——你真是个天才。你赶上比尔盖滋了。晚上我请客,吃羊肉串儿。    14.      桌上摆着比任何时候都丰盛的菜肴。国荣的爸爸和一个老头儿正在对饮。      爸爸毕恭毕敬地拿起酒瓶。  ——金校长,孩子就拜托了。      那个叫金校长的老头儿是从乡下进京来的“巧克派”的爷爷。老头儿哈地一声,蛮有滋有味地干了一杯。  ——什么校长,就叫我胖墩儿他爷爷吧。学校早就关门啦,我这个校长已经有好几年没事可干了。      这回轮到老头儿敬爸爸了。  ——谢谢你,把孩子交给我这样的老朽,来,我敬你一杯。      爸爸的脸上泛起了一丝歉意。  ——我原来就滴酒不沾。就用这个……      国荣的爸爸拿起了酸奶。以酸奶代酒喝了一杯之后冲着客厅喊道。  ——国荣啊,你来敬一杯。金校长答应做你的家庭教师了。        开始的时候,说好只喝一杯。结果,一杯一杯,一直喝到了酒瓶见了底儿。爸爸和国荣搀扶着酩酊大醉的老头儿,把他送到了家。  ——虽然是在农村学校,可他有好几个学生在“奥数”得了奖。话又说回来……他什么都好,就是太贪杯。      回家的路上,爸爸对国荣说。    ——交给学校的钱就够多的了。怎么还请家庭教师啊?      国荣有些内疚地说。爸爸慈祥地望着国荣说。  ——这是你妈的意思。所以你要好好学习呀。      国荣犹豫了一下,开口说。  ——爸爸,我……买自行车行不行?  ——你不是有自行车吗?还能骑呀。  ——不是那种老古董,我想要别的孩子都骑的那种。  ——快走吧。太晚了。  ——买?还是不买呀?  ——再说吧。    15.      早晨。      国荣拖着自行车离开了家门。      爸爸追出来塞给他一样东西,又是酸奶。  ——不要。  ——拿着。第三节下课的时候把它喝了,对身体有好处。      骑到十字路口,国荣停下来从口袋里掏出两瓶酸奶,整齐地摆在路边的垃圾箱上。      捡破烂的老头儿喜出望外地赶紧把酸奶装进口袋里。    16.      “录像公主”被吴警官叫到了派出所。  ——他好像有点不太喜欢他爸……不太清楚。他是抱怨过:爸爸老是看录像。    17.      录像带出租屋的霓虹灯亮了。      国荣拎着录像带靠在窗户边往里张望。      “录像公主”独自一人坐在那里看书,国荣立刻走进去。听到清脆的风铃声,“录像公主”抬起头,国荣拿出了录像带。  ——看完了?有意思吗?  ——不知道。  ——接着看不?  ——嗯。都看三回了。走火入魔了。就像女人似的。      看到国荣气呼呼的样子,“录像公主”偷偷地笑了。  ——你怎么总是一个人呵?你妈去哪儿了?  ——我妈身体不太好。再说,在这么狭窄的地方坐一天,该多难受啊?!所以我想帮帮她。  ——你爸在韩国不是挺能挣吗?别让你妈干了。最近,录像带的生意好像也不怎么好。  ——这是我妈的意思。她常说爸爸在韩国那么辛苦,我也不能白吃饭呐。累是累了点,可还是能赚出妈妈那一份儿。      国荣叹了一口气。  ——比我爸强。      “录像公主”反驳道。  ——你爸咋啦?对你不是挺好吗?  ——你不懂!      国荣莫名其妙地冷笑一声。他缓慢地环视了一会儿室内,然后问道。  ——你一个人不害怕吗?以后,每天晚上我来给你做伴儿怎么样?  ——别瞎操心。我没事儿。      国荣拿起录像带掏出钱。  ——行了。拿去看吧。  ——不是我看的。是我爸的钱。      “录像公主”差点笑出声来。  ——真是。一家人还分什么你的我的呀  ——你说得对。其实,都是我妈的。我爸做什么了?      门上的风铃发出了清脆的声音,“录像公主”的妈妈走了进来。  ——国荣来啦?这回成我们家的回头客了。        妈妈兴冲冲地从架子上选了一盘录像带递给国荣。  ——什么呀?  ——是新出的电影。拿去给你爸爸看吧。叫什么《天国的阶梯》,你爸爸一定喜欢。      国荣在犹豫。  ——拿去吧。这是免费赠送的。      国荣皱了一下眉头。  ——哎哟。有这么多人在旁边接济,怪不得爸爸拿录像当饭吃呢。      “录像公主”的妈妈笑了。  ——我倒是喜欢他们。有这些人,我们才能混饭吃啊。国荣啊。你怎么总想挑你爸的毛病呢?这可不好。爸爸也有自己的难处。      国荣紧闭着嘴,弯腰鞠一躬,径直走出大门。    18.      按摩师姐姐正在晾毛巾。      国荣愣愣地望着那光景。      按摩师晾完毛巾,仍旧蹲在“足道馆”前面的台阶上,掏出瓜子嗑起来。      按摩师的目光和躲在房角偷看的国荣的视线碰到了一起。国荣吓得拔腿就跑。按摩师像只野猫,忽地一下站起来追过去。  ——站住!站住!还不给我站住?      姐姐身上好像长了翅膀跑得飞快。跑到小区的空地,国荣实在是跑不动了。按摩师姐姐抓住国荣的胳膊,气喘吁吁地质问。  ——是不是你?      国荣一下子糊涂了,不耐烦地反问。  ——啥?啥呀?  ——你还想装蒜?走!找你父母去,走!  ——为什么呀?我作错什么了?  ——走。到你父母那儿再说。      背后响起了沙哑的声音。国荣的爸爸站在那里。  ——我是他的父母。什么事儿?      按摩师姐姐突然瞪大了眼睛。  ——妈呀。房东!      按摩师姐姐好像是在观看网球比赛,目光在国荣和爸爸之间扫来扫去。  ——这么说,他是您的孩子啊?      到了足道馆的接待室,按摩师姐姐从冰箱里拿出凉爽的杏仁饮料来招待爸爸和国荣。      按摩师姐姐不知所措地说。  ——其实……就因为我晾的东西老是被人偷。      爸爸提高嗓门说。  ——这么说,你把我家孩子当成了专偷女人内裤的变态狂了?  ——不,不是。是这样的,这孩子看到我拔腿就跑,所以……      姐姐百思不解地嘟囔着。        姐姐被爸爸折腾的样子,国荣看在眼里急在心上。      爸爸站起来慢悠悠地说。  ——别冤枉人家的宝贝孩子,还是快交房租吧,算起来……已经超了半个月啦。      姐姐轻轻地拍了拍跟在爸爸后面的国荣的小脸蛋,压低嗓门悄悄地说。  ——sorry(对不起),sorry。      国荣美滋滋地捂着脸,脸上热乎乎的。    19.      “巧克派”的爷爷饶有兴致地问国荣。  ——看你喜欢作作文,是不是想当文学家呀?  ——不是,随便写的。    ——那你喜欢什么?  ——街舞!      国荣异常兴奋地说。  ——过几天有一场街舞大赛,取上名次的小组,会被邀请去韩国访问。  ——去韩国是你的愿望?  ——不,不是为了旅游,到了韩国不是能见到妈妈吗!      国荣那充满憧憬的眼神在台灯下显得特别明亮。老头儿摘下老花镜,望着国荣的脸庞陷入在沉思之中。      辅导结束后,老头儿正要出门,爸爸递给他一个小纸袋。  ——这是什么?  ——不好意思,买杯酒吧。对我家孩子那么好。  ——你以为我是冲着钱来的吗?  ——儿媳妇怕我自己在乡下寂寞,把我请到这里来。老实说,在这冷漠的城里人当中,我该多难熬啊,我呀,就是为了开心。      爸爸犹豫一会儿,把老头儿让到了厨房。  ——那就喝一杯再走吧。      老头儿脸上露出了喜色。  ——嗯,这个建议不错!      没过多久,老头儿就有了醉意。不能喝酒的爸爸只能在旁边摆弄着酸奶瓶小心应酬。      老头儿醉醺醺地磨叨着。  ——那是有50年历史的学校啊。我是最后一任校长。我从年轻的时候就一直在那儿,有感情啊……  ——说起来也真是……村里建的学校早已成历史了。       老头儿突然提高了嗓门。  ——庚申年大讨伐时,被日本鬼子烧成了废墟,是我们重新建立起来的学校啊。      老头儿颤抖着干了一杯。  ——在那日本鬼子的镇压下,我们的教育热情也没减退过。为什么现在到了这种境地了呢?嗯?老头儿激动得想再来一杯,国荣的爸爸劝道。  ——有点多了。校长,今天就到这儿吧。  ——校长?      老头儿吐出苍凉的笑声。  ——连个学校都保不住的家伙,还算什么校长?就叫胖墩他爷爷吧。心烦啊!只能喝点这东西了。      喝一杯以后,老头儿突然唱起了校歌。      白云飘飘的山冈下      小小的瓦房多典雅      培养民族精神的母校……        “巧克派”进来了。拽着爷爷说。  ——别喝啦。身体又不好。      回头又冲着国荣的爸爸刺儿一句。  ——我妈说别再劝爷爷喝酒啦。        国荣和“巧克派”正要扶起爷爷的时候,老头儿卷着舌头嘟嘟囔囔地说。  ——真是有了感情,那个学校……    20.      “舞王”在回答吴警官的提问。  ——因为爸爸不给买自行车,他是发过火。可是……    21.      晚自习总是那么晚才结束。尽管如此,朝气蓬勃的孩子们还是说说笑笑地走出了校门。      国荣和“录像公主”并排推着自行车出了校门。看到他们亲密的样子,同学们吹着口哨擦肩而过。      笑眯眯的国荣突然停下脚步,回头看了看。国荣的爸爸扶着自行车站在那里。      “录像公主”急忙走掉了。国荣朝着爸爸走过去。  ——不让你来,怎么又来了?我又不是幼儿园的孩子。  ——那也是,深更半夜的,危险。    ——有啥危险的?      虽然国荣不耐烦,爸爸还是很高兴。  ——快走吧。我做了一大堆好吃的,得给我儿子好好补一补。      国荣也不管爸爸,飞快地骑到前面。爸爸吃力地追上来说。——有谁追你啊?慢点骑!别摔着!      国荣偷偷地看一眼爸爸。  ——爸,我们打赌好不好?看谁骑得快。我要是赢了,您得答应我一件事儿。  ——什么?  ——给我买自行车。      爸爸想了一会儿,答应了。  ——好,不过……我要是赢了,也有个要求。  ——什么呀?  ——期末考试你得进前10名。  ——那就这么定了。      在夜深人静的大道上,两个人拼命地蹬着脚踏板。      国荣刚刚骑到前面,爸爸马上追了上来。两个人你追我赶,不亦乐乎。      在明亮的路灯下,两个人的笑声洒满了街道。    22.      国荣骑着崭新的自行车飞奔在大道上。      国荣的新自行车超过了摩托车。      又超过了小轿车。      所有人的视线都集中到国荣身上。      国荣得意扬扬地骑着崭新的自行车。      自行车的轮子离开车体飞向天空。      从梦中醒过来,发现院子里放着一辆自行车,爸爸终于买来了自行车。      可是,国荣刚刚上翘的嘴角,一下子垂下来了。      看到爸爸正在拿着抹布仔细地擦车的样子,国荣忍不住大声喊道。  ——谁让你买别人骑过的二手货来着?      爸爸继续擦着自行车。  ——这和新的没什么两样。      因为和自己梦想中的款式相差太远,国荣哭丧着脸委屈地说。  ——现在自行车多便宜啊,简直就是白给,白给!都知道咱家有钱,还骑二手货,我这面子往哪儿放啊?  ——那倒是……可钱这东西,省着点用没坏处。再说,这钱挣得多不容易啊。都是你妈在外国用血汗换来的呀!      爸爸说得很坚决。国荣无可奈何地拖着自行车出了院子。爸爸追出来硬是塞给他两瓶酸奶。      国荣骑了一会儿,停下来从口袋里掏出酸奶,整齐地放在路边的垃圾箱上。      捡破烂的老头儿又把酸奶装进自己的口袋。    23.      竭尽全力跳了一阵子街舞的孩子们,胡乱擦一下脸上的汗水,靠在屋顶的栏杆上抽着香烟。      国荣朝着“舞王”伸出手。  ——给我也来一支。  ——奇了怪了。今天是怎么了?不用换尿布了?      国荣笨手笨脚地抽了一口。      “舞王”担心地问。  ——出什么事儿啦?      国荣被烟呛得咳嗽了好一阵子,气得他把香烟使劲摔在地上。  ——真气人。  ——怎么了?说吧。咱们“屋顶上的迷路儿”之间还有什么不能说的?      国荣气呼呼地说。  ——就那个,我爸,你说,我让他给买自行车,结果买了一辆别人骑个臭够的二手货。    ——你们家又不是救济户,凭什么呀?      脖子上缠着石膏绷带的哥们插一句。  ——也许是从捡破烂老头儿手里转手的呐。  ——谁知道。我爸,真不可思议。      国荣的舞伴也磨叨一句。  ——也许你爸交不上录像费了吧?      孩子们笑得前仰后合。国荣冲着脖子上缠着石膏绷带的家伙,狠狠地瞪了一眼。      “舞王”换了个话题。  ——行了。停!再练一遍最后那段,妈的。趁我姨那个警笛还没响。      嘈杂的曲子震荡着屋顶,孩子们又开始了街舞的排练。      舞伴总是嬉皮笑脸地看着国荣,忍无可忍的国荣扑过去打了他一拳,舞伴也毫不示弱,两个人互相拽着脖领子在地上滚来滚去。孩子们跑过来分别拉开了他们俩,一时间,屋顶变成了阿修罗斗场。    24.      院子里洒满月光。月光下国荣脸上明显地露出了伤痕。手里不知是什么在闪着青光,原来是水果刀。      国荣用水果刀扎向自行车轮胎。      气喘吁吁地疯了似的扎向轮胎。      扑哧一声,轮胎撒了气。      国荣咬牙切齿地怒视着自行车。        可是,第二天早晨发现,不知什么时候爸爸已经把自行车恢复了原状。      国荣扔下自行车一瘸一拐地走出大门。他是在屋顶上和缠石膏绷带那小子闹着玩儿的时候崴了一下。      爸爸推着自行车追了出来。      国荣钻进出租车。      爸爸望着远去的出租车叹着气,从口袋里掏出两瓶酸奶。    25.      下午,在温暖的阳光下,按摩师姐姐蹲在“足道馆”前面的台阶上嗑瓜子。      脸上带着伤的国荣一瘸一拐地出现了。按摩师姐姐用手势叫住他。国荣犹豫一下走了过去。      按摩师姐姐递给他一把瓜子,国荣尴尬地接在手里。姐姐用手势让他坐下,国荣不自然地坐到姐姐旁边。  ——上次,真对不起。      按摩师姐姐凑到国荣跟前看了半天,就像发现了新大陆似的说道。  ——哎哟,这么一看,你长得还真像你爸爸呀。      按摩师姐姐发出银铃般的笑声,可是她身上的汗臭味儿熏得国荣喘不过气来,他憋着通红的脸,低头嗑瓜子,可也没忘记反驳姐姐。  ——不,我像我妈。  ——真像你爸爸。你看这眼睛,这嘴。  ——不,我不是告诉你了吗?!我像妈妈。      国荣大声说。按摩师姐姐吓了一跳。她觉得很有趣儿,就接着问。  ——怎么了?说像爸爸你不高兴?      国荣吐了一口瓜子皮,把话题一转。  ——生意好吗?”足道馆”      按摩师姐姐叹一口气。  ——能好吗?到处都是按摩院。连房钱都挣不出来啊。你爸爸还总说:小娘们不知天高地厚瞎投资,自己赔钱不说还让别人跟着倒霉。      国荣用同情的目光望着按摩师,看到她的眼睛马上低下头。  ——你脸怎么了?打架了?  ——没。  ——肯定是打架了。对不?让我看看你的脚,我看你瘸得挺厉害。来,跟我来。      姐姐把国荣拽进足道馆。      封闭的足道馆的房间。        姐姐不顾国荣的反对把他按在床上,抓住脚脖子做起了按摩。姐姐的手刚碰到脚脖子,国荣的心脏就莫名其妙地跳起来。      姐姐的手就像是在为患病的亲人洗澡那样即小心又充满深情。      姐姐的身上散发着一股密林深处特有的松树的香气。每当闻到这种香气的时候,国荣都觉得恍恍忽忽。  ——我的手可是神手啊。就靠它吃饭呐……      这时他才注意到姐姐穿的是微微飘动的睡衣。露在外面的皮肤洁白无暇,就像皮球那样富有弹性。而且,还不时地能从领口处看到前胸的轮廓。      国荣慌忙转过头去。不知所措的目光在地面上徘徊。他看到了密匝匝地镶嵌在地上的正方形纹理,觉得它非常漂亮。      房间里一片寂静。国荣讨厌沉默,便开口问道。  ——怎么办啊?  ——什么?  ——生意这么不好。  ——是啊,我又没有路子,长得又一般。所以……  ——不,挺漂亮的。  ——……所以,以后实在不行,就只能嫁到韩国去了……      姐姐抬起头看着国荣问。  ——我漂亮吗?      国荣使劲点了点头。  ——你觉得我这长相,韩国老头儿能要我吗?      国荣一激灵,像是被马蜂蜇了似的。    26.      国荣就像上必修课似的又来到了录像带出租屋。“录像公主”独自一人正在看录像。  ——又是你一个人?  ——嗯,妈妈去亲戚家了。明天舅舅要去韩国。  ——韩国,韩国,又是韩国?都疯了。真是。      近来,出国成了人们茶余饭后的主要话题,国荣讨厌地讽刺了一句。“录像公主”盯着电视画面问。  ——今天借什么?《天国的阶梯》,你爸看完了吗?  ——不知道。从今往后,我再也不替他跑腿了。      录像公主装出一副惋惜的样子。  ——哎哟,那我家就该少一个回头客了。      国荣望了一眼一直吸引“录像公主”的画面。  ——自己看什么呢?  ——嗯,是韩国电影《假如爱有天意》。  ——音乐片?  ——不是,爱情片,悲剧。  ——最近,这帮导演怎么总是拍这种电影啊?这么好的日子,非得让人流泪才痛快呀?好像谁欠了他们眼泪似的。  ——你这一辈子,就不流泪呀?  ——当然,男人宁可流血也不能流泪!好像是哪个名人说的。  ——我可好哭。      她这么一说,“录像公主”的眼圈红红的,真像是涂了一层粉红色的眼影。  ——女孩子嘛。      “录像公主”用遥控器关了电视。一边倒着还回来的录像带,一边回忆着过去。  ——我爸出国的时候,我哭了好长时间。  ——妈妈走的时候,我可没哭。      “录像公主”望着国荣。  ——你怎么那么狠啊?  ——不是狠,那时候我太小,还什么都不懂。不管怎么说,我不会哭。就是爸爸死了我看也不会。  ——你这小子,真坏。      国荣突然压低嗓门儿神秘地问。  ——诶?有那个吗?  ——什么?      国荣的嗓门儿压得更低了。  ——那种带子。        “录像公主”糊涂了。  ——什么叫那种带子?      国荣的脸上泛起一丝诡秘的微笑。  ——你不懂?A级片。      “录像公主”轻轻拍一下国荣的肩膀。  ——疯啦,疯啦!这家伙今天是怎么了?  ——人家都说,哪家出租屋都藏几盘那种带子,专给回头客看。  ——我们家可没有。      她断然地大声说。然后,认真地问。  ——如果有,你想看啊?      国荣点点头。  ——嗯?想看?      还有这么厚脸皮的家伙?“录像公主”瞪大眼睛盯着国荣摇了摇头。  ——你可真是,别那样。别人该嚼舌头了。人家该说你,妈妈不在跟前孩子都学坏啦。      国荣满脸不高兴的样子。      “录像公主”想换个话题打开了录像。  ——提高一下你的欣赏水平吧。看这个。真是好电影。能让你知道什么是真爱。      国荣不得已装出看录像的样子。这时画面上出现了接吻的场面。长长的热吻。“录像公主”慌忙关掉了录像机。绯红着脸说。  ——太晚了。该关门了。你也回家吧。      说着,“录像公主”开始整理柜台了。国荣徘徊一会儿,也帮忙收拾了一大堆录像带。没想到刚摞好的录像带哗啦一下子撒了一地。  ——你走吧,我自己来。      “录像公主”推了一把国荣,蹲在那儿捡起带子。国荣也跟着捡了起来。两个人互相都感觉到了对方的呼吸。国荣悄悄地把嘴唇贴在“录像公主”的脸上。国荣被一把推开,摔个大跟头。国荣又把嘴唇靠近“录像公主”的脸蛋,这回“录像公主”老老实实地蹲在那里。两个人笨拙地亲着嘴。      墙上的海报进入了眼帘。一张美国电影《随风消逝》的剧照,里面的恋人也在紧紧地拥抱。    27.      国荣骑到十字路口,停下来从口袋里掏出两瓶酸奶。      捡破烂的老头站在垃圾箱旁边。老头看到国荣咧嘴一笑。      国荣把掏出来的酸奶又重新放进口袋。      老头儿脸上的笑容消失了。      国荣骑上自行车飞快地奔向学校。        中午休息时间。孩子们热热闹闹地打开了饭盒。      国荣装作路过“录像公主”的旁边,把酸奶放到她的书桌上。    28.      正在准备晚餐的爸爸紧紧地皱着眉头。让爸爸这么头疼的是那个用来煎鸡蛋的平底锅。掉漆的平底锅看起来就像欧洲地图那么花花绿绿。  ——这个家伙,真是不中用了。      爸爸长长地叹了一口气。看到爸爸因为一个破锅那么苦闷,国荣不耐烦地瞪一眼。爸爸仍在懊悔地嘟囔着。  ——可也是。这是你妈妈用过的呀。是啊,你妈妈出国都已经几年了?      爸爸用塑料布把锅紧紧地包好放到橱柜的最里面。回头看见国荣愣愣地站在那里,无可奈何地说。  ——走吧。今天就到外面去吃一顿吧。  ——上饭店?哎哟,爸爸今天是怎么了?那么小气的爸爸。      爸爸勉强笑了笑。  ——妈妈给汇钱啦。      国荣也跟着笑了。    ——一个月一次,解馋的日子啊。      父子俩异口同声地笑了。可那笑声并不那么开心。    29.      好久没进饭店了,食欲好得不得了。不大一会儿功夫,串羊肉的钎子就堆了一大堆。国荣喝可乐,爸爸喝酸奶。      爸爸嚼着插在酸奶瓶里的吸管说。  ——你知道吗?你妈妈之所以去韩国打工就是因为这酸奶。      还真头一回听说,国荣猛然抬起头。  ——别看我现在是个穷光蛋,过去,咱们家就靠我赚的钱维持的。      爸爸一边把羊肉串儿放到熊熊燃烧的炭火上,一边打开了话匣子。  ——说来话长啊……都怪我呀。爸爸放了高利贷。虽然,你妈妈那么反对。可谁想到借钱的那个人破产了。那个人是干什么的呢……      爸爸高高地举起酸奶瓶。  ——他是做这个的!  ——别说利息啦,那个人连本钱都还不起了。只好用酸奶来顶帐,那时候咱们家堆满了酸奶箱子。后来那个人连夜逃跑了。      说着爸爸又把吸管使劲插进酸奶里,然后拼命地吸起来。  ——后来,我就拼命地喝酸奶。就好像是在吸那个人的骨髓。那个让咱们家遭殃的家伙。      放下酸奶,爸爸绝望地笑着说。  ——可是,在韩国,你妈妈干活的地方又偏偏是酸奶工厂。真是命运啊,命运。      国荣看到爸爸的嘴边粘满了白白的酸奶。冒着青烟的羊肉串儿早已烤焦了。    30.      下雨了。屋顶就像个大浴盆正在接着雨水。      瓢泼大雨中“舞王”好像是在举行祈雨祭祀似的疯狂地扭动着。孩子们都老老实实地看着他。一个孩子走过去摘下他的耳麦。  ——够了。别跳了。到底发生什么事儿啦?这大雨天把我们都叫到这儿,这是干什么呀?      “舞王”抹了一下湿漉漉的脸,吐出了心中的怒火。  ——妈的。让我转学。我姨。  孩子们连声追问。  ——转到哪儿?  ——只要有钱,哪儿不能去?问题是……  ——问题?  ——我姨,就那个“警笛老姨”让我转到汉族学校去。  ——为什么呀?你姨她。      孩子们不知所措地说。  ——现在,上汉族学校的人还少吗?没什么可奇怪的。  ——我们班去汉族学校的就超过10 个人。他们说只有学好汉语,以后到了社会才能有出路。      “舞王”忧心忡忡地说。  ——你们都知道我不会中国话。一说中国话就跑调。  ——是啊。  ——妈的。我除了跳舞,还会什么呀?  ——没办法吗?  ——什么办法?  ——劝你姨的办法呀。  ——谁能说动她呀?那个霸道劲儿。家里还不得乱套啊?妈的,手续都办好了。早就!      “舞王”歇斯底里地叫道。孩子们哑口无言。  ——咋办啊?我咋办啊?还有咱们“屋顶上的迷路儿”。      “舞王”哭丧着脸,抓住孩子们的肩膀一个一个地问。没有我,你们行吗?行吗?      孩子们都低下头,没有一个敢站出来。      有一个人小声说。  ——没有你,我们小组就是个没头苍蝇。      “舞王”沉默了一会儿,重新戴上耳麦跳起来。      疯狂地扭动着,喊叫着。  ——来,过来!和我再跳一回。这是最后一次啦。来,过来啊!孩子们一个一个靠了过去。随着“舞王”在雨中狂舞起来。          “屋顶上的迷路儿”们跳得正欢,雨下得越来越大。      水没过了双脚,没过了大腿,最后,水面上只能看见孩子们的小手在摇荡。      打个寒战坐起来一看,原来是场梦。      狂风暴雨依然在国荣的耳边回响。      爸爸依然如故地坐在对面,呆呆地望着闪着雪花点的电视画面,录像带退出一半……    31.      国荣推着自行车正要出校门,听到有人喊他。      原来是几天前跟他打架的那个脖子上缠着石膏绷带的舞伴儿。这小子手腕上也缠上了绷带。好像是在练习倒立的时候扭伤了。他走过来伸出小手,国荣阴沉着脸。  ——你我不都是社会上所说的“单亲子女”吗?咱们别打架啦。“舞王”又不在跟前。      国荣抓住了从绷带里露出来的手指尖。  ——“舞王”走了有一个多月了吧。  ——一个半月了。      这小子这么一说,国荣一下子觉得闷闷不乐。  ——他这一走,我们真成了迷路儿了。      突然,这小子的脸色变成了铁青色。胡同口出现了一群小孩。他神色紧张地低声说。  ——是那帮小子。  ——谁呀?  ——“曲子组”      有一个个头大一点的孩子朝国荣喊道。  ——你过来一下。      也许是因为对他们小组的名字有偏见,他的脸看起来还真像酱曲子。国荣不得已走过去。那个脖子上缠着石膏绷带的小子赶紧望风而逃。      “曲子脸儿”用脚碰了碰自行车。孩子们把国荣围在中间,你一言他一语地起哄道。  ——你们是跳舞的那帮小子,对吧。那个什么来着“屋顶上的迷路儿”  ——不是屋顶上没妈的孩子啊?  ——听说你们想打败我们?怎么看不到那个自称“舞王”的家伙啊。听说转到汉族学校了?  ——臭小子,这回连咱们的话都得忘了。      看着孩子们的粗鲁举动,国荣讨厌地皱起眉头。  ——瞧这小子,你看到没有?      “曲子脸儿”冲着国荣的头连推几下。别的孩子也帮腔威胁道。  ——低头!你能不能把头低下?!      国荣目不转睛地盯着他们,“曲子脸儿”上前一脚就把自行车踹翻在地。  ——这小兔崽子,真是个没教养的家伙。来呀。给我教训教训他!      孩子们呼啦一下子扑上来,一顿拳打脚踢。    32.      爸爸笨拙地按了一下电脑开关。随着一声响动,国荣和妈妈站在天池边微笑的合成照片浮现在电脑屏幕上。爸爸愣愣地望着那张照片。      突然,门声大作,国荣进来了。  ——干什么呢?在我的房间。      国荣极不耐烦地问。  ——可你,你怎么回来得这么早啊?      爸爸磕磕巴巴地问。国荣扑通一下倒在床上。  ——怎么不说话?!出什么事儿啦?      爸爸连问了几次,国荣背过身去,把被子蒙到头顶。      爸爸过去坐在床边。  ——我说……你哪儿不舒服啊?肚子?头痛?上医院?要不想吃什么了?爸爸给你做。      国荣突然掀起被子喊道。  ——我讨厌你……出去!出去!      爸爸惊呆了。就像狠狠地挨了一闷棍,僵硬地站在那里。过了一会儿,默默地走出了房门。      国荣又气呼呼地倒在床上。他目不转睛地望着电脑上出现的合成照片。        妈妈好长时间没来电话了。想当年,突然刮起出国热,就在那时,妈妈留下小小的国荣去了韩国。      开始的时候,每个礼拜妈妈都来一次电话,后来,一个月来一次……最近,一点都没规律。一开始,通话的时间长得让人心疼电话费,可现在越来越短了。      每当国荣有气无力的语音随着叹气声被吸进话筒之后,就会从听筒里传出妈妈夹带哭声的话音……每次都是这样。      短暂的通话结束之后,刺耳的嘟嘟声总会撞击鼓膜,国荣总是感到莫名的绝望和茫然,他在心中呼喊着妈妈。      不知什么时候,暮色已经降临。电脑显示器发出的光芒照得墙壁和天棚色彩斑斓。一串儿热泪从国荣伤痕累累的眼窝里涌出来。国荣压低声音抽泣着。       33.      一只缠着绷带的小手,从晾衣架上拽下乳罩。      刚从“足道馆”出来的按摩师姐姐看到了他的背影。  ——喂,站住。      那小子惊慌失措地拔腿就跑。按摩师呼喊着紧追不舍。      跑到胡同口,这小子慌里慌张地躲到垃圾箱后面。按摩师跑过去了。接着这小子抖着满身的垃圾站了起来。他正要放心大胆地拐进另一个胡同,突然飞来重重的一拳。拳头的主人是国荣。      国荣从他的怀里翻出了乳罩。  ——你这可耻的家伙。      国荣啪啪打了几下这小子凹凸不平的后脑勺。  ——小子,多丢人啊?嗯?      这小子抽搐一下嘴角。  ——我老实告诉你,你可千万别告诉“足道馆”的人。      国荣的目光犹如在看一头怪物。  ——其实,我家只有我和爷爷。妈妈,姐姐,还有我姨都去韩国了。剩下的只有我和爷爷了。净是臭男人。      国荣忍不住又抽了一下他的后脑勺。  ——那你就偷女人的内衣呀?你这臭小子!我也和爸爸过。别人要是都像你,做女人内衣的工厂该发大财啦,小土崽子!      这时按摩师姐姐正好返回来,国荣急忙把乳罩藏了起来。  ——你们在这儿干什么呢?      按摩师姐姐仔细地观察着那个小子。  ——是不是你?刚才。      国荣挡住那小子若无其事地问。  ——怎么了?姐姐。      按摩师姐姐掐着腰气呼呼地说。  ——放跑了。差点没抓住那小兔崽子。      姐姐又仔细地看着那小子。  ——他是我们小组的。你别看他这样,他可是个好孩子啊!  ——气死我了。生意不好不说,就因为这帮变态种,连内衣都丢没了。      按摩师姐姐牢骚满腹地走掉了。  ——谢谢你!      这小子感激地望着国荣,可是,国荣又狠狠地抽了一下他的后脑勺。  ——谢什么谢。到了晚上,再给人家送回去。    34.      ——听说国荣的爸爸为了他还专门学过烹饪呐。      可是,国荣并不喜欢爸爸那么做。其实,有一个每天为你做饭的爸爸多好啊。      吴警官正在留心地听着“巧克派的”的述说。    35.      国荣的爸爸在商场仔细地挑选着平底锅。      看到一个大男人那么细心地挑选厨房用具,售货员们围在一起笑个不停。      拎着平底锅爸爸又走进了自行车卖场。      爸爸看了好一阵子陈列在那里的自行车。      弯得恰似非洲羚羊犄角的奇特的自行车把手,还有那闪闪发光的车身,深深地吸引了爸爸的目光。    36.        爸爸喜欢厨房。每当吃饭的时候,爸爸总是那么兴奋。也不知是从什么时候开始的,布置一桌丰盛的饭菜已经成了爸爸的兴趣,也是惟一能显示成绩的事情。大容量的电冰箱和漂亮的煤气台,高压电饭锅等各种厨具摆满了厨房。这些都是爸爸特意买来的,当然用的都是妈妈汇来的钱。      今天,爸爸兴奋地把国荣叫到了厨房。  ——今天的饭菜肯定更好吃。      国荣心不在焉地拨弄着饭粒,过一会儿,抬起哭丧的眼睛。  ——今天爸爸买了新锅,下了好大的决心才买的呀。      爸爸就像电视里的广告模特那样举起那个锅。      国荣自言自语地说:真没办法。  ——怎么样?好吃不?用新锅炒的菜。真是手巧不如家什妙啊……      爸爸似乎是要证实新锅的效果,不停地给国荣夹菜。  ——多吃点。那些因为妈妈不在身边,不能按时吃到可口饭菜的孩子最可怜了。      国荣偷偷又把爸爸夹的菜放到了原处。      爸爸看国荣没什么反应,换了好几个话题,最后,小心翼翼地问。  ——国荣啊,那个电脑。  ——什么?  ——那张电脑里的照片……  ——阿,那是“巧克派”帮我合成的。  ——做得真好。  ——那胖子是我们班里的“电脑博士”。有他爸从韩国给他邮钱,电脑也是买的最好的。  ——做得确实好。真像!      爸爸连连赞叹不已,突然,严肃地问。  ——可是……可是那照片里怎么没有我呀?    37.      国荣和“录像公主”正在挑选电影录像带。      在一旁帮忙拎着购物篮子的国荣掏出了酸奶。  ——变魔术啊?你怎么每天都有酸奶啊?      “录像公主”奇怪地问。  ——买的,为了给你。  ——去,谁信呵。      国荣又掏出一个递给她。“录像公主”摇摇头。  ——我行了。你也喝点儿吧。  ——我不喝。  ——喝吧。对身体有好处。  ——其实,是我爸给的,每天两瓶,我可不乐意。  ——哎哟,多慈祥的爸爸呀。      “录像公主”羡慕不已地感叹道。  ——所以呀,就该你来喝。要是我爸爸给的,别说是两瓶就是一箱我都能喝。      国荣迫不得已喝了一口。  ——太甜了,干吗喝这种东西啊?这个就像我爸。  ——什么像你爸呀?  ——这酸奶的味道有像我爸的地方。不像可乐那么刺激,也不像绿茶那么清爽,就像变了味儿似的,酸不溜丢的……      “录像公主”百思不得其解,带着责怪的口吻说。  ——你怎么这样啊?多好的爸爸呀  ——我可不喜欢。  ——为什么?  ——都怪爸爸,害得妈妈到韩国遭罪,就因为爸爸没能耐。      正在挑选录像带的“录像公主”抬起头疑惑地望着国荣,真是想不通,他怎么对爸爸那么不满意,还那么看不起爸爸呢?  ——你真有点怪怪的。就那么恨你爸?  ——就恨!就恨!!!      国荣忿忿地吐出了心中的不快,然后,话题一转。    ——马上就要举行街舞大赛了。这次一定要好好露一手。    38.      “录像公主”的妈妈站在门前仰望着屋顶。      国荣的爸爸爬到屋顶上,正在检查出租屋的霓虹灯广告牌。      国荣的爸爸喝了一口“录像公主”的妈妈递上来的可乐,接着又转过身去忙碌起来。      “录像公主”的妈妈用长长的竹杆儿挑起一条毛巾递上去,国荣的爸爸不好意思地接过毛巾擦了擦汗。      从音响店回来的国荣和“录像公主”正好看到这个光景。  ——爸干啥呢?      国荣满脸不高兴地冲爸爸喊道。  ——她家的霓虹灯坏了,我来修修。      “录像公主”的妈妈也在旁边解释说。  ——有你爸爸帮忙,我都不知该怎么谢啦。  ——多好啊,有爸爸在身边。  ——哼!      国荣鼓起腮帮气囔囔地大声问。  ——你会修吗?    39.      老实说国荣不喜欢课外辅导,学了这么长时间一点效果都没有。可是,因为是用妈妈从韩国寄回来的血汗钱请的老师,国荣也不敢怠慢。  望着哈欠连连的国荣,老头儿笑着说。  ——拿起书瞌睡虫就来捣乱,是吧?  ——明天有街舞大赛,我们练舞练过头了,有点累了。  ——有信心拿奖吗?  ——有,跳舞还有点自信,大奖不敢说,优秀奖应该没问题。  ——好!不但学习要好,还要展示一下全面发展的榜样。      每当课程快要结束的时候,爸爸总会准备好夜宵进来劝爷爷喝一杯。  ——今天就到这儿吧。时间不早了,简单喝一杯吧。      老头儿摇摇头。  ——就喝一杯吧。就一杯……这可是头一回啊,您不想喝酒……      国荣也奇怪地望着爷爷。  ——这两天不知怎么了,肚子有点胀。我得回去睡觉了。      走到门口,爷爷回过头对国荣说。  ——大赛一定得拿奖啊!    40.      爸爸和按摩师姐姐默默地站在“足道馆”门前。两个人的脸色都有些不自在。按摩师局促不安地连连嗑瓜子。  ——这么说吧……这个礼拜之内,要是还拿不出钱的话,我也没什么好法子,只好倒地方了。  ——再给我半个月时间行不行?会有办法的。  ——谁信啊?我可没少吃亏呀。  ——您也太死心眼儿了吧。我就差您这一次,您就这么不开面儿啊?我也是没办法呀。  ——我也不容易啊。用孩子他妈从韩国汇来的钱,好不容易才做这么一点事儿,可连这点事儿都做不好,你说我怎么向孩子他妈交代呀?      爸爸转身离开之前,冲着还在苦苦哀求的按摩师说。  ——你记住。我这个房子位置好,想租的人都排成队了。      平时结结巴巴的爸爸,这时候完全是另一副样子。      按摩师无奈地蹲在台阶上默默地嗑着瓜子,吐出的瓜子皮散落在脚下。      毫无表情的姐姐嗑完瓜子,使劲拍拍手,两个胳膊放在膝盖上,把脸深深地埋进了胳膊中间。      国荣一直躲在房角注视着她。      不知为什么,看着姐姐白里透红的膝盖,他感到有些心酸,真想过去抚摩那可怜的膝盖。      41.      爸爸沉浸在电视剧当中。虽然不是什么悲伤的场面,爸爸的眼圈还是有些发红,看来他还没发现一直坐在旁边的国荣。国荣干咳几下,凑到爸爸身边。  ——爸爸,我有话跟你说。      爸爸目不转睛地盯着画面摆摆手。  ——等一下。关键时刻,等一会儿再说。      突然,门铃响了。急促的铃声响个不停。  ——这么晚了,是谁呀?      爸爸打开大门。      是“巧克派”。他连哭带喊地冲进来。  ——爷爷,爷爷他昏过去了。妈妈也不在家……        “巧克派”的爷爷吐了一滩血倒在洗手间,白瓷砖上的鲜血让人不寒而栗。      爸爸急忙过去背起爷爷,可力不从心憋得脸通红,腿也直打晃。  ——躲开!      国荣一把推开爸爸,自己背起了爷爷。      看到猫着腰站在旁边的爸爸,国荣突然觉得爸爸的个子比想象的矮了很多。    42.      “巧克派”的爷爷微笑着出现在电脑画面上。      “巧克派”茫然地望着画面,国荣把手放在他的肩上。      “巧克派”嘴里含着巧克力派放声大哭。      爷爷把充满酒气的肉体留在这里,带着他洁净的灵魂走了。    43.      安慰了一会“巧克派”之后,回来的路上,国荣的脚步停在“足道馆”的门前。工人们正在拆卸“足道馆”的招牌。      国荣惊讶地问。  ——怎么了?你们在干什么?  ——什么怎么了。停业了。  ——什么?这儿的人呢?  ——不知道。    44.      爸爸仍旧沉浸在电视剧当中。国荣狠狠地瞪着爸爸,可爸爸一点感觉都没有。爸爸这种毫不在意的态度激怒了国荣。  ——爸爸,足道馆为什么关门了?  ——等一下,关键时刻。      国荣拿起遥控器就把电视关掉了。爸爸抢过来又打开了电视。国荣又把它关掉了。  ——这……这孩子怎么了?你怎么居然……  ——我问你,足道馆为什么会关门?  ——什么为什么?生意不好呗。      爸爸说着又打开了电视。国荣再一次把电视关掉了。  ——是不是你把她赶走的?      国荣第一次如此激动,这时爸爸才感到惊讶。      国荣带着哭腔大喊大叫。  ——是你撵走的!就是你撵走的,对吧?      泪水即将夺眶而出,国荣一脚把门踹开跑出了院子。        无垠的开满向日葵的大地。      国荣踉踉跄跄地飞奔过去。      姐姐站在向日葵的中间,挥手召唤着国荣。      国荣跑过去紧紧抱住姐姐的腰。        原来不是姐姐,而是一具稻草人。      国荣愣愣地站在没有招牌的“足道馆”前面。      那位善良而又漂亮的,爱说爱笑的姐姐早已不知去向。    45.      国荣从屋顶眺望着街道。下面的风景好似一副散落在那里的拼图。“录像公主”站在国荣的旁边。  ——我叫什么名字?      “录像公主”不知如何是好。  ——你叫国荣啊!  ——是啊,我的绰号是张国荣。现在,我要像张国荣那样跳下去!      国荣抓着栏杆,身体向前倾斜着。“录像公主”急忙抓住他。      国荣挣扎着,呼喊着。  ——为什么?为什么会这样?我们连决赛都没进去啊?  ——“舞王”也不在,他的位置就显得空了。  ——我们那么拼命地练……膝盖破了,手腕也崴了。  ——行了,不是还有下次吗?  ——下次?下次是什么时候啊?不还得等一年吗?      “录像公主”看到国荣如此伤心,不解地问道。  ——得奖对你那么重要吗?  ——当然!你们把得奖看成名誉,可是,我不!  ——那你?  ——得了奖的小组不是能去韩国吗?我的目标是那个,那个!      国荣靠着栏杆一屁股坐到地上。  ——得了奖不就能去韩国吗?去了韩国不就能看到妈妈了吗?      国荣脸抽搐了好半天,终于放声大哭起来。        天空犹如国荣的心情布满了乌云。看来马上就要下雨了。从屋顶下来的国荣呼啦一下推开了房门。      按理爸爸应该坐在沙发上和电视做伴儿,可他不在房间。      洗手间的方向发出了声响,门开了。当国荣看到走出洗手间的那个人时,瞬间,感到一股热流直冲脑门。出来的人不是爸爸,而是“录像公主”的妈妈。      大雨终于泼下来了。      哗啦哗啦哗啦……      大雨拍打着立在屋顶上的广告牌发出了嘈杂的声音。      重新回到屋顶的国荣站在雨中任凭风雨吹打。      国荣感觉到一阵闷雷般的震荡从心底掠过。穿过前胸直逼后脑勺的震荡……带来了茫然的恐惧。        46.      摆好丰盛的餐桌,爸爸独自坐在那里。      爸爸走近国荣的房门口小心地敲敲门。  ——国荣啊,国荣啊,出来吃饭吧。不管怎么说,总得吃饭啊。      国荣已经整整一天没出来了。      徘徊在门前的爸爸又敲响了房门。  ——你听我说……你好像误会了。爸爸和出租屋家的大婶儿没有任何关系。是你误会了。是误会,误会……      无论怎么哀求房间里还是没有一点动静,爸爸只好回到厨房。坐立不安的爸爸,目光落到了新买的平底锅上。爸爸似乎找到了宝贝,认真地擦起来。        深夜。国荣从房里探出头。      急着去厕所的国荣,脚步停在客厅里。电视还在亮着。录像早已结束,机器还在吱吱地空转。爸爸手里握着遥控器蜷缩在沙发上睡得正香。     别人家的爸爸都很勤快手也粗大。可爸爸就知道花妈妈的钱,利用妈妈的关系,白白净净的手活像个女人。T恤衫的下面还露着一大堆赘肉。        国荣看到爸爸睡得那么难看,一时觉得爸爸又可怜又可气。紧接着,一股莫名其妙的冲动在心底涌动。昏暗的灯光下,两只活像野兽的眼睛射出了凶狠的蓝光。        国荣进了厨房。      胡乱地翻来翻去。      找出了菜刀,又放下了。      找出了水果刀,又放下了。      目光落在爸爸刚刚擦好的闪闪发光的平底锅上。      国荣把锅紧紧地握在手里。        爸爸还在鼾睡。      一瞬间,国荣的眉宇和眼圈缩成一团,脸上的肌肉在抽搐。国荣吸了一口气,用手里的新锅朝爸爸的头部拍过去。      他就像瞎了眼的恶狼,疯狂地胡乱地抽打着。        刚刚还狂风大作的暴雨,不知什么时候已经停了。      国荣推开一条门缝探出头四处张望。      国荣把爸爸的尸体拖出家门。      又朝库房拖去。      国荣慌慌张张地用旧衣物盖住了尸体。      他擦着脸上的血迹刚要回身,突然似乎发现了什么,朝库房的角落走去。      国荣瞪大了双眼。      黑暗中,一台自行车在闪闪发光。那可是国荣梦寐以求的自行车啊!    47.      午夜里,国荣骑着崭新的自行车狂奔在空旷的大道上。      国荣到达的地方是派出所。      国荣仰望着挂在楼上的公安徽章。他骑进了派出所的大院。      国荣不敢去敲门,骑着自行车在院子里转来转去。      值班警察从窗户伸出头。  ——谁呀?      国荣还在继续转圈儿。      警察跑出来了。  ——半夜三更干什么呢?你以为这是你家呀?      国荣好像根本没听见似的继续转着。  ——你他妈的疯啦      警察上前想抓住他。国荣加快了速度。      警察和国荣你追我赶地在派出所的院子里展开了角逐战。    48.      拘留所会客室。      “巧克派”坐在国荣的对面。  ——需要什么?      国荣低着头默默无语。  ——究竟需要啥?      国荣慢慢抬起头。        国荣的舞伴儿也来了。腿上还缠着绷带。  ——我们组织了一个新小组。为了拿大奖正在玩命地练。拿了大奖好去韩国呀。      国荣还是默默不语。舞伴儿眯着小眼睛偷偷看着国荣小声说。  ——对不起!我也想去韩国看我妈妈。        “舞王”也来了。      “舞王”冲着默默无语的国荣生气地问。  ——为什么???        “录像公主”已经等了好半天。        她把一打酸奶放在国荣面前。  ——怎么想起酸奶了?你不是不喜欢吗?      国荣默默地撕开包装。  ——都拿着!拿去喝吧。喝完了我再给你带。      泪水挡住了“录像公主”的视线,她说不下去了。    49.      吴警官望着铁窗里的国荣。下午的阳光从窗户射进来,洒在孩子小小的后背上。投在墙上的剪影,让人觉得孩子比以往更幼小。      吴警官新奇地看着国荣的眼睛。黑黑的瞳孔是那么天真、单纯、没有一丝恐怖,所以更觉得茫然……      吴警官意思到那是渴望温暖的眼神。        国荣蜷缩在牢房的角落里。他特意找了个角落。      手里拿着酸奶。      看了好半天,才把吸管插进瓶里。      一小口,一小口喝起来。      酸奶瓶弯曲了。吸管犹如吸毒者手里的烟枪,发出了咕噜噜的声音。      可是,国荣还在吸着吸管。      国荣的眼里噙满了泪水。    50.      “巧克派”的房间。      “巧克派”嚼着巧克力派全神贯注地摆弄着电脑。      受朋友的委托,他在制作电脑合成照片。      合成照片完成了!      长白山天池边,国荣和妈妈还有爸爸含着微笑……                               ——完——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20    돌아오지 못한 춘자 댓글:  조회:1989  추천:11  2015-09-14
▲ 조선족 최초 위안부 소재 장편소설이 연재되고 있는 "연변문학"지 ​ 지난주 에 ‘할머니 미안해요'란 제목의 컬럼이 실렸다. 필자는 황호관 목사님이었다. 황 목사님은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간 할머니들 소재인 조선족 작가 김혁의 장편소설 에 나오는 이야기를 소개했다. 춘자 일행이 어떻게 위안부로 끌려왔으며, 그들이 당한 고초를 적나라하게 적었다. 가난한 조선의 딸들은 ‘방직공장 여공 모집’이라는 감언이설에 속아 힘겹게 아리랑 고개를 넘어 일본군 막사에 끌려갔다. 이들은 가난에 허덕이는 가족들을 살리기 위해서 중국의 전선으로 가는 열차에 몸을 실었다. 가는 동안 어디로 가는지를 몰랐다. 이들이 간 곳은 대동아전쟁에 몸을 받치고, 조선의 독립을 방해하는 일본제국의 장병에게 봉사하는 막사였다. 청천벽력과 같은 일이 이국땅에서 벌어진 것이다. 조선의 딸들은 이렇게 일본제국주의자들에 의해 농락당했다. 이 중에는 초등학교를 졸업할 나이인 14.5세의 어린 소녀들도 끼어 있었다. 광복 70년을 보낸 이들의 한은 누구도 풀어주지를 못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일본제국의 패망과 함께 죽음을 맞이해야 했다. 그것도 이국땅에서 말이다. 생각을 하고, 생각을 해도, 치가 떨린다. 결국 대부분 조선의 어린 딸들은 고향으로 돌아오지를 못한 채 만신창이 되어 이국땅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일본은 자신들의 만행이 세상에 알려질 것에 대해 두려워, 일본군은 철수를 하면서 조선의 딸들을 집단 사살했다. 결국 이들은 고향에 돌아오지를 못했다. 이같은 일본의 만행에 대해 참으려고 해도 참을 수가 없다. 목사인 나도 참지를 못하는데 국민들은 오죽하겠는가(?) 말이다. 여기에다. 친일 DNA를 물려받은 족속들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비하하는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으니, 더욱 슬프다. 더욱이 이렇게 희생을 당한 할머니들에게 ‘할머니 미안해’라는 말 한마디를 던지지 못한 나 자신이 부끄럽다. 우리의 소녀들은 일본제국의 희생자로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종군위안부’로 일본군으로부터 농락을 당했다. 여기에 우리의 지식인들은 가난한 가정의 소녀들에게 ‘일본군 위안부’로 나갈 것을 연설하고 다녔다는데 더욱 분노가 치민다. 또 분노하는 것은 일본정부가 역사적 책임을 은폐하기 위해 역사적인 기록들을 없애려고, 파렴치한 범행을 저질렀다는 것이다. 성서는 간음하지 말라고 했다. 그것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 바로 밑에서 농락당한 여성들을 더 이상 같은 민족, 아니 이웃에 의해서 농락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뜻에서 이와 같은 계명을 우리에게 주셨다. 그리고 이들의 한을 풀어주라는 뜻이 담겨져 있다고 본다. 헌데 일본정부는 자신들의 만행을 부정할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일제의 가장 큰 피해자인 정신대와 항일투사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들을 비웃기라도 하듯 자위권 발동, 일본 정치계 인사들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등 군국주의 부활을 꿈꾸고 있다. 분명한 것은 광복 70년을 맞은 대한민국은 일제 36년의 치욕적인 역사를 다시 한 번 돌아보고, 광복 100년을 향한 역사를 새롭게 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친일DNA를 가진 인사들 역시 과거 일본제국주의 아래서 꽃다운 청춘을 빼앗긴 정신대 할머니, 대한독립을 위해 항일무장투쟁을 벌였던 항일투사 앞에서 자신의 언행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깊이 반성하고, 새세상을 향한 행진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김명환/ 인천갈릴리교회 담임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19    난 로봇이다 댓글:  조회:2939  추천:11  2015-09-14
칼럼     난 로봇이다     김 혁     과학환상소설의 거장 아시모프의 “로봇단편소설전집”이 중문으로 출간되였다. 다양한 쟝르소설의 수용과 창작이 척박한 조선족문단에서는 과학환상소설은 제때에 소개되지 못하고 있는 "서러운 쟝르"이다. 지난 80년대 과학분야의 종합지에서 간혹 단편과학환상소설을 실으며 아시모프라는 이름이 잠간 소개된적 있었던것 같다. 유태인 방아간집에서 태여 난 아시모프는 평생에 걸쳐 200여편의 과학환상소설작품을 창작, 로봇의 개발과 응용 과학의 대중화에 거대한 작용을 놀았다. 아시모프의 작품들은 지금도 해외에서 그 인기가 높아 몇해전에도 할리우드에서 그의 단편을 개작한 영화 “난 로봇이다”가 크게 흥행을 보였다.   2   “로봇(robot)”이라는 단어는 1921년 체코의 작가 카렐 차페크의 희곡에서 처음 쓰였다. 희곡에서 나오는 인조인간들을 창조해 낸 천재 과학자의 줄임말, 그리고 체코어로 “로동자”의 의미를 담은 로봇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바야흐로 로봇의 시대다. 산업용 로봇이 거부감 없이 인간 옆에 선것은 1960년대 자동차업계에 등장한 자동화기계에서부터 따져도 벌써 반세기다. 이젠 군사, 의료, 청소 분야를 넘어서 감성로봇까지 등장한다. 아시모프의 필끝에서 “천방야담”의 이야기로만 알았던 로봇이 생활속으로 빠르게 파고 들고 있다. 로봇기술의 혁신으로 인간과 기계의 협업은 더욱 긴밀해질 전망이다.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로봇이 인간을 돕는다.생산 현장에서는 제조 로봇이 근로자와 함께 일한다. 해저•우주탐사 로봇뿐 아니라 가사도우미 로봇까지 등장했다. 로봇청소기는 생활가전의 필수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해외에서는 가정용 로봇이 이미 상품화되고 있어 가사와 방범, 오락, 교육 등 일명 “가족 도우미” 형태로 다양화되고 있다. 업체 관계자들은 첨단기술의 집합체인 로봇산업이 21세기에 가장 성장잠재력이 높은 산업이 될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한다.   3   일전, 여러 매체의 주도로 펼쳐진 ”감동중국 조선족걸출인물”선발에서 유난히 인기를 끄는 인물이 있었다. 할빈공업대학 홍병용교수이다. 중국로봇축구의 아버지로 지칭되고있는 그는 명실상부하게 중국로봇문화예술분야의 개척자로 이름을 기록하고 있다. 그는 처음으로 마이크로 마우스를 연구 개발해 냄으로써 당시 중국에서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붐을 일으켰으며 우주공간   연구프로젝트의 국내에서 선도적인 위치로 우주항천부의 상을 타기도 했다. 더우기 시뮬레이션 로봇축구경기와 완전자률형 로봇축구경기, 상응한 경기 플랫폼을 개발해 냈다. 첨단 과학 분야에 이름을 남긴 중국 조선족 인걸, 그 이름이 아직도 우리에게는 신기 그 자체인 로봇처럼 존외(尊畏)스럽고 자랑스럽다.   “송화강” 2015년 8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18    "압록강"의 용용한 흐름처럼 댓글:  조회:1838  추천:12  2015-09-07
. 축사 . ​ "압록강"의 용용한 흐름처럼 ​ 김혁      심양에 몇번인가 다녀왔는데 개인적으로 그 리유는 지극히 간단했습니다.  심양이 료녕성의 성도로 동북에서도 가장 큰 도회지의 하나이고 또 유네스코에도 등재된 유서깊은 고궁이 있어서 유흥의 심정으로 찾은것도 있었겠지만 그 무엇보다도 우리 민족의 애환이 서린 서탑이 있어서였고 또 기라성같은 외래문자의 홍수속에서도 우리말을 꿋꿋이 구사해나가고있는 료녕신문이 있어서였고 지금은 작고하셨지만 우리 가락을 시줄로 뽑아낸 유명시인 박화선생이 있어서였습니다.  그만큼 우리가 심양을 즐겨 찾는것은 하나의 지역이 단지 볼거리와 먹거리로 매김되는 천박한 기억이 아닌 민족문화의 기호로 단단히 락인된 곳이기때문이라 하겠습니다. ​   불과 십여일전 “장백산” 잡지사에서 연변지역에 와서 문학기행을 조직했습니다. 그때 기쁜 마음으로 동참하여 산재지역에서 온 젊은 문학도들과 함께 두만강, 해란강지역을 답사했습니다. 그러다 오늘은 이렇게 “압록강”이라는 이름으로 산재지역 문인들과 문학향연을 펼치게 되였습니다.  ​미디어의 눈부신 혜택을 받고있는 오늘날 우리는 이렇게 심양에서도 장춘에서도 북경에서도 연변에서도 컴퓨터나 핸드폰 기기만 열면 서로의 문안을 주고받을수 있고 마음껏 문학적 취향에 따른 “문학 메신저”, “문학카톡”도 수다를 떨며 할수 있습니다. 이렇듯 우리는 서로 먼듯 가까이 링크되여 있습니다. ​ 료녕조선문보사가 주관하는 “압록강”문학원지의 발전을 보며 다시 압록강의 어원에 대해 반추해 보았습니다. 압록강이라는 이름은 송나라에서 편찬된 “신당서(新唐書) 고구려전”에 "물빛이 오리의 머리색과 같아 압록수라 불린다(色若鴨頭 號鴨淥水)"라고 기록되여 있는데 이는 리백의 시 양양가(襄陽歌) 중 "멀리 보이는 한수는 오리의 머리처럼 푸르다. (遙看漢水鴨頭綠) "에서 련상해 강 이름을 단것이라는 견해가 유력합니다. 만주어로는 “얄루”, “두 벌판의 경계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조선민족에게는 압록이 “우리”라는 뜻의 고대 조선어를 차자(借字)한것이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이렇게 시인의 붓끝에서 련상된 큰 강가에 우리는 모였습니다. ​   “압록강문학상”도 좋지만 또 “해란강 문학상”, “두만강 문학상”, “가야하 문학상”등등으로 우리문단에는 강으로 이름 지어진 문학상이 유난히도 많습니다.   거개가 민족의 성산 장백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그 강들이 우리 민족의 력사와 정서와 멋을 타고 어우러져 우리 삶의 면면을 적시며 흐르고 민족문화의 장대한 흐름을 이루며 소소리 높이 궁극의 목표를 향해 흘러나아가기를 바라는바입니다.    수상자 여러분들에게 축하를 드리며 평심위원 여러분, 후원자 길경갑선생의 신로에도 경의를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2015년 8월 28일    - 제6회 《기원컵》 압록강문학상 시상식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17    전승절열병식과 조선족 작곡가 정률성 댓글:  조회:3371  추천:13  2015-09-04
칼럼   전승절 열병식과 조선족 작곡가 정률성   김혁      1   9월 3일 중국의 수도 북경 천안문 광장에서 “중국인민 항일전쟁 승리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식과 사상 최대 규모의 열병식이 개최되였다.   중국의 간거했던 항일전쟁 승리의 의미를 되새기는 동시에 첨단 무기를 통해 중국의 군사굴기를 과시하면서 주요 2개국(G-2)으로 올라선 중국의 “글로벌 파워”를 대내외적으로 천명하는 자리에서, 블라지미르 푸틴 로씨야 대통령, 박근혜 한국 대통령,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까자흐스탄 대통령, 최룡해 조선 로동당 비서 등 정상급 외빈 50여명과 각국 외교사절, 중국의 전,현직 지도부 등이 천안문 성루에서 지켜보는 가운데 조선족 음악가의 선률이 천안문광장의 상공에 울려퍼졌다. 그 작곡자는 바로 중국의 군가 “태양따라 앞으로”의 작곡가 정률성이다. ​   2   정률성은 1914년 7월 7일, 한국 전라남도 광주남구 양림정에서 태여났다. 원명은 정부은(郑富恩), 음악도의 꿈을 키우면서 이름을 '선율을 이룬다'는 뜻을 따서 '율성'(律成)으로 바꾸었다. 아버지 정해업(鄭海業)은 일본이 한일병탄을 하자 벼슬을 버리고 향리에 내려와 은거했다. 민족의식이 투철했던 정해업은 자식들에게 일본의 노예교육을 받지 않도록 하기위해 모두 사립학교에 보냈다. 정률성의 첫째, 둘째 형인 정효룡(鄭孝龍)과 정인제(鄭仁濟)는 1919년 '3.1독립만세 운동'에 참가했다가 일본경찰의 체포령을 피해 중국으로 건너갔다. 그들은 이후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 큰 형 정효령은 국내와 중국을 오가며 독립운동을 하다 체포돼 1934년 감옥에서 병사했다. 둘째 형 정인제는 윈난 강무학당을 졸업한뒤 국민혁명군 24군의 중교(中校) 참모로 근무하다 뇌막염으로 세상을 떴다. 부형(父兄)의 영향을 받아 침략자 일본을 증오한 정율성은 어린 나이인 15살 때 전주 사립 신흥중학교를 다니다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했다. 정률성의 매형 박건웅(朴健雄)은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한뒤 북벌전쟁에 참여한바 있다. 그는 1932년 조선 독립투쟁 단체인 의렬단 단장 김원봉(金元鳳)이 교장으로 있는 '조선혁명 군사정치 간부학교'의 교육 주임으로 있었다. 1933년, 정률성은 중국으로 망명한 형들을 따라 부산, 일본, 상하이를 거쳐 중국 남경에 이르렀다. 남경에서 “의렬단”이 꾸린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학과를 배우고 이어 조선민족혁명당에 가입하였다. 이곳에서 정율성은 의렬단 단장 김원봉의  지시로 난징과 상하이간의 일본인 전화를 도청하는 비밀공작을 했다. 김원봉은 정율성이 음악을 좋아하는 것을 알고 주말에 상하이에 가서 공부하도록 지원했다. 반일활동을 하는 한편 시간을 짜내 러시아인 크리노와교수에게서 성악을 배웠다. 크리노와교수는 정율성의 음악천부를 높이 평가하여 그를 이탈리아의 저명한 음악가에 비하여 “동방의 카루소”라고 격찬하였다.   20대의 정률성    1937년 정률성은 상해 부녀구국회 지도자이며 조선혁명가 김성숙의 안해인 두군혜의 도움으로 “중국혁명의 성지” 연안으로 떠나게 된다. 열아홉살의 정률성은 바이올린과 만돌린 그리고 “세계명곡집”을 지니고 간난신고를 겪으며 연안에 도착하였다. 연안에서 로신예술학원을 나왔고 “팔로군 행진곡”, “연수요”, “항전돌격운동가”등 50여 수의 악곡을 창작하였다. 팔로군은 1937년 제2차 국공합작 후에 설립 된 공산당의 주력부대로서 신사군과 함께 화북 지방에서 항일전의 최전선을 담당했다. 당시 팔로군과 손잡고 조선의용대도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팔로군의 통일전선 파트너였던 조선의용대는 대일 전선에서 스파이와 배후교란 등 매우 위험한 임무를 기꺼이 맡고있었다. ​   연안시절의 정률성   정률성은 연안에서 탁월한 작사자 두 명을 만나는데 “팔로군 행진곡”의 작사자인 공목(公木)과 “연안송(延安頌)”의 작사자인 녀전사 막야(莫耶)이다. 1939년 정률성은 시인 공목에게 자신이 구상하고 있던“팔로군 행진곡”의 노래말을 써줄것을 부탁한다. 전선에서 풍부한 전투경험을 쌓았던 공목은 자신의 생생한 경험을 녹인 노랫말을 정률성에게 건네주었고 정률성은 같은해 8월에 곡을 완성한다.   “전진 전진 전진!/ 태양을 향한 우리의 대오/ 조국의 대지 위에 섰다/ 민족의 희망을 안은/ 우리의 힘 막을자 누구냐/ 우리는 싸움의 전위/ 우리는 민중의 무장/ 두려움없이 굴함 없이 용감하게 싸워/ 왜놈들을 국경밖으로 몰아내자/아,나팔소리 울린다/ 아 항전의 노래 우렁차다......!”   1939년 겨울, “팔로군 행진곡”은 로예술학원 음악부에서 등사판 소책자로 책으로 엮어져 연안 전체와 전군, 전후방 할것 없이 배포되였다. 이듬해 정률성의 지휘 아래 “팔로군 행진곡”의 첫 공연이 연안에서 열렸다. “팔로군 행진곡”은 건조한 황토고원에서 불붙듯 삽시간에 퍼지면서 모든 항일전사들의 가슴에 깊이 아로 새겨졌다. 격정과 기백이 차넘치는 “팔로군 행진곡”은 군민의 항일의지를 북돋우어주면서 재빨리 널리 류전되였다. 그후 이 노래는 “중국인민해방군행진곡”으로, 1988년에 이르러서는 “중국인민해방군군가”로 채택되였다. 1990년 9월 북경에서 열린 아시안게임 개막식 역시 정률성 작곡의 이 노래의 연주로 시작됐다.   연안 시절 정률성은 그 후날 중국 최초의 여성대사로 주 덴마크, 주 네덜란드대사가 된 정설송과 결혼하여 화제를 뿌리기도 했다. 열아홉 살 나는 사천의 처녀 정설송은 뛰여난 사업 능력과 미모로 연안에서 소문 높은 인기 인물이였다. 그녀는 “연안송”의 작곡자인 정률성을 몹시 숭배하였다. 하지만 정률성의 외국인 신분에 걸려 둘의 사랑은 곤경에 처하였다. 이때 마침 팔로군 포병퇀 퇀장 조선인 무정장군이 마침 연안에 도착하여 정률성에 대해 담보하고 나섰다.    무정은 정율성을 무척 좋아해 막내 동생으로 여겼다. 무정은 두 사람의 순탄치 않은 연예관계를 듣고 이렇게 말했다. "난 정율성을 잘 안다. 뿐만 아니라 율성의 큰형과 둘째 형을 알고 있다. 정율성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의 집안은 혁명가의 가정이다. 나와 율성의 둘째 형은 한 지부에서 조직생활을 한일도 있다." 이국적 청춘남녀는 시련을 거쳐 드디여 1941년 말 혁명성지에서 결혼식을 올리게 되었다.  이듬해 딸 정소제(郑小提)가 태여났다. 결혼후 정률성은 무정장군을 따라 조선의용군 소재지인 태항산에서 조선혁명군사학교 교육장을 담임하였다. 그는 학생들을 이끌고 탄우가 비발치는 전쟁터에서 선전을 벌리기도 하고 대중가요창작활동도 펼쳐 나갔다. 그가 창작한 “조선의용군행진곡”과 ”혁명가”등은 중국의 하북과 동북의 항일근거지의 조선의용군들속에서 널리 불려졌다. ​   숙명의 동반자 정설송과   1945년 8.15해방을 맞은 뒤 정률성은 조선의용군과 함께 조선으로 나갔다. 황해도 선전부장을 지냈으며, 해주음악전문학교를 세웠고 보안간부훈련대대부협주단(조선인민군협주단의 전신)을 창건하여 초대 단장을 역임했으며 조선국립음악대학 작곡학부장에도 부임했다. 그 몇 년사이 ”두만강”, “동해어부” 등 30수의 가곡 그리고 “조선인민군군가”를 작곡했다. 김일성 주석은 1948년 그 공로를 인정해 정률성 선생에게 표창장을 수여하기도 했다. “조선인민군군가”는 지난 2006년과 2007년 방북한 김대중 대통령과 로무현 대통령을 맞이해 인민군 군악대가 연주하기도 했다. 중국의 저명한 음악평론가 겸 작곡가 당하(唐河)는 “전 세계에서 한 사람이 두 나라의 군가를 동시에 작곡한것은 극히 드문 일일것”이라고 극찬했다. 이로서 정률성은 두 나라 군가 작곡자로 세계에 유례없는 기록을 남겼다. ​   평양에서 어머니를 모시고   1952년 정률성은 중국에 돌아와 북경인민예술극원, 중앙악단에서 전업작곡가로 있었다. 이 시기 그는 중국의 윈남, 따리등 오지를 찾아다니며 민요수집에 전력하였고 아이들을 위하여 ”평화의 비둘기”등 명동요를 창작하였으며 또 모택동주석의 시사 34수에 곡을 붙이기도 했다. 10년의 “문화대혁명”이 결속되자 창작의 봄을 맞이했던 정률성은1976년 12월 7일 북경 교외의 강에서 물고기를 낚다가 뇌익혈로 쓰러졌다. 향년 62세였다. 사후 정률성은 “팔보산 혁명렬사릉”에 묻혔다. 비문엔 이런 구절이 새겨져 있다. “인민은 영원하며, 률성동지의 노래도 영원하다. 중국인민은 그의 노래를 부르면서 일제 침략자들을 몰아냈고, 낡은 중국을 뒤엎었으며, 새 중국을 건립했다.” ​   만년의 정률성   1978년 북경 음악출판사에서 “정률성가곡선”이 출판되였고 2009년에는 “신중국 창건영웅 100인”중의 한 사람으로 당선되었다. 40여년의 음악생애에서 각종 쟝르의 음악작품 360여수를 창작한 정률성은 중국현대음악사의 한 획을 그으면서 영원한 “인민음악가”로 추앙받고 있다. ​ 3   정률성의 일대기는 일찍 중국의 조선족 영화인들에 의해 영화로 제작되여 스크린에 오른바 있다. 2002년 연변 조선족 자치주 성립 5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영화에는 중국영화계의 쟁쟁한 일군들이 대거 투입되었다. 감독으로는 중국드라마부분 최고의 상인 “금독수리”상과 “비천”상을 석권한 중국인 감독과 조선족 감독인 박준희가 메가폰을 잡았고 중국영화계 최고의 상인 “금계상”과 “백화상” 수상자들이 정률성과 부인 부인 정설송역을 맡았다. 영화는 연안에서 뿐만 아니라 북경, 톈진, 창춘 그리고 연변지역을 폭넓게 전전하면서 외경을 찍었다. 영화는 만들어진 후 평양국제영화제에서 특별상을 받았고 한국광주영화제에도 초청, 상영되였다.   지난해7월 방한한 시진핑 주석이 서울대 강연에서 중·한 우의의 상징으로 정률성을 언급하다시피 중국에서의 정률성의 위상은 높다. 하지만 고향이 한국인 한국사회에서 정률성이라는 이름은 오래동안 금기시 되어왔다. 지난 세월 이념과 랭전(冷戰)의 장벽속에 갇혀서 정률성 선생의 실체는 한국인들에게는 오래동안 베일속에 가려 있었던것이였다. 그러다 최근 정률성 탄생 100주년을 계기로 중한 량국에서는 기념음악회, 일대기 영화화 등 관련 행사들이 잇달아 열리면서 그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이 활발히 일고 있다.   한국에서는 아직도 정률성에 대해 이념의 색안경을 건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심한 이데올로기의 질곡이 여전히 한 천재음악가의 명성과 자유를 옥죄고 있다. 때문에 정률성과 그의 가족들에 대한 항일독립투쟁 포상은 물론 공적조차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제의 살벌하고 등등한 치하 당시 수많은 독립운동가, 애국투사들이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했는데 이는 독립운동의 한 방편이었음은 엄연한 사실이고 그들의 치렬한 반일의식에 대해서도 세상이 다 아는 일임에도 말이다. 정률성선생이 한국 광주에서 태여나 중국에서 반일에 투신했고 음악을 무기로 우리 민족의 혼을 전해 세계인을 감동 시킨 민족의 대음악가라는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두 나라의 군가를 작곡한 진귀한 기록을 세워놓은 인물로서 선생은 일제치하 중국대륙을 무대로 항일독립운동에 투신하면서 국가의 자존과 민족의 얼을 잊지않았고 몸과 혼을 불살랐다. 음악가로서나 혁명가로서나 그이는 온 민족의 추앙을 받을 만한 선각자임이 분명하다.   총 100분 가량 진행된 전승절 열병식 전 과정은 중국중앙 텔레비의 주요채널들을 통해 생중계되고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로 전송됐다. 그와함께 정률성이 남긴 장쾌한 선률은 온 누리에 메아리쳤다.   2015년 9월 3일   -“청우재(听雨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중국 인민해방군가 정률성 작곡/ 공목 작사  (삼각버튼을 누르세요)  
316    문화·학술행사로 꽃피우는 만해의 얼 댓글:  조회:1907  추천:10  2015-09-01
문화·학술행사로 꽃피우는 만해의 얼   ‘제17회 만해축전’ 11~13일 인제 만해마을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민족시인이자 타협하지 않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투쟁했던 만해 한용운 스님의 생애와 사상을 기리는 만해축전이 8월 11일부터 사흘간 강원도 인제군 만해마을 일원에서 열린다. 17번째를 맞는 올해 만해축전의 대주제는 ‘해방 70년, 분단 70년, 민족문학의 역경’이다. 만해 축전은 행사 기간 동안 시상식, 학술행사, 문화행사, 만해 스님 71주기 추모행사 등 각 분야별로 20가지가 넘는 크고 작은 행사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한다. 우선 만해축전 행사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제19회 만해대상 시상식’은 12일 오후 2시 인제 하늘내린센터 대공연장에서 열린다. 만해 스님의 삶과 사상을 기려 오늘에 되살리기 위해 제정한 ‘만해대상’은 평화, 문학, 학술, 예술, 실천, 포교 등 6개 분야별로 100여 명의 국내외 인사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올해는 평화부문에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대 교수, 실천부문에 히말라야 빈민구제활동가 청전 스님과 발달장애인공동체 무지개공동회, 문예부문에 황병기 가야금 명인과 정현종 시인,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를 각각 선정했다. 이에 앞서 11일 오후 6시 30분 만해마을 님의침묵 광장에서는 만해 스님의 문학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해 제정한 ‘제13회 유심작품상 시상식’이 열린다. 올해는 박형준 시인과 김복근 시조시인, 이숭원 평론가가 작품상을 수상한다. 만해 한용운 스님의 문학정신을 계승 발전하고, 새로운 시대정신과 문화예술 창조를 위해 진행하는 ‘학술심포지엄’도 행사 기간 중 7차례 열린다. 11일에는 만해연구소의 ‘만해 한용운, 전통과 근대 그리고 탈근대’와 창작21작가회의 ‘해방 70년 분단 70년 민족문학의 역경’ 두 학술심포지엄 마련됐고, 12일에는 현대불교문인협회의 ‘현대 불교시인 연구’, 유심시조아카데미의 ‘사설시조의 위상과 현대적 계승’, 창작21작가회의 ‘평화 시낭송회가’가, 13일에는 시와세계의 ‘설악 큰스님 만해축전 창립·고별 심포지엄’, 한국시인협회의 ‘21세기 한국 시문학의 가능성’ 등 심포지엄이 각각 열린다. 사전행사로 6월 27일엔 동악어문학회가 ‘동국문풍과 한국 근대불교문학 전통’, 7월 28일엔 불교평론의 ‘불교와 내셔날리즘’, 7월 31일엔 만해학회의 ‘만해 한용운과 허영호’가 각각 진행됐다. 이밖에 강원일보사의 ‘전국고교백일장’(12일)과 강원도민일보사의 ‘님의 침묵 서예대전’(12~16일), 인제신문사의 ‘님의 침묵 전국 백일장’(13일), 니르바나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청소년 음악캠프’(4~10일), 어린이날다협동조합의 ‘어린이 미술캠프’(12~14일) 등 문화예술행사와 만해축전추진위원회의 ‘유성기 소리마당’(12일)과 ‘설악·금강 공연’(14일), 서사문화연구소의 ‘청년만해학’교(12~14일) 등 만해 스님 71주기 추모행사도 다양하게 마련했다. 행사의 서막을 알리는 전야제 행사는 11일 오후 7시 만해마을 님의 침묵 광장에서 열린다. 니르바나필하모닉오케스트라과 포크송·록밴드 공연, 유심시조아카데미의 ‘시·시조 낭송 콘서트’ 등의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불교저널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15    “항일민족교육의 요람” 서전서숙 댓글:  조회:2320  추천:13  2015-09-01
룡정지역 항일유적지 순람 (1)   “항일민족교육의 요람” 서전서숙   김 혁   ​올해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쑈전쟁 승리 70돐이 되는 해이다. 중국조선족이 항일전쟁과 해방전쟁에서 치른 공훈은 력사의 한페지로 뚜렷이 남아 있다. 본지는 중국조선족 문화의 발상지이자 항일의 책원지였던 룡정지역을 중심으로 소설가 김혁과 함께 하는 유적지 순람을 "겨레의 창"에 련재한다. ​ - 편집부​ ​ 룡정시 문화로 91번지에 위치한 룡정시 실험소학교 정원에 들어서면 철봉대며 그네로 조성된 운동장 동쪽 가녘에 소소리 솟은 아름드리 비술나무가 보인다. 일견에도 수령이 만만치 않은 나무이다. 나무아래에는 현판 하나가 세워져 있다. 현판에 새겨진 내용은 이러하다. “반일민족지사 리상설은 조선족의 후대교육을 위하여 1906년에 자기의 재산을 내놓아 이곳에 ‘서전서숙’을 세웠다…” 비술나무곁에는 자연석을 다듬어 건립한 기념표지석이 있다. 석비에는 한자와 조선문으로 “서전서숙(瑞甸书塾) 옛터”란 글자가 음각되여 있다. 석비옆에는 또 하나의 작은 석비를 두어 서전서숙옛터 비문을 담았다. “1906년 10월 애국지사 리상설은 이곳에 연변 최초의 조선족근대학교요  민족교육의 요람인 서전서숙을 개숙하였다…”   연변력사학회와 룡정 3.13기념사업회가 2007년에 펴낸 “서전서숙 100돐기념문집 '력사의 종소리’”를 펼치면 당년의 서전서숙의 원 모습이 찍힌 색 바랜 사진 한 장을 볼수있다. 정갈한 초가 앞마당에 흰옷 입은 사람들의 모습이 보이는데 마당의 울바자기둥에 “서전서숙(瑞甸书塾)”이라고 새긴 현판이 또렷이 걸려있는 사진이다. ​ ​ ​ 서전서숙의 원 면모를 보여주는 옛 사진   1906년 초 여름, 리상설, 리동녕, 려준 등 반일지사들은 해외에다 민족독립운동기지를 건립할것을 결정, 곳을 북간도 룡정촌으로 정했다. 그 반일지사들의 선두에 섰던 리상설은 1870년 음력 12월 7일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태여났다. 25세때에 조선왕조의 최후의 갑오문과 병과에 급제하면서 관료의 길에 들어섰다. 하지만 여러 관직은 일제가 통제함으로 일일이 사임하고 최후로 의정부 참찬으로까지 발탁되였으나 그것도 마다하고 동지들과 망명의 길에 올랐다. 리상설은 인천에서 중국 상선을 타고 상해로 갔다가 다시 울라지보스토크를 경유, 여름철에 룡정촌에 도착하였다. 룡정촌에 도착한 리상설은 유지  최병익이 새로 지은 널직한 8간집을 매입하고 “서전서숙”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맨 처음 학생 22명을 받아들이고 신식교육을 실시하였다. 때가 바로 1906년 10월경이였다. "서전서숙"의 건평은 70평가량되였고 교원의 월급이거나 교재, 학생들의 지필묵에 이르기까지 모든 경비는 초대숙장 리상설의 자산을 처분한 자금으로 충당하였다. 서전서숙은 모든 수업에서 반일사상을 관철하는것을 첫째로 가는 준칙으로 삼고 학생들에게 반일의식과 민족의식을 주입시켰다. 동척에서 발행한 “간도사정”이라는 책자에서 보면 당시 상인으로 가장하고 서전서숙을 기웃거리다가 랭대를 받은 일본 밀탐의 일화가 사뭇 극적이다.  1907년 일본통감부는 륙군중좌 사이또와 사무관 등 일행은 룡정촌에 도착하여 서전서숙을 찾았다. 이자들은 상업관찰 도중에 들렸다고 에두르면서 때는 정심시간이므로 지니고 온 도시락을 먹기 위해 온수와 식기를 빌려달라고 했다. 그러나 교원들은 빌려줄수 없다며 랭랭히  이를 거절했다. 리상설의 경우는 일언반구의 질문도 없이 출타하였다. 때문에 일행은 하는수 없이 강변에 가서 강물로 목을 축여가며 식사를 끝냈다고 했다. 당시 이들의 일본에 대한 태도가 얼마나 강인하였는가 알수 있는 대목이다. 1907년4월, 화란의 수도 헤이그에서 개최되는 제2차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참석하게 되면서 리상설은 룡정을 떠나게 되였다. 떠나면서 리상설은 려준에게 서전서숙 숙장의 중임을 맡겼다. 려준은  김우용, 황달영, 박정서 등과 함께 계속하여 서숙을 운영해나갔다. 일본통감부파출소에서는 서전서숙을 눈에 든 가시처럼 여기고 가는곳마다에서 간섭, 저애했다. 회유정책으로 보조금을 지불하겠으니 합작하여 운영하자고 구슬리기도 했다. 이에 서전서숙은 오연하게 거절했다. 련이어 들이닥치는 경제난과 일제의 부단한 간섭속에서도 서전서숙은 몸부림치며 그 올곧은 자세를 이어나가고자 했다.  1907년9월경 서전서숙의 교원들과 학생들은 로씨야로 갈 목적으로 룡정을 떠나 훈춘현의 탑도구(塔道沟)에 이르렀다. 그들은 거기에서 1년간의 수업을 끝맺고 비장한 졸업식을 올린 후 3개 반 74명을 졸업시켰다.   ​ 반일지사 리상설   현재 룡정실험소학교 운동장 동쪽 켠에는 쏘련홍군동북해방기념탑”과 “심련수시비”와 더불어 “리상설 정(李相卨亭)”가 세워져 있다.  6각정자의 천정에는 리상설선생의 화상(画像)이 그제날 서전서숙교사를 뒤배경으로 모셔져 사생들과 관광객들을 굽어보고있다. 한편 일제의 횡포를 세상에 알리고자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로 떠난 리상설은 리준, 리위종등 특사들과 함께 각국의 대표단을 만나고 거리에서 전단지를 배포하며 조선독립을 호소한다. 그러나 일본측의 강압적인 방해로 회의참석은 좌절되고 특사들은 회의장밖으로 쫓겨나고 만다. “간도서전서숙와산실록”에는 당시 이 소식을 접한 서전서숙의 표정이 이렇게 기록되여있다. “헤그만국회의에 조선대표들을 참가시키지 않기로 하였다는 비보가 우리 학교(서전서숙)에 전하여오자 전교의 교직원, 학생들은 대성통곡하였다.” 통한을 품고 헤이그에서 돌아선 리상설은 구미와 씨비리, 중국에서 전전하면서 독립활동기지를 세웠고 지사들과 조직을 결성하며 반일과 독립운동을 위해 로심초사하였다. 1917년 3월, 리동녕 등 애국지사들은 쌀쌀한 겨울바람이 부는 수분하 강가에서 한 반일지사의 시신을 화장한다. 그는 바로 뜻을 이루지 못한 채 병을 얻어 1917년 47세에 이국 낯선 땅에서 눈을 감은 리상설이였다. 안중근은 "리상설의 포부는 대단히 크다. 세계 대세에 통하고, 동양의 시국을 간파하고 있다. 여러 해에 걸쳐 그의 인물을 보니 기량(器量)이 크고 사리(事理)에 통한 대인물로서 대신의 그릇을 잃지 않는다."고 했으며 그의 죽음에 대해 아쉬워했다.   ​ 서전서숙 기념표지석 (사진: 리련화 기자)   서전서숙은 그후에도 세월의 영욕을 같이하며 100여년의 로정을 걸어왔다. 학교는 력사의 변천과 더불어 16차나 이름을 바꾸었다. 일제가 투항하기전에는 간도보통학교, 간도중앙학교, 흥중국민우급학교 등으로 불리웠고 그후에는 3.1소학교, 룡정중심소학교 등등의 이름으로 개칭되였다가 오늘의 룡정실험소학교로 되였다. 지난 백여년간 룡정실험소학교는 총 4만여명 학생을 졸업시켰다. 그 가운데는 항일에 뛰여들어 렬사가 된 이들도 있고 고위급 군관이 된 이들도 있으며, 과학기술 연구등 첨단 분야에서 커다란 기여를 한 분도 있다. 서전서숙은 비록 1년미만의 짧은 력사를 기록하였으나 일제강점기 중국조선족민족교육의 첫장을 펼침으로 하여 민족의 반일운동사와 교육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있다.   "연변일보" 2015년 6월 2일​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14    할머니 미안해요! 댓글:  조회:1915  추천:17  2015-08-19
칼럼 할머니 미안해요! 황 호 관 (예장개혁 증경총회장, 논설위원)         며칠 전에 연변에 다녀오는 길에 우연찮게 6월호를 손에 넣게 되었다. 청담이라는 필명을 사용하시는 분은‘연변문학은 연변에 삶의 터를 잡고 살아가는 우리 피붙이들의 고통과 애환과 고민을 지역문인들이 뜨거운 가슴으로 담아내는 순수문예지’라고 소개한다. 연길의 조선족 문인들 중에는 한문으로 작품 활동을 이어가는 분들도 있지만 과 같은 월간문예지를 통하여 그 맥을 면면이 이어가고 있다니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이곳 문인들은 일제강점기에도 조국광복의 염원이라는 지상과제를 안고 분투노력하였으며, 지난 반세기 동안 한 번도 거르지 않고 월간 문예지를 속간해 오고 있다고 한다.   연변문학은 인천공한에 도착하기까지 두어 시간동안 나의 시선과 생각을 사로잡았다.   특히 장편소설 (6) (김혁 著)은 지금까지 내가 얼마나 무심한 세월을 살아 왔는가를 돌아보며 가슴을 치게 하는 충격을 안겨주었다. 작가 김혁 님에 대해서 전혀 아는바 없지만 그러나 그는 나에게 분명한 목소리로“당신에게도 의식이라는 것이 있기나 하오?”하고 묻고 있었다.   연재물이기 때문에, 그것도 이미 5회분은 지나갔고, 6회분뿐(22 페이지)이니 어찌 그 내용을 다 파악할 수 있으랴만 다행인지, 불행인지 단 한 가지만은 의심할 바 없는 사실로 각인시켜 주기에 충분했다.   주인공 춘자와 그 일행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공포의 쑥색지대, 일본군 막사까지 끌려가게 되었는지 그 여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가난한 조선의 딸들이기에 돈을 벌어야 한다는 절박한 상황에서이라는 감언이설은 의심해 볼 여지도 없었다. 선금 10원을 받아 부모님 손에 쥐어 드리고 부자의 포부를 안고 완행열차에 몸을 싣고 이름도 모르는 간이역까지 실려 왔는데 완장 두른 왈패 같은“대일본제국의 장병들을 위해 봉사는 일이다. 대동아 성전을 위해 몸을 바치고 있는 그들의 지친 몸을 위로해 주는 일”을 하게 되었다니 이런 날벼락이 또 있다는 말인가?   춘자 일행 중에는 14,5세 돼 보이는 아주 어린소녀도 섞여 있었다니 어안이 벙벙할 뿐이었다. 어쩌다가 나는 이런 참담한 모양으로 할머님들께 미안합니다하는 말 한마디 못하고 여기까지 왔다는 말인가?   돌아보면 일본군‘위안부’문제가 본격적으로 떠오른 1990년대 초에는‘정신대’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정신대는‘일본국가’를 위해 솔선해서 몸을 바치는 부대라는 뜻으로 일제가 노동력동원을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위안부’와는 그 성격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이때 일본에서는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지만‘종군’이라는 말에는 종군기자, 종군간호사처럼 자발적으로 군을 따랐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서 강제로 동원했거나 아무것도 모르는 가난한 소녀들을 감언이설로 속여 유인한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은폐하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 될 용어이다.   70년 세월이 지났지만 지금도 우리 할머니들의 아물 줄 모르는 깊은 상처에서는 선혈이 흘러내리고 있음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 분들, 아니 우리가 안고 있는 일본군‘위안부’문제는 현재진행형으로서 과거사로 돌리기에는 아직은 너무 이르다. 지금도 엄마여서 미안하다시며 숨도 크게 쉬지 못하는 마흔 일곱, 차마지지 못하는 대한 꽃들이 피보다 진한 눈물을 쏟아내며 일본제국주의의 유물 아베의 당치도 않은 망언에 치를 떨고 계신데, 어떻게 70년 전에나 꾸었더라면 좋았을 악몽쯤으로 돌린단 말이며, 미안한 엄마의 그늘 아래서 죄지은 이방인처럼 숨죽여 살아가는 자녀들은 어쩌라고 과거사로 덮자하는가? 그럴 수는 없다. 기독교한국신문 | 2015.08.17    황 호 관 (예장개혁 증경총회장)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위안부 피해자 쉼터인 "나눔의 집" 에 계신  위안부 할머니들이 옛적에 신세를 한탄하며 눈물로 불렀다는 "흐르는 강물처럼"  
313    피서(避暑)의 방식 댓글:  조회:2763  추천:13  2015-08-19
. 칼럼 . 피서(避暑)의 방식 김 혁         1 에어콘이 고장났다. 하필이면 이 삼복더위에.  판매상과 련계해 고치려니 이핑계 저핑계 시종 찾아주질 않는다. 그렇다고 스스로 뜯어 가져가기도 번거롭고해서 더위에 대처할 궁여지책으로 구석에 처박아 두었던 구식 선풍기를 꺼내 먼지를 닦고 다시 돌렸다. 개운치 못하다. 나의 애견 두마리도 더워에 꼬리를 사린채 혀를 잔뜩 빼물고 있다. 빈 콜라병에 물을 채워 랭장고에 얼구었다 꺼내주니 두 녀석 다 찬 병에 배를 딱 붙이고 엎드려 있다. 그래도 여전히 더운지 혀를 빼물고 주인장을 빤히 쳐다보며 할딱거린다. 더웁기는 사람이나 매 한가지다. 본격적으로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사람을 들볶는다. 불볕더위란 말이 명실상부하게 다가온다. 게다가 올해는 이례적으로 삼복이 왕년보다 열흘이나 더 길다고하니 이 더위를 어떻게 지낼지 짜증부터 앞선다.   2 요즘 세월에는 에어콘이다 선풍기다 랭장고다 해서 그나마 더위를 쉽게 보내지만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이 더위를 물리쳤을가? 살펴보니 옛사람들은 더위나기에 무척 고심했고 그 노력은 나름 이채롭기까지 했다. “오월춘추 (吴越春秋)”의 기재를 보면 춘추시기 여름이 되면 궁정에서는 얼음찬장 (冰厨) 을 만들었다고 한다. 월나라 왕 구천(勾践)은 가장 더운 삼복기간이면 그 얼음 찬장”에서 지냈다고 한다.  당나라때에 이르러서는 한수 더 떠서 궁정에 기계의 힘을 빌어 좌우로 움직이는 부채를 설치했다고 한다. "극록담(克录谈)이란 책에도 룡피선(龍皮扇)이라는 부채가 등장을 하는데 신라의 스님들이 가져온 특수 어피(漁皮)로 만든 이 부채는 당나라의 대부호가 소유했던 것으로 이 부채는 흔들지 않아도 저절로 부채에서  찬 바람이 나왔다고 적고 있다. 요즘의 선풍기의 비조(鼻祖)라고 할가.  그리고 또 찬물을 관작들의 거처의 지붕으로부터 내리부어 인공비줄기를 만들었는데 그 장면이 실로 가관이였다. 이러한 피서 장치가 되여있는 집을 “수정(水亭)”이라고 불렀다. 당나라의 경국지색 양귀비는 더운 여름엔 설산의 눈속에서 자란 누에 꼬치에서 뽑아낸 명주 실로 짠 빙잠옷(氷蠶衣)을 입고 더위를 이겨 냈다고 한다 이 옷을 입고 있으면 더위가 석자 앞에서 물러 났다나? 거기다 양귀비의 오라비 양국충의 피서법도 가히 사치와 호사의 극치 였다, 빙병(氷屛)이라 하여 얼음으로 만든 병풍을 만들어 쳤는데 그 얼음병풍에다 산수화나 “십장생”그림까지 새겼다고 한다. 얼음병풍을 치고 연회를 벌이다가 지나치게 추워지면 기생들을 홀랑 벗겨  그 체온으로 냉기를 중화 시켰다 하는데 이를 가리켜서는 육병(肉屛)이라 했다. 그야말로 피서 무도(避暑无道)가 아닐수 없다, 청나라때에는 임금과 황후들이 궁정을 나와 피서지로 가는 방법이 류행되였는데 그래서 오늘의 유람성지인 하북 승덕(承德)피서산장이 생겨나게 되였다.  문헌 "두양잡편"(杜阳杂篇)에서는 특이한게 눈에 띄는데 신기한 화분 한점을 키워 이를 창문에다 올려 놓으면 더운 바람이 지나면서 저절로 시원한 바람으로 바뀐다고 했다. 봉황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 해서 "봉수목(鳳首木)"이란 이름이 붙은 이 화분은 이를 방안에 두면 서너칸 랭방은 거뜬 했다고 한다, 이러한 피서백태(百態)는 더위에 시르죽은 마음들을 무마하기 위한 전설이라 여겨진다.   우리민족의 선조들도 더위를 물리치기 위해 갖은 방법을 동원하였다. 먼저 열(热)로서 더위를 다스리는 “이열치열 (以热治热)”의 방법이 있다. 이맘때 딱 좋은 음식으로 삼계탕과 개장국을 든다. 당연히 “이랭치열(以冷治热)”의 방법도 있다. 참외, 수박 같은 과일을 흐르는 물에 담가두었다가 먹고 싶을때 꺼내 먹군했는데 그 시원 달콤한 맛은 무더위를 싹 가시게 한다.  남녀로소 할 것 없이 즐겨 입었던 것은 삼베옷, 모시옷이다. 더위가 계속 이어질 때는 생모시로 된 고의, 적삼 또는 치마를 해 입었다. 이런 옷들은 습기를 흡수하고 통풍이 잘 되였다.  통풍과 해볕 가림을 하기위해 발을 치고 돗자리를 깐다. 발이 처진 방안에 돗자리를 깔고 누우면 더위도 한 발 물러서게 마련이다. 낮잠이라도 청할 양이면 없어서는 안될 것이 목침이다.  다음 탁족(濯足)이라는 운치있는 방식이 있다. 말 그대로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흐르는 물에 더위를 씻어내는 일이다. 록음이 만드는 짙은 그늘과 귓가를 스치는 요란한 물소리가 한여름 더위를 단번에 사라지게 한다.. 더위 피해 물 가에서 다투어 발 담그니(避暑水边爭濯足)… “도하세시기속시(都下岁时紀俗诗)” 중의 한 구절이다. 탁족은 몸의 열을 내모는 기 순환의 원리를 리용한 것이다. 즉 발은 모든 신경이 모여 있는 곳으로 발을 식힘으로써 온몸에 찬 기운을 불어넣는 리치이다.     호젓한 계곡을 찾아 흐르는 물에 신심을 담그고 속세의 번뇌를 씻어내리며 그윽한 시조 한수 읊조리는 일, 그야말로 운치있는 더위나기가 아닌가!   3 옛사람들에게 또 하나의 유용한 피서법으로는 책읽기가 있다. “열하일기”의 저자 연암 박지원은 사촌형에게 보낸 편지에서 “옷을 벗거나 부채를 휘둘러도 불꽃 같은 열을 견뎌내지 못하면 더욱 덥기만 할뿐, 책읽기에 착심(着心)해 더위를 이겨나갈 것”을 충고하기도 했다.  사실 책읽기 정말 힘든 계절이다. 눅눅한 습기와 끈적끈적한 무더위, 어지간히 책에 대한 애정이 없다면 손에 책을 잡고 있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이런 무더위를 책을 통해 날려버릴 수도 있으니 여름과 책의 관계는 역설 그 자체이다. 책읽기를 뜻하는 한자말에는 독서말고도 “간서(看书)”, 그리고 “피서(披书)”라는 말이 있다. 그러고不上보니 “피서(披書)”와 “피서(避暑)”는 음이 꼭 닮았다. 독서야말로 습하고 더운 일상에서 벗어나는 가장 쉽고 매우 저렴한 길이 아닐가 한다.  올 여름엔 독서삼매경에 빠져 망서(忘暑)하리라!    -“청우재(听雨斋)”에서   “문화시대” 2011년 4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12    영화"암살"의 녀주인공과 "간도참변" 댓글:  조회:4823  추천:16  2015-08-18
. 력사만필 .  ​ 영화"암살"의 녀주인공과 "간도참변"   김혁    영화 “암살” 포스터, 영화 속의 녀주인공 안윤옥은 “경신참변”에서 어머니를 잃었다.       한국영화의 흥행신화를 다시 쓰면서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는 영화 “암살”에서 톱스타 전지현이 주연한 안옥윤은 “간도참변”에서 어머니를 잃는다.   또 한 부의 의열단활동을 다룬 영화 “아나키스트” (개봉: 2000년, 감독: 유영식, 출연: 장동건, 정준호, 김상중, 이범수, 김인권)에서도 주인공 상구는 경신년 간도 대학살에서 친지를 잃고 상해로 와서 의열단에 가입한다.   “간도참변”은 “경신간도학살사건”이라고도 불린다.   1920년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일어났던 청산리전투에서 크게 패하면서 일본군은 그 보복으로 한인사회· 항일단체. 학교· 교회 등을 초토화시켰다. 간도참변으로 조선인 1만여 명이 피살되었다고 전해지며, 이 참변으로 간도를 포함한 동북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였던 조선인 사회 및 항일단체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간도참변”중에서도 가장 비참했던 사건은 “장암동 학살사건”이다. 한국의 “제암리 학살사건”에 비견되는 사건으로 “간도참변을 떠올리면 모두 “장암동”부터 떠올린다.   경신년간도대학살의 현장을 찾았다.     청산리, 봉오동 대첩에서 연전연승한 독립군은 일본군과 맞대결을 계속하는 것이 불리하다는 판단에서 만주벌의 북쪽으로 대피하기 시작했다. 일본군의 대대적인 보복전을 피하고 거듭되는 전투에서 피로해진 부하들의 건강회복이 필요해서 취한 조처였다. 한편 독립군에게 참패한 일본군은 보복의 칼날을 뽑아들었다. ​  청산리에서 대패하고 퇴각하는 일본군 ​        일제는1920년 10월부터 3개 월 여에 걸쳐 조선인 마을들에 방화하고 민간인들을 살해했는데, 이런 만행은 1921년 5월까지 계속되었다.   그중에서도 장암동 주민들의 희생이 가장 컸다. 그 참안현장을 답사하기로 하였다. 몇몇 문학지기들과 매스컴 기자들과 함께 아침일찍 연길 동북아 터미널에서 개산툰행 버스에 탑승했다.     9시경에 용정 동성용진에서 하차해 도보로 장암촌을 향했다.   평소의 답사처럼 흔쾌히 길에 올랐는데 그렇게 먼 길일줄은 미처 예상치 못했다. 잡풀이 뒤 덮인 산자락에 난 소수레길을 따라 도보로 30여 리를 걸었다. 몇몇 대원들은 평소와는 달리 힘에 부쳐했다.     오후 한 시가 넘도록 무려 4시간이나 강행군을 해서야 세전이벌 동남쪽 끝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동명촌 제2촌민소조에 이르렀다. 좁은 골짜기를 따라 동남쪽으로 얼마간 들어가니 그곳이 바로 장암동이라고 했다. 초가집과 벽돌기와집이 섞인 오붓한 마을, 지금은 평화롭고 아름다운 시골마을 이지만 수십년 전 이 곳에서는 일제의 몸서리치는 만행이 자 행된 참변의 현장이었다.   마을 중심에 들어서니 "동명"는 표지석이 보였다.   우리는 동명촌에서 근 60년간 살아 왔다는 주병욱(75세) 할아버지를 만났다. 그에 의하면 촌민들에 의해 “노루바위 골”이라 불리는 이곳은 중국말로는 장암동, 간장암동(間獐巖洞)으로도 불렸다고 한다. 촌민들 거개가 한국으로 출국하고 지금은 마을 주민 다수가 중국인들이라고 했다.   그가 가르켜준대로 골짜기를 따라 얼마쯤 올라가니 동명촌 제3촌민소조 마을이 나타났고, 마을 앞쪽 언덕에 새로 수선한 "장암동(獐巖洞)참안유적"비가 있었다.   석비정면에 “獐巖洞慘案遺址”라고 새겨져있었다. 뒷면에는 이런 글이 새겨져있었다.   1920년10월 “경신년대토벌”때 일본침략군은 이곳에서 무고한 백성 33명을 학살하여 천고에 용납못 할 죄행을 저질렀다.   龍井3.13紀念事業會 1999年6月30日     유적비에는 몇글자로 응축 된 그날 장암동에서는 대체 어떤 일이 일어났던것일가!   청산리 전쟁에서 참패한 일제는 간도 지역 조선인들에 대한 야수적인 보복으로 혈안이 되었다 조선인들이 독립군들에게 지원의 손길을 뻗친데 대한 분풀이었다. 이 참에 독립군의 근거지를 박멸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실제로 봉오동ㆍ청산리 전역에서 독립군이 대첩을 이룰수 있었던것은 지역 동포들의 헌신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독립군을 쫓아 시베리아 쪽에서 남하하는 일본군과 남에서 북상하는 일본군은 도로 변에서 조선인 마을만 보면 수색하여 청년들은 보는 대로 사살하고 녀성들을 간음하며 가옥에 방화하는 등 야수적인 만행을 저질렀다. 이른바 “삼광전략(三光戰略)” 즉 모조리 죽이고, 략탈하고, 불지르는 초토화 섬멸 작전이었다.     일제의 조선인 학살에 대해 당시 동북에서 발행했던 “길장일보(吉長日報)” 1920년 11월 7일부는 다음과 같이 보도하고있다. “그들은 독립군이든 아니든 묻지도 않고 조선인이라면 함부로 수색하며 살해하고 있다. 례컨대 삼둔(三屯)에서 조선인 3~4명이 체포되었고, 남대고비(南大古比)ㆍ오술동(五述洞) 마을의 가옥은 몽땅 소각되었다. 그리고 빈송배(杉松背) 등에 서는 14명이 타살되었는데, 그중에는 학생이 5~6명, 교원이 1명이 있었다.   소가(小街)에서는 12명이 타살되었고 경성위자(鏡城威子)에서 타살된 남녀는 도합 200여 명에 달한다. 삼도구에서 불에 탄 화민(華民) 가옥은 2호이고 조선인 가옥은 500~600호이다. 삼도구 내의 청산리 지방의 전 촌 조선인가옥 1,000여 호를 전부 불살랐으며, 봉자구의 조선인 가옥 70~80호도 불태워버렸다. 회경가의 50~60호의 조선인 가옥과 명동학교도 불태웠다. 최근 3주일 내에 연변일대에서 살해된 조선인은 2,000여 명에 달하며 매개 촌에 이르러서는 남녀를 한 곳에 집결시켜 놓고 함부로 총살하거나 불태워 죽였으며 혹은 집 안에 가두어 놓고 소살하였다.”   그중 가장 잔인한 학살현장의 하나가 바로 장암동이었다.     1920년 참안을 앞둔 장암동은 연길현 용지사(勇智社)에 속해 있었다. 장암동마을의 주민들은 대부분 예수교신자들이었으며 린근에서 장암동 마을을 “예수 마을”이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마을에는 영신이라는 이름의 학교가 있었다. “3,13”반일시위때 장암동주민들과 영신학교 교원들은 시위에 적극 참가하였고 남양평, 팔도하자의 일본군수비대를 습격할 계획까지 세웠다고 한다. 장암동은 또 간도국민회 제2동부지방회 제4분회에 소속되어 있었고 촌민 대다수가 국민회 회원이었다. 1919년 후반기 장암동에서는 간도국민회 만주지방 총회장 양도헌(梁道憲)으로부터 총과 탄약을 얻어 경호대를 조직하였으며 반일단체인 최명록의 도독부와 의군부와도 연계를 갖고 있었으며 그들은 늘 장암동에 와서 활동하였다. 이에 일제는 장암동을 “불령선인의 책원지”의 하나로 간주하여 눈에 든 가시처럼 여기고있었다. (“무장독립운동비사”)     1920년10월30일 새벽 0시30분, 용정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제4사단 28려단 보병 제15련대 제3대대 대대장 다이오까의 명령을 받은 스즈끼대위는 보병 70여명, 헌병 3명, 경찰관 2명으로 구성된 “토벌대”를 거느리고 장암동에 파견되었다. (일본 제19사단사령부, ).   4시경에 그들은 남양평수비대와 합세하여 새벽 6시30분에 장암동을 포위시킨후 청장년 33명을 반일부대와 내통했다는 이유로 포박하여 교회당안에 가두어놓고 불을 질렀다. 교회당은 즉시로 화염이 충천하였는데 놈들은 불 속에서 뛰쳐나오는 사람들을 총창으로 마구 찔러죽이고 다시 불 속에 던져넣었다.   가슴치며 절규하던 가족들은 일본군이 물러간 후에야 육친들의 시체를 찾아 장사지냈다. 며칠후였다. 유가족들의 피눈물이 아직 채 마르기도 전에 일본군이 또다시 마을에 쳐들어왔다. 놈들은 유가족들을 강요하여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한데 모아놓으라고 강요했다. 유족들이 위협에 못이겨 땅을 파 시체를 모아놓으니 놈들은 다시 파낸 시체를 조짚단 위에 놓고 석유를 쳐 재가 되도록 태워버리면서 이중살해를 감행했다. 일본군은 장암동에서 민가 11채, 영신학교와 교회당을 불태워버렸다.   그후 이중학살된 참혹한 시체가 누구의 것인지도 가릴 길이 없어서 유족들은 재를 모아 28명의 합장 무덤을 만들어 성분하였다. 일제는 장암촌에서 류례가 없는 잔악한 행위을 우리 동포에게 행하였고 그로 말미암아 장암촌은 폐허가 되고말았다. ​ ​ ​ “경신참변”에서 페허가 된 마을 ​   사건 다음 날부터 장암동을 비롯해 일본군의 만행 현장을 조사한 서양 선교사들이 있었다. 용정에서 제창병원을 경영하던 영국인 선교사 마틴과 카나다 북장로회 선교사 푸트가 학살현장을 찾아보았던 것이다. 그들에 의해 일본군의 몸서리치는 잔학상이 세상에 드러났다.   마틴은  “견문기”에 이렇게 적고 있다.   “나는 10월 31일 일요일 마차로 12마일 떨어져있는 비암촌을 향해 용정에서 출발했다. 지난 10월 29일 벌어진 일을 조사해보려는 데서였다. 그날 날이 밝자마자 무장한 일본 보병 한 개 부대는 예수촌을 빈틈없이 포위하고 골안에 높이 쌓인 낟가리에 불을 질렀다. 그리고는 전체 촌민더러 밖으로 나오라고 호령하였다. 촌민들이 밖으로 나오자 아버지고 아들이고 헤아리지 않고 눈에 띄면 사격하였다. 아직 숨이 채 떨어지지 않은 부상자도 관계치 않고 그저 총에 맞아 쓰러진 사람이면 마른 짚을 덮어놓고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불태웠다. 이러는 사이 어머니와 처자들은 마을 청년남자 모두가 처형당하는것을 강제적으로 목격하게 하였다. 가옥을 전부 불태워 마을은 연기로 뒤덮였고 그 연기는 용정촌에서도 보였다 ...이런후에 일본군은 유유히 돌아가서 천장절을 축하했다. 마을에서 불은 36시간이 지났는데도 계속 타고있었고 사람이 타는 냄새가 나고 집이 무너지는 소리가 나고있었다. ...알몸인 젖먹이를 업은 여인이 새 무덤앞에서 구슬프게 울고있었고... 큰 나무 아래의 교회당은 재만 남고 두채로 지은 학교의 대건축도 같은 운명이 되었다. 새로 만든 무덤을 세어보니 31개였다. ...다른 두 마을을 방문하였다. 우리들은 불 탄 집 19채와 무덤 또는 시체 36개를 목격하였다”   선교사 푸트는 그의 수기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내가 11월 4일에 간장암동에 갔더니 촌인은 나에게 다음과 같이 말해주었다. ‘10월 30일에 왜병이 내습하여 31명이 살고 있는 촌락을 방화하고 총격을 가했다’ 나는 가옥 9칸과 교회당과 학교가 잿더미로 된 것을 보고 사실임을 알았다. 또 11월 1일에는 왜군 17명, 왜경 2명 및 조선인 경찰 1명이 이 마을에 와서 남자들을 모조리 끌어 내다가 죽인 후 그들의 처를 불러내어 사자의 경력을 말하라고 고문했고, 그 다음에 촌락의 주민들 모두 모아서 일장 연설을 한 후 외국인 선교사가 이곳에 온 일이 있는가를 물었다…” 일본군의 잔인한 만행을 목격한 선교사들은 “피에 젖은 만주땅이 바로 저주받은 인간사의 한 페이지”라고 탄식하였다.    이들 선교사들에 의하여 일본군의 만행에 대한 기시가 “시카고 데일리 뉴스”와 “상하이 로투(路透)통신사”등에 보도되었다.     이렇게 만행을 저질러놓고도 일제는 상부에 바치는 보고에서 “우리 토벌대는 적도들의 음모장소로 되는 집들을 소각하고 적의 시체는 우리 나라 풍속대로 화장하고 부락의 생존자들을 모아놓고 우리 군대의 토벌취지를 말하고 장래에 있어서 불령행동을 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동지방에서 철퇴하였다. 그후 시체의 화장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군대, 경찰 등 인원을 파견하여 협력하게 하여 완전히 타지 않은 시체 및 유골들을 유족, 친지들 혹은 부락 대표자들에게 부탁하고 령수증을 받았다”고 진상을 왜곡하여 죄악을 덮어감추려고 했다. (김철수 “연변항일사적지연구”)   일본군은 용정의 선교사들이 조사하러 다니자 민간인 대학살이 외국에 알려질 것을 우려해 이를 경계하는 기록도 남겼다. “특히 10월 30일 아군의 한 부대가 연길 장암동에서 불령선인 토벌에 즈음하여 36명을 죽이고 민가 12호 및 학교, 교회당을 불태운 사건을 듣고 저들 선교사는 다음 31일 그곳에 가서 사진기로 피해 상황을 촬영하고(시체에 밤 껍질을 덮어 태웠으나 반만 타서 숯이 되어있는 것을 촬영했다고 한다) 조위금 200원을 보냈으며 또한 전후 수차에 걸쳐 선교사 및 신문기자가 이를 조사한것은 사실이다. 본건을 혹은 학살사건으로서 선전의 불을 붙이는 단서가 될지도 모르므로 크게 경계를 요하기에 군대 측에 특별히 주의를 주고 있다.” (“장암동 부근의 토벌 상황”“, “장암동 소탕 상보”)   사책들에서 흔히 “경신참변(庚申慘變)”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은 같은 해 훈춘에서 있었던 “훈춘 참변”과 함께 우리 민족이 만주지방에서 일제에게 당한 가장 대규모적이고 비극적인 참변이었다. ​    "장암동 참안" 유적비 앞에서의 필자     유적비에 묵념을 올리고 마을 동쪽골짜기에 자리잡고있는 노루바위를 찾아보았다. 주병근 할아버지에 의하면 “노루바위는 원래는 제법 선바위모습을 한 바위였는데 한때 군부대가 주둔하면서 바위 일부를 부셔버렸다”고 한다.     오후 4시가 넘어서야 우리는 귀로에 올랐다.   온 하루 답사를 강행한지라 발을 조이는 신발이 거추장 스러워 아예 신발을 벗고 걷는 대원도 있었다. 발이 부르튼 이도 있었다. 하지만 그보다 더 큰 아픔이 우리들의 마음을 아릿하게 하고 있었다. 모두들 말이 없었다. 단 먼 답사길에 지쳐서가 아니였다. 수십차 답사를 이어왔지만 이번 처럼 가슴이 무거워나는 답사길은 없었다.   석양이 서산마루를 핏빛으로 물들이고있었다.   어둠에 사위어 가는 노루바위 골을 다시 돌아다 보았다.   노루가 많다고 하여 노루바위골이라고 불렀다는 장암동, 하지만 답사 내내 노루는 보이지 않고 어디선가 처연히 들려오는 꿩 우는 소리만이 어젯날의 우리민족이 겪었던 아픈 수난을 이야기 하는듯 했다.    - “청우재(听雨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영화 "암살" 예고편 (아래단 왼쪽의 버튼을 누르세요)  
311    소설로 읽는 "간도참안" 댓글:  조회:3260  추천:20  2015-08-09
  30년대 상해에서의 독립운동가들의 사투를 그린 영화 "암살"이 흥행가도를 달리면서 여주인공 안옥윤의 어머니가 겪은 "간도참안"이 다시 회자되고 있다.    영화 “암살”에서 톱스타 전지현이 주연한 안옥윤은 “간도참안”에서 어머니를 잃는다. 또 한 부의 의열단활동을 다룬 영화 “아나키스트” (개봉: 2000.04.29, 감독: 유영식 출연: 장동건, 정준호, 김상중, 이범수, 김인권)에서도 주인공 상구는 경신년 간도 대학살에서 친지를 잃고 상해로 와서 의열단에 가입한다.  “간도참안”은 "경신참변", “경신간도학살사건”이라고도 불린다. 1920년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일어났던 청산리전투에서 크게 패하면서 일본군은 그 보복으로 한인사회· 항일단체. 학교· 교회 등을 초토화시켰다. 간도참변으로 한인 3,700여 명이 피살되었다고 전해지며, 이 참변으로 간도를 포함한 만주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였던 한인 사회 및 항일단체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간도참변”중에서도 가장 비참했던 사건은 “장암동 학살사건”이다. 필자는 올해 창작한 장편소설 "춘자의 남경"의 앞머리에 주인공의 어머니가 겪은 간도참변에 대해 핍진하게 재현하였었다.  그 부분을 절록하여 먼저 선보인다. 중국 최초 위안부소설로 될 필자의 장편소설 "춘자의 남경"은 올해 말까지 조선족 권위문학지 "연변문학"에 연재중, 명년초 출판 될 예정이다.  ------------------------------ 끝순은 사력을 다해 달리고 있었다.  종아리를 치는 억새풀을 와락와락 헤치며 발목에 차 오르는 시내물을 첨벙첨벙 박차며 돌부리에 발을 채이여 넘어졌다가는 다시 그악스럽게 일어나 달리고 또 달렸다.  치마자락이 자작나무가지에 걸렸다. 급한 마음에 확 잡아채자 치마 자락이 찢겨 나갔다. 너덜너덜 해진 치마자락을 날리며 또 달렸다. 찢겨진 천쪼박이 그루터기에 걸려 애처롭게 나붓겼다. 거치적거리는 치마자락을 추슬려 가슴앞자락에 껴안고 끝순이는 달리고 달리고 또 달렸다.  입매에 움찔움찔 품은 울음이 당금이라도 터질듯한 표정을 하고 치뛰고있었다.  누가봐도 놀라운 풍경이였다. 그 진동한동 단말마의 힘으로 뛰는 달음박질에 놀라서가 아니였다. 다름아닌 그녀는 막달 산모였것이다. 항아리처럼 큰 배를 안고 그렇게 빠른 속도로 달리는 그녀가 놀라웠고 또 산모가 그렇게 달음박질해 될가 걱정되는 풍경이였다.  그렇게 허위단심 뛰고 있는 그녀의 뒤로 칼고함이 울었다. 고함질은 끈적한 흡반처럼 촉수를 뻗쳐 한사코 그녀를 따라왔다. 그녀에게 들붙으려 하고 있었다.  “도마레(서랏)!” “서랏! 게 서지 못해!” 무리 승냥이가 우는듯한 소리, 사금파리를 긋는듯한 듣그러운 악청이였다.  한 무리의 남자들이 그녀를 쫓고 있었다. 그녀를 쫓고 있는 한 무리의 남자들은 모두다 제복차림을 하고 있었다. 제복차림의 그들의 손에는 총검을 세운 장총이 들려 있었다.  고함소리는 긴 채찍이 되여 그녀의 등짝이며 귀전을 사정없이 후려 쳤지만 그녀는 소리의 몰매를 맞아가면서도 뛰고 있었다.  물론 끝순이는 그 고함의 뜻을 알지 못했다. 추적자들의 그 고함소리는 왜말이였기때문이였다.  이 모든게 꿈일거라고 끝순은 생각했다.  꿈이라도 지지리 나쁜, 머리털이 돋아 세상 처음 꾸는 나쁜 꿈, 다시는 꾸고 싶지 않은 꿈일거라고 생각했다.  지금 이 순간도 자신이 몽매(夢寐)에 휘둘리고 있다고 생각했다.  누가 깨워주는 사람도 없는, 지독하게 가위 눌린 꿈이라고 끝순이는 생각했다. 차라리 그렇게 생각하는 편이 낳았다.  그렇게 경황없는 상황에서도 여태 꾸어봤던 나쁜 꿈들이 머리속으로 휘리릭 지나갔다.  강 건너 청나라 사람네 집 검은 개에게 쫓기던 날 끝순은 악몽을 꾸었었다.  꿈에 온 얼굴에 이빨투성이인 괴물이 그녀를 한사코 쫓아오고 있었다. 그 강한 렬육치(裂肉齒)에 걸리면 뼈라도 부수어 깨질것 같았다.  악몽에 꺼둘려 분절이 불분명한 헛숨 빠지는듯한 소리를 하는 그녀를 남편이 흔들어 깨웠다.  미끄러운 우물가에서 물동이를 깨뜨리고 우물에 빠질번 했던 그 겨울의 저녁 꾼 꿈도 기억에 남았다.  떨어져도 떨어져도 끝없는 천길나락을 무작정 떨어져 내리는 꿈이였다. 그녀가 어찌나 헛비명을 질러댔던지 놀라 깨여난 아버지가 데거치른 발길질로 그녀의 엉덩이를 호되게 걷어찼고 그제야 꿈에서 깰수 있었다.  그런 꿈에 비하면 이는 말도 안되게 혹독한 꿈이였다.  렬육치를 가진 커다란 괴물이 한사코 쫓아오고 누군가 그녀의 등짝을 사정없이 걷어 차 우물에 빠뜨려넣었는데 밑창 모를 밑바닥에는 또 커다란 렬육치를 가진 괴물들이 기다리고 있는 그런 꿈의 련속이였다.  악몽같은 참극은 아침 우물가로 부터 일어났다.  우물이 있는 마을 동구밖 들머리에 집이 있어 우물댁으로 불리는 아낙은 아침 일찍 우물가로 나섰다가 그만 아닌 밤에 찬 우물물이라도 뒤집어 쓴듯 그 자리에 우두망찰 서버렸다.  어느새 닥쳐 왔던지 우물가에 한무리의 사람들이 서 있었다. 수효가 얼마나 많았던지 우물댁은 그 수효가 주는 엄슬함에 질려버리고 말았다. 꼭같이 가라말을 타고 꼭같이 센또보시(전투모)를 쓰고 꼭같이 누런 제복을 입은 사람들이였다. 그리고 등에는 꼭같이 기다란 장총을 메고 있었다.  우두머리인듯한 자가 말고삐를 당겨 휘적휘적 앞으로 나왔다. 운두높은 모자에 둘린 붉은 테와 제복의 목깃에 달린 붉은 계급장이 시선을 찔렀다. 계급장에는 노란 별 세개가 박혀 있었다. 허리에 혁대를 두르고 긴 칼을 차고 있었고 손에는 말채찍이 들려 있었다. 움쑥한 눈으로 우물댁을 째려보던 그가 손에 든 말채찍을 저었다. 그러자 몇몇 사병이 말에서 뛰여 내렸고 한 사람을 말에서 끌어 내렸다. 그 사람은 대자형으로 오라를 지워져 있었다. 구타를 당한 모양, 눈확이 퍼렇게 멍들어 있었고 입가녁도 찢어져 있었다. 입가녁에 말라붙은 피자국이 보였다. 흰 옷 군데군데에도 피자국이 새여 나와 있다 그 사람을 밀어 우물댁의 앞에 내세웠다. 모진 고초에 넋이 나간듯 그 사람은초점 잃은 눈으로 우물댁을 퀭하니 쳐다보기만 했다. 사병 하나가 총의 개머리판으로 사정없이 그 사람의 어깨박죽을 내질렀다. 휘청이던 그 사람이 가까스로 마른 입술을 열었다. 저승에서 새여나오는듯한 꺼져가는 소리로 물었다. “량, 량씨네 집이 어디임둥?” 우물댁은 그냥 얼빠진 상태였다. 그 사람이 마른 입술 한번 다시며 다시 힘겹게 물었다. “영신학교 량교장네 집 말입꾸마” 그제야 정신 차린듯 우물댁이 손을 들어 마을어구의 한 집을 가리켰다. 그 손가락이 가을바람에 들린 허수아비의 빈 팔소매처럼 푸르르 떨리고 있었다.  투르르~ 말이 투레질을 했고 “붉은 계급장”이 채찍을 들어 앞을 가리켰다.  무리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한 무리의 기마병들이 얼빠진 우물댁을 내쳐 둔채, 결박된 사람을 앞세우고 마을길로 들어섰다.  이때였다.  앞에서 떠박질려 가던 흰옷 입은 사람이 후딱 마을을 향해 뛰기 시작했다. 결박된 상태로 뛰면서 소리 질렀다. 행주 비틀듯 쉬여버린 소리를 한껏 짜내며 피를 뿜는 고함을 질렀다. “날래 뜁소. 왜놈들이 왔습꾸마 날래 뛰…” 그는 마지막 구절을 마무리 하지 못했다. 말을 달려 한 달음에 따라간 “붉은 계급장”의 서슬푸른 군도가 아침의 대기를 갈랐고 그 사람의 머리가 허공에 붕 뜨더니 뒤미처 호박덩어리처럼 굴러떨어졌다. 머리를 잃은 몸뚱아리는 몇걸음 더 달려나가다가 콩단처럼 쿵! 그 자리에 넘어갔다.  기병들의 말이 머리없는 몸뚱아리를 마구 짓밟으며 마을로 우르르 쳐들어 갔다.  총개머리판에 떠밀리면서, 대검에 쑤시우면서 마을 사람들은 학교 마당에 집결되였다.  봄철이면 운동회가 열리고, 동네의 크고 작은 일이나 정기행사가 이루어지던 학교마당이였다. 곧 열리게 될 봄철 운동회 준비로 마당에는 소나무가지를 꺾어 만든 솟을 문이 만들어져 있었다. 각 종목에서 우승한 팀들은 그 소나무 솟을 문앞에서 교장으로부터 상패와 상물을 받군했다.  축제전야의 열기로 설레이던 마당은 이제 시퍼런 분위기로 때글때글 얼어 있다. 등등하게 차려입은 누런 군복과 번뜩이는 칼날을 세워든 사병들은 대적이라도 만난듯 표정들이 험상스레 굳어있다. 세워든 날카로운 총검이 아침나절의 해살에 번뜩인다. 기죽은 사람들은 태덩이처럼 미동도 크게 못하고 저마다 어깨를 한껏 옹그리고있다.  끝순은 남편곁에 꼭 붙어 섰다. 그런 그의 긴장한 손을 남편이 꼭 쥐여 주었다. 병색이 완연해 쑥갓 꽃잎처럼 얼굴이 노란 남편이 걱정스레 그녀를 지켜본다. 남편은 영신학교 교원이였다. 룡정대성중학을 졸업한 남편은 학교에서 국사를 가르쳤다. 무지렁이같은 과년한 끝순에게 대처에서 온, 학교교직원인 남편은 남들의 시샘을 자아낼법 했다.  이 모든 것은 지독하게 과묵했지만 인간성이 올곧았던 아버지의 공로이기도 했다.  마을사람들은 학전(學田)을 떼여 선생들의 월급을 마련했는데 그중 옹색한 살림에서도 아버지가 부치는 학전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그때 남편은 그녀의 집에서 돌림밥을 가장 많이 먹었다. 그런 남편이 나중에는 아예 이 집에 눌러 앉게 된것이다.  남편의 결점이라면 몸이 허약한 편이였다. 늘 때국이 낀 요를 무릎에 두르고 아래목에 앉아 기침을 무더기로 토했고 집안 대들보에는 약봉지가 마늘타래처럼 조롱조롱 매달려 있곤 했다.  그런 남편이라도 끝순은 하늘같이 높이 뵈였고 금슬 좋은 둘 사이에 막 사랑의 결실을 보려던 참이였다.  마을사람들은 흘끔흘끔 곁눈질로 운동장 가녁을 훔쳐본다.  운동장 가녁에는 버드나무 한그루가 서있다.  이곳에 맨 처음 이주해 터를 잡았던 선친들이 공터에 심었던 버드나무였고 그 공터자리에 지금은 학교가 선것이다. 마을의 당산나무 격이였던 그 버드나무에 눈길이 미치자 사람들은 두려움에 심장이 파고듦을 느낀다.  버드나무에는 사람이 매달려 있다.  학교의 량교장이다. 높이 매단데서 교장의 다리가 허공에서 버둥거린다. 마치 날다가 악착한 거미줄에 봉변들 당한 나방처럼 교장의 흰옷자락이 바람에 펄럭인다.  교장이자 마을의 터주대감이다. 마을의 대소사를 관장했뿐더러 깊은 오지의 학교를 멀리 아라사(俄羅斯)에서도 한인학생들이 찾아오도록 유명한 학교로 만들었다. 또한 북간도의 반일단체인 의군부와도 련계를 갖고있어 그들은 늘 이 사슴골을 찾군했다. 그 덕망높은 량교장을 왜놈들이 꽁꽁 묶어 그 무슨 도살직전의 짐승처럼 나무에 매단것이다.  포승을 당했지만 량교장은 고개를 빳빳이 쳐들고 있다. “붉은 계급장”은 한 손은 허리에, 한손은 허리춤에 지른 군도자루에 얹고 있다. 아무말 없이 움쑥한 옴팡눈으로 마을 사람들을 노려보며 활동사진 찍듯 하나하나 동공에 담는다. 금방 사람의 피를 본 군도가 허리춤에서 데룽거린다.  호동그란 동공은 눈앞 사람들의 멱이라도 움켜 잡을듯이 또렷하고 팽팽하다. 그 눈길에 질려 사람들은 눈길이 지나갈때마다 오싹하며 고개를 떨구었다.  계급장이 말채찍을 들어 까땍했다. 앙바틈한 사병 하나가 사람들앞에 나섰다. 강똥 싸는 사람처럼 턱을 난딱 쳐들고 소리소리 질렀다.  “록골(鹿溝)사람들은 듣거라.  이 분은 이 지역을 관장하고 있는 우리군 제14사단의 스즈키(鈴木)대위님이시다.” 스즈키라 불리운 “계급장”이 사람들을 향해 고개를 까딱해 보였다. 앙바틈한 사병이 그냥 쉼표 없는듯한 한 톤으로 말을 이었다. 어눌하나마 제법 조선말을 구사하고 있다. “스즈키 대위님께서 록골 사람들에게 우리가 찾아온 요지를 말하고자 하신다.” 대위가 앞에 나섰다. 말채찍으로 손바닥을 툭툭 치면서 느릿느릿 말을 이었다. 목소리가 리도(利刀)라도 휘두르는듯 날이 서있다. “지금부터 당신들은 무조건, 우리들의 행동에 교오조(공조)해 주길 바란다. 언감 대일본제국에 불온한 마음을 품고있는 후테이 센징(不逞鲜人)들을 색출하라는 닌무(임무)를 받고 이 부라끄(마을)를 찾아 왔다.” 땅딸보 사병이 축음기 되돌리듯이 그 말을 반복했다.  스즈키의 목청이 순간 듣그럽게 한 옥타브 불거져 올랐다. “유감스럽게도 이 부라끄 사람들 모두 다 대일본제국에 맞서는 후테이 센진이라는 정보를 우리는 입수 할수 있었다.”  대위의 얼굴이 불판처럼 시뻘겋게 달궈졌다.  화딱지가 난듯 뻐센 억양으로 내지르는 그 소리가 발작적이였다. “오늘 우리는 이 자리에서 그 당수(黨首)들을 소고끄(즉각) 처결하려 한다!” 대위의 시선이 버드나무쪽을 향해 팽팽하게 꽂혔다. 움쑥한 눈에는 벼락을 맞아 쓰러진 고목밑둥이에서 밤이면 이는 퍼런 린광같은것이 번뜩이였다.  스즈키가 시뻘건 얼굴로 칼집에서 칼을 쓰윽 뽑아들었다 철컥 철컥 철컥 철컥 병사들이 일렬을 짓고서서 장총을 장전했다. 시커먼 총구가 쳐들렸다. 시커먼 총구가 버드나무를 겨누었고 량교장을 겨누었다. 비대한 몸집의 대장이 앞에 나서며 구령을 불렀다. 요이(준비)- 멱따는듯한 구령소리가 울렸다. 핫샤(발사)! 탕! 탕! 탕! 되알진 총소리가 울렸다. 총소리가 평화롭던 사슴골을 뒤흔들었다. 고막을 찢을듯한 총소리에 아이들이 울었고 개가 짖었다. 버드나무 잎들이 찢겨져 우수수 날렸다. 탄환은 삽시에 나무에 결박된 량교장의 온 몸을 벌집내 버렸다.  놀란 비명이 터져 올랐다.  사람들중에서 아낙네 하나가 울부짖으며 버드나무를 향해 달려 나갔다. 그뒤를 묻어 총각애 하나도 따라 나갔다. “여보”, “아부지” 탕! 탕! 또 한번 총성이 울렸고 량교장의 마누라와 아들애가 버드나무를 눈앞에 두고 쓰러졌다.  순식간에 일어난 참극에 마을사람들은 순간 아뜩해 졌다. 모두가 넋나간 표정으로 그 자리에 굳어져 버렸다. 왜놈들이 량교장을 원쑤 취급하는데는 나름 리유가 있었다. 나날이 심해가는 식민지정책에 아직도 강을 건너는 월강민(越江民)들이 줄을 잇는 가운데 망명객과 반일투사들이 고향을 떠나 이곳으로 도피하면서 사슴골은 은연중 반일활동의 책원지로 성장하고 있었던것이다. 게다가 지난 봄 룡정에서 일제에 항거해 온 시가지를 뒤흔들며 웨친 반일시위속에도 사슴골 사람들은 어김없이 끼여 있었다.  그날 룡정의 장관에 대해 끝순은 눈앞에서 목도했다. 룡정으로 나가는 남편을 기어이 따라나섰던것이였다. 룡정행차가 처음인 그녀는 그저 대처구경을 간다는 단순한 호기심과 기대감으로 잔뜩 부풀어 있었다.  이날 사슴골의 사람들은 영신학교 교원, 학생들과 함께 전날 밤부터 주먹밥을 만들어 지니고 수십리 새벽길을 죄여 룡정에 도착했다.  처음 와 본 룡정거리는 수런거리는 소요와 팽만한 기운으로 늠실대고 있었다.  사람들은 삼삼오오 떼를 지어 룡정의 서전(瑞甸)벌판으로 속속 모여들고 있었다. 흰두루마기며 치마저고리를 입은 남정네들과 녀인들 지어 백발로인들과 삼척동자들도 가세하여 구름떼처럼 모여들고 있었다. 북간도 각 지역에서 사람들은 내물의 지류가 강을 바라고 흘러들듯이 사면팔방에서 룡정이라는 이 “간도의 서울”이자 조선인들의 의지를 대변하는 구심점을 향해 흘러 들고 있었다. 집회장소는 어느 보통학교 마당이였다. 회장 중앙에는 "정의인도", "조선독립 만세!"라는 오장기가 세워져 있었다. 회장주변에는 교회당의 종루가 솟아 있었다.  끝순은 눈시울을 좁히며 종루를 쳐다보았다.  종루에는 조무래기들이 새까맣게 올라가 있었다. 이 작은 시가지에서 전에 없었던 장관을 구경하기 위해서였다. 뎅 뎅 서전벌우로 펼쳐진 한자락 대공(大空)을 흔들며 종소리가 울렸다.  사람들의 환호속에 두루마기차림의 사람이 나서서 대회를 선포했다. 그리고 랑랑한 소리로 "독립선언서포고문"을 랑독했다. "우리 조선인들은 해방을 선언하노라. 지위를 선언하노라. 정의를 선언하노라. 인도주의를 선언하노라! 우리는 영광스런 력사를 지닌 민족이요, 또한 근로한 민족이노라. 그런데 우리를 훼멸하고 타파하려는 자가 있도다… 지사의 눈물은 바다를 채웠고 우민의 원한은 창천에 미쳤도다. 하늘의 귀가 백성의 목소리에 향하고 하늘의 눈이 백성의 시야로 향하여 세운이 일변하고 일도가 갱신할제 정의의 종소리는 큰 거리에 울리고 자유의 항선은 앞 나루에 닿았도다. 오인(吾人)은 천민 속의 한 사람이오, 약자 속의 한 사람이라. 오늘 천명에 순종하고 인심에 응하여 천만 민중이 일제히 한입같이 자유찬가를 부르며 쌍수를 굳게 쥐고 평등의 태도로 전진하는 바이로다. 저 동양문명의 수뇌, 동양평화의 보루라고 자처하는 일제의 침략으로 하여 현 정세에 변천을 가져왔도다...  민중들은 한 맘 한 뜻으로 단합 하야 침략자들이 간도 땅을 짓밟지 못하도록 할지어라. 모든 사람은 다 이런 신성한 책임이 있거늘 우리 간도의 80만 조선족 민중은 황천의 명소에 갈지 언정 인류의 평등을 위하여 있는 힘을 다 바칠 바이어라." 포고문이 다 랑독되자 "만세!"소리가 천지를 진동하였다. 일제의 탄압을 피해 이곳으로 이주한 이들은 한민족의 뿌리와 력사적 소명의식을 자각하고 목청껏 만세를 외치고 또 외쳤다. 만세소리는 해란강가에서 오래도록 메아리 쳤다.  만세소리 높이 부르며 시위행진이 거행되였다. 남편의 손에 이끌려 끝순이도 시위대오를 따라나섰다. 장사진을 이룬 시위대오는 앞뒤 끝머리가 보이지 않았다.  시위대오 맨 앞장에는 기수가 "조선독립을 성원"이라는 오장기를 들고나섰고 각지 학교의 교원과 학생들로 구성된 300여명의 “충렬대”가 앞장에 섰다. 그 뒤로는 각지에서 모여온 군중대오가 따라 섰다.  "조선독립만세!" "일제의 침략을 반대한다!" "친일주구를 타도하자!" 시위자들은 구호를 높이높이 외치면서 호호탕탕하게 룡정 도심에 자리를 틀고 앉은 일본 간도총령사관을 향하였다.  갚자기 앞에서 수런거리는 소요가 일었다. 령사관 가까이에서 시위군중들과 막아서는 군경들 사이에 몸 싸움이 시작되였던것이다.  격노한 군중들은 돌멩이를 가로막는 군경들을 향해 뿌리면서 계속 밀고 나갔다. 그 긴박감과 결연함에 왜놈들은 질겁했다. 탕! 이때 총성이 울렸다. 맨 앞장에 오장기를 들고 나섰던 기수가 쓰러졌다. 일제경찰과 그 사주를 받은 중국경찰들이 당황한 나머지 시위대를 향해 일제히 발포하기 시작한것이다. 총소리는 콩볶듯 울렸고 앞장 선 사람들이 하나 둘 쓰러졌다. 적수공권의 시위대오는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여 흩어졌다. 혼란속에서 어떻게 남편의 손에 끌려 룡정을 벗어났던지 끝순은 알수 없었다.  후에 량교장한테서 들은데 의하면 그날 일제군경들의 탄압으로 어지러운 총소리속에서 10여명 시위자가 당장에서 숨을 거두고 2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고했다. 이러한 연유로 일본군은 사슴골을 불령선인들의 진원지의 하나로 간주하고 호시탐탐 습격할 기회를 노렸던 것이였다.  눈앞에서 피를 물고 죽어가는 교장을 보는 순간, 그제야 마을사람들은 덜컥 무섬증의 덫에 치여 바들바들 몸을 떨었다. 끝순이도 바위덩어리처럼 무거운 공포에 전신을 쩌눌림 당하고 있었다.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는것 같은 공포속에 아직 태여나지 않은 아기를 보호하련듯 둥시런 배를 두팔로 감싸며 몸을 웅그렸다.  비대한 몸집의 사병이 두려움에 떨고있는 사람들을 향해 소리 질렀다. 땅딸보가 나서 그 말을 통역했다. “죠시(녀자)들은 가만 있고 성년 난세(남자)들은 모두 나와라. 하야꾸(빨리)” 남자들이 쭈볏쭈볏 무리속에서 나왔다. 사병들이 그런 남자들의 잔등을 총의 개머리판으로 무자비하게 내질렀다.  사병이 아낙네들 뒤에 웅그리고 섰는 한 남자를 발견하자 멱살을 잡아 끌어 내였다. 말채찍으로 따귀를 갈겼다. 그 남자의 얼굴에 벌건 핏금이 건너갔다. 쑥대 머리칼을 잡아채며 질질 끌고 갔다.  아버지도 끌려갔다. 원체 말수 적은 아버지는 아무말도 없이 끌려가고 있었다. 끝순의 남편도 끌려갔다. 끌려가던 신랑이 뒤를 돌아보았다.  쑥갓 꽃잎처럼 노란 얼굴로 끝순이를 빤히 쳐다 보았다.  그 눈길은 분명 막달 산모인 끝순에 대한 걱정으로 차 있었다. 남편의 그런 살틀한 시선을 느끼는 끝순이의 눈매는 움찔움찔 울음을 품었다.  자꾸만 뒤돌아보며 문칮거리는 남편의 잔등을 사병이 사정없이 군화발로 걷어찼다.  아낙네들은 모두 학교 마당에 남겨 둔채 서른 명 남짓한 마을의 남정들은 모두 끌려 학교교실로 들어갔다.  남겨진 아낙네들은 대체 무엇하려는건지 영문을 몰라 그저 두려운 눈길로 이 모든것을 지켜 볼뿐이였다.  사병들이 교실문을 걸어 잠그었다. 교실에 남정들을 가두려니 하고 생각했는데  몇몇 사병이 운동장에 세워진 소나무 솟을 문을 부셨다. 그 소나무와 널판자들을 가져다 교실주위에 쌓아놓았다. 마을사람들이 뒤산에서 일껏 해와서 마당에 차곡차곡 무져놓은 땔나무도 가져다 교실주위에 쌓았다. 떡갈나무, 생솔가지를 꺽어놓고 조짚단도 가져다 쌓았다.  구경 모를 행동들이였지만 웬지 심상치 않은 그 거동들에 아낙네들의 가슴은 두려움에 방망이질하기 시작했다.  사병 몇명이 진록색 수통을 들고 달려 왔다. 물통 마개를 열더니 교실에 쌓아놓은 장작더미에 골고루 부었다. 휘발유 냄새가 코를 찔렀다.  아낙들의 눈망울이 불안으로 흔들렸고 심장이 널뛰듯 점점 더 높뛰였다.  “애 아버지, 애 아버지” 누군가 쿨쩍쿨쩍 울기 시작했다. 붉은 계급장의 대위가 뒤를 돌아다 보았다. 옴팡눈의 번뜩임에 그 울음소리가 쑥 잦아 들었다. 준비를 마친 사병들이 다시 일렬을 짓고 섰다.  철컥 철컥 철컥 철컥 또 한번 총을 장전하는 소리가 들렸다. 그 소리에 끝순은 깜짝깜짝 놀라 했다. 시커먼 총구가 쳐들렸다. 시커먼 총구는 학교의 창문을 겨누었다. 사병 하나가 관솔불을 붙여들고 나서더니 교실주위에 쌓아놓은 장작더미에 던졌다.  확 불이 댕겼다. 마른 솔가지와 장작더미에 휘발유까지 끼얹은 장작더미에는 삽시에 불이 댕겼고 나무기둥과 새끼를 얼기설기 꼰 회벽으로 만든 학교는 삽시에 화염에 휩쌓였다.  오리무중에 빠져있던 아낙네들이 순간 일제히 비명을 질렀다.  연기가 미친듯 머리를 풀어헤치며 하늘로 치솟았고 불길이 혀를 날름이며 창문으로 뻗쳐들었다. 불길은 연기와 함께 창의 문설주우로 널름거리며 기여 올라 처마를 핥기 시작했다.  기침소리와 비명소리를 뿜으며 갇혔던 사내들은 맨주먹으로 학교의 창을 내질러 깼다. 깨진 창으로 머리칼이며 옷자락에 불이 붙은 남정네들이 하나 둘 뛰쳐 나왔다. 탕! 탕! 왜병들은 뛰쳐나오려는 사람들을 향해 가차없이 발포했다.  연기속에서 뛰쳐나와 괴롭게 기침하고 있는 사람들을 향해 총검을 꽂았고 군도를 휘둘렀다.  남정들의 목이 두부모마냥 섬벅섬벅 베여진다. 순식간에 떨어져 나뒹구는 머리통들이 학교마닥에 공처럼 뒹굴었다. 총소리가 랑자하게 학교마당을 흔들었고 사슴골을 흔들었다. 불길을 못이겨 연기속에 몸부림치며 머리를 내밀던 남정들은 반신을 창문턱에 걸채인채 죽어 갔다.  그 와중에 우물집 남정이 창문에서 뛰여 내려 몇발자국 뛰였으나 탄환이 등짝을 관통하며 피를 물고 쓰러졌다.  허집사가 연기속에 머리를 내밀다가 이마에 탄환을 맞고 머리통이 수박처럼 으깨졌다.  최포수가 뛰여 나왔으나 시체에 걸채여 몇걸음 못가 그 자리에 고꾸라졌다. 득달같이 달려간 사병이 쓰러진 그의 등짝을 총검으로 내리찍었다. 총상과 자상으로 너덜해진 최포수가 단말마로 몸을 일으켰다. 무엇인가 움켜잡을듯 손을 뻗쳐 허공을 허비다가 그 자리에 쓰러져 버렸다.  우물댁이 새된 비명을 지르며 불타는 교사를 향해 뛰여 나갔다.  그런 그의 어깨죽지를 사병 하나가 갈퀴손으로 찍어 당겼다.  그 손을 뿌리치며 우물댁이 기어이 뛰여 가려 했다.  그러자 사병하나가 뒤에서 그녀의 등을 총검으로 찔렀다. 칼날이 호박 지르듯 푹 들어갔다 벌건 혈액을 묻히고 다시 나왔다. 우물댁의 등에서 피의 분수가 치뿜겼다. 비명한번 못지르고 우물댁은 그 자리에 폭 고꾸라 졌다.  그뒤를 따라 달려 나가던 최포수의 딸도 어깨에 칼을 맞고 쓰러졌고 휘적이며 뛰여 나가던 회령댁은 휘두르는 군도에 팔 하나가 뎅겅 잘려 나갔다.  떨어져 뒹구는 자기 팔을 주어들고 어떻게 주체할길 없어 회령댁이 악악 비명만을 죽기내기로 질러댔다.  공포에 사로잡혀 헤갈하는 사람들을 죽이기란 마른 풀대 꺾기보다 더 쉬웠다. 왜병들은 살아보려 몸부림하는 목숨들을 마음대로 찌르고 베고 토막쳤다. 그야말로 아비지옥(阿鼻地獄)과 규환지옥(叫喚地獄)에 떨어진듯한 참경이였다. 퍼런 린불이 피여오르는 무간나락에서 악귀들의 손에 마음대로 꺼둘리우고 있는 사슴골 사람들이였다. 불타오르는 교사를 향해 뛰쳐 나가려던 아낙네 몇의 발길이 뒤미처 두려움에 묶였다. 아낙네들은 감히 나서지 못했고 그저 선자리에서 옷고름을 집어 뜯으며 발로 땅을 헤집어 파며 목놓아 절규했다. 기함을 할 듯이 비명에 비명을 질렀다. “여보” “아버지” “오빠” 갈래갈래의 창자를 비트는 듯한 비명과 비명속에 불길은 높아갔다.  학교가 드디여 화살에 관통된 붕새처럼 어깨죽지를 꺾으며 물러 앉았다.  지붕이 폭삭 내려 앉고 불길과 회색연기와 불똥들이 마지막으로 하늘향해 치솟았다.  눈앞에서 자행되는 참극속에 목놓아 울며 끝순은 이상한 환상에 갈마들었다.  아버지나 남편이 제발 창문으로 나오지 말았으면 하는 바램이였다. 하지만 뛰쳐 나오면 총칼의 수풀이 기다리고 있고 나오지지 않으려면 불지옥이 기다리고 있는것이였다.  이 모든것은 꿈일거야, 꿈이였어 하고 버거운 배를 부등켜 안은채 공포의 들숨 날숨을 헐떡이며 끝순은 생각했다. 기허한 몸은 허깨비에라도 사로잡힌듯 했다. 바람에 뒤척이는 공기의 갈피마다에는 매캐함과 피비린내가 섞여 숨을 쉴수 없었다.  꿈틀, 배속의 아기도 놀란듯 뒤척였다.  끝순은 둥시런 배를 부여안으며 그자리에 주르르 물앉았다.  언제 왜놈들이 물러갔는지 누구도 몰랐다. 공포와 절망의 늪에서, 죽음의 냄새속에 허우적거렸던 사람들은 사슴바위쪽에서 해가 이울기 시작해서야 이 피비린 도륙이 막을 거두었음을 알게 되였다.  악마구리 끓듯 하던 마을이 얼마쯤 소강상태를 찾자 누군가 먼저 다가가 폭상 물앉은 재더미를 헤치기 시작했다. 아직도 불티를 머금은 재더미는 열기를 안고 있었다.  기둥을 치우고 채 타지앉은 서까래들을 치우자 재더미 속에서 뒹구는 시체들이 보였다.  시체들은 화덕속에 던져진 멸치처럼 까맣게 타들어 있었고 꼬부라져 있었다.  누가 누군지 분별할수가 없었다. 불타다 남은 나무 기둥과 사람의 송장을 혼돈하기도 했다.  아낙네들은 그저 앙가슴을 탕탕 줴지르며 이제 쉬여버린 목소리로 다시 꺼억꺼억 울음을 짜냈다.  섬약한 그네들이 할수 있는것이란 울음에 또 울음이였다. 울음을 우는것만이 참혹하게 죽어간 남정들에 대한 애도요, 어찌할수 없는 무기력감에 대한 변명인것 같았다. 그래서 너나 할것없이 승벽내기라도 하듯이 목청높여 울고 울고 울었다.  그 란리속에서 누군가 홍소를 터뜨리며 재더미우를 뛰여 다녔다.  왜병들의 만행에 광증을 일으킨 돌배집 할멈이였다. 할멈은 가을벌판의 새쫓듯 간헐적으로 비명을 지르며 맨발로 아직도 불티를 튀기고 있는 재더미우를 마구발방 뛰여다녔다.  학교마당에 가맣게 탄 시신들이 건어물처럼 놓였다.  33구의 시신, 교회의 목사님을 모시러 룡정으로 나간 병욱이네를 빼면 마을 남정 전부가 왜놈들의 손에 도살 당한것이였다.  도무지 누구의 시신인지 가릴수 없어 시체를 합장하기로 했다.  마을 어구의 산자락에 합장할 거대한 묘소를 팠다. 아낙들의 힘이였기에 묘소를 파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어스름이 내리고 빛이 사위여도 달빛을 빌어 묘소를 팠다.  어느새인가 울음은 멈추어져 있었고 모두들 아무 말도 없이 구덩이를 파는데 열중할뿐이였다. 온몸에 울혈이 맺혀 들쑤시는 몸으로 아낙들은 남정네들의 시신을 수습했다.  끝순이도 삽을 들고 나섰다. 아버지와 남정을 잃은 그를 대신해줄 사람도 없었다. 또 막달 산모가 쟁기를 들고 나서도 누구 하나 그에 생각이 미칠 겨를도 없었다.  힘겹게 삽질을 하면서 끝순은 줄느런히 누웠는 시신쪽에서 남편과 아버지의 시신이 어느것이였을가 골똘히 생각했다.  남북골인 남편의 머리통과 야위인 몸 맨두리를 보아 어느 한 시신이 자기 남편인것 같은데 집사댁이 자기 남편인것 같다고 했고 게다가 북산댁까지 나서서 자기 오빠같다고 했다. 그러니 시신을 정확히 확인 할 방법이 없었다.  눈물과 씨름하면서 아낙들은 용케도 장사(葬事)를 치러 나갔다. 훌쩍 훌쩍 코물을 치걷으며 시신을 하나 하나 구덩이에 내려 눕혔다.  시신우에 거적을 덮고 벗겨온 봇나무껍질을 덮고 흙을 덮었다.  마을 앞산 더기에 거대한 봉분이 생겨났다.  그리고 봉분을 다 덮을 무렵에 밤비가 내렸다. 안개처럼 수물대는 가랑비가 내렸다. 자기의 눈물에 젖은 사람들은 이번에는 하늘의 눈물에 젖었다. 비도 아니고 안개도 아닌 자디잔것들이 눅눅한 습기를 몰고와, 소리없는 눈물처럼 내려 사람들의 가슴을 더 습하게 만들었다. 막상 봉분을 대하자 또 슬픔이 북받쳐 올라 아낙들이 우르르 무덤에 덮쳤다. 가랑비에 젖는 무덤이 애처로워 몸으로 막아주련듯 했다. 다시 일렁이던 울음보들이 터져 올랐다.  비에 젖어가는 밤의 골짜기에서 쇠지랑물 냄새가 났다.  온 골짜기를 자오록히 덮는 그것은 슬픔의 냄새였다.  어둠과 가랑비와 슬픔속에서 무덤에 엎드린 아낙들의 울음소리는 그칠줄 몰랐고 울음 소리는 비 소리를 덮었다.  그날 왜놈들의 분탕질에 정갈하던 마을은 삽시에 쑥밭이 되였다. 왜놈들이 지른 불에 마을의 학교와 교회당 그리고 전부의 가옥이 불탔다.  불은 이틑날 아침까지 타올랐는데 그 연기기둥은 수십리 떨어진 룡정에서도 보였다.  악귀들의 손에 남정들은 몰살되였고 지어 골골대는 닭과 컹컹짖는 개들 마저도 사람들과 함께 도륙되였다. 그야말로 마우계견(馬牛鷄犬) 한 마리도 남지 않았다. 이튿날 또 한번 우물가에서 어느 아낙의 비명이 새청맞게 터져 올랐다.  피범벅, 흙범벅이 된 옷가지를 씻어라도 볼 양으로 나섰던 북산댁은 우물가에서 머리통을 부여 잡고 두눈을 휩뜬채 악악 비명만을 지르고 섰다.  뚜드럭 뚜드럭 지축을 뒤흔드는 말발굽소리를 내며 우물가로 수십기의 기마병들이 몰려 들고 있었던것이다.  불에 덴 사람이 부지깽이를 보고 질겁하듯 전신을 인두질 하며 휩쓸고 간 화상의 아픔을 수습하기도 전에 악귀같은 누런 군복의 왜병들을 다시 본 아낙은 비명을 련발하다 그 자리에 혼절하고 말았다. 불개미처럼 버글버글 몰려든 무리의 맨 선두에서 노란별 세개를 박은 붉은 계급장을 단 대위의 모습이 다시 보였다. 그야말로 다시 보고싶지않은 귀면같은 얼굴이였다.  아낙네들이 또다시 사병들의 총 개머리판에 윽박지름을 당하며 무덤앞에 모여섰다.  돌연한 암벽이 우뚝우뚝 키를 돋혀 좁혀 오는듯해 아낙들은 공포감에 숨조차 바로 쉬지 못했다.  저승의 차사(差使)가 손짓을 하듯 대위가 말채찍을 들어 무덤을 가리켰다.  “파라” 아낙네들이 일순 영문을 몰라 대위를 쳐다보았다. 몸집이 앙바틈한 그 사병이 나와 어눌한 조선말로 말했다.  “하까(무덤)를 파라. 무덤을 파란 말이야” 아직도 오리무중인듯 어리둥절한 기색을 지은 집사의 아낙이 나서며 물었다. “뫼, 뫼를 파란 말임둥? 어째서 말임둥?” 사병의 총 개머리판이 아낙의 머리를 가격했다. 아낙이 머리통을 부여잡으며 무덤가에 쓰러졌다. 부여잡은 손가락틈새로 피가 번져 나왔다.  “하야꾸(빨리)” 땅딸보 사병이 무덤을 가리키며 감때 사납게 웨쳤다. 이때 새청맞은 비명이 터져 올랐다. 어제 일으킨 광증이 다시 발작한 돌배집 할멈이였다. 할멈은 비명을 지르며, 홍소를 터드리며 맨발로 겅중겅중 무덤주위를 뛰여 다녔다.  “야까마시이 (시끄럽군)” 붉은 계급장이 뇌까렸고 사병 하나가 총박죽으로 윽박지르며 할멈을 높은 곳으로 끌고 갔다.  할멈을 벼랑가에 세워놓고 조준하던 사병이 총을 내리웠다. 사병의 얼굴에 잔인한 미소가 지어졌다. 총을 거두고 사병이 군화발로 할멈의 등짝을 사정없이 내질렀다.  할멈이 돌덩이처럼 산아래로 떨어져 내렸다.  할멈이 떨어져 내린 산아래에서 메새가 화드득 날아 올랐다. 아낙들이 부르르 진저리를 쳤다. 마에 들린듯 쥐여주는 쟁기를 받아들고 서둘러 채 마르지도 않은 무덤을 다시 파헤치기 시작했다. 흙을 밀고 봇나무껍질을 걷우어 내고 거적을 치웠다. 무덤속에 누워있는 사람의 그것같지않은 형체의 시신들이 보였다. 아낙들속에서 억누르지못한 울음소리가 새여 나왔다.  그 시신들을 끄집어 내라고 하였다. 왜병들의 윽박지름에 시신을 끄집어 내여 하라는대로 무덤가에 덧쌓아 놓았다.  그리고 사병 하나가 또 진록색의 수통을 들고 왔다.  휘발유를 시신우에 부었다.  불을 달았다. 연기 기둥이 솟았고 매캐한 냄새가 코를 찔렀다. 송장타는 노릿한 냄새가 아낙들의 가슴을 아프게 헤집어 놓았다.  또 한번 지자러진 울음소리가 터져 올랐다.  연기는 소나무 우둠지높이까지 치솟았고 끝순의 회동그랗게 치뜬 눈길은 그 연기를 쫓고 있었다. 머리를 젖혀 파란 하늘을 검은 망사처럼 가리는 연기를 지켜보며 끝순은 부르르 진저리를 쳤다. 아직도 악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않나하는 자문이 들었다. 하지만 분명 울음소리가 귀전에 들렸고 시체타는 냄새를 코로 맡을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 사납디 사나운 흉몽이 정녕 실제로 내 신변에서 일어나고 있단 말인가! 뼛골을 파고드는 공포에 새삼스레 소름이 와삭 돋았고 악몽의 나락에서 벗어나련듯 끝순은 목구멍으로 앓는 소리를 내며 뒤걸음쳤다.  비치적대며 뒤걸음친 발걸음은 저도모르게 산더기에서 몇발자국 내려와 있었다.  사병들은 아직도 화염에 쌓인 시체더미에 눈길이 쏠려 아낙네들중에서 빠져나오는 끝순을 보지 못했다.  산더기아래에서 왜병들과의 거리를 의식한 순간 끝순은 뛰기 시작했다.  “저년 잡아라” 뒤에서 고함소리가 울렸다. 분명 자기를 향해 지르는 소리임을 느껴 끝순은 얼핏 머리를 돌려 보았다. 사병 하나가 자기를 향해 삿대질 하고 있었고 그 호령에 맞추어 두명의 사병이 그를 향해 달려 왔다. 들짐승같이 눈을 번득이며 자신을 향해 득달같이 덮쳐오는 무리를 보고 끝순은 기겁을 했다.  “어매!” 짧은 비명 한번 지르고 나서 끝순은 뛰기 시작했다.  어디로 갈지 모르고 그저 뛰기만 했다. 이 귀신나락같은 곳을 벗어만 나면 된다고 생각했다. 무거운 몸을 버겁게 놀리면서도 이를 악물고 뛰기 시작했다.  무거운 몸은 어느새 산 자락을 내렸고 개울을 건넜고 앞산 산자락을 향하고 있었다.  사슴을 신통히 닮은 바위가 있는 곳, 그래서 사슴골이라 마을이름이 지어졌다. 그 바위를 사람들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생각했고 기자석(祈子石)처럼 간주해 치성을 드리기도 했다.  그곳으로 가면 이 두려움에서, 이 악몽에서 벗어날수 잇을것 같았다.  전설속의 사슴이 뿔을 세워 악귀들과 맞서고 커다란 뿔을 펴들어 그 아래 자기를 보호해 줄수 있을것 같았다. 지쳐 곱아드는 무거운 몸을 포근한 등에 실어 멀리 멀리로 실어다 줄수 있을것 같았다.  “서라, 서지않으면 쏠테다” 뒤에서 헐떡이며 악에 받쳐 지르는 소리가 들려왔다. 소리는 등덜미를 물어뜯는 개의 짖음처럼 가까이 들려 왔다. 하지만 끝순은 멈추지않고 뛰기만 했다.  탕! 총성이 울렸고 끝순은 종아리를 각목으로 가격을 받은 것처럼 풀썩 넘어갔다.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배를 껴안으며 모로 넘어갔다.  신음을 흘리다 모지름쓰며 다시 일어섰다.  몇보 달리자 그제야 다리에 통증이 느껴졌다. 종아리 아래가 시뻘겋게 물들어 있는것을 보았다. 하지만 그 다리를 질질 끌며 끝순은 또 달리기 시작했다.  깜박깜박 흘지는 정신의 끄트머리를 간신히 붙들고 내뛰였다.  고무신에 흘러내린 피가 고여 질퍽거렸다.  잡풀이 뒤덮인 산자락에 좁은 길이 가리마처럼 뻗어있었고 그 길로 우차가 덜컹거리며 느릿느릿 오고 있었다.  골이 깊고 길이 외진 이곳에서 마을을 벗어나는 유일한 길이였다.  그 우차를 향해 허위단심 뛰여 갔다.  우차에서 누군가 놀라며 뛰여 내렸다.  “아니 너 끝순이 아니냐?” 우차에서 뛰여 내린 이는 장목사였다.  마을의 목회를 위해 일주일에 한번 꼴로 룡정에서 수십리 상거한 사슴골까지 찾아오던 장목사였다.  목회자로서의 설교뿐아니라 간간히 왜적들의 국권수탈에 대한 설분이며 민족의 독립에 대해서며를 알기쉽고 조리정연하게 이야기해주어 마을사람들의 존경을 자아냈던 인끔높은 장목사였다. 마을의 량교장과도 사이가 도타왔고 학교의 교사들이 일이 있을때면 대신 교학도 맡아주었던 장목사였다.  “목사님, 아이고 장목사님!” 끝순이 구명은인이라도 만난듯 목사의 팔목을 부등부등 부여잡았다. 오금이 풀려 무릎을 꺾으며 쓰러졌다. 목사가 그를 안아 일으켰고 소몰이군이 그들어 그를 안아 우차우에 눞혔다.  일본사병들의 고함소리가 들려왔다.  피흘리며 쓰러진 끝순이와 총검을 비껴들고 뛰여 오는 사병들을 본 목사가 사태의 엄중성을 직감했다.  “끝순일 부탁하네. 빨리 뛰게나” 목사가 소몰이군에게 당부했다. 소몰이군이 덴겁히 소를 돌려세웠다. 코뚜레를 끌며 손에 들었던 버드나무가지로 소잔등을 마구 후려갈겼다. “가자, 가자, 날래 뛰여라” 공포에 휘감긴 소몰이군의 어조가 괴상한 음조로 변형되여 있었다.  채찍질에 소가 산길을 달리기 시작했다. 우차의 들춤질에 끝순은 잠간의 혼수에서 깨여났다. 몸을 반쯤 일으키며 뒤를 돌아다 보았다.  장목사가 사병들을 맞받아 뛰여 가고 있었다.  “대체 무슨 일이오? 무슨 일이기에 하필 임산부를 잡으려는것이오?” “도시리도끄(비켜라)!” 사병들이 장목사를 향해 감때사납게 웨쳤다.  하지만 장목사는 벽처럼 사병들의 앞을 가로 막아섰다. 사병 하나가 한쪽 무릎을 꿇으며 장총을 들어 멀어져 가는 소수레를 향해 발포했다.  탕,  총알이 머리우로 날아가는 소리가 들렸다.  귀전을 스치는 총성에 끝순은 부르르 진저리를 쳤다.  “어이쿠!” 소몰이군이 손에 들었던 버들가지를 팽개쳤다. 그리고는 걸음아 날 살려라고 줄행랑을 놓기 시작했다.  사병이 다시 총에 장탄을 했고 우차우의 우두망찰 앉아있는 끝순을 향해 조준했다.  장목사가 덮쳐들며 총가목을 잡아 우로 쳐들었다. 탕! 탄환이 허공을 갈랐다.  “칙쇼 (망할놈) 죽고싶냐” 사병이 장목사의 배구럭을 군화발로 걷어찼다.  그런 사병의 군화발을 장목사가 그러 안았다. 한사코 그러안고 놓아주지 않았다. 질질 끌려가면서도 놓아주지 않았다.  악에 받친 사병이 총창을 거꾸로 들어 장목사의 어깨를 내리 찔렀다. 하지만 장목사의 두손은 집게처럼 사병의 발목을 잡고 놓아주지 않고 있었다. 사병들이 우르르 달려들어 총검으로 장목사의 등을 마구 내리 찔렀다.  등뒤에서 장목사의 비명이 들려 왔다.  두 손을 허우적거리는 장목사의 입으로 꿀럭꿀럭 검은피가 새여 나오고 있었고 총검의 찔린 몸의 이곳저곳에서 피의 분수가 치솟아 올랐다.  온 몸으로 피를 흘리며 장목사가 마지막 절규를 뿜었다. “이 독사의 자식들아!!!” 이 모든 광경을 우차에 실려 가며 끝순은 놀라움에 휩뜬 눈동자에 담고 있었다.  이 변고를 아는지 모르는지 소는 는지럭거리며 걷고 있었다.  장목사가 더는 움직이지 않았다. 사병이 발길로 장목사를 산길아래로 차서 내리뜨렸다. 퉤, 하고 사병이 목사의 피범벅이 된 몸뚱아리를 향해 침을 뱉었다.  사병들이 다시 우차를 향해 조준하려던 총을 거두었다. 바퀴 구으는 소리 요란한 우차우에 사람이 보이지 않았던것이다.  사병들이 헐레벌레 쫑아와 소고삐를 잡아 당겼다. 소가 멈춰 섰다.  소수레길 왼쪽은 비탈진 산자락이였고 그 자락의 끝으로는 강이 사품쳐 흐르고 있었다.  사병들이 총을 거꾸로 메고 허리를 굽혀 산자락 아래를 굽어 보았다. 아무리 굽어보아도 끝순은 보이지 않았다.  “칙쇼! 어디로 샜나? 강에 빠져 뒈져나 버려” 씨벌이다가 산자락 아래를 향해 몇방 빈총을 갈겼다.  탄환에 찢긴 진달래 꽃잎이 우수수 날렸다.  그와 함께 놀란 메새들이 날아오르며 강가는 온갖 새소리로 왜자했다.  한동안 산자락을 훓다가 빈물을 켠 사병들이 돌아섰다. 산자락에 군락을 이룬 관목림속 우묵한 곳에 끝순은 몸을 숨기고 있었다.  종아리를 관통한 총상에서 흘러내린 피가 엎드린 땅을 적셨다.  하지만 감히 상처를 처치할 념을 못했다. 강언덕우에서 씨부렁거리는 왜말이 아직도 바람을 타고 간간히 들려오고있었다.  극심한 공포에 끝순은 한기에라도 들린듯 부들부들 떨었다. 그저 눈을 멍쩡히 뜨고 자신의 다리에서 꾸역꾸역 흘러나오는 묽숙한 피를 멀거니 지켜보기만 했다.  속이 미식거리고 목이 말랐다.  한결 굵어진 해빛이 산그늘에 숨어 있는 그녀의 몸우에 빛무리를 우와우왁 내리 붓고 있었다. 왜놈들에게 들킬가 끝순은 자꾸만 나무 그늘속에 몸을 옹송그렸다.  한동안 소리가 없자 끝순은 앙당그렸던 목을 빼들고 나무가지사이로 빠끔 머리를 내밀었다.  돌아서던 사병들이 장목사가 쓰러진 쪽에 다시 멈춰서 있었다. 장목사의 몸이 아직도 꿈틀거리는것을 확인하자 사병하나가 총을 들어 그의 머리에 겨누고 쏘았다.  탕! 메새들이 다시 한번 푸르르 날아 올랐다.  소쩟소쩟  소쩍새가 이제는 울 기력마저 없는 미망인들의 호곡을 대신하는양 덩이진 울음을 연신 토해 냈다.  이윽고 끝순은 떨리는 손으로 너덜너덜해진 치마자락의 한귀를 잡아 입으로 가져갔다. 덜덜 맞부디치는 이발로 치마자락을 물고는 고개를 홱 젖혀 북 찢었다. 치마자락이 찢겨나가며 속곳이 다 드러났고 희멀끔한 허벅살이 다 드러났다. 하지만 그것을 따질 게제가 못되였다.  천쪼박으로 총상을 입은 다리를 질끈 동이였다.  그러다 끝순이 신음을 토해냈다.  다리의 통증이 느껴져서가 아니였다. 그보다도 더큰 통증이 배에 덮쳐왔다.  너무나도 큰 통증에 끝순은 뒤로 벌렁 자빠져 버렸다.  통증은 아래배로 부터 스멀스멀 기여와 온 몸을 휩쌓다. 극심한 통증에 끝순은 입을 딱 벌렸다. 하느라지가 다 보이도록 입을 벌렸다.  사슴바위를 떠인 산 봉우리가 그녀를 향해 꼰지기라도 할듯 거꾸로 동공에 비쳐왔다. 그 골짝사이로 하늘변을 덮으며 뭉게뭉게 피여오르는 검은 연기가 보였다.  한 가슴 울기처럼 가득찬 슬픔과 동통이 한꺼번에 피덩어리처럼 뭉쳐 목구멍 가득히 뻗질러 올라오고 있었다. “어매!” 방금까지는 들쉼조차 함부로 쉬지 못하던 끝순이 동통을 못이겨 소리내여 비명을 질렀다.  강보에 어머니를 잃고 홀아비 손에서 자랐던 그녀는 보지도 못한 어머니를 소리내여 불렀다.  혼몽한 의식속에 산자락을 덮으며 흐드러지게 피였는 진달래꽃이 보였다. 허우적거리는 손으로 진달래나무가지를 부여잡았다. 뭉그려 힘을 준 손에서 진달래가 뿌리채 뽑혀 나왔다. 배꼽노리로부터 불덩이 같은것이 불쑥 치솟는듯 했다.  아래배로 못견디게 우럭우럭하는 뜨거운 열기를 느껴 끝순은 두 손으로 흙바닥을 호벼파며 몸부림했다. 창자를 비트는듯한 비명과 함께 끝순은 하체로 진달래꽃처럼 선연한 피를 울컥 쏟으며 태생부터 불운한 아이를 몸밖으로 밀어 냈다.  팽팽하게 켕켰던 힘살이 느즈러질 무렵 꽉 깨문 터진 입술로 배릿한 피를 머금고 끝순은 치마자락으로 떨어져 내리는 아기를 받았다. 꿈지럭거리는 아이를 보듬어안고 이발로 데룽데룽 달린 태줄을 물어 끊었다. 그런 경황중에서도 아이의 아래도리에 눈길이 갔다. 계집애였다. 굵은 눈물이 후두둑 떨어져 내렸다.  이제 평생 울 분량을 다 울어버렸나 했더니 눈물은 다시 멈출줄 모르고 흘러내렸다. 눈물로 얼룩진 얼굴을 아이의 얼굴에 대였다. 아이가 흠칫 하더니 드디여 응애 하고 첫 울음을 터뜨렸다.  막상 고고의 소리가 아기의 꽃순같은 입에서 터져 나오자 끝순은 와뜰 놀라며 아기를 품에 꼭 껴안았다. 덴겁히 사위를 둘러 보았다. 다행이 왜병들은 물러가고 없었다.  강녘은 죽음처럼 조용했다. 진달래가 지천으로 피여 있다. 앞산에도, 뒤산에도, 양지 음지를 가리지 않고 피여 있다.  산등성이에도 고개마루에도 바위 틈에도 그리고 마을 언저리까지 밀고 내려와 피여 있다.  하지만 진달래가 가녁을 령롱하게 수놓았던 마을은 이제 더는 없다.  볼을 스치는 배릿한 강바람에는 옅은 진달래 향이 섞여 있었다.  그 바람의 위무의 손길에 끝순은 젖은 눈물을 말렸다.  솟쩍 솟쩍 어디선가 소쩍새가 한이 서린 울음을 덩이로 토하고 또 토해 냈다.  - 김 혁 장편소설 "춘자의 남경"중에서 "연변문학" 2015년 3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10    강가의 오얏나무 무성하여라 댓글:  조회:2034  추천:11  2015-08-07
. 축사 . ​   강가의 오얏나무 무성하여라 - "향토작가 리태수 문학생애 55주년 및 작품연구세미나"에서   김 혁   선생님을 처음 뵙게 된것은 지난, 85년의 어느 초여름이였습니다. 나의 양모와 소설가의 사모님이 한 학교에서 근무하셨기에 그 연줄로 나는 행운스럽게 당시 “천지”, “아리랑”등 여러 간행물에 중편소설들을 다량으로 발표하고 장막극과 가사도 써내시며 문단에 널리 알려진 유명 소설가를 만날수 있었습니다. 자택에  들어섰을때 선생님은 안방에  엎디여서 한창 집필을 하고 계셨습니다. 한때 선생님은 엎드려 글 쓰시는 남다른 창작방식을 오래동안 고수해 왔음을 전 기억하고 있습니다. 내가 들어서자 선생님은 쓰던 글을 접어두고 맞아주셨습니다. 유명 소설가를 만난다는 설레임과 어려움에 한밤을 설쳤는데 선생님은 그렇듯 온화하고 부드럽게 절 맞아 주셨습니다. 이것이 리태수 선생님과 저의 첫 만남이였습니다. 그후로 나는 때때로 소설 초고지를 들고 선생님을 찾았고 바쁜 창작의 와중에도 선생님은 필을 놓으시고 나의 설익은 글들을 까근히 읽어주셨습니다.   어느 한번 룡정의 한 소학교 교실에서 소설합평회의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십대의 어린 나이인지라 내가 들고 간 소설은 편집들의 빈축을 받았습니다. 어린 나이인것도 있었거니와 종교색채까지 띈 소설이여서 나중에 편집들은 표절 내지 도작으로 의심하며 몰아 갔습니다. 이때 선생님께서 상을 탁 치면서 강경하게 말씀하셨습니다. “혁이의 초고들을 좀 봤는데 아주 력량이 있는 애더구만. 내가 이 애의 부모와 일면식이 있어서가 아니요. 난 혁이가 꼭 훌륭한 작가로 성장하리라 믿소” 그때 나는 그야말로 왜틀비틀 걸음마 타던 아이가 큰 나무둥이에 의지해 넘어지지 않은듯한 심정이였습니다.   드디여 열아홉살 나던해 나의 처녀작이 고고성을 울렸습니다. 선생님은 그렇듯 기뻐하시면서 우리 집을 찾아 주셨습니다.  김재권 선생님, 오흥진 선생님, 전광하 선생님, 황병락 선생님 등 룡정의 중견 문인들과 함께 우리집 까지 찾아와서 밤늦게 까지 축하주를 들어 주셨습니다. 그날은 그야말로 어린 나의 성인식이요, 문학에로의 통과의례같은 축복의 날이였습니다.   1986년 나는 룡정의 젊은 문인들과 함께 문학협회를 발족시켰습니다. 당시는 소박받는 요즘의 풍토와는 달리 문학의 전성시대였습니다. 룡정 주위의 조양천, 로투구, 지신, 삼합, 백금 지역에서 문학도들이 거의 백명가까이 협회에 가입했고 선생님을 비롯해 김재권 선생님, 전광하 선생님은 흔쾌히 협회의 고문을 맡아 주었습니다. 우리가 경필글씨로 써서 프린트 해낸 “희망봉”이라는 협회지를 까근히 읽어 주셨고 소설 합평회에도 참가해 문학도들의 글짓기에서의 병소를 족집게처럼 집어 내 주셨습니다. 그후 선생님은 또 룡정에 “보름회”라는 문학협회를 발족시켰습니다. 지금은 보름달처럼 이즈러져 있지만 언젠가는 만월 처럼 둥글게 되리라는 깊은 뜻이 담긴 선생님이 친히 지은 동아리의 이름이였습니다. 그때 연길 “길림신문사”에서 근무하고 있던 나는 밤늦게 차를 타고 보름에 한번씩 열리는 “보름회” 작품합평회에 빠짐없이 참여하곤 했습니다. 무엇보다 선생님의 알기 쉽고 유머섞인 단평을 경청하고 설익은 작품을 탁마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동안 번중한 일과 창작에 딸려, 불운한 운명의 조롱에 치여 고향에도 자주 들리지 못하고 선생님도 자주 찾아뵙지는 못했지만 선생님은 나의 문학도 시절의 은사와 같은 존재로 나의 뇌리에 각인되여 있었습니다. 그리고 내가 세상의 질시를 이겨내고 6년만에 서재를 나와 자치주 “진달래”문학상 시상대에 섰을때 어쩌면 공교롭게도 미더운 선생님과 나란히 서서 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수년전, 선생님의 대하소설 “해란강”이 출간되였을때 나는 룡정으로 달려와 선생님을 찾아뵈였고 “연변문학”에 장문의 인터뷰를 낸적 있습니다. 그때 선생님은 나에게 손목의 통증을 호소했습니다. 후에 안 일이지만 선생님이 앓고 있는 그 통증의 학명은 “손목 턴넬 증후군”이였습니다. 빨래등 가사일에 혹사하는 주부들이 흔히 하는 병이였고 또 대하소설 세부를 펴낸 한국의 문학거장 조정래가 앓았던 병이였습니다. 컴퓨터와 같은 기기(機器)가 아닌 육필로 한글자 한글자 수백만자의 대하소설을 펴낸 선생님, 선생님이 마주 앉아 집필한 낡은 밥상, 겉가위를 알뜰히 씌운 키를 넘는 원고지 더미를 목전에서 지켜보며 나는 문학가의 장인정신이란 무엇인가? 를 다시한번 진지하게 생각해 보았습니다.   지난해,  고향 룡정에 대한 궁극적인 사랑과 고향의 력사와 인물을 재다시 발굴, 조명하려는 가상한 각오로 30년만에 고향으로 돌아온 나를 선생님은 반겨 맞아주셨습니다. 아픈 몸으로 기어이 술 한잔 사주겠다고 했습니다. 집에서 불과 사거리 하나를 건너는 짧은 거리도 택시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한 몸이였지만 선생님이 지팽이에 의지해 기어이 나를 잡아끈 곳은 샤브샤브 고기집이였습니다. 선생님이 평생 고기붙이와는 멀리하고 소식을 하셨다는데 대해 아는 이가 많지 못합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날 선생님은 고기를 드셨습니다. “혁이, 팔십이 다 돼서 먹어 본 고기맛이 참 좋데그려”    병마에 시달리면서 치료에 배합하기 위해서는 몸을 추슬려야한다는 의사의 권고에 수도자처럼 깨끗한 음식습관을 고수해 왔던 선생님은 산수(傘壽)의 나이 팔십을 앞두고 파계를 한것이였습니다. 그날 나는 선생님의 강한 생활의지에 다시 한번 감동을 머금었습니다.   그 무슨 사주팔자를 점치는 역술쟁이가 아니지만 요즘들어 선생님의 리.태.수 석자 함자를 두고 나름 그 의미를 풀이를 해보았습니다. 여기서 성씨 리(李)는 오얏 리로 나무를 형용합니다. 또 남을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도 풀이 됩니다. 태(泰)는 클 태로 넉넉하다는 뜻을 가집니다. 수(洙)는 산동성 곡부 지역의 공자가 제자를 가르치고 후에 묻힌 곳의 이름으로 강을 의미합니다. 그러고보면 선생님의 함자에는 크고 넉넉한 강과 높은 나무가 있는 곳, 그 곳에서 남을 가르치는 사람이다는 의미로 풀이해도 되겠지요. 엉터리 역술인이라 말해도 좋지만 전 꼭 그렇게 풀이하고 싶습니다. 또한 이 함자에는 산더기에 사과배 나무 무성하고 그 아래로 해란강이 굽이쳐 흐르는 배산림수(背山臨水)의 룡정의 풍수와도 꼭 같은 형국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그렇게 선생님은 고향 룡정에서 수수하나 뿌리깊은 나무처럼 고향땅의 지킴이로 한평생을 보내셨습니다.   요즘 들어 우리의 문학은 무서운 진통과 부침을 겪고 있습니다. 그젯날 조선족 문화의 발상지로 알려진 인끔 높던 룡정도 그 물굽이를 피해갈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선생님과 같은 로익장들의 계시와 가르침이 있는 한 강경애, 안수길, 최서해, 윤동주, 김창걸등 기라성 같은 문호들을 배출한 룡정지역의 문학은 저 일송정처럼 사철 짙푸르게. 저 배꽃처럼 수수하나 강인하게, 저 해란강의 흐름처럼 면면하게 이어나갈것임을 저는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진정 두손 모아 선생님의 건강을 빕니다. 감사합니다.   2015년 7월 24일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09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필속에 흐르는 시대와 역사 (4)​ 댓글:  조회:1923  추천:13  2015-08-01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필속에 흐르는 시대와 역사 (4)​ ​ ​ 시인 윤동주와의 지연, 학연으로 인한 사명감   “윤동주시인은 천고절창의 주옥같은 시들을 창작하여 우리한테 훌륭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윤동주의 삶과 그 작품은 시공간과 여러 계층을 초월하여 현대성과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작가 김혁은 우리 민족의 저명한 시인 윤동주에 심취되고 윤동주에 관련된 글을 쓰게 된 계기를 두고 “생래적(生来, 天生的)”에 가깝다 할만한 이유가 있다고 말한다. 중국 연변 용정에서 태어나 스무살까지 용정에서 보냈던 김혁, 그것이 계기가 되어 그는 후에 조선족 최초로 윤동주의 일대기를 그린 장편소설 “시인 윤동주”를 창작하고 윤동주 관련 많은 일들을 하게 된다. ​ 그는 용정에서 어려서 신안소학교(지금의 북안소학교)를 다녔는데 그 전신이 바로 윤동주와 문익환이 다녔던 광명학교였다. 그후 용정중학에서 초중과 고중을 마쳤는데 용정중학교는 바로 윤동주가 다녔던 은진, 대성, 동흥 등 학교가 합병한 학교로 지금 교정에 윤동주의 시비가 우뚝 서있다. 이렇게 그는 윤동주와 ‘지연’, ‘학연’을 가지고 있었다. 그후 기자로 뛰면서 조선족 최초의 윤동주 학술회, 시비 건립, 윤동주 관련 학술저서 출간, 관령 활동들을 빠침없이 취재하였고 윤동주를 중국에 맨 처음 알린 오오무라 마스오, 윤동주의 시를 일본에 번역한 아이자와 가쿠, 윤동주의 여동생 윤혜원 녀사 등 관련 친지, 연구가들도 지난 세기90년대에 이미 만나 많은 교류를 했다. 시인에 대한 경모의 마음으로 오래전에 벌써 윤동주 관련 카페도 개설했다.   한국과 중국에서 윤동주 관련 논문으로 석사, 박사 학위를 딴 된 사람만도 50명이 넘고 윤동주 시인에 대한 연구론문도 수백편이 나왔다. 평전이나 위인전기물도 여러 권 나왔다. 이렇게 논픽션 작품은 많이 나왔는데 그에 비해 픽션작품 즉 소설과 같은 창작물은 전무했다. 너무나 알려져 있는 시인이었지만 그 높은 위상 때문이었던지 윤동주 시인의 생애를 작품화한 사례가 극히 적었다. 소설로는1992년 경, 한국에서 방송드라마의 시나리오를 개작하여 한부가 나왔다. 그후 구효서와 이정명에 의해 나왔지만 김혁 작가가 장편 “시인 윤동주”를 2010년에 발표한  후의 일이다. 그리고 윤동주의 숨결은 현재에도 용정의 곳곳에서 느껴지는데 이 곳에서의 윤동주에 대한 추모와 연구작업은 미비한 상태. 그 같은 공백들은 시인 윤종주의 고향에서 태어나고 윤동주가 다녔던 학교에서 공부했던 작가 김혁에게 그 어떤 사명감과 창작의 충동을 주었다. 작가 김혁은 본격적으로 윤동주를 소설화 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연변작가협회에는 “계약작가”라는 창작제도가 있다. 작가들이 창작기획서(스토리와 창작취지)를 작성해 제출하면 연변의 유명 대학교수들과 평론가, 원로작가들로 구성된 평심단이 제출된 많은 기획서들 중에서 가능성 있는 작품을 엄선해내 1년간 창작기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김혁은 윤동주에 대한 스토리만으로 선정되었다. 그는 조선족 작가들중 유일하게 두 차례나 이같은 계약작가에 선정되었다. 이렇게 장편소설 “시인 윤동주”가 2010년 조선족의 권위문학지 “연변문학”에 1년간 연재되었다.   한편, 지난해 9월에는 윤동주의 고향 용정에서 사단법인 “용정·윤동주연구회”를 발족시켰다. “용정·윤동주연구회”는 조선족의 작가, 학자, 교직원들로 무어졌으며 윤동주의 민족애와 문학정신을 선양하는데 그 취지를 두고 있다. “윤동주 시인의 고고한 삶과 정신은 내 삶속에 깊게 들어와 있다”고 작가 김혁은 말한다.   윤동주의 민족애와 문학정신 고양에 앞장서   용정윤동주연구회 회장으로서의 김혁은 우리 민족의 저명한 시인 윤동주가 시 편들을 통해 선양하려 했던 민족애와 문학정신을 널리 계승, 발양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용정윤동주연구회를 설립한 후 짧디짧은 시간내에 많은 일들을 해왔다.      2014년 12월 20일, 명동촌 윤동주 생가에서 윤동주 탄신 97돐 기념행사를 가졌고 2015년 2월 16일에는 윤동주 옥사 70주기를 기념하여 “항일 시인 윤동주 70주기 기념행사”를 가졌다. 또 용정·윤동주연구회의 편찬으로 문화총서 “룡두레”를 출간하기도 했다. 룡정·윤동주연구회의 년중행사의 중요한 일환으로 해마다 정기적으로 펴내게 될 이 문화총서 “룡두레”는 문단의 각 장르에서 뛰어난 실적을 올린 작가들과 대학 교수들로 편집진을 뭇고 그 첫 기를 윤동주 추모특집으로 꾸몄다. 금후 지속적으로 출간하게 될 “룡두레” 총서는 윤동주를 연구하고 그 민족정신과 문학정신을 잇는 문헌들과 회원들의 다채로운 창작품들들을 게재할 뿐더러 용정의 역사, 룡정이 배출한 인걸들을 조명하고 진통을 겪고 있는 우리 공동체의 이슈와 현안에 대해 진맥하며 나아가 우리 민족의 비전에 대한 제안 등의 알쭌한 내용들을 여러 코너를 개설해 다양한 문체로 꾸며나갈 전망이다. 올  4월 4일, 청명을 맞아 장춘에서 꾸리는 조선족의 순수문학지 “장백산” 잡지사와 손잡고 윤동주의 묘소를 새롭게 단장했다. 이어 윤동주연구회 사무실을 윤동주의 자취가 서린 용정의 자택 자리에 오픈, 오픈식을 가지고 본격적인 사무에 착수했다. 뿐만 아리라 룡정·윤동주연구회에서 주관, 운영하는 사이트가 현재 개설중에 있다. 이 사이트는 윤동주에 대한 연구, 선양과 더불어 그 의미를 넓혀 용정의 역사와 인물에 대해 조명하고 오늘의 이슈와 뉴스를 시효성 있게 다루며 중국조선족공동체의 비전을 알리는 뉴스성, 전문성 종합사이트로 거듭나려 한다. 이제 용정·윤동주연구회 성원들로 구성된 역사답사팀이 본격적으로 역사답사에 나선다. 윤동주의 발자취가 어린 명동, 나아가 조선족역사의 “박물관” 격인 용정  유적지에 대한 계획적인 답사다. 보름에 한번 꼴로 정규적인 답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김혁은 밝혔다. 조선족문학의 순문학지인 “도라지” 잡지사, 문화종합지 “문화시대” 등 잡지들과 손잡고 룡정·윤동주연구회 회원 특집을 마련했다. 금후에도 여러 간행물과 손잡고 회원들의 우수한 문학작품들을 그에 걸맞는 우수한 지면에 소개할 타산이다. 또한 연구회 회장 김혁이 창작한 조선족 최초의 “윤동주평전”이 대형문학지 “장백산”에 연재중이다. 올 하반년에는 윤동주를 위한 인물연구서 “윤동주 코드”를 출간하게 된다. 이 외에도 해당 부문과 손잡고 윤동주 백일장, 윤동주 시랑송대회 등 유익한 행사들을 대거 펼쳐 나가려 한다.   에필로그   현재 김혁은 30년 가까이 근무하며 지내왔던 자치주 수부 연길시를 떠나 고향 용정으로 돌아왔다. 윤동주 시인의 용정자택 자리에 앉힌 연구회 사무실에서 창작에 전념하고 있다. 경쟁과 명리만이 난무하는 도시에서 탈출하고 싶었고 수십년 내내 문인들의 “문인상경”의 풍토로 얼룩진 문단에서 탈출해 참된 작가의 기본적인 자세를 갖추고 싶었다. 또 중국조선족 역사와 문화의 발원지인 용정에서 조선족의 역사를 직접 밟아보면서 관련 연구물과 작품 쓰기를 창작성향으로 삼고 십여년간 매일 꼬박 십여시간 가까이 창작과 독서를 견지하고 있다.   “종당에는 중국조선족의 생성에 대한 호흡이 긴 소설, 이주와 정착, 개척과 항일, 건국과 ‘문혁’과 개혁, 출국과 이산의 수백년의 역사를 대하소설로 창작하는 것으로 만년을 장식하고 싶다”. “진정성을 가지고 영혼의 울림이 있는 큰 글을 쓰고 싶다. 작심삼일(作心三日)이 아닌 항상심(恒常心) 하나 가슴에 품고 길을 가려 한다. 그리하여 나중에 ‘민족작가’라는 타이틀로 남고 싶다. 단지 유행을 쫓는 소설가나 칼럼니스트가 아닌 역사에 천착하고 민족을 위해 한 목청 내였던 작가로 기억되고 싶다”. 그의 창작에 대한 지론이다.   김혁 그의 30여년의 작가생애, 그간 그는 실로 우리들 앞에, 우리의 역사 앞에 너무나 많은 작품들을 펼쳐보였고 너무나 많은 일들을 해왔다. 또 더 많은 일을 하기 위해 오늘도 쉼모르고 달리고 있다. 재중동포 작가 김혁, 조선족 문단의 갈피에 우렷이 남을 중후한 큰 작가의 앞날을 기대해 본다. ​ 김정, 허훈 기자 ​ 동포투데이 2015/6/1​  
308    어느 화백의 실크로드 댓글:  조회:2935  추천:18  2015-07-30
칼럼   어느 화백의 실크로드   김혁 (소설가. 인물전 “한락연의 이야기”의 저자)     1 인류는 길을 따라 소통하고 교류하며 문명을 꽃피워 왔다. 그 대표적인 길이 중국 장안에서 시작돼 중앙아시아를 관통, 유럽 지중해까지 연결 된 실크로드다. 중국의 고전 “서유기”에서 등장하는 당승의 원형인 현장법사가 1,300년 전 기록으로 남긴 귀중한 자료 “대당서역기”에 대서특필했던 곳이 바로 그 실크로드다. 고구려 고선지 장군의 활약과 “왕오천축국전”을 남긴 신라의 혜초 스님의 법경이 바람소리로 남아 있기도 한 길이  바로 그 실크로드다. 이 길을 통하여 도자기, 향신료, 유리, 보석, 옥, 직물, 쌀, 밀 등 인류가 생산해 낸 모든 물건들이 거래 되였으며 동방에서 서방으로 간 대표적인 상품이 비단이라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됐다. 길을 따라 물건만 오고 간것이 아니라 종교와 문화도 함께 주고받았다. 동서양의 교역과 문화의 네트워크 역할을 톡톡히 하면서 약 6400 킬로메터에 이르는 방대한 륙로 교통망이 구축되였다.   2 최근 실크로드는 또 한번 굳잠에서 깨어 나고있다. 중앙아시아의 경제성장 잠재력이 부각되면서 주변국인 일본에서는 실크로드 루트의 동방의 종점은 일본이라고 력사를 왜곡하고 있는가 하면, 중국을 비롯한 한국, 로씨야 등 린접국들은 그 경제협력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도 있다. 따라서 한국이 중국의 동부 도시들과만 교류에 그치지 말고 특색있는 서부지역과 교류의 다변화를 꾀해 새로운 “한중-로드”를 구축 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도 나오고있다. 한반도 종단 철도를 중앙아시아와 유럽으로 확장하겠다는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에서 실크로드는 “장미빛” 환상의 길목이며 그 길 위에서 한국과 중국은 경쟁자이자 동반자인 셈이다.   ​ "중국의 피카소"- 한락연 3 그 길우에 혼을 묻은 화가가 있다. 1898년 이주민들이 일군 북간도의 룡정촌에서 태난난 그의 원명은 한광우, 한락연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짧은 생을 살았지만 그의 행동반경은 실로 종횡무진이였다. ​ 1914년 룡정에서 헤이그 밀사 리상설이 창설한 “서전서숙”이 전신이였던 룡정보통학교를 마쳤고 용정에서 3 ·1운동의 추동을 받은 독립시위에 가담하였다. 일경의 리스트에 오르자 1919년 상하이로 갔고 임정의 초기 멤버로 활약하였다.  상해에서 중국 최초의 미술전문학교를 나왔다. 1923년 심양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고, 1929년 프랑스로 가서 루브르예술학원을 졸업했다. 재학 당시 유럽 각국을 돌며 개인전을 열어 호평을 받았다. 세상의 모습을 올곧게 그려내는 한편 그는 그림에만 매달리는 다른 화가와 달리 좁은 화폭안에서 살아가는 화가로 만족하지 않았다. 1937년 중일전쟁이 일자 그는 곧 중국으로 돌아와 무한, 중경등지에서 항일투쟁에 적극 투신하였다. ​​​ 서역의 풍광을 담아 낸 한락연의 유화 ​   그는1943년부터 중국에서 처음으로 서역의 벽화모사와 유물 고찰작업에 착수한 사람이다. 이때 장족, 몽골족, 위구르족 등 중국 소수민족의 생활풍습 등을 생동감 있는 화법으로 그려냈는데, 이는 당시 중국화단에 큰 충격을 주었다. 중국의 이름난 석학 성성(盛成)선생은 1980년대 한락연의 그림전을 보고 이런 글발을 남긴적 있다. “그는 피카소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현실보다 더 현실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이었다. 또한 그는 예술사학자이자 탐험가로서 쿠차 천불동에서 당나라 초기의 투시화와 인체해부도를 발견했다. 그의 성은 한씨, 이름은 낙연. 이름이 그 사람을 닮았고 사람은 그의 예술을 닮았으며 그의 예술은 그곳, 그때를 발견했다. 그는 변경 동포로서, 변경 지역의 생활과 문화를 가장 사랑했다…” ​ 1947년 다시 벽화모사와 유물고찰을 마치고 둔황에서 란저우로 돌아오던 중 비행기 추락사고로 한락연은 실크로드 위에 육신을 바쳤다. 한국에서는 광복 60주년을 맞으며 덕수궁미술관 한락연 특별전을 가졌고 이어 “대통령상”이 추서(追敍)되였다. 2010년 고향인 룡정에 그의 이름을 딴 공원이 조성되였다. 피카소등 세계화단의 불세출의 인물들과 실크로드에 깃들어있는 인류의 보귀한 유산들이 한락연의 꿈을 키울 모판이 되였고 그의 화법에 그러한 심력이 녹아 들어있다. ​ ​고향 룡정에 조성된 한락연 공원 ​ 조선인 이주민의 후예로서 , 예술가로서, 열렬한 사회활동가로서, 굳건한 “력사문물의 지킴이”로서 그는 조선독립과 민족해방의 사명을 짊어지고 젊음을 불살랐고 반일투쟁을 위해 거대한 중국대륙을 무대로 혼신을 던졌으며 무엇보다도 인류의 찬란한 문화유산인 서역의 문화재발굴에 주력하여 선구자적인 업적을 남겼다. ​ 전기적 색채가 짙은 한락연의 경력은 깊은 잠에서 깨어 난 실크로드와 더불어 뒤늦게 나마 중국과 세계 화단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청우재(听雨斋)”에서   “문화시대” 2015년 3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07    육필, 련꽃무늬 밥상 위를 달리다 댓글:  조회:2036  추천:11  2015-07-27
육필, 련꽃무늬 밥상 위를 달리다 - 대하소설 "해란강"의 저자 리태수선생을 만나   김 혁 리태수 선생님과    지난해의 이 봄날, 연길시 도심에서 위치한 시대광장에서 제2회 독서절활동이 성황리에 펼쳐지고있었다. 그때 광장의 가녁에 설치된 도서코너에서 나의 눈길을 대번에 사로잡는 책이 있었다. “해란강"... 정다운 고향의 강 이름을 딴 책의 제명이 마음에 들었고 그 저자가 다름아닌 고향의 문학스승 리태수선생의 작품이라는데서 좋았고 무엇보다도 대하소설이라는 부피가 주는 충격에 사로잡혀 들었다. 그로부터 얼마후 나는 선생님께서 몸소 싸인해 보내주신 “해란강”의 전(前) 4권을 무겁게 받아들었다. 그리고 봄양기가 꿈틀거리는 이 봄날 다녀온지 퍽 오래되는 고향으로, 문학스승 리태수선생님이 계시는 룡정으로 나는 달려 갔다.   룡정 안민소학교부근에 위치한 선생님의 집에 까지 도착했을 때이른 아침임에도 불구하고 선생님은 밖에 나와 기다리고계셨다. 너무 오랜만에 만나는 선생님의 손을 꼭잡고 유명작가의 이름에 어덴가 걸맞지 않을 낡은 건물 낮은 층수의 선생님의 집에 들어섰다. 문학도시절 대중없이 찾아가도 언제나 특유의 엎딘 자세로 글을 쓰시던 선생의 모습이 순간 뇌리에 떠올랐다. 인테리어가 퍽 오래된 낡은 집, 하지만 집안 가득 “문자향 서권기(文字香 书卷气)”는 배여 있었다. 서재에 들어서자 선생이 밥상을 펴놓았고 차탁대신 밥상에 쏘파대신 맨땅에 우리는 마주 앉았다. 역시 퍽 오래된 밥상, 옻칠이 군데군데 벗겨져있는 두리넓적한 밥상이였다. 하지만 련꽃무늬는 아직도 남아 서기롭게 피여있었다. 그 밥상이 선생님의 창작전초(前哨)라고 했다. 꿈많은 문학도시절이였던 80년대 중기, 나는 룡정의 문학도들과 어우러져 문학동아리인 “희망봉”협회를 만들었고 리태수선생님을 비롯하여 김재권, 오흥진 등 당시의 중견작가들이 흔쾌히 우리의 고문을 맡아주셨다. 선생님의 사모님과 나의 어머니가 한 학교동료라는 “우세”를 빌어 나는 시시때때 선생님의 집으로 뛰여들곤했다. 난삽하고 미숙한 작품임에도 부끄러움도 모르고 정독했고 선생님은 빙그레 미소를 띈채 그 긴 작품들을 마지막까지 들어주셨고 세세하게 수개평을 달아주시곤했다. 나의 처녀작 “피그미의 후손”이 발표되자 기뻐마지 않으며 우리 집까지 친히 찾아오셔 축하의 술잔을 들어주었다. 그후 선생님을 위시로하여 룡정의 작가들이 “보름회”라는 문학동호회를 창설했다. 기성작가들과 문학애호가 20여명으로 구성된 동호회는 보름에 한번씩 작품합평회를 가졌다. 그때 이미 연길의 “길림신문사”에 전근해 있었지만 나는 보름에 한번씩 룡정으로 달려가 작품합평회 그 열기의 현장에 뛰여들었다. 그때의 그 열렬하고 진지했던 문학분위기는 열혈문학도였던 나에게 아직도 화인(火印)처럼 남아있다. 그런 인연의 대스승님이였기에 선생님의 대하소설의 출산을 두고 나의 기쁨은 그 누구보다 진실했고 크기만 했다. 어제에 대한 회포가 잠간 오간뒤 거두절미하고 문학에 대한 화제가 밥상우에 진담으로 굴렀다. 그 련꽃무늬의 밥상을 마주하고 앉아 나는 선생님의 생애와 작품을 더듬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선생님은 정밀한 기억력으로 지난 시간들을 반추해 냈다. 리태수(李泰洙)선생은 1936년 10월 길림성 연길현 평안구 유신촌에서 아버지 리종식과 어머니 김숙자사이에서 항렬 셋째로 태여났다. 그래서 문필활동을 시작한후 때로 필명을 리삼(李三)이라 짓기도 했다. 룡정에서 학업을 마치고 1956년에 중국인민지원군에 입대했다. 원체 선생의 꿈은 흰 가운을 걸친 의사였다. 광복이 나던 무렵, 동생이 당시 괴질이였던 장질부사로 죽었고 동생의 주검을 지켜보면서 꼭 세상질병을 치유할수 있는 의사로 되여야겠다는 생각을 눈물과 함께 머금었었다. 의과대학 지망생이였지만 가정 여건으로 꿈을 이루지 못했고 미련은 남아 문화대혁명기간 맨발의사로 활약하기도 했다. 지금도 어중간한 두통, 설사쯤은 침 몇대로 고칠수 있다는 선생의 서가에 얹혀있는 빛나는 침통이 보였다. 무선전병이 되여 강원도 이천에으로 종군한 그는 손풍금도 잘치고 시랑송도 곧잘하는 매력덩어리 젊은 군인이였다. 기온이 찬 강원도에서 눈속에 피여있는 진달래를 보고 부푸는 애련과 감수를 머금었고 감흥을 못이겨 조기천의 시를 소리높여 읊기도 했다. 1959년에 복원, 처녀시 “복원군인의 노래”를 《연변문학》 3월호에 발표했다. 그후로 련줄로《연변일보》에 등지에 시 “초상화”, “새해에 드리는 세배”등 여러수를 발표했다. 화학공장에 취직하여서도 넘치는 끼를 주체못하고 업여연출대를 휘동하고 다녔고 가사도 쓰고 연출도 맡고 손풍금 연주도 했다. 1971년 연길현문화관으로 전근, 관원을 거쳐 군중문화보도조 조장을 맡았다. 당시 문화관에서는 매년 200일 하향이라는 규제가 있었는데 그렇게 오랜 시일 깊은 산골에서 순박한 농군들과 함께 하면서 많은 작품소재를 얻었다. 시창작외에도 연극창작에도 기량을 보여 대창극 “꽃피는 양돈장”, 촌극 “쓸데없는 경쟁” 등을 써냈고 주과외연극콩쿠르 창작1등상을 받기도 했다. 소설은 1974년 10명의 합집으로 된 총서에 단편 “우두봉의 매” 를 발표하면서 시작했다.  한편 아동문필회에 다니면서 아동문학쟝르에도 흥미를 보여 1982년 “세계동물운동회” 라는 동화집 단행본을 펴내기도 했다. 1984년 단행본 “체포령이 내린 ‘강도’”를 출판, 당시 십분 류행되였던 반특(反 特)제재인 작품은 동북3성 조선문우수도서 3등상, 전국 우수도서 2등상을수상했다. 1986년에는 5막6장으로 된 대형가극 “기생 봉선아씨”를 창작, 룡정현예술단의 공연으로 무대에 올렸다. 20년대 룡정에서 발생한 15만원 탈취사건 등 반일사건을 모티브로하여 박진감있는 스토리로 엮어진 가극은 당시 작지 않은 센세이숀을 일으켰다. 다쟝르를 넘나드는 선생님의 행보는 이에 그치지 않았다. 1988년 텔레비죤소품 “홈”(합저)을 창작, 전국콩쿠르에서 “금우상” 1등상 수상핶고1988년 가사 “산향길”와 “들놀이 가자 꽃놀이 가자”로 주정부 진달래문예상 수상, 1989년 국경 40주년 전국과외문예콩쿠르에서 “특등상”을 수상했다. 복격적인 소설창작으로 단편소설 “달동네” 등 80여편을 발표했고 텔레비죤극본 “한석봉과 그의 어머니”, “깍쟁이량반”등을 내놓았으며 “진달래꽃동산”, “산간의 마방울소리” 등 가사를 150여수 발표했다. 그중 “사회주의조국을 노래부르자”, “어머니 당이여 고맙습니다.”, “고향산”, “따사로운 품” “고임돌” 등 작품들은 중소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여 지금까지 읽혀지고있다. 여러가지 쟝르와 문체의 집필에 대해 선생은 장기간 문화관 일군으로 지낸 직업적 특수성에서 인기된것이지만 또한 작가라면 어느한 쟝르나 문체에 얽동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시창작을 하면서 형상사유를 제고할수 있었고 연극에서는 대화를 정제하는 법을 배웠으며 동화쓰기에서는 작가의 심리를 정화할수 있었다”고 선생은 정리해 낸다. 그리고 매쟝르에는 정도 다르게 자신이 경험한 삶의 편린(片鱗)들이 슴배여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쟝르에 대한 다양한 수용과 탐구는1993년 《이야기천지》를 창간하기에 이른다. 리태수선생이 1임 주필을 담당한 통속문학지 “이야기 천지”는  내부간행물에 불황의 출판풍토에도 불구하고 발행부수 1만5천부라는 놀라운 “전적(前績)”을 자랑했고 독자들의 다양한 수요에 걸맞는  출판모식의 실험에서 좋은 본을 보여주었다. 선인들이 내놓은 “량춘백설” “하리바인”의 도리는 오늘날에도 적용되는바 창작과 출판에서 과감하게 시장수요에 맞추어야 한다고 선생님은 력설한다. 하여 신문의 폐간을 가슴아파 하며 무순에 까지 찾아가 타지방 신문과의 제휴방안을 내놓으며 신문발행번호를 얻으려 로심초사했던 그였다.  “문학은 한 민족의 얼굴이다. 민족의 세태, 의식주, 례의범절, 풍속, 종교신앙 등 거의 모든 부분들을 문학으로 기록할수 있는데 문학을 보면 그 민족이 알린다.”고 말하고있는 선생님은 그만큼 여러 쟝르에 민족적 소재만을 끈끈히 담아온 창작에 게을리 하지 않았다. 1996년 정년퇴직했지만 만년에도 여전히 필경(筆耕)에 주력하여 다산작가로서의 식지않은 정열을 보여주었다. 단행본 “춘삼월”, 중편소설집 “사랑은 S“를 펴내였고 2001년 《연변문학》에 장편소설 “재박골의 새 이야기”를 련재했다. 고희의 오늘에 이르기까지 고도(古都) 룡정에만 붙박혀 고향의 문화지킴이로 전력해온 선생님은 단지 개인적인 창작에만 그치지 않았다. 룡정문화발전추진회, 3.13기념사업위원회 등 단체의 요직을 맡고 우리것을 지키고 일으켜 세우기 위해 팔을 걷어부쳤다. 1992년 선생님은 조선족민속풍토를 다각적으로 보여준 다큐멘터리 “중국조선족민속”을 집필, 책은 국가관광국출판사에서 화책으로 출판되였고 한국 서울프라이즈(KBS)해외부문 1등상 수상했다.  수십년간 중국작가협회, 연변작가협회, 연변희곡가협회에서 활약하며 1급작가라는 직함과 수식도 갔고 있지만 선생님은 복잡한 문단의 패거리에 끼거나 손쉽게 문명(文名)을 팔려하지 않았다. 그저 나서 뼈를 굵혀온 고향을 뜨지않고 량산의 글농사로만 자신의 창작생애를 집계했을뿐이였다. 그 올곧은 외줄다리기의 결과가 조선족문단 최초의 대하소설을 출산하게 만들었다. 요즘 문단의 큰 이슈로 되고있는 대하소설 “해란강”은 룡정 해란벌의 “농민영웅” 김시룡을 원형으로 파란만장한 호조합작사시기로부터 개혁개방시기에 이르기까지의 장장 60여년의 조선족 농민들의 력사와 운명, 그리고 해란강지역의 독특한 력사와 풍속, 인정과 세태를 거대한 리얼리즘의 사시적인 기법으로 대하소설이라는 큰 그릇에 담고 있다. “중국조선족은 일찍 동북의 넓은 광야를 개척하여 삶의 터전을 마련했고 가렬한 항일전쟁, 해방전쟁에서 피흘리고 목숨을 바쳤다.   건국후 호조조, 합작화, 인민공사화 운동가운데서도 전국에 이름을 날린 김시룡과 같은 ‘농민영웅’을 배출했다. 이러한 우리의 력사를 어떻게 정리해야 할가? “하는 질문으로부터 필을 들었고 “애초에 거창하게 나온 것이 아니라 한글자 두글자 쓰다보니 그 파란많은 력사의 경륜을 원고지 부피가 꽤 두텁게 새기게 되였다.” 고 선생님은 집필동기에 대해 겸손하게 피력했다. 어찌보면 선생님의 평생의 창작리념과 경험을 집대성한 “해란강”은 1996년에 집필하기 시작하여 꼭 10년만인2007년에 마무리되였다. 오랜시간 문화파종의 구실을 톡톡히 하고있는 문화관에서 근무하면서 기층에 자주 내려가고 밑바닥 삶과 호흡을 같이 했던 과정에 피부로 절감해왔던 대중들의 생존상황이 그에게 그들의 모습을 원고지에 담아야할 충동을 느끼게 했던것이다. 모택동주석의 접견을 20여번이나 받은 “농민영웅” 김시룡, 빈농협회 회장이였던 삼촌의 경력과 구술, 당안관에 널린 방대한 자료의 수집 등 번쇄한 로동속에 자신의 주변에 떠다니는 서사의 무수한 조각들을 조합하여 “해란강”이라는 큰 곬의 창창한 흐름에 에워넣었던것이다.  문단과 독자들의 주목속에 “해란강”은 이미 4권까지 출간되여 서점가에 올려졌고 무난하면 명년까지 모두 출간될수 있다고 한다. “’해란강’ 은 작자가 20여년의 신근한 필경을 통해 우리 농민의 60여년의 력사를 반영하려는 전무유일의 장엄하고 힘겨운 시도인바 그 치렬한 작가정신과 민족적사명감을 충분히 긍정함과 아울러 그간의 로고에 우선 경의를 드린다”고 비평가들은 평한다. 한면 어떤 부분에서는 사관(史观)이 몽롱하여 단순한 흑백론리로 흐르고 가치판단의 문제점을 로정(露呈)한 아쉬움에 대해서도 제기되면서 작가가 조선족농민의 생활을 독창적으로 파악하고 특색있게 형상화하여 우수한 대서사시적 화폭을 창출할것을 문단과 독자들은 기대하고있다. 이제 작품에 대한 수정과 보완을 위해 또한번 볼펜을 잔뜩 거머쥐어야할것 같다고 선생님은 말했다. 늘 버리지않고 있는 창작태세에 대한 새로운 긴장감의 힘이 선생님과 작품을 또한번 거듭나게 할것 같다. 요즘 빨리 쉽게 써서 재빨리 인정받으려는 작가들이 스스로 호흡이 짧아짐을 느끼지 못해서인지 아니면 독자들이 짧고 쉬운 작품만을 요구하는 스낵식 풍토 때문인지 우리 문단에서 장편소설이 많이 나오지 못하고있다. 그러는 동안 우리 문단밖에서는 중국과 서구와 일본의 장편소설이 홍수를 이룬다. 작가가 작품을 통해 시대적 상황을 비춰 주는 거울의 역할을 하거나 한 미족의 시대정신 혹은 그 위대한 철학이나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호흡이 긴 장편소설은 필요하다. 고금중외 명작가의 명작들은 긴 호흡으로 사회상황을 인간조건과 련결시켜 큰 성공을 거두지 않았던가! 조선족 공동체 삶의 문학적형상화는 우리 문학의 기본사명의 하나이다. 더구나 요즘처럼 큰 진통을 겪고있는 시점에서는 더 필요하며 그것이 대하소설과 같은 큰 편폭으로 루어질 때 더 값있는것일것이다. 때문에 이번 대하소설의 출산은 그 선보임이라는 선각적인 행위 하나만으로도 가지는 의의가 크다고 나는 선배에 대한 편파적인 존경만이 아닌 긍정의 분석을 해보았다. 선생님의 서재에는 미국에 류학 간 딸이 마련해준 컴퓨터가 있었지만 선생님은 컴퓨터를 쓰지않는다고 한다. 그러니 어마어마한 분량의 대하소설이 모두 육필로 나왔다는 이야기가 된다. “해란강”에는 등장인물이 165명 실제 실존한 력사인물만도 20여명으로 그들이 경과한 60년의 력사를 380만자의 편폭으로 새기고있다. 선생님이 뒤이어 내놓은 “해란강”의 원고들을 보고 부지중 감탄을 흘릴수 밖에 없었다. 마분지로 겉가위를 댄 원고지 묶음이 저그만치 15개, 원고지의 모서리는 모두다 닳아있었다. 작품에 투여된 시간의 흔적이 느껴지는 원고지 묶음이였다. 250자원고지에 써내려간 원고뭉치를 쌓으니 족히 1메터 반은 되였다. 원고지의 필적(筆跡) 또한 선생님처럼 단아했다. 단정한 기운의 글씨가 원고지 칸을 가득가득 채워 원고지가 아주 묵직해 보였다. 그리고 선생님은 여태 원주필로 원고를 집필한다고했다. 그러면 연필을 깎거나 잉크를 채우는 등 번거로움을 줄일수 있다는것이다.  육필로 15권, 380여만자를 써내려가면서 손목에 무리가 와서 근 한달간이나 치료를 받으며 집필을 중단했던적도 있었다고 한다. 그렇게 이야기하는 선생님의 손목은 오랜 글쓰기의 고역에 엄중하게 변형되여있었다. 원체 엎디여 글쓰는 습관이 있었는데 가슴에 통증이 와서 이제는 밥상앞에 마주 앉아 쓴다고 했다. 옻칠이 벗겨진 련꽃무늬의 밥상, 그 밥상이 선생님의 10여년 로고의 견증자가 된것이다. 사실 선생님은 컴퓨터와 같은 기계문명에 대해 거부 반응을 보이는 기피자는 아니였다. 철자 익히는 애들처럼 컴퓨터 지법을 외손녀에게서 배웠는데 이제 몸이 따라주지 않아 타이핑 속도가 늦다고했다. 키보드를 두드려 온 하루 5,6천자를 쓰지못하는데 육필로는 8천자는 거뜬히 써내려갈수 있다며 선생님은 무가내의 웃음을 보였다. 그래서 아예 몸에 배인 육필사용을 고수한다고 한다. 우리문단에서 6, 70대 이상 작가들 가운데서 컴퓨터를 활용, 집필에서 워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분들도 적지않다. 50대도 대부분도 꽤 능숙하게 컴을 사용하고있고 40대는 모두가 쓰지 않고 친다. 그 아래 세대는 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키보드우를 날아다닌다. 따라서 속도가 우선인 이 시대, 글씨 쓰기가 메모나 서명의 범주로만 남아 있는 이 디지털 무한 복제시대에 필자의 정성과 령혼이 담겨 있는 육필(肉筆) 원고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선생님의 정감이 묻어나는 손글씨가 새겨져있는 원고지들을 지켜보며 “나는 온몸으로 글을 쓴다”고 선언했던 어느 유명작가의 경구(警句)를 머리에 떠올려 보았다. 그리고 작가의 본령이라 할수있는 올바른 작가정신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 보았다. 각박한 표현 같지만 요즘들어 치렬한 작가태도와 작가의식을 지닌 작가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오늘날의 작가들은 창작 외의 일에 너무 관심이 많은것같다. 작가혼은 오간데 없고 속도나 경쟁 그리고 독선만이 보인다. 이러한 빈번히 풍토속에서 선생님과 같이 육필을 고수하는 이들은 시대에 떨어진 모습으로 오인(误认)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는 진정 부박(浮薄)한 속도의 가치에 저항하면서 한획한획 새겨나가는 철저한 장인정신의 표출이 아닐가! 넝쿨지지도 잔가지도 치지도 않고 반듯한 이파리와 환한 꽃잎을 피워올리는 련꽃, 그 무늬가 새겨진 낡은 밥상을 마주하고 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누며 나는 오늘의 작가들은 어디에 살고 있으며 그들이 살고 있는 공간의 의미는 무엇일까? 작가에게 창작의 공간은 과연 몇평이면 족할까?하는 생각을 굴려보았다. 작가가 거주하는 삶의 공간이 창작의 공간과 같을 수는 없겠지만, 세계와의 뉴대와 자기 동일성이 형성되는 실존의 중심공간임은 분명할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낡은 밥상의 반경이 주는 공간이 내게는 너무나 크게 보였다. 선생님의 모습을 내가 꾸미고있는 문학블로그에 담고저 선생님을 향해 카메라의 앵글을 맞추었다. 세상의 번화함을 멀리한 조촐한 서재에서 련꽃무늬 밥상앞에 마주 앉아 육필을 부여잡고 원고지를 메워나가는 선생님의 모습, 고감도 영상에 포착된 선생님의 모습에서 나는 어떤 아우라(Aura. 문학이나 예술 작품에서 흉내낼수 없는 고고한 분위기)를 보았다.    "연변문학" 2008년 4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06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필속에 흐르는 시대와 역사 (3) 댓글:  조회:1846  추천:13  2015-07-23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필속에 흐르는 시대와 역사 (3) 자신의 문학의 사표로 삼고 있는 박경리의 자취를 찾아 원주 박경리 문학공원을 찾은 작가 김혁    사회문제 다룬 무게 있는 작품들   밑바닥인생 체험을 바탕으로 한 작가의 추구와 아픔에 대한 묘파는 지난 세기 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그 양상이 변하기 시작한다. 그때를 두고 작가는 다음과 같이 회억한다. “나의 육신밖의 아픔 그리고 그렇게 많은 사람들의 아픔을 피부로 느끼면서 갓길에 섰던 나의 필봉은 새로운 좌표를 찾기 시작했다”. 따라서 일부 몰지각한 한국인들의 중국조선족 한국초청사기 사건을 다룬 장편르포 “천국의 꿈에는 색조가 없다”, 도시와 외국으로의 진출 과정에서 조선족 여성들이 겪는 아픔을 다룬 장편소설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중국조선족 문제 테마소설”이라는 부제하에 변혁기 중국조선족의 고뇌를 취급한 작품들을 련줄로 펴냈다.  특히 1990년대 말의 한국초청사기 사건을 전방위로 다룬 장편르포 “천국의 꿈에는 색조가 없었다”는 진부하기 그지없는 조선말출판 풍토에서 가장 짧은 시간내에 수천권이 판매되는 기록을 냈다. 그 후, 조선족공동체의 정체성과 위기를 다룬 작품창작이 작가의 창작 주선을 이룬다. 십여년간 “중국조선족문제 테마소설”이라는 부제를 달고 그 시리즈물을 수십편 펴냈다. 올해에 그 특집을 한데 묶은 소설집이 간행된다. 작가는 여섯 부의 장편소설을 연재, 출간했는데 모두다 민족의 역사와 관련된 묵직한 소재의 작품들이다. 그 가운데서 “마마꽃 응달에 피다”는 문화대혁명에 관한 아픈 기억을,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는 흔들리고 있는 조선족공동체의 아픔속에 스러져가는 여인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장편소설 “춘자의 남경” 조선족 최초 연변지역 위안부의 시선에서 위안부와 남경대학살 제재를 다루고 있다. 김혁 작가의 상술한 작품들을 두고 평론가들은 “묵직한 사건과 인물들을 소재로 서사적 사건 전개의 구조가 선명하고 극적인 이야기성의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들이다”고 높이 형가했다. 작가의 필속에 살아 숨쉬는 역사와 인물들  김혁은 다각적으로 조선족공동체의 역사와 면면을 보여주기 위해 소설, 창작 외에도 기행, 칼럼, 영화론문 등 여러 장르를 충분히 동원하여 수년간 관련 연재를 이어가고 있다. 그 중 5년간의 답사를 거쳐 용정의 역사를 60여만자로 다룬 장편역사기행 “일송정 푸른 솔, 해란강 깊은 물”은 조선족문화의 발상지 용정의 생성과 지금까지의 역사에 대한 완결판 같은 작품이라고 격찬받고 있다. 이 작품은 이미 중문으로도 번역되여 출간을 앞두고 있다. 3년반 째 연재되고있는 문화역서시리즈 “영화로 읽는 중국조선족”은 스크린의 각도에서 조선족의 백여년 역사를 다른 텍스트로 연구한 작품이다. 2년째 연재되고 있는 “소설가 김혁의 인물시리즈”는 조선족 수십명 인걸들의 생애를 사전형식으로 가나다라 순으로 짧고 명료하게 다루고 있는 소전기물이다. 작가는 근년래 인물전기 창작에 거의 모든 시간을 바치고 있다. 민족의 정체성 확인과 자부와 비젼을 위한 작업—조선족인물전 시리즈를 사회와 약속하고 그 결과물들을 육속 펴내고 있다. 그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제반 분야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긴 주덕해, 한락연, 김염, 김약연, 윤동주, 김학철, 리홍광, 리화림, 양림, 정판룡 등 우수한 인걸들의 전기를 이미 펴냈거니와 앞으로도 지속 펴내는 작업을 그의 창작스케줄의 가장 중요한 위치에 놓고 있다.  한편, 그는 기행문, 인물전이라는 논픽션물 외에도 소설이라는 픽션으로 조선족 인걸들을 조명하는 작업을 펼쳐나가고 있다. 문단 처음으로 소설화한 “시인 윤동주”는 연변이 낳은, 겨레가 애대하는 시인 윤동주의 문학적 삶을, “완용 황후”는 연변에서 숨진 청나라 황후를 통해 근대 동북의 근대사를 조명하고 있다. 현재 집필을 마치고 출판을 앞두고 있는  “무성시대”는 “중국 영화의 황제” 김염의 영화인생을 그린 장편소설로서 중국작가협회 소수민족 지지작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매체의 기자와 소설가로서의 삶을 병행해 살았던 김혁에게 있어 “문학적 다큐멘터리”로 특징지을수 있는 저널리즘적 글쓰기가 남들과 차별화된 창작성향이다. “대서사적인 작품을 다루는것이 나의 근년래 그리고 향후의 창작방향”이라고 작가는 말한다. 끊임없는 창작과 그 작품들 작가 김혁은 그야말로 백메터 경주자의 자세로 오로지 창작에 몰두 하고 있고 발에 발을 이어 그 결과물들을 육속 내놓고 있다. 이미 출간된 외에도 곧 출간을 앞두고 있거나, 창작스케줄을 짜고 다그치고있는 작품창작 역시 놀라울정도로 방대하다. 윤동주 연구서인 “윤동주 코드”의 집필을 이미 마무리했다. 조선의용대 분대장 김학철에 관한 청소년 전기도 완수했다. 지금 연재중인 “윤동주평전”의 집필과 병행, 명동학교 교장 김약연에 관한 평전 “규암 김약연전”도 집필중이다. 연변대학교 교수들과의 공저로 연변대학의 정초자 “정판룡평전”도 몇해 전에 이미 집필에 착수했다. 지난세기 30년대 용정에서 10여년간 지내면서 용정체험을 소설로 펴냈던 여류작가 강경애의 일대기도 소설화, 집필을 마쳤다. 연변의 첫 민족교육기관인 서전서숙의 설립자이자 고종황제의 밀사였고 독립운동가였던 보재 이상설에 관한 장편소설도 그이의 타계 100주년을 맞아 출간 예정이다. 특히 지난 몇년간 김구의 비서로 지냈고 윤봉길과 이봉창의 작탄의거를 도왔지만 이데올로기의 차이로 해외에 알려지지 못했던 의용대 출신의 여걸 리화림에 대한 전기물 집필작업을 몇해간 꾸준히 해왔다. “꼭 그 결과물을 내놓으련다”고 김혁은 말한다.  (계속)​ 김정, 허훈 기자 동포투데이 2015/5/28  
305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필속에 흐르는 시대와 역사 (2) 댓글:  조회:2362  추천:13  2015-07-13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필속에 흐르는 시대와 역사 (2) ​  개인서재 “청우재(聽齋雨)”에서의 저자     "독서광"으로 불리는 작가 ​     조선족 문단에서 김혁작가는 유명한 "독서광"으로 불린다.     그에게 영감을 주는 작가, 좋아하는 작품에 대해 물었다. ​  ​ "작가들이 좋아하는 작가와 작품은 그 인생경력과 열독경력에 따라 변모한다.   어렸을때는 장르작품들 그리고 남다른 문체실험으로 튀는 작가들을 좋아했었다. 하지만 오래동안 기자생활에 몸담그고 열독량이 많아짐에 따라 사회문제에 천착하는 작가들을 좋아하게 되었다. ​   토스토예프스키, 카잔차 키스, 솔제니친, 박경리같은 대가들에게 경모감을 품고 호흡이 긴 그들의 대하소설들을 완독하는데 성공했고 그이들에 대한 연구서들도 숙제하듯이 밑줄그어가며 읽었다. 그중 보리스파스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를 좋아해 소설을 몇번이고 다시 읽었고 영화,테프 CD로도 여러가지 판본으로 갖추어 지금도 다시 본다."   박경리에 대해 흠모한 나머지 김혁 작가는 십여년전에는 사비까지 팔아가며 그이를 찾아 원주로 간적까지 있다고 한다.     "일본작가로는 모리무라 세이이치, 마츠모토 세이이쵸 등 추리작가들에 미쳐 살았던때가 있다. 요즘 대세인 히가시노 게이고도 좋지만 교고쿠 나츠히코라는 일본추리작가도 좋아한다.   깊은 지식과 탐미적인 문장이 어우러져 추리작가라는 타이틀이 아니라 사회학자로 지칭할 만한 작가, 무엇보다 작품 모두가 읽기 난해하다는 그 난도가 외려 나의 완독 욕구를 부추켰던 작가이다. 우리 문단에서 아마 교고쿠의 작품 수십권 거의 전부를 갖춘 작가는 없을 것이다. ​   무라카미도 좋아하지만 우리로서는 잘 알려 안 진 가즈오 이시구로를 좋아한다. 그의 대량의 작품들이 중국어로 번역되였는데 모두 소장하고 읽었다.   인간과 문명에 대한 비판을 영문으로 써내는 작가인데 일본작가이지만 영국에서 살면서, 현대 영미권 문학을 이끌어 가는 거장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처럼 우리 조선족 문단에도 이중의 언어를 능수능란하게 구사하는 작가가 나왔으면 좋겠다. 우리의 조선족문학을 거대한 중화권의 문단에 어떻게 잘 알릴가 고민이 많다. ​   엔도 슈사쿠를 좋아한다. 그의 “깊은 강”, “침묵”, “바다와 독약”등 대표작들을 모두 중문으로 읽었다. ​   야스히코 요시카즈를 좋아한다. 소설가가 아니라 만화가이다. 하지만 조선의 개화기, 만주국의 허상 등 근대 아시아 역사를 소재로 한 그의 만화들은 여느 대하소설 못지 않게 깊이가 있다. 게다가 만화장르로서의 재미까지 겸하고 있다.     중국작가로는 모옌(莫言), 위화(余華), 얜거링(严歌苓)을 좋아한다.   모두가 역사의 대사기를 소인물들의 생활에, 인간보편의 주제에 잘 버무려 낸다. 그리고 이들의 특점은 작품 그대로 영화하하고 드라마화 해도 좋다는 것이다. 조선족문단에서 영화광으로 불리는 나에게 그들의 창작방식은 많은 귀감으로 되고 있다. ​    그중에서 근년래에는 옌롄커(閻連科)를 특별히 좋아한다. 나는 그가 중국작가들중에 지식인의 처절한 글쓰기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작가라고 생각한다. 그의 많은 작품들은 묵직한 소재, 다양한 문체 실험으로 중국 지식인들이 걸어온 길과 가야할 길에 대해 비극적으로 그리고 적나라하게, 첨예하게 보여준다.     한국작가로는 애초에는 시인 이상에 빠져 있었고 소설가 최인호와 박범신등 로장들의 스토리가 재밌고 문자가 현란한 작품들을 좋아 했었다. ​   근래의 한국작가로는 김별아를 좋아한다. 문체도 빛나고 무엇보다 격동의 근대 역사와 그 속에 부침하는 인간들을 즐겨 소재로 삼는 면에서 나의 창작성향과 서로 닮았다고 해야겠다. 왜장과 함께 강물에 투신 한 논개, 백범구의 일대기와 일본총독에 폭탄을 던진 박열과 일본여인의 사랑을 다룬 소설, 해학으로 가미가제 특공대를 다룬 소설들, 깊이와 재미를 두루 섭렵한 깔끔한 소설들을 정말로 감명깊게 읽었다. ​   김연수의 작품도 좋다. 소설의 기교를 능수능란하게 다룬 그의 중단편들이 좋다. '밤은 노래한다'와 같은 작품에서 그는 조선족의 신변에서 일어난 아프고 민감한 소재를 그렇게 훌륭하게 다루어 냈다.   김훈과 공지영의 작품도 좋아한다."     작가 김혁에게서 좋아하는 작가를 단 한 사람만 뽑으라면 단연 “조선족 문학의 대부- 김학철"이라고 말한다.   지금 칼럼이라는 쟝르에 환혹되어 거의 일주일에 두 세 편 꼴씩 수백 편을 써나가고 있는 것도 오랜 기자생활 중에 버릇 된 쟝르의 작법에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김학철선생의 창작 중에 가장 빛나는 다량의 잡문에 매료되어서 부터라고 한다. ​   작가 김혁에게 김학철은 "문학의 길로 인도해주시고 아픔과 상처와 노는 법을 일러주신 분이다.   김혁은 "김학철옹은 너무나 아득해서 도저히 흉내낼수 없이 높은 경외의 대상이다. 하지만 그이의 넓이와 깊이의 사범(師範)은 내가 영원히 본받고 내가 궁극적으로 닿고저 하는 목표이다."라고 말한다.    김혁은 김학철에 대한 인물전기의 집필을 완료, 출간을 기다리고 있다. (계속) ​ ​동포투데이 김정, 허훈 기자 ​ 2015/5/25 ​    
304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필속에 흐르는 시대와 역사 (1) 댓글:  조회:2087  추천:15  2015-07-13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필속에 흐르는 시대와 역사 (1) ​ 김혁은 누구? 1965년 중국 룡정에서 출생. 열아홉살이 되던 해, 단편소설 “피그미의 후손”, “노아의 방주” 등 작품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 그로써 문재를 인정받고 스무살 어린 나이에 “길림신문”의 기자로 파격 발탁되였고 그 후로 “길림신문”, “연변일보” 등 조선족의 주요 매체와 인터넷 미디어에서 25년간 언론인으로  활약했다. 십대에 데뷔해 오늘에 이르기까지 지난 25년간 “마마꽃, 응달에 피다”,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완용 황후”, “시인 윤동주”, “춘자의 남경” 등 6부의 장편소설과 “천재 죽이기”,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 “불의 제전”, “뼈”, “피안교” 등 중단편소설 수십편, 장편르포 “천국의 꿈에는 색조가 없었다”, “주덕해의 이야기”, “한락연의 이야기”, “윤동주 평전” 등 인물전기, 평전, 장편역사기행 “일송정 높은 솔, 해란강 푸른 물”, 문화역사시리즈 “영화로 읽는 중국조선족” 등 역사문화연구저서 외에 시 수백수, 칼럼 200여편을 창작, 발표해 “쟝르를 초월하는 작가”, “조선족 다산작가”로 불리고 있다. 상술한 성과와 기여로 하여 윤동주문학상, 김학철문학상, 연변문학상, “해란강” 문학상, 자치주정부 “진달래” 문학상 등 각종 묵직한 문학상을 30여회 수상했다. 현재 중국작가협회 회원, 연변작가협회 이사, 소설창작위원회 주임(위원장), 용정윤동주연구회 회장 등 직무를 맡고있다. 연변대학 조문학부 석사연구생, 북경 로신문학원을 졸업(수료)했다.   원로 평론가가  말하는 김혁   전임 연변작가협회 주석이며 원로 평론가인 조성일 선생은 재중 동포 대형문학지 “장백산” 2014년 2월호에 게재한 글 “뒤에 난 뿔이 우뚝하다—작가 김혁 인상기”에서 김혁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 “사람들이 김혁이 누구냐고 물으면 소설가 하나의 타이틀로는 부족하다. 그의 문학은 소재나 형식, 그 어느 면에서나 문학예술의 경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들고 있다. 그는 문학의 거의 모든 분야, 이를테면 소설, 시, 수필, 칼럼, 르포, 다큐멘터리, 아동문학…등을 섭렵하면서 글쓰기를 계속해 왔고 문학이라는 전당의 구석구석에 이름을 남겨 독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그는 소설가일 뿐만 아니라 시인, 수필가, 칼럼리스트, 아동문학가이고 지어 ‘이디어 뱅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그는 ‘소설가 김혁’이보다 ‘작가 김혁’이 더 잘 어울린다. 그는 다쟝르작가로,다면수로 우리 앞에 당당하게 서 있으며 그만큼 우리 조선족문학예술에 대한 기여가 다방위적이다.”   작가의 성장과  탐색   작가 김혁은 1985년에 데뷔하여 소설과 시를 발표, 신출내기 기자, 문학도로서의 습작기를 걸쳐 지난 세기 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그야말로 맹렬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남에 비해 불운한 특유의 인생경력과 오래동안 언론사에 근무했던 언론인의 안광을 지녔던 관계로 애초의 작품부터 무거운 소재에 천착하게 되었다. 창작 작법을 잘 모르고 썼던 초기의 작품부터라도 그는 시종 그 “무거움”을 의식해 왔었다. 열아홉에 낸 두 편의 처녀작품 역시 중국 개혁개방 초기, 변혁기의 취업대기 청년들의 문제를 반영했고 거기에 제목이 종교색채까지 띠어 화제가 됐었다. 이 시기의 작품에서 작가는 자기 자신의 불우한 운명과 처절한 인생체험을 회피하지도 숨기지도 않고 자기 작품에 반영했다. 이 비정한 세계에서 감수성이 가장 예민한 성장기에 자기가 겪어야 했던 가혹한 체험들을 독자들에게 설파했으며 가슴속에 고여있는 한과 서러움과 괴로움을 이야기했다. 작가의 소설 “적”, “바람속에 지다”, “바다에서 건져올린 바이올린”, “천재 죽이기”, “불의 제전”을 비롯한 많은 작품들을 보면 그 소설들에 부각되고 있는 거의 모든 주인공들은 죄다 방황과 좌절을 거듭하고 근원적인 아픔에 시달리면서 죽어가는 비극적인 인물들이다. 작가는 이런 인물형상들을 통해 실존주의자들이 말하는 “불안의 정조” 속에서 비장한 혈투로 몸부림치는 사회의 저층에 깔린 인간들의 영혼을 보여주려 했고 자기의 실존을 위해 약속 없는 미래를 향해 힘겨운 행보를 하고 있는 “소인물”들의  불안과 실망, 소외와 고독, 아픔과 슬픔을 반영하려 했으며 나아가 빛에 가려진 어둠속 약자들과 그들이 살아가는 시대의 역사적 의미를 이야기 하려 했다. 이 모든것은 남과 다른 작가의 불우했던 인생경력과 밑바닥 체험에서 우러나온  것들이었다. 한편, 작가는 새 것에 부단히 도전하며 과감하게 새로운 실험을 한다. 작가는 국내외 문학사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자기 나름의 개성적인 작품을 창출해 냈다. “천재 죽이기”, “신오감도”를 비롯한 초현실주의 계열시, 신사실주의 소설 “라이프 스페이스”, 황당파 소설 “바다에서 건져올린 바이올린”, 사이버 소설 “병독”, 판타지 소설 “불의 제전” 등 동포 문단에서 쟝르와 문체실험을 가장 많이 하고 가장 먼저 한 작가로 기록되고 있다. (계속) ​  동포투데이 김정, 허훈 기자 ​ 2015/5/24 ​  
303    무자비(無字碑) 댓글:  조회:3581  추천:13  2015-07-13
칼럼   무자비(無字碑)   김혁   ​ ​"드라마 “무미랑 전기(武媚娘传奇)” 포스터     1   또 한부의 무측천의 일대기를 보여준 드라마 “무미랑 전기(武媚娘传奇)”가 브라운관을 달구며 안방극장을 찾았다. 빅스타 범빙빙의 주연으로 된 드라마는 3억원이나  투자 된 대형 사극으로 지난해 말 부터 중국 곳곳에서 촬영, 제작되여 올해 년초에 방영되였다. 끝임없이 리메이크 된데서 이 드라마가 무측천의 몇번째 드라마인지 모른다. 하지만 최고의 주가를 달리는 유명 녀배우와 거대 자금의 투입으로 “무미랑 전기”는 또 한번 가장 핫한 드라마로 떠올랐다.  ​ 무측천은 중국 력사상 유일무이한 녀제(女帝)다.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고 “황제”라는 칭호를 만들어 부임한 뒤 2000여년, 중국 력사에서 녀성 황제는 단 한 명, 바로 무측천이였다. 하지만 그녀만큼 중국 력사상 호훼포폄(护毁褒贬)의 대상이 된 인물도 드물다. “정권 유지를 위해 무자비한 숙청을 일삼고 자신의 딸과 아들마저 죽인 천륜을 저버린 철녀”라는 평가와 “거의 반세기 통치기간중 강력한 중앙집권제 확립으로 사회 안정과 경제발전을 꾀한 성군”이라는 평가가 첨예하게 대립한다. 그럼에도 무측천은 중국사만이 아니라 세계사에서도 두드러지게 강력한 군주 가운데 한 사람임이 틀림없다. 정치에서 적절하게 당근과 채찍을 병용했고, 국제정세에 밝았고 인재를 등용했다. 그 결과 그의 집정기를 “당나라의 황금시대”로 평가받기도 한다. ​ 때문에 극적인 줄거리로 가득 찬 그녀의 이야기는 스크린이나 브라운관에 자주 오르는 “1순위의 소재”로 되고있다.     2   무측천은 당나라 초기 624년에 상인 무(武)씨의 가문에서 태여났다. 빼여난 미모 덕분에 그녀는 14살때 태종(太宗) 리세민의 후궁으로 뽑혔다. 리세민은 그녀를 “미랑”이라고 부르며 끔찍하게 아꼈다. 그런데 태자 리치도 그녀를 보고 사모에 빠졌다. 궁에서 벌어진 희한한 “삼각관계”였다. 그러다 리세민은 고구려와의 싸움에서 화살을 맞은 상처로 앓다가 붕어(崩御)하고말았다. 태종이 죽자 무측천은 머리를 깎고 장안 감업사(感业寺)의 비구니가 되였다. ​ 태종의 5주기에 고종(高宗)으로 등극한 리치가 그 절을 찾았고 두 사람이 다시 만났다. 무측천은 고종의 후궁으로 다시 궁에 들어왔다. 아버지의 후궁이였던 녀자가 다시그 아들의 후궁이 된것이다. 그때 무측천은 이미 서른한 살, 고종보다 네살이나 많았다.그러나 재색을 겸비한 그녀는 인차 황제의 사랑을 독차지했다.    그녀는 기개와 권모로 천하의 대세를 바꾸었다. 고종이 두통과 시력의 저하로 정무를 힘들어하자 무측천이 점차 실권을 장악해 나갔다. 타고난 정치적 수완으로 민감한 정치적 사안이나 인사 문제를 잘 처리하였다. 남편은 천황, 본인은 천후로서 실질적인 국정의 동반자가 되였다. ​    황위를 찬탈한 사악한 요녀로 알려졌지만 그녀는 뛰여난 정치재능을 보였다. 그녀는인재를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발탁하는 “광초현재(广招贤才)” 정책을 적극 추진했다. 요즘 영화와 텔레비에서 셜록 홈즈를 뺨치는 정탐인물로 부각되여 자주 등장하는 재상 적인걸을 비롯하여 준재가 그의 주위에 즐비하였다. 그녀는 특히 적인걸을 신뢰하여 이름대신 “국로(国老)”라 부르고 늘 그의 뜻을 따라 자신의 뜻을 굽혔다. 또 과거제도를 개편하여 특별한 재능인을 뽑았고 호구와 토지를 철저하게 조사하여귀족들의 횡포에 시달리던 백성들이 먹고 살수 있도록 했다. 황족이나 문벌귀족에게 그녀는 공포의 대명사였지만 백성의 립장에서는 구세주였던 셈이다. 무측천은 명실상부한 황제가 되려고 애썼다. 면류관을 쓰고서 직접 신하들을 만나국사를 처리했다. 남성 황제들처럼 후궁도 두었는데 때문에 후세의 사가들이 그녀를 천하의 음탕녀로 그렸다. 그녀의 통치에 대해선 제대로 기록하지 않은 폄하의 시각이였다. ​ 무측천이 문인들을 우대하면서 그 풍조가 정착되여 당대의 귀족과 지식인들은 광범위한 예술과 학술의 무대에서 활보 할수 있었다. 2,200명의 당대 시인들이 지은 근 5만여편의 시가 현재까지 남아있다. 왕유(王維)․두보(杜甫)․백거이(白居易)․리상은(李商隱)등 기라성 같은 뛰여난 시인들을 연줄로 배출한것도 이러한 풍조가 시문학 발전에 큰공헌을 하였음을 짐작케 한다. ​   “자치통감(資治通监)”은 "정사를 스스로 펴서 명찰, 선단하였기에 당시의 영현들이앞을 다투어 그를 섬기다"라고 그녀를 정평하였다.     ​ 3   서안의 서쪽에서 90키로메터 떨어진곳에 건릉(乾陵)이 있다. 고종과 무측천이 함께묻힌 묘역이다. 건릉에 이르는 약 1키로메터의 길은 문무 석상들이 시립해 있는데 이 묘역은 당 18릉 중 최대 규모라고 한다. 고운 돌로 포장되여 있는 좌우에 석상을 낀 이 길은 과거엔 4품 이상의 벼슬아치만 걸을수 있었다고 한다. ​ 묘역의 목구멍이라 할 위치에 이르면 우측에 흰빛의 거대한 비가 서있다. 이름하여무자비(无字碑)이다. 하얗게 비여 있어 백비(白碑)라고도 한다. ​ 중국 최초의 녀황제 자리에 스스로 등극하여 중원을 호령해 온 그녀였지만 대신들에게 유언을 남겨 굳이 무자비를 세우게 했다. 그렇게 갈래 많은 전설을 루루히 남긴 녀황제는 막상 죽어서 비석에 한 글자도 남기지 않았다. 깨끗하게 비여있는 햐얀 그 비석은 찾는 사람들로 하여금 여러가지 색조의 사색을 당혹감에 덧칠하게 한다. ​ 비석은 무덤에 묻힌 사람의 이름 및 행적을 나타내거나 어떤 사적(史蹟)이나 업적을널리 알리기 위하여 돌에 글을 새겨서 세우는것을 말한다. 자고로 돌이나 쇠에 글을 새기는 까닭은 그 기록을 천년, 만년 남기를 원해서이다. 하지만 절대권력을 휘두른 무측천은 자신을 위해 거대한 빗돌에 명가의 필체로 현란한 수사를 그들먹히 새긴 비문이 아닌 비여있는 무자비, 백비를 세웠다. 한 글자도 적지않은  무자비는 무측천 스스로가 자신에 대한 성찰과 평가유보의 의미로 남겨 놓은 기념물이 아닌가 싶다. ​ 어찌보면 무자비는 한 덩이의 돌같아 보인다. 우리가 그에서 력사의 행간을 읽어내지 못하면 무자비는 아닌게 아니라 그저 오래된 돌덩이에 지나지 않을것이다. 하지만 다시 헤아려보면 그것은 그저 돌덩이가 아니며, 비여있는듯 해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것으로 가득차 있다. 자신의 명리를 챙기고 현시하기 위해 거품많은 명함과 프로필을 흩뿌리고 다니기를 좋아하는게 요즘 현대인들의 풍경이다. 적지않은 이들은 품 들이고 돈 들여 속세의 돌을 화려하게 쫗아서는 본인 이름 석자를 크게 새기길 원한다. 그러한 이들에게 많은것을 말해주는 무자비이다. ​ 저저마다 경쟁이라도 하듯 쉼없이 빼곡히 적어 내려가고있는 우리의 삶이 세상의평가를 저만치 넘어서는, 깨끗하게 여백이 있는 삶이였으면 좋겠다. ​ 무자비에 관한 김종제씨의 시 한수 읊으며 글에 끝점을 찍는다.   버려진 뼈같은 비석에 글자가 하나도 없다 묵언으로 여태 면벽의 수행 중일까 아니면 침묵으로 등을 보이며 아직 항거하고 있는 것일까 움직임 없이 굳건하게 서 있는것이 좌탈(坐脫) 같기도 하다 눈을 감고 돌속에 새겨진 점자를 읽으며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니 다투어 튀여나오는 파란의 생애 분명 죽지 않는 저 삶이 세상 그 무엇보다 높은 탑이 아닐까 파헤칠 관도 없으니 살아온 나날들을 흔적없이 지우고 간것이다 비석마저 세우지 말았어야 하는데 무덤 대신 남겨놓은것이리라 뼈 속에 새겨진 흰 무늬의 혈서 같은것 살갗에 새겨진 지울수 없는 문신 같은것 그가 원했던 자서전 같은 글들이 야생의 꽃속에서 피여나고 있다 조만간 불에 타버릴 나도 들녘에 뿌려져 백비로 서있어야 함을 알겠다   - “청우재(聽齋雨)”에서 ​ ​ "송화강" 2015년 5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02    요절 문인 댓글:  조회:3145  추천:16  2015-07-07
. 칼럼 .   요절문인 (夭折文人)   김혁 ​    ​인터넷 서점으로 올해의 “리상 문학상수상작품집”을 구매했다. 일주일만에 도착한 책을 들고 생각이 갓길로 빠졌다. 정작 표지 옹근 전체를 커다랗게 장식한 녀수상자의 아릿다운 얼굴보다는 그 웃가녁에 덩그마니 그리고 자그맣게 박힌 시인 리상의 모습을 멀끄러미 들여다 보았다. 1937년의 이른 봄, 일본 도꾜제국대 부속병원에서 폐결핵이 악화 된 한 시인이 27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폐병의 절망을 안고 기생과 동거하며 난해한 초현실주의 시 ‘오감도’와 소설 ‘날개’를 써내 천재적 면모를 보였던, 카페 경영에 실패하고 절망끝에 건너간 도꾜에서 “멜론이 먹고 싶다”는 마지막 말을 남긴 채 생을 접고 만 리상(李箱)이다. 리상외에도 김소월, 라도향, 최서해, 강경애, 전혜린, 모파상, 뿌쉬낀, 아쿠다가와 류노스케, 로요(路遥), 소홍(萧红), 고성(顾城), 왕소파(王小波)등 세계문단사에는 그 재능을 다 펴지못하고 일찍 스러진 “별”들이 그렇게도 많다. 요절 (夭折). 여기서 요(夭)자는 무성하다, 절(折)은 부러지다는 뜻이다. 싱싱함과 향기를 채 뿌리지못하고 꺽이고 말았다는 그 뜻말에 조차 애통함이 깊이 담겨 있다.   ​장편력사기행 “일송정, 높은 솔, 해란강 푸른 물”을 집필,련재하던 몇해전 답사차로 룡정 대포산을 오르다가 길녘에서 뜻밖에도 익숙한 이름의 묘소와 마주쳤다. 허흥식 시인의 유택(幽宅)이였다. 하냥 질박한 모습에 고향산천을 주제로 한 많은 수작들을 련줄로 펴낸 그와의 인연은 “연변일보”문화부에서 기자로 뛰던 시절 내가 편집한 그의 수필 한편이 향토문학상 대상을 수상하면서 이어졌었다. 그의 졸사(猝死)에 망연함을 금치못했던 당년의 기억이 떠오른다. 마른 풀잎속에 말없이 방치된 그 묘소앞에 가던 길을 멈추고 묵도를 드렸었다. 우리 문단에도 안타깝게 요절한 문인들이 적지 않다. 류연산, 윤림호, 박향숙, 남주길, 조은철, 윤광수… 병환으로, 사고로 애닯게 일찍이도 간 그이들의 이름을 떠올리는것만으로도 눈시울이 젖어 오른다. 해외에서는 요절문인들에 대한 추모방식이 정례적으로 진행되고있다. 주기를 꼭 챙겨 기념하고 요절문인 작품집도 내고있다. 우리 역시 작고문인들을 추모하고있지만 가족이나 몇몇 친구들의 작은 방식으로만 그칠뿐 보다 장중하고 조직적인 추모 방식은 결여되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생의 황홀에만 매몰되지 말고 그늘속 죽음에도 눈길을 주라”하고 어느 한 학자는 말 했다. 작고문인들에 대해 정례적으로 눈길을 돌리고 그이들이 우리 문단사에 남긴 업적을 기리는것은 문단의 전승과 발전에도 필수적인 례식이 아닐가 생각해 본다. 그리고 그이들을 추억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보다도 그이들이 남긴 작품을 읽는것일것이다.   2014년 3월 7일 - “청우재(聽雨齋)”에서   “도라지” 2015년 3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301    전범기(戰犯旗) 펄럭... 댓글:  조회:4532  추천:13  2015-06-30
칼럼 전범기(戰犯旗) 펄럭... 김 혁   1 2015 캐나다 피파(FIFA) 녀자 월드컵이 막을 올렸다. 1991년에 창설되여 올해로 7회째를 맞은 이번 대회는 본선 출전국수를 24개국으로 확대해 력대 최대규모로 열렸다. 남자 월드컵에 비견될만한 전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였기에 모두들 또 한번 흥분의 도가니에 빠져 있었다. 하지만 설레는 마음으로 일본대 스위스 C조 1차전경기 관람을 하려던 중, 팬들은 뜻밖의 광경을 보게 된다. 일본 축구팬들이 전범기를 들고 자기의 팀을 응원하고 있었던것이다.  지난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도 목도되였던 광경이다. 지난 브라질 월드컵은 최상의 스포츠 잔치답게 또 한번 온 누리의 초점을 한 몸에 모았었다. 경기가 백열화되여 월드컵 C조 2차전 경기인 일본 그리스전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화면에 커다랗게 클로즈업 된 한 축구팬의 모습에 관중들은 일순 아연해 지고 말았다. 축구팬의 얼굴에 그려진 선명한 빛살무늬, 그건 바로 일본의 욱일기였다. 이번에도 또 한번 녀자 월드컵에 등장한 욱일기이다.    (자료사진) 2 욱일기, 태양을 상징한는 빨간색 동그라미 주위에 퍼져나가는 붉은 햇살- 욱광, (旭光)을 그린 기발이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시대에 사용된 일본군의 군기(军旗)이자 현재의 일본 자위대의 기발이다. 1870년에16줄기의 해살이 도안된 욱일기는 일본제국 륙군기로 지정되었으며 이어서 일본 해군의 각종 장군기(將军旗)도 8줄기의 해살이 그려진 욱일기를 응용하여 제정하면서 욱일기는 일본군의 상징으로 되였다. 1945년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료되자 일본군도 해산되였고 그에 따라 욱일기도 사용이 중단되였다. 일본에서 욱일 문양은 축복, 행운같은것을 상징하므로 욱일기가 축하 용도 및 스포츠 경기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욱일기는 일본군의 침략과 가혹한 지배를 겪은 동북아시아권에서는 금기시되고 있는 문양이다. “군대 외에도 폭넓게 사용돼 왔다, 꼭 군국주의의 심벌(어떤 추상적인 사상이나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이나 의미로 바꾸어 나타내는 일)은 아니다”고 일본은 주장한다. 그러나 태평양전쟁 당시 욱일기는 군국주의 일본의 대표 심벌이였다. 일본이 “종전일”이라고 부르는 8월 15일, 야스쿠니 신사에 옛 군복 차림으로 참배 오는 사람들은 요즘도 욱일기를 흔든다.  2008년 북경올림픽 당시에도 일본 정부는 중국과의 마찰을 우려해 욱일기를 소지하지 말라고 팬들에게 권고했다. 이처럼 이 기발의 의미를 일본인들은 스스로 잘 알고 있는것이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하필이면 전범기를 얼굴에 그리는 리유는 뭘까? 축구장 티켓값이 아깝다", "대체 저게 무슨 뜻인지 알고 사용하는 건가?", "월드컵 을 욕보이고 있다", "FIFA에서 징계로 승점을 깎을가보다","현장에서 바로 조치가 취해지면 좋겠다" 는 등의 눈쌀 지푸린 반응을 보였다.  독일도 일본과 같은 경우로 하켄크로이츠라는 전범기가 있다. 갈고리 십자가라는 뜻으로 한자로는 만(卍)자로 부른다.전쟁미치광이 히틀러가 몸담았던 민족사회주의 독일 로동자당의 당기로 정해졌다가 히틀러가 정권을 잡은 후 1935년에 독일의 국기로 지정됐으며, 한때 나치 독일을 상징하는 문장으로 씌였다. 나치는 하켄크로이츠 전범기를 앞세워 유럽과 아프리카를 전쟁속에 몰아넣었다. 하여 이 기발은 “피의 십자가”라는 별명도 가지고있다. 현재 독일에서는 하켄크로이츠 전범기의 사용이 금기시되고 있다. 전후 독일은 전범기를 스스로 불태우며 인류에게 무릎꿇고 용서를 빌었다. 하지만 일본은 온 세계가 혐오하는 전범기를 공공연히 흔들고 있다.    3 어떤 이들은 너무나 지나친 비약이 아니냐고 이의를 보이고 있지만 전범기의 경기장 등장은 결코 쉽게 지나칠 문제가 아니다. 전범기는 일본군국주의가 부르짖던 대동아 공영권 즉 동아시아 식민지 전략의 슬로건이 되였던 기발이기 때문이다. 비해 말하자면 이 기발은, 2차 대전 당시의 독일 나치 기발과 꼭 같은 의미를 가진, 식민 지배를 합리화하는 기발인 것이다. 사실 일본인의 식민 침략을 겪은 아시아인들이 아니라면 다른 나라 외국인들은 일본 전범기에 담긴 의미를 잘 모른다. 그들의 시각에 일본 전범기는 디자인이 멋지고 일본풍격이 농후한 기발에 불과할 뿐이다. 이러한 헐후한 시각때문에 일본내에서는 이 기발의 로고가 맥주병에도 씌이고 회사의 로고로도 쓰인다. 요즘 곧 개봉하게 되는 할리우드 공상영화의 포스터에도 스스럼없이 일본전범기가 새겨져 또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아세아 근대력사에서 일본의 식민지배 시기는 암흑과도 같은 시기였다. 또한 인류력사의 오욕의 한페지였다. 다시 이 같은 끔찍한 력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려면 우리는 이를 그저 경기를 관람하는 자의 유흥으로만 넘겨서는 될 일이 아닌것이다.   아베 정권 들어 일본의 력사 역주행과 극우 군국주의화는 굳이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명백하다. 이런 시점에서 일부 몰지각한 팬들의 국수주의적인 애국심에 바탕을 둔 응원은 전 세계가 하나가 되는 월드컵의 의미를 오염시키고 있다. 어느 한 학자는 "력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다. 과거의 상황을 제대로 해석해서 현재의 상황에 대응해야 미래도 밝아진다는 의미이다. 경기장의 팬이 무심코 그린 문양 하나에도 종횡의 력사가, 그에 내재된 아픔과 의미가 꿈틀거리고 있음을 우리는 알아야한다. 우리가 명백한 력사관을 가지고 력사와 끊임없이 대화할때야 만이, 우리가 궁극으로 추구하는 인권, 자유, 평등은 깃들고 월드컵마당과 같이 온 누리가 어우러지는 평화의 장을 만들어 나갈수 있을것이다. - “청우재(聽雨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白鷺三味線-都はるみ        
300    달마도 그리기 댓글:  조회:2833  추천:17  2015-06-25
. 수필 .     달마도 그리기   김혁    어릴적 나의 꿈은 화가였다. 베레모를 쓰고 색조판을 들고 현란한 색감을 붓에 듬뿍 묻혀서는 진한 붓 터치로 캔버스우에 하나의 세계를 구축해나가는 화가들이 그렇게 우러러보일수가 없었다.   네거리의 선전화나 영화포스터가 새로 바뀌면 정신없이 달려나가보군 했다. 그림을 좋아했기에 련환화(連環畵)에 넋을 홀딱 바쳤다. 련환화보기는 내 동년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같은 내용의 그림책에도 판본이 다르면 사들여 그 그림기법에 대해 비교해보았다. 그렇게 련환화를 저그만치 2천 여권을 사들였다. 그때 나는 룡정에서 책이 제일 많은 아이로 통했다. 그 그림책들이 지금껏 내 서재의 깊숙한 곳에 색바랜채 꽂혀져 있다.   중학교적에는 세계명화에 심취되여 잡지의 뒤면에 곧잘 실리곤 하는 명화들을 오려내여 스스로 마련한 앨범에 붙이곤 했다. 신문사에 입사한 뒤 기거했던 숙소 벽은 내가 그린 50여폭의 그림이 붙어있었다. 액자도 없이 회화련습본에 그렸던 그림들을 찢어내여 붙인 그림은 비록 엉성할망정 짜장 한차례의 화전을 방불케하였다. 80년대 초창기의 “길림신문”에는 내가 그린 몇 폭의 만화와 삽화도 실려있다. 나의 시 창작노트는 아예 그림 습작본이라는 쪽이 더 적합할것 같다. 시 먼저 그림이 떠올라 그림여백에 시를 써넣군 했던 것이다. 몇해전에 출판되였던 나의 에세이집과 중편소설집의 겉봉도 나의 창의에 쫓아 내가 선택한 그림으로 디자이너들이 완수한 것이다. 언젠가 나의 창작집에 나절로 삽화를 그려넣어 펴내는 것이 나의 제일 큰 소망이다.   다빈치요, 피카소요, 반 고흐요, 레노아요, 포비즘이요, 다다니즘이요 하고 미술가들의 이름과 미술류파들을 지금도 곧잘 외워 낼수 있지만 허나 나는 끝내 화가의 길을 걷지 못하고 말았다. 그저 2천여권의 련환화와 스스로 마련한 수 백장의 명화와 응접실에 걸려있는 세계명화모조품이 이루지 못한 나의 화가의 꿈을 달래주고 있다. 그렇게 화가의 눈으로 세상을 보려 해서였던지 올곧게 직시하는 와중에도 비뚤어져나가는 세상사에 대해 곤혹을 느낄때가 많다. 공백지우에 그저 점과 선을 잘 조합시키면 될수 있겠다고 믿었던 세상사가 때론 인상파처럼 선명하게 안겨오다가도 때론 추상파처럼 몽롱하게 안겨 왔도 때론 다다니즘처럼 변형되여 때론 포비즘처럼 흉측스레 안겨 오기도하였다. 그 변화다단한 세상사를 아마추어화가로는 그 양상을 다 그려내는수가 없었다. 또 캔버스우에 기본을 무시하고 틀리게 그어지는 금과 란폭하게 칠갑되는 어두운 색채에 당혹해하기도 했다. 그런 엉성한 그림들이 도금칠한 액자에 들어 버젓이 걸리는 것을 경악하며 보기도 했다.또 금전의 권력에 힘입어 조야한 자기그림으로 명리를 얻는 모습도 보았다. 그에 당혹하고 그에 고뇌하고 그에 분개하기도 했지만 내 아마추어의 작은 붓 자루로는 그러한 것들을 시정해주기에는 너무 힘에 부쳤다. 따라서 나의 붓은 그러한 화풍속에 더불어 더러워지고 모지라지기 시작했고 나중에는 붓 자루를 구석에 처박고 말았다.     그러다 아마추어일망정 다시 그림에 생각이 미친것은 어느 날 헌책가게에서 “달마흠상백도(達摩欣賞百圖)”라는 서법입문서를 골라 쥔 뒤로부터였다. 달마에 대해서는 면벽구년(面壁九年)의 법력이 뛰여난 진인(眞人)으로 알쏭달쏭 알고있었다. 허나 천태만상의 달마도가 담겨져 있는 책자를 들고 나는 그만 그 어떤 보이지 않는 법력의 힘에 빠져들었던가?  입가에 웃음을 문 달마, 졸린 듯 반쯤 눈을 감은 달마, 화가 난 듯 눈을 딱 부릅뜬 달마, 천태만상의 달마의 모습은 나의 고단하고 얄팍한 심성을 꿰뚫어 보는 듯했고 나는 순간에 그 그림 장들이 주는 신묘한 힘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헌책가게의 책치고는 엄청 비싼 책을 나는 주저없이 사들었다.그 리고 그날로 집구석에 처박았던 붓과 먹통을 찾아 내였다.   이렇게 많은 초상 중에서 대체 어느 것이 달마의 진짜배기 얼굴일가? 붓을 잡고 나는 오래도록 망설이였다. 모든 고난을 거치고 이기고 사대개공(四大皆空)의 경지를 이른 달마의 얼굴은 예술의 구체화와 평면의 립체화를 통해 오묘하게 표현되고 또 속인들의 마음속깊이에 있는 성정과 합치여 끝없는 모양을 이루고있었다.   나의 속안에 보이는 달마는 대체로 대머리에 부릅뜬 눈 우뚝한 코, 한 일자로 다물린 입과 통통한 볼 그리고 무성한 수염과 펄럭이는 도포가 전부였다. 달마도에 흥취를 가지면서 달마의 생평을 기록한 불교전서를 다시 찾아 자세히 읽었고 내심 자괴를 금치 못했다. 달마는 40여 년간 반야다라를 스승으로 삼아 일점의 게으름이 없이 수양을 쌓았고 60세에도 로구를 끌고 바다와 산을 넘어 중국에 와서 마침내 천고불멸의 종파를 세웠고 금강불괴(金剛不魁)의 정신을 기록하였다. 그 거룩한 뜻을 나 같은 그림의 아마추어가, 생활의 아마추어가 어찌 그림에 불어 넣을수가 있을가?       전문가들은 그림중에서 종교화를 그리기가 가장 어렵다고 했다. 예수를 그리거나 석가모니를 그리거나 관음보살을 그리거나 응당 그들의 뜻, 사상, 감정 등을 리해하고 그려야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호랑이를 그렸는데 고양이가 되고 백조를 그렸는데 집오리를 그리게 되는 것이다. 달마도입문서는 비록 모범을 알아도 필법을 소홀히 할 수 없는바 진짜 달마를 그리려는 사람은 가부좌하고 앉아 오룍오욕(五六五慾)의 마음을 몰아내고 붓을 잡기 바醮鳴?글머리에 씌여져있었다. 붓, 먹, 종이, 벼루는 단지 죽은 물체이고 눈과 손은 자신의 노예임으로 이러한 것이 하나로 되었을때에야만 비로소 좋은 달마도를 그려낼수있다고 한다. 입문서의 가르침에 따라 한 장 또 한 장의 달마도를 그리면서 나는 달마의 얼굴의 무궁한 변화를 더듬는 중에 기쁨을 찾고 차분해지는 심성을 느꼈고 그런 마음의 변화에 스스로 놀라기도 했다. 나는 불화 (佛畵)를 그려 구도하는 이들의 성심을 본받아 매일 한 장씩 천장의 달마도를 그리기로 크게 마음먹었다.   습작기이기에 지금껏 나는 달마도를 신문지우에 그린다. 불공스러운 처사인지 모르지만 .화선지우에 그리는 사치를 부릴만한 자격도 없는 나임을 자각하여 그런 불공스러운 시작을 떼였다. 훌륭한 화가는 내가 어떤 것을 그려낼수 있다는 자부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려낼수 없다는 렬등감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했다. 그렇게 자격지심을 누르며 나는 매일같이 달마도를 열심히 그렸다. 매일 내가 그리는 그림은 하나의 달마이지만 너나가 다르다. 내 그림의 수준의 변화로 인해서가 아니다. 때로 마음이 번거로워, 때로 되게 기분 좋은 일이 있어, 때로 까닭 없이 울적하여, 때로 술에 만취하여... 그때마다 내가 그린 달마도는 나의 속된 심경을 그렇게도 신통히 비쳐준다. 한번은 취중에 붓을 잡고 그린 달마도가 이튿날 숙취에서 께여 보니 그렇게 엉망일수가 없어 자신을 심히 꾸짖은 적이 있다. 이렇게 달마도는 내 일상을 가계부처럼 기록한다. 내 마음의 무늬를 년륜처럼 새긴다.   때론 나는 달마도 그리기를 시작한 것을 볼썽사납고 고단한 자신의 삶 살이를 도피하기 위한 자기 최면이 아닌가 자문도 해보았다. 허나 어지럽고 무모하고 고통스런 세상에서 자기 최면도 괜찮은 극복방법일 것이다. 종이우에 문질러대는 수많은 점과 선, 한없는 공간, 그에 대한 추구, 시도, 실패와 극복, 이런 것들이 바로 우리들의 인생련습을 회화라는 측면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내게는 아직 여느 화가들처럼 그럴듯한 호도 없고 락관(落款)도 없다. 허나 그 어느 날인?깨끗한 화선지우에 지대지강(至大至剛)의 달마의 참모습이 커다랗게 그려지고 그 곁에 나의 호와 락관이 숙명처럼 새겨질 때를 몽상하는 나다. 하여 나는 오늘도 나의 마음을 다잡는다.   종이를 편다. 먹을 간다. 붓을 잡는다. 달마도를 그린다...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99    소금 이야기 댓글:  조회:2923  추천:12  2015-06-16
. 칼럼 .    소금 이야기 김 혁 ​ 1 중국의 소금 전매제가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전매제는 세계 역사상 가장 오래된 독점 제도였다. 소금 전매제도는 기원전 7세기에 제나라의 환공(桓公)이 처음 도입한 이후 기원전 119년 한나라 시절에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했다. 소금은 오랫동안 왕조의 큰 수입원이었다. 심지어 중세와 근대를 연결하는 청나라 때도 재정의 25%가 소금에서 나올 정도였다. 중국은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도 담배와 소금 시장만은 개방하지 않았다. 재정수입에서 소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줄어드는 반면 소금 전매를 유지하는 비용은 계속 불어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소금 전매제 폐지를 통해 정부는 2016년부터 소금가격을 자유화하고 2017년부터는 신규 사업허가도 허용할 예정이다. 소금 전매제를 폐지하기로 결정하면서, 중국 소금 생산업자들은 2600여년 만에 정부 대신 시장에 직접 소금을 내다 팔 수 있게 됐다. 2 우리 식탁의 대표적인 조미료로서 소금은 짠 맛이 나는 백색의 결정체로다. 주성분은 염화나트륨으로서 천연으로는 바다물에 약 2.8% 함유되어 있으며 암염으로도 만들어 진다. 인체의 혈액이나 세포 안에 약 0.71% 들어 있다. 소금은 지구의 탄생과 그 시작을 같이 한다. 지구 생성 당시 지표의 바위에서 뿜어져 나오던 수증기와 염화수소가 바위 속 산화나트륨과 충돌하여 그중 일부가 염화나트륨이 되어 증발했다고 한다. 차츰 지구가 식으면서 수증기가 비가 되어 내릴 때 소금이 함께 녹아 땅에 쌓이며 바다가 생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금은 옛날부터 육류의 부패를 방지하고 인간의 건강과 정력을 유지하는 힘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고대 애급에서는 미이라를 만들 때 시체를 소금물에 담갔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토지를 비옥하게 하기 위하여 소금을 비료로 사용하였다. 16세기 이탈리아에서는 소금을 금보다 비싼 고급 사치품으로 여겨 귀한 손님을 초대하면 음식에 소금을 듬뿍 넣어 감사의 마음을 표현했으며 우크라이나에서는 먼 곳에서 손님이 오면 환영의 뜻으로 쟁반에 보리 이삭과 소금을 담아 대접했다고 한다. 또한 소금이 곧 칼이고 권력이였으며 부(富)이었다. 소금 때문에 무역의 길이 열렸는가 하면 전쟁과 혁명도 일어 났다. 진시황은 소금 전매 수입으로 군대를 양성했고 로마 역시 소금세로 전쟁 비용을 조달했다. 신대륙이 발견되기전까지 유럽의 무역은 제노바와 베네치아의 소금 패권에 좌우됐고, 프랑스 대혁명과 미국 독립전쟁의 원인 중 하나도 실은 소금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봉급”과 “병사”라는 말도 라틴어로 “소금(sal)”이란 말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당시 병사들의 봉급을 소금으로 지급했던 까닭이다. 소금의 용도는 1만4000가지가 넘는다지만 오늘날 식용으로서의 소금은 갈수록 푸대접 받는다. 미국의 경우 소금이 외려 제설(除雪)용으로 51%인 반면 요리용은 8%뿐이고 18세기 유럽인 1인당 70g이었던 소금 섭취량은 현재 세계보건기구 권장량인 5g에 지나지 않는다. 짠 음식이 고혈압과 뇌졸중, 심장마비의 원인으로 된다고 밝혀진 탓이다. 건강한 식생활이 우리의 일상에 깃들면서 소금은 외려 소박맞는 존재가 되고 있다. 3 여기 “소금”이라는 소설이 있다. 일제강점기 민족과 항일운동가들의 삶을 그려내어 한민족 근대문학사에서 최고의 사실주의 작가로 자리매김 되어 있는 여류작가 강경애, 북간도 용정에도 오랫동안 체류하면서 간도체험을 많은 작품에 담았던 그의 대표작이다. ​ 강경애   일제치하 억압받던 당시 사람들의 비참한 처지, 불합리한 사회를 뒤엎기 위해 총을 들고 일어 선 항일무장부대의 모습을 소금 밀수라는 비화를 통해 생생하게 그려낸 중편소설이다. 작품은 1985년에는 신상옥이 메가폰을 잡아 조선에서 영화화 되었고 주역을 맡았던 그의 부인 최은희는 모스크바국제영화제 여우연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일송정이 있는 중국 용정 비암산에 세워진 강경애 문학비   소설에 그려지다 싶이 당시 간도땅에는 소금이 귀했다. 당지 소금은 중국 내지에서 오는 “암염(岩盐”이었는데 교통이 불편하여 공급이 따라가지 못했고 값도 곱절 비쌌다. 조선에서 소금 한 소두(7.5키로)에 50전이 못되었으나 “암염”은 1위안도 더 갔다. 이에 소금밀수가 성행하기 시작했다. 조선 삼봉에서 소금을 가져와서는 한 소두에 중국 소금보다 조금 값을 낮추어 팔아도 사는 사람들이 많았다. 소금 밀수를 통제하기 위해 두만강 북안지역에 “사염집사대(私盐辑士队)”까지 나왔다. 검은 정장을 하고 붉은 세모방망이를 휘두르며 집사대는 여간만 감때사납게 굴지 않았다. 발각되면 소금을 몰수당하고 벌금 수십 위안을 해야 했다. 엄중한자는 영창에 집어 넣고 지어 사형에 처하기까지 했다. 허나 생활고를 못이겨 밀수꾼으로 전락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소금 밀수꾼들은 끊임없이 집사대의 눈을 피해 소금마대를 지고 산발을 탔다. 이렇듯 소금 한 톨에도 우리의 한많은 이주사가 짜겁게 깃들어 있다. - “청우재(聽雨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98    잃어버린 밀짚모자 댓글:  조회:2715  추천:23  2015-06-11
 . 독서칼럼 .   잃어버린 밀짚모자 - 모리무라 세이이치의 장편소설 “인성의 증명”   김 혁  "인성의 증명" 중국판 표지        지난 여름, 한국행차를 했던 나에게 인천공항 터미널 책가게에서 대번에 눈길을 사로잡는 책이 있었다. 모리무라 세이이치의 “인간의 증명”이였다. 이 작품이 한국에서 “로열 패밀리”라는 이름의 드라마로 번안되여 최고의 시청률을 올리면서 30여년전의 명작이 다시금 출판된것이다.    공항터미널에서, 날으는 만메터 고공의 비행기우에서, 귀국해서 그날 저녁까지 수년전에 중문으로 읽었던 책을 다시금 독파해버렸다.   모리무라 세이이치는 1980년대 연변독자들에게는 쟁쟁한 이름이다.   영화로 각색된 “인간의 증명”이 “추격”, “망향”등 일본 영화와 더불어 중국의 각 영화관에서 공전의 흥행을 보인것은 물론 조선말 잡지들 거개가 그의 단편추리소설들을 다투어 번역, 게재했었다. “사회파 추리소설의 거장”으로 불리는 모리무라 세이이치의 작품은 전체 판매 부수가 1억 4천만 부나 된다고 한다. 그야말로 초베스트셀러 작가이다. 그중 그의 문명을 가장 알린 “인간의 증명”은 약 770만 부가 팔렸으며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하면서 “증명 신드롬”을 불러일으켰다.   이미 영상과 문자로 익숙한 작품이였지만 낡은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았다. 요즘 나오는 문체가 깔끔한 소설들과 비교해도 세련됨과 깊이가 느껴졌다.   도꾜, 어느 호텔의 레스토랑에서 흑인 하나가 변사체로 발견된다. 죠니 헤워드라는 그 흑인의 죽음을 수사하기 위해 형사들이 총동원된다.  현장에서 발견된 낡은 밀짚모자와 “밀짚모자”라는 시가 실려 있는 시집이 수사의 곬을 이어준다. 사건을 담당하게 된 도꾜경시청의 형사 무네스에 고이치로는 슬픈 과거를 간직하고있다. 어릴적 그의 아버지가 주일 미군이 릉욕하려던 어떤 녀인을 도와주려다가 미군의 폭행에 의해 사망했던것이다. 아버지덕에 위기를 넘기고도 아무말 없이 사라져 버린 녀인, 폭행당하는 아버지를 보면서도 구경만하는 주변 사람들... 이 모든 장면을 목전에서 지켜본 어린 무네스에는 그 트라우마를 지니고 평생을 살아가게 된다. 그리고 죠니 헤워드의 사건을 조사하면서 무네스에는 그 트라우마와 다시 한번 마주서게 된다.   사건의 담당팀은 미국으로 가서 공조수사를 요청한다. 죠니 헤워드가 살던지역의 담당형사 켄이 일본 수사팀과 함께 이 사건을 파헤쳐나가게 되는데 무네스에는 켄의 손등에 새겨진 문신을 보고 그가 자신의 아버지를 폭행치사한 미군중의 한 명임을 알게 된다. 하지만 무네스에에게 평생의 트라우마를 안겨준 그 사건에 대해 가해자인 켄은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한다. 반면, 교코는 국회위원의 안해이자 유명한 에세이작가로서 사회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엘리트이다. 하지만 사고만 치는 못난 아들의 뒤수습에 골머리를 썩인다.   사건수사가 계속되면서 여러 곳, 여러 인물들을 에워싸고 펼쳐치는 동시다발적 사건들의 중심에는 바로 그녀가 서있음이 밝혀진다. 자신 개인의 영달에 눈이 멀어 자신의 상처를 덧나게 하며 새로운 비극을 자초한 교코는 자신의 과거를 은유하는 초모자를 계곡에 던지고 자기도 함께 뛰여 내린다.       소설은 일본시인 사이조야소의 "모자"라는 시를 모티브로 창작되였다고 한다. 시에는 곡이 덧입혀져 동명영화의 주제곡으로 사용되였고 영화의 흥행과 함께 중국에서도 많은 가수들이 번안해 부를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소설속 주인공이 고히 간직해온 낡은 밀짚모자는 과거의 아픔에 대한 소장과 미래의 희망과의 교감을 은유한다. 그 모자를 잊고있고 버렸을때 소설의 비극은 은연중 시작된것이다.     저자 모리무라 세이이치는 1933년 일본 사이타마 현에서 태여났다 대졸후, 몇년 간 호텔직원, 비즈니스강사로 전직하다가 미스터리 소설을 써보라는 잡지사 편집장의 권유로 처녀작 “고층의 사각지대”를 발표, 작품이 제15회 에도가와 란포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으로 미스터리 작가의 길을 걷게 된다.   그후 “증명 3부작”으로 일컫는 “인간의 증명”, 청춘의 증명”,“야성의 증명”을 발표하면서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지위를 확고히 한다. 작품은 베스트셀러의 여세를 몰아 인차 영화로 만들어졌고 역시 흥행의 상승가도를 달렸다. “증명 3부작”의 련이은 성공으로 모리무라 세이이치는 1978년 일본국세청 발표 고액 소득자 작가 부문 최고에 오르기도 했다. 모리무라 세이이치는 미스터리 분야에 그치지 않고 력사, 논픽션에도 필을 대였다. 1981년에는 일본 731부대의 만행을 폭로한 논픽션 “악마의 포식”을 출간하여 일본 사회를 충격에 빠뜨렸다. 이 작품은 지난세기 80년대 조선어로 번역되여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간되기도 했다.    저자 모리무라 세이이치   모리무라 세이이치는 추리소설이 가진 메커니즘에 더는 만족할수 없어서 인간성에 천착하는 소설을 쓰고 싶은 마음에 “인간의 증명”등 “증명 3부곡”을 집필했다고 한다. 그래서 작품은 대중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순문학작품 못지않은, 외려 그것을 릉가하는 무게감이 있다.   사회파 미스터리라는 쟝르가 그렇듯 작품에는 그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들이 이야기 전반에 녹아 있다. 작품은 전쟁의 혼란을 딛고 일어나 고도의 경제성장의 기치를 올리던1970년대의 일본을 배경으로 하고있다. 득달같이 도래한 물질문명의 성마른 소음속에서 인간성은 시들어가고 물질만능주의, 인간소외, 도덕적 해이와 같은 현대 사회의 병폐들이 일본전역에 괴질처럼 범람하기 시작하고 작가는 이러한 극단적 밝음과 어둠이 공존하는 사회의 환부를 펜을 메스로 삼아 도려내고 보여준다.   정치인 남편과 명문학교 자제들로 리상적인 가정의 롤모델로 불리지만 치명적인 과거를 안고있는 녀인, 방황하는 명문가의 아이들. 불륜에서 마음의 안식을 얻는 대기업사의 직원, 어릴적 받은 마음의 상처로 인간불신에 젖은 랭소적인 형사, 전쟁직후 일본에 주둔한적있는 미국인 형사 등등… 각양각색의 인물들과 그들이 안고있는 사회문제로 드러나기 시작하는 여러 이슈들을 저자는 날카롭게 관찰하고 랭철하게 담아냈고 종국에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물음으로까지 이어나갔다. 이 작품에서 작가가 주목하고 있는것은 인간의 내제된 “욕구”와 “본성”이다.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 인간의 내면에 감춰진 어두운 본성은 무엇인가?하는 묵직한 질문을 작품은 긴박한 스토리, 탄탄한 구성과 함께 던지며 인간들의 감추어진 어두운 본성을 드러내는 작업에 작가는 필을 아끼지 않고 있다.   복잡다단한 사건에 말려든 작중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명성에 대한 욕망, 사랑에 대한 갈망, 인간에 대한 련민, 죄의식의 두려움등등을 현념속에 풀이해 가며 왜 작품의 제목이 하필이면 “인간의 증명”인지 소설의 막장을 덮음과 동시에 수긍하게 만든다. 소설에서 다루고 있는 인간의 문제들은 지금의 사회에서도 엄연히 존재하고있다. 시대적 양상은 조금 다를지 몰라도 선과 악이 공존하고 욕망과 리성의 대립하는 복잡한 인간성의 모습은 놀랍도록 지금과 맞닿아 있다. 따라서 저자가 작품속에서 던지고 있는 질문은 지금의 사회에서도 유효하다.   때문에 작품은 오늘날 읽어도 위화감(违和感)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시대를 초월하여 누구의 마음에나 파문을 일으키는 보편적 메시지의 울림을 지니고 있기에 지금까지 시대를 뛰여넘는 걸작으로 독자들중에서 그 사랑을 주욱 이어올수 있었던것 이다.     작가에게 령감을 주고 작품의 모티브가 되였던 사이조 야소의 시 “밀짚모자”는 섬세한 감각과 아름다운 이미지를 표출해 낸 상당히 아름다운 시이다. 시를 첨부해 본다.   “밀짚모자” 사이조 야소 (西條八十)   어머니, 그 모자는 어찌 되였을까요? 그 여름 우스히에서 키리즈미로 가는 길에 계곡에 떨어뜨렸던 그 밀짚모자는요. 어머니, 그건 좋아하는 모자였어요. 저는 그때 무척 분했어요. 하지만, 갑자기 바람이 불어왔는걸요. 어머니, 그 때 맞은편에서 젊은 약장사가 왔었지요. 짙은 남빛 각반에 토시를 찬. 그리고 주워주려 무척 애를 썼더랬지요. 하지만 도저히 주을수가 없었죠. 아무튼 계곡이 깊은데, 거기에 풀이 키 높이로 자라 있었는걸요. 어머니, 정말로 그 모자 어떻게 되였을까요? 그때 옆에 피여있던 산나리 꽃은 이미 시들어 버렸겠지요, 그리고 가을에는 재빛 안개가 그 언덕을 자욱히 덮어 그 모자 아래에서 매일 밤 여치가 울었을지도 모르지요. 어머니, 그리고 지금쯤에는 오늘 밤 즈음에는, 그 계곡에 조용히 눈이 내려 덮이고 있겠지요. 옛날, 반질반질 윤이 나던 그 이태리 밀짚모자와 그 안에 제가 써 놓았던 Y.S.라는 머리글씨를 묻어 버릴듯, 조용히 쓸쓸하게… 연변일보” 2013년 6월 8일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영화 "인성의 증명" 주제곡- "밀짚모자의 노래" (삼각버튼을 누르세요)  
297    12 초 댓글:  조회:5318  추천:22  2015-06-04
. 칼럼 . ​ 12초 ​  김혁   ​ ​   1   1초, 그 찰나의 시간에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걸가? 국제 도량형 총회는 세슘 원자가 91억 9천 2백 63만 1천 7백 7십번 진동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1초라고 정의했다. 1초, 이 칼럼의 제목을 읽을만한 동안인 그 시간내에 지구에서는 수많은 일들이 벌어지고있다. 전 세계적으로8명의 새 생명이 탄생하고5명이 목숨을 잃는다. 1대의 승용차가 만들어지고 4대의 TV가 만들어진다. 166병의 콜라와 1200여 개의 달걀이 소비된다. 80가마가의 쌀이 재배된다. 51톤의 세멘트가 소모된다. 22명의 려행자들이 국경을 넘는다. 인터넷에서는4백만 건의 이메일이 전송된다. 39만 4천여 개의 댓글들이 달린다. 마이크로 소프트 회장인 빌게이츠는 1초에 인민페로 800원 벌어들인다. 이렇게 추산해보면 빌게이츠는 하루에 하루에 인민페로 600만원을 버는셈이다. 벌이 살아 남기 위한 날개짓을 200번 한다. 사람들이 134억 8천만 개의 식물, 곤충, 동물을 죽인다. 총구를 떠난 총알이 900m를 날아간다. 헬리콥터의 날개는 125회 회전을 한다.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486억Kw의 에너지를 받는다. 세계 각지에서420톤의 비가 쏟아진다. 빛이 30만km 즉 지구를 7바퀴 반을 이동한다. 빛의 속도로 우주는 30만키로메터씩 팽창을 한다. 그리고 우주에서 79개의 별이 사라진다.   그러면 12초 사이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난것일가? ​ ​ 남경대학살 기념관에서의 필자   2   지난 가을, 연길에서 2시간 40분간 비행기를 타고 상해로 날아갔다. 포동국제비행장에서 29개의 역을 지나 상해기차역에 닿았다. 다시 2시간30분동안 고속렬차를 타고 고도(古都) 남경에 닿았다. 남경역에서 2호선 지하철을 타고 5개의 지하철역을 지나 30여분만에 이른 곳은 남경대학살 기념관이였다.    굳이 사비를 팔아 남경땅을 밟은것은 새롭게 집필하는 장편소설 “춘자의 남경”을 위한 현지감각을 찾기위해서였다.  나의 이 신작장편은 위안부와 남경대학살 을 소재로 하고있다. 남경대학살은1937년 12월 13일부터 다음해 1월까지 남경을 점령한 일본군이 30만 명에 달하는 중국인을 무차별 학살한 사건을 말한다.  당시 중국 국민정부의 수도였던 남경을 점령한 일본군은 중국인들의 항일 의지를 꺾기 위해 6주 동안 적수공권의 민간인들을 잔인하게 학살했다. 중국지역 일본군 총사령관 마쓰이 이와네(松井石根) 휘하의 일본군인들은 민간인들을 생매장 하기, 휘발유를 뿌려 불지르기, 칼로 참수하기, 일렬로 세워놓고 총을 쏴 총알의 관통력 테스트하기…등 잔학한 방법으로 대학살을 자행, 아이에게 젖을 먹이던 어머니, 3개월 된 아기까지 무차별 학살했고 녀성들을 조직적으로 강간한뒤 기념사진도 찍었다. 아름다운 고도는 순식간에 아비규환의 무간나락에 떨어졌다. 석학 림어당(林語堂이 갈파했듯이 “신이 인간을 창조한 이후 이런 잔학상은 처음”이였다. 남경시 서쪽 외곽에 자리를 잡은 남경대학살기념관에는 평일에도 관람자가 장사진을 이루었다. 단체로 온 학생들에서 머리발 허연 로인들 그리고 이국적 외모의 외국유람객들이 눈에 띄였다. 간간이 한국인들의 익숙한 말씨도 들려 왔다.  기념관은 표를 받지 않고 무료 개방하고 있었다. 밀려드는 인파에 끼여 한참 줄을 선 뒤에야 입장할수 있었다. 넓다란 기념관 정원에 들어서자 무엇보다 눈길을 끈것은 “300000”이라는 수자였다. 전시관 곳곳에는 “300000”이라는 수자가 새겨 있었다. 바로 일본군에 죽임을 당한 희생자의 수자이다.  1985년 8월 15일 개관한 남경학살기념관은 일본군이 학살을 저지른 비극의 현장에 세워졌다. 기념관은 도편전시관과 유골전시관, 파괴된 도시와 살해된 사람들을 상징하는 부조물, 생존자들의 족적을 탁본해 만든 동판조각로, 희생자의 명단을 판각한 벽인 “통곡의 벽”등으로 구성돼 있었다. 희생자의 유골이 집단으로 발굴된 곳에 만들어지진 “만인갱”(万人坑)이라는 전시공간에는 유골은 무려 7단계로 층층이 쌓여 있어 처참했던 당시 상황을 어렵지 않게 엿볼수 있었다.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를 내는 음향시설을 갖춘 전시 공간도 있었다.  천정에서 물방울이 12초 간격으로 “똑똑” 소리를 내며 떨어지고있었다. 시계의 초침처럼 정확한 그 소리는 남경대학살 당시 12초마다 한 명씩 살해됐다는것을 환기시켜주는 소리였다. ​​​     3   남경대학살은 종전후인 1946년 명백하게 확인된 대참안이다. 대학살을 주도했던 전범들은 남경군사법정과 도꾜에서 열린 극동군사법정을 통해 처형됐다. 하지만 오늘에 이르도록 일본에서는 일부 량심세력만이 이를 인정할뿐 “이는 중국인의 환상이다” ,”학살은 없었다”는 뻔뻔한 부인이 계속되고있다. 그 극우세력의 대오속에는 우리에게도 익숙한 일본의 유명한 소설가들도 들어있다. 일본의 극우분자들은 이 모든것이 “허구 또는 과장”이라 망언하며 발뺌하려 애쓰지만, 남경은 당시의 사진과 세계각지 언론의 기사, 생존자들과 유가족의 방대한 증언 등을 모아 놓은 이 기념관을 통해 일제의 만행을 세상에 알리고 “과거의 시간”을 지우려는 일본의 시도를 까밝아놓고있다.  “과거사 지우기”에 급금해 하는 일본 아베 내각의 심각한 력사인식의 오류와 반평화적인 도발 의지는 세상의 지탄을 받고있다. 이대로 나간다면 일본은 국제사회와의 공생에서 스스로 멀어진 “력사적 후진국”이라는 락인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것이다. 누군가 시간이란 “과거에서 출발해 현재를 지나 미래를 향해 끝없이 날아가는 되돌아올수 없는 화살”이라고 했다. 극구광음(隙駒光陰), 문틈새로 달리는 말을 보듯이 얼핏 스쳐지나는 시간이라지만 력사는 인류의 무지, 쟁투, 잔학, 수난을 분초속에서도 슬로모션(피사체의 움직임이 실제 속도보다 느리게 보이도록 하는 촬영기법)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시간의 필림에 새긴 그 영상물의 테마에는 평화라는 커다란 글자를 새겨 놓았다. 두시간 남짓한 관람이였지만 나지막히 귀에 잡히던 그 촌초 (寸秒)의 소리는 커다란 울림으로 내내 머리에 남아있다.   -“청우재(聽雨齋)”에서   “도라지” 2015년 2월호 유화 "남경 대학살"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 /
296    "윤동주 평전" 연재 시작 댓글:  조회:2057  추천:13  2015-06-03
드디어 "윤동주 평전"의 련재를 시작했다. 2006년부터 여러 곳에서 윤동주 관련 인물전 집필 청탁을 의뢰받았으나  보류하고 있었다. "윤동주 연구의 결정판"으로 불리는 송우혜선생의 전기물중의 수작 "윤동주 평전"도 이미 앞서 출간 되였거니와 나의 무딘 필을 함부로 들었다가는 온 겨레가 애대하는 민족시인의 위상에 흠결을 줄가 저어되여 서였다. 하지만 그동안 번중한 창작스케줄에 혹사하면서도 나의심방 깊은 곳에는 늘 윤동주라는 이름 석자가 크게 자리하고 있었다. 윤동주의 고향 용정에서 근 10년간의 답사와 연구를 거쳤고 지난해 윤동주 관련 사단법인 연구회도 발족시키면서 다시 평전에 대한 집필 청탁이 들어왔다. 용기를 내여, 무엇보다 민족작가로서의 막중한 사명감으로 평전집필을 시작하기로 했다. 60만자 분량으로 된 평전은 중국 장춘에서 간행하는 조선족 대형간행물 "장백산"에 올해 2월호부터 련재를 시작했다. 3년동안, 련재, 2017년 윤동주 탄신 100주년을 맞아 출간하게 된다. 련재동안 많은 윤동주를 애대하는 독자들과 전문가들의 금언(金言)과 방조를 부탁드린다.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95    북간도의 큰 스님 댓글:  조회:3708  추천:14  2015-05-26
. 칼럼 .   북간도의 큰 스님   김 혁     1   한국작가 최인호의 많은 수작들중에 “할”이라는 작품이 있다. 이 작품이 특별하고 의미가 있는건 작가가 암 투병중에 남긴 작품이기때문, 그리고 가톨릭 신자가 쓴 불교관련 작품이기 때문이다. 1993년에 출간되였던 작가의 장편소설 “길 없는 길”을 재구성한 작품으로 독자들에게 호평받으며 지난 10년 간 150만여 만부가 판매되였다. “단순한 구도소설의 한계를 뛰어넘은 최인호 인간주의 문학의 백미”라는 평도 뒤따랐다. 책은 근대 불교계의 선풍을 일으킨 불교 증흥조 경허(鏡虛)대선사가 열반에 드신100년기념으로 재 구성해 내놓았다. 책에는 경허 대선사의 수법제자들의 이야기도 큰 편폭으로 나온다. 그중에는 법호 그대로  세속뿐 아니라 불가에 조차 자신의 흔적을 남기지 않고 물속의 달처럼 조용히 사라진 수월 스님의 모습도 그려져 있다. 수월 스님, 누구이신고?   2       수월스임은 민간에서 오래동안 구전으로 그 행적이 전해져오다 중국에서는 조선족 불자들이 수월정사라는 조그만 법당을 차린것을 시작으로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지난 2009년 가을, 중국 연변 도문시에서는 도문시 일광산에서 “일광산 화엄사 대웅보전 락성 및 불상 개안 경축법회”가 열렸는데 중국불교협회와 대한불교 조계종 봉은사에서 온 불자 등 2만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연변의 첫 불학대사 수월스님을 선양하는 불사가 봉행됐다. 이날 수월스님이 머물렀던 일광산 중턱에 수월스님의 옛 거처를 복원하는 기공식도 더불어 열렸다. 화엄사 불사를 주도하고 있는 오덕 스님은 조선족 출신이다. 그리하여 화엄사는 중국, 한국, 조선 등 3국이 합작으로 조성한 사찰로 되였다. 가람은 중국식에 한국의 전문가들이 단청을 입혔다. 불상과 탱화는 북한 만수대 창작사 화공들이 조성했다. 오덕 스님은 “화엄사는 조선족의 첫 사찰이자 중국에서 가장 동쪽에 자리한 사찰이여서 의미가 크다”며 “남북통일과 한·중 량국의 평화를 기원하는 가람이 될 수 있도록 불사를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연변지역에서 늦게나마 회자되고있는 수월(水月)스님은 한국 충남 홍성 출신으로 알려졌다. 1885년 태여난 스님은 속성 조차 정확하지 않다. 전(田)씨라고 알려졌지만 일부에서는 전(全)씨, 김씨, 제(祭)씨, 최씨라는 설도 있다. 법명은 음관(音觀)이다. 어릴적 부모님을 잃고 고아로 남은 스님은 머슴살이를 하며 연명했다. 어느 탁발승이 전해준 수행 이야기를 듣고 깊이 감명받아 어느 늦가을 서산군 연암산 중턱에 있는 천장암(天藏庵)을 찾아갔다. 당시 천장암에는 경허선사의 친형인 태허(太虛) 성원(性圓)스님이 홀어머니 박씨를 모시고 주지로 있었다. 이곳에서 나이 서른이 다 되여 행자로서 나무꾼 생활을 했다. 어느 한번, 그는 절 아래 있는 물레방앗간에 내려가 방아를 찧고 있었다. 그날도 천수다라니를 지극 정성으로 외우며 일을 했다. 당시 스님은 특히 “천수경(千手經)”을 좋아해서 자나 깨나 앉으나 서나 항상 외웠다.  밤늦게 절로 돌아오던 태허가 물레방앗간 앞을 지나다 돌확 속에 머리를 박고 아기처럼 잠들어 있는 수월을 발견하고 급히 끌어냈다. 이때 그의 순전한 수행력을 인정한 태허는 다음날 법명과 사미계를 내려 정식으로 출가를 인정했고 경허를 법사로 정해주었다. 이후 수월스님은 보임공부를 위해 금강산 등지에서 신분을 숨긴채 정진하면서 지냈다.   1912년 경허스님이 열반하자 수월스님은 북간도로 건너왔다. 회막동(지금의 도문시의 옛 이름)에서 일반인의 모습으로 3년동안 소먹이꾼 노릇을 했다. 이때 수월은 자기가 소를 먹여 받은 품삯으로 밤을 새워 짚신을 삼고 밥을 지어 주먹밥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일제의 수탈을 피해 고향을 떠나 살 곳을 찾아 북간도로 건너오는 동포들을 먹이고 입히기 위해 길가 바위우에 주먹밥을 쌓아 놓고 나무가지에 짚신을 매달아 놓았다. 자신의 얼굴과 이름을 알리지 않는 무주상보시를 베풀었던것이다. 1915년 회막동을 떠나 흑룡강성의 수분하(綏芬河)로 들어갔다. 그는 관음사(觀音寺)라는 작은 절에서 신분을 감춘채 몰지각한 젊은 스님에게서 온갖 욕설과 행패를 당하면서도 6년간 보임공부에 열중했다고 한다. 1921년 봄부터는  왕청현 라자구(羅在溝)에 들어가 당지인들이 지어준 화엄사(華嚴寺)라는 작은 절에서 여생을 보냈다. 이곳에서도 스님은 누더기를 걸치고 종일 일했고, 탁발(托鉢)을 다녔으며 아픈 사람들을 고쳐주었고 산이나 들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손수 밥을 지어 날라 주었다고 한다. 수월스님이 화엄사에 머무는동안 그를 만나려고 먼 길을 걸어오는 조선 스님들의 발길이 끊일 날이 없었다. 금오, 효봉, 청담 등이 수월을 찾아와 몇 달 혹은 1년 동안 함께 지내면서 그의 “말없는 가르침”을 배워갔다. 수월스님의 법은 묵언스님을 거쳐 도천.명선스님 등으로 이어졌다. 화엄사에서 지내기를 8년철이 되던 해인 1928년, 입적할 시기가 도래했음을 알게 된 스님은 점심공양을 마친후 절 뒤편에 흐르는 개울물에 깨끗이 몸을 씻고 머리우에 잘 접어서 갠 바지저고리와 새로 삼은 짚신 한 컬레를 가지런히 올려놓고 결가부좌한채 스스로 준비한 장작더미에 올라 불을 놓았다고 한다. 스님은 자화장(自火葬)으로 조용히 열반에 들었다.   ​ 도문시 일광산에 자리 잡은 화엄사      수월은 한평생 나무하고 불이나 때는 불목하니 같은 스님이였다. 그러나 그는 일상의 로동을 철저한 수행의 방편으로 삼아 평생을 “끊임없이 일하는 수행자”로 살면서 뛰여난 수행력으로 세간의 존경을 받았다. 또한 일제의 수탈로 삶의 터전을 떠나야 했던 한많은 백성들을 위해 손수 주먹밥을 만들어 주고 짚신을 삼아주는 무주상보시를 한량없이 베풀었다.  이름 그대로 “물 속의 달”처럼 흔적없는 바람같이 살다간 그는 오직 행동으로 소임을 다 해온 숨은 성자였다.   불교에서 수월(水月)이란 모든 사물에 실체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달이 강을 비추더라도 물에 비친 달 그림자는 그 실체가 없는것과 같이 수월스님은 자신이 없는 선행을 아무 흔적도 남기지 않은채 실천하였다.   3   최인호가 지은 책의 제목 “할”은 사찰과 선원에서 학인(學人)을 꾸짖거나 말이나 글로써 나타낼수 없는 도리를 나타내 보일때 내뱉는 소리를 뜻하는 불교용어다.   수월스님의 법문은 전해오는것이 많지못하다. 다음은 구전을 통해 전하는 스님의 법문 가운데 일부이다. “도를 닦는다는 것은 마음을 모으는거여. 별거 아녀. 이리 모으나 저리 모으나 무얼 허든지 마음만 모으면 되는겨… 도를 깨치지 못하면 두 집에 죄를 짓게 되는 겨. 집에 있으면서 부모님을 열심히 모시면 효도라도 하는데, 집을 나와서 도를 깨치지 못하면 두 집에 죄를 짓는 게 아니고 뭐여… 사람 몸 받아 참 나를 알지 못하고 참 나를 깨치지 못하면 이보다 더 큰 죄가 어디 있어. 이보다 더 큰 한(恨)이 어딨어.”   법기와 수련이 높은 “깨달은 자”들의 소리가 위기론이 대두되고있는 우리 민족 공동체에 지혜와 기운 넘치는 “할”을 날릴수 있기를 소망해 본다.   이천공십오년 오월 이십오일(음력 사월 팔일) 부처님 오신 날에  -“청우재(聽雨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94    "언브로큰" 그리고 윤동주 댓글:  조회:4494  추천:22  2015-05-07
칼럼   “언브로큰” 그리고 윤동주   김혁 ​ ​     1   화제의 영화 “언브로큰(Unbroken)”이 드디어 중국에서 상영되였다. 중국에서는 영화에 앞서 지난 1911년경에 원작소설이 이미 출간되였고 영화의 개봉에 맞추어 소설이 새로운 디자인으로 재출간되였다. 할리우드의 톱스타 안젤리나 졸리가 출연 대신 연출한 영화는  상영전부터 일본 극우들의 온갖 음해와 날조 왜곡으로 일관에 년초 화제가 되었다.  “언브로큰”의 개봉 소식에 일본 극우단체들이 보이콧에 나서는가 하면, 평소 좋아했던 배우 안젤리나 졸리의 일본입국금지를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등 그 행태가 도를 넘어 상식을 벗어난 행동과 말로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영화에 출연한 재일 교포도 때문에 곤욕을 치르고있다고 한다. 일본 우익들이 이 영화에 발끈한 원인은 무엇일가? “언브로큰”은2010년 발간된 후 180주 동안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던 미국 작가 로라 힐렌브랜드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실존 인물인 루이 잠페리니의 실화를 스크린에 담은 작품이다. 루이 잠페리니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역대 최연소 국가대표로 참가한 미국의 육상선수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해 작전을 수행하던중 전투기 고장으로 태평양 한가운데 추락해 47일 동안 표류하다 적국 일본의 함선에 의해 구조된다. 영화는 루이 잠페리니가 일본 포로 수용소에 끌려가 850일 동안 일본군에 의해 겪게되는 무자비한 역경의 과정이 담겼다. 제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만행을 소재로 했기에 영화가 상영전부터 일본우익의 심기를 건드렸던것이다. 하지만 막상 영화를 보니 영화적 제약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일본군들이 저지른 비인간적인 수많은 만행을 대부분 다루지 않아 원작에 비해 훨씬 관대했다. 원작에 일본군의 중국 난징대학살 문제나, 십여번 나오던 위안부 얘기도 생략됐다. 일본군이 잠페리니를 비롯한 미군 포로들의 정맥에 희뿌연 코코넛주스를 놓으며 생체 실험을 한 얘기도 영화에는 나오지 않는다. 원작에는 전범 용의자였지만 수년 뒤에는 일본 총리가 됐던 기시 노부스케와 관련된 일화도 들어있다. 기시 노부스케는 현 아베 일본 총리의 외조부이다. 영화를 보면서 내내 떠오르는 인물이 있었다. 뜬금없는 비약일지 몰라도 바로 윤동주였다.   2   일전에도 태평양전쟁 당시 일제가 미군 포로를 상대로 비인도적 생체실험을 자행했음을 보여주는 미국 측 문서가 발견됐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이 소장한 “전 일본해군 군의관(중위) 나카무라 시게요시와의 인터뷰”라는 제목의 문서에 이같은 내용이 기록된 사실을 확인되였다. 나카무라는 당시 심문에서 자신이 1944년 1월 말~2월 초 태평양 서부 트루크 41경비대 의무실에서 생체실험 장면을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포로들의 팔 정맥에는 연쇄구균 계열의 생박테리아가 주사됐으며, 일본군은 포로들이 주사를 맞고서 호흡곤란 등으로 상태가 악화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2~3일 후 이들이 패혈증으로 사망하자 시신을 해부해 장기 상태 등을 분석했다. 또 압박지혈대를 착용시켜 동맥과 정맥의 혈류를 차단하고 그 결과를 지켜보는 실험이 이뤄졌다. 이들은 팔과 팔꿈치, 허벅지, 무릎 등을 지혈대로 압박당하고서 실험 직후 극도의 고통을 호소하다 경련과 쇼크를 일으키고 10여분 만에 사망했다. 나머지 2명에 대해서는 의식을 잃자 물로 소생시키고, 다음날 이들을 상대로 폭파 충격 실험을 하고서 살해했다. "이 문서는 태평양전쟁기 일제가 731부대뿐 아니라 태평양 지역에서도 비인도적 생체실험을 했음을 확인해준다” 2차세계대전 당시 영화에서 나오는 루이 젬페리와 비슷한 경력의 사건이 또 하나 있다. 1945년 5월에미군 B29 폭격기에 타고 있던 승무원 11명이 추락, 일본군에 체포되었고 이들 중 여섯명은 산 채로 해부된뒤 소각되었다. 규슈제대 의학부는 이들을 상대로 산 사람의 혈액을 뽑아낸 뒤 바다물을 주입하는 생체실험을 진행했다. 미국 정부기록보존소(NARA)에서 요코하마 전범 재판 기록에는 후쿠오카에 있는 규슈제대에서 실시한 미군 대상 생체실험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 ​   3       바로 같은해인 1945년 2월16일 후쿠오카형무소의 한 독방 감옥에서 외마디 비명이 내질러진다. 간수가 바짝 청각을 돋우고 달려갔다. 이는 윤동주라는 한 문학청년이 이 지상에 남긴 마지막 절규었다. 민족해방의 날을 불과 6개월 앞둔 1945년 2월 16일, 향년 29년의 한 나 젊은 민족시인이 감방에서 의문사를 당한것이다. 1943년 7월 여름방학을 앞두고 윤동주와 송몽규는 교또경찰서에 검거되여 수감되였다. 사상범으로 피체된 그들의 죄명은 일본 형사의 취조서에는 “독립운동”이라고 기록되여 있었다. 윤동주는 2 년, 송몽규는 2 년 6 개월의 언도를 받고 후코오카(福岡)형무소에 수용되였다. 1945년 고향집으로 매달 초순에 배달되던 엽서가 이해 2월 중순가지 도착되지 않고 대신 "2월 16일 동주사망. 시체를 가져가라."라는 전보가 날아왔다. 윤동주의 시신을 찾으러 오라는 연락을 받은 아버지 윤영석은 일본으로 건너가 사촌인  윤영춘과 함께 후쿠오카 형무소로 갔다. 두 사람은 먼저 살아 있는 송몽규를 면회했다. 알이 반쯤 깨진 안경을 간신히 걸치고 있는 송몽규를 두 사람은 쉽게 알아 보지 못했다. 피골이 상접한 그가 먼저 무슨 말인가 건네 오는데 그게 마치 저 세상에 들려오는 말소리 같았다. “저놈들이 주사를 놓아서 이 모양이 됐고, 동주도 이 주사를 맞고….” 간수의 눈을 피해 몰래 우리말로 간신히 주고 받은 한마디였다. 후쿠오카 형무소는 규슈대학 의학부의 생체실험과 관련이 있는 곳으로 이곳 형무소에서 생체실험이 이루어졌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윤영석이 후코오카 감옥에 갔을 때에도 푸른 죄수복을 입은 조선인 청년 50여명이 강제 주사를 맞기 위해 줄 서 있는것이 목격되었다. 가족이 윤동주의 유해를 찾아간지 한달도 되지 않은 3월7일 송몽규 역시 감옥에서 숨을 거두었다.    일제가 저지른 대표적 만행인 세균전과 생체실험에 대한 의혹은 중국에서도 강력히 제기되였고 그 진상이 세상에 공개된지 오래다. “언브로큰”에서 코코넛을 미군포로에게 주입했듯이 윤동주와 송몽규가 맞았다는 주사에 강력한 의문의 초점이 모아진다. 이에 대해 일본인 문학평론가 고노 에이지 는 “그 의문의 주사”는 당시 규슈제국대학에서 실험하고 있던 “혈장 대용 생리식염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한다. 당시 힘겹게 전쟁을 치르고 있던 일제는 부족한 수혈용 혈액을 대신할 물질을 찾고 있었다는 것이다. 생리식염수 대신 바다물을 주입한 규슈제대의 실험을 감안하면 윤동주가 맞았다는 주사 역시 “바다물”일 가능성이 크다. 약리학자의 의견에 따르면 인체에 바다물을 주입할 경우, “바다물에 포함된 동물성 플랑크톤 등으로 인한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고, 뇌까지 혈액이 전달되면 혈액이 뇌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 때의 증상이 뇌일혈과 같다.”고 한다. 같은 시기 후쿠오카 감옥에서 수감자들이 주사를 맞은뒤 받았다는 “암산 테스트”는 현대의학에서도 임상실험의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널리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암산은 “신경기능을 통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판단 도구”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전시행정실록을 보면 후쿠오카형무소에서는 1943년 64명, 1944년 131명, 그리고 1945년에는 259 명이 옥사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후쿠오카형무소에서 재소자들을 상대로 대규모의 생체실험을 했으리라는 심증을 안겨준다. 윤동주의 사인에 대하여 일제의 생체실험의 제물이라는것이 주되는 주장이다.   올해는 일본의 패전 70주년, 민족의 해방 70주년이다. 또한 윤동주의 옥사 70주기이기도 하다. 할리우드의 한편의 영화를 계기로 중.한·일 과거사전쟁은 이제 미·일 역사전쟁으로 확전되고 있는 가운데 다시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29세의 젊은 나이에 순절한 우리의 시인을 다시금 환기해 본다. 이 처럼 일본으로서는 감추고 싶은 치부와도 같은 전쟁의 역사가 우리 시인의 애닲은 삶에도 깃들어 있다.   -“청우재(聽雨齋)”에서   “문화시대” 2015년 2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93    지하철에서 읽은 모디아노 댓글:  조회:2902  추천:12  2015-04-29
    칼럼   지하철에서 읽은 모디아노   김혁      노벨상수상자 파트릭 모디아노 1   수많은 책을 서로 다른 시간대, 서로 다른 장소에서 읽어왔지만 이번의 독서경력은 좀 특이했다. 소설의 거의 전부를 지하철에서 읽은것이였다. 바로 노벨문학상 수상자 파트릭 모디아노의 대표적인 소설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이다. 금번의 노벨문학상 수상소식은 상해에서 접했다. 상해에서 열린 로신문학원 강습소에서 들었고 한달간의 강습을 마치고 돌아오는 지하철에서 노벨상 수상자발표와 함께 금방 출간된 “따끈따끈”한 그의 작품을 읽었다. 문학강습이 열렸던 상해 복단대학부근의 강만역에서 포동 비행장까지 대여가려면 좋이 세시간가까이 걸렸다. 무려 30여개의 지하철역을 지나는 긴 려정이였기에 책의 3분의 2를 지하철에서 읽었고 또 비행기를 기다리며 공항터미널에서 마저 읽어 버렸다. “모디아노는 보통 130~150쪽 정도의 얇은 소설을 쓰는 작가"로 그의 이 소설도 겨우 10여만자, 부담없이 빨리 읽혀진것이다. 평론가들은 “시간려행과 공간순례와 같은 모디아노의 소설은 관광지도로 읽힐 수 있다”고 했다. 상해라는 국제 도회지에 온 변강오지의 촌닭같은 나는 쉽게 꺼낼수 있게 웃옷 호주머니에 지하철 관광지도를 내내 간직하고 있었다. 그런 나같은 이들에게 모디아노의 작품은 지하철에서 읽기에 맞춤형으로 씌여지기라도 한듯했다. 중국독자들에게는 조금 낯설은 이름인 모디아노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작품이 바로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이다. 그는 이 소설로 공쿠르 상을 수상, “현대 프랑스문학이 거두어들인 가장 큰 성과”라는 평가를 받았다. 기억상실증에 걸린 한 퇴역 탐정이 자신의 과거를 추적하는 려정을 그린 소설, 모디아노는 이 책을 통해 기억 상실로 상징되는 프랑스의 비극적 현대사의 한 단면을, 나아가 인간 존재의 소멸된 자아 찾기라는 보편적인 주제의식을 명징하게 드러내고 있다. ​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중국판 표지   2 노벨문학상을 내린 한림원은 모디아노의 소설의 주제에 대해 "시간, 기억 및 정체성이다"고 평했다. “1945년 7월 30일, 나치 점령하의 빠리에서 서로 알게 된 유태인 남자와 플랑드르 출신 녀자사이에서 나는 태여났다.” 모디아노의 자서전격으로 읽히는 작품 “혈통”의 첫 문장이다. “가을의 빠리를 관광하려면 바람이 불어 지도를 들고다니기 불편하다. 모디아노의 신작 소설을 권한다. 지도보다 들고 다니기 편할것” 모디아노의 작품에 대한 평이다. 그만큼 그의 작품은 자신이 태여난 곳, 자기 주변의 인물들을 작품에 집요하게 담는다. 또 과거에 대한 집착, 자신과 빠리인들의 정체성에 대한 미로의 길찾기는 그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일관적인 특징이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지 불과 두달이후 태여난 모디아노는 전쟁의 참상속에서 받은 상처를 아프게 갈무리하고있는 이들을 보며 자랐고 또 어려서 사랑하는 동생을 질병으로 잃었다. 이런 기억이 집필에 영향을 미쳐 그의 모든 작품은 기억, 가족, 정체성으로 귀납할수 있다.   그의 문학성격을 징표해줄수 있는 몇몇 작품중에 “한밤의 사고”는 교통사고를 당한 “나”가 앰불런스에서 만난 한 녀자에 대한 기억을 더듬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며 “혈통”은 그의 아버지가 사용했던 가명, 어머니가 일했던 극장 이름, 그가 머물렀던 수많은 호텔과 그 주소 등 기억의 조각들을 하나하나 풀어나간 소설이다. 인간의 정체는 과거의 집적과 그 기억에 불과하다고할때 기억과 망각의 문제는 모디아노의 개인사와 집단의 력사가 맞물리면서 그의 문학 세계를 구성한다. 어두웠던 시절을 희미한 기억력에 의존하여 물증과 증인을 찾아 자신의 과거를 복원하는 과정은 결국 정체성의 재구성, 자아의 복원으로 이어진다. 이렇게 모디아노는 표변하는 세평을 오래동안 등지고 이 문제에만 천착하며 홀로 한 우물을 팠다. 시대와 세상의 무게감은 한 개인을 질크러지도록 짓누르며 고통속으로 서서히 밀어넣는다. 모디아노의 작품들에는 전쟁에 의해, 한 인간의 정체성이 통째로 붕괴되는 과정이 슬프도록 아름답게 묘사되여 있다. 그럼에도 주인공은, 내면에 뚫린 커다란 구멍, 메우지 못할 빈 공간을 작은 기억의 조각들로 채워나간다. 좌절하지 않고 자신의 소멸된 과거를 찾아서 되살리는 일을 이어나간다. "마음 깊은 곳에서 당신은 스스로를 누구라고 느끼십니까?" 바로 그런 강요가 모디야노의 작품을 량산해낸다. 프랑스가 겪었던 현대사의 비극과 성장기의 개인적 상처와 그 정체성 찾기는 그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키워드이다. 17세에 부친과 절연했고 어머니의 정을 느끼지 못했고 남동생은 어릴때 세상을 떠나는 등 작가의 성장기에서 가족은 부재했다. 때문에 그의 소설은 항상 시간의 저편으로 사라져간 과거의 애틋한 흔적을 되살리는데 바쳐진다. 인간의 정체성을 어둠속으로 침몰시켜버리는 세계, 인간 실존의 근원이 상실돼 가는 세계를 기억상실자가 과거를 찾아가는 필사적인 몸부림으로 그린다. 그러한 정체성찾기가 그의 작품들에서 계속 반복된다.   3,   여기서 근년들어 우리 사회에서, 우리 작품에서 부쩍 회자(膾炙)되고있는 정체성의 문제에 대해 다시 말하고저 한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사실 개인의 정체성을 인간의 몸에서 찾기는 어렵다고한다. 왜냐하면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가 계속 바뀌고 있기때문이다. 그리고 의학이나 과학수사에서 만능으로 여기는 그 DNA의 염기 배렬이 개인의 정체성을 확정 시켜줄수도 없다고한다. 왜냐하면 개인의 정체성은 DNA의 염기 배렬, 그 이상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기억에 의해 개인의 정체성이 지탱될수 있다. 즉 자아가 계속적으로 기억하고 반성하는 한 한 개인의 정체성이 유지될수 있다는것이다. 하지만 흔히 기억상실증에 걸린 사람들의 경우에는 그 정체성이 사라질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집단의 정체성 확립은 훨씬 더 어려울 것이 아닌가. 이처럼 정체성 확립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집단의 정체성을 탐구한다. 피줄에도 기대여 보고 언어에도 기대여 본다. 그리고 작가들은 문자에 기대여 본다. 글로벌화로 인한 외부여건과 문명충돌은 약소민족이나 그 개체로 하여금 뒤미처 정체성찾기라는 본질적특성을 반추하게 했다. 모디아노처럼 이러한 정체성찾기의 문학이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보여 주며 최고의 상을 수상할수 있는것도 바로 인류의 이런 본연의 모습과 자세에 대한 추구와 맞물리기때문이다. 우리의 조선족 작가들은 민족공동체의 부침속에 멀미와 현기증을 엎누르며 흔딜리는 필을 고누잡고 창작에 고심하고 있다. 수십년간 불어친 도시진출, 출국붐에 밀려 우리의 언어를 아끼고 돌보던 사람들인 문학인과 독자층도 역시 피폐할 정도로 줄어들고 있다. 하필이면 이런 시대에 문학을 한다는 일의 어려움을 온몸으로 겪고 있으면서도 필을 놓지않고 있다. 잊혀지고 박제된 민족의 력사를 불러내고 강인한 생명력을 불어넣고 우리 민족의 뜨거운 숨결과 기상을 되살려내려 몸부림하고있다.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각오와 능란한 민족어 구사로 합격된 작가와 문화인이 되여야만 거대한 대륙의 주류문단과 접목하고 나아가 세계 문학과 문화에 기여할 작가로 성장할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하철속 지도처럼 읽은 모디아노의 창작자세가 그 본이다. 모디아노처럼 과거를 직시하고 그 과거에 속해 있는 사람들을 기억해내고 그 과거를 잊고있는 사람들을 불러내는것이 나의 창작의 한 방향이라고 각오를 뼈무른다. 또 한 그것이야말로 우리 모든 작가의 힘, 혹은 글의 의무가 아닐가?        - 2014년 11월 18일, -“청우재(聽雨齋)”에서   “연변문학” 2015년 4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92    신천지와 고적지 댓글:  조회:3033  추천:12  2015-04-13
 칼럼   신천지와 고적지   김 혁     1   “동방의 명주”- 상해로 가면 곳곳이 명소일터이지만 상해의 현란한 밤문화를 향수하려면 꼭 들려야하는 곳이 있다. 바로 “신천지”라고 하는 곳이다. 상해의 경물들을 눈뿌리 아프게 발품 팔아가며 찾아보던중 필자는 “신천지”를 찾았다. 중국의 금융 및 상업 허브이자 “상전벽해”의 대명사인 포동과 상해의 최대 번화거리 남경로와 함께 명소로 손 꼽는곳- 말그대로 새로운 하늘과 땅(新天地)이 열려 있었다. 고풍스러운 유럽식 건축양식과 로천카페가 어우러졌고 오래된 건축과 록음수목이 조화를 이루고 있었는데 낮에는 옛 상해의 문화를 간직한 쇼핑가와 레스토랑이, 밤에는 상해 최고의 밤문화를 즐길수 있는 바와 클럽으로 유명했다. 임시정부 청사의 옛 모습     2   사실 상해에서 필자의 심중을 유난히 사로잡는 한 곳이 있었다. 그곳은 바로 대한민국 림시정부 유적지였다. 림시정부 유적지는 바로 “신천지” 부근에 위치해 있었다. 상해 로완구 마당로 롱4호(上海卢湾区马当路306弄4号). 림시정부 유적지 청사는 “신천지”와는 대조되게 매우 낡고 좁은 도로옆에 위치해 있어서 언뜻 보면 쉽게 지나쳐버릴수도 있을만큼 평범했다. 좁은 골목길 안에 적색벽돌로 건축된 허름한 3층 건물이였다. 건물곁에는 아직도 주민들이 살고있었는데 골목길에는 자전거가 세워져 있고 베란다에는 빨아 넌 옷가지들이 나붓기고 있었다. 일반 주택으로 사용되다가 지난 1992년 상해시 로완구 인민정부가 대한민국 림시정부유적지 보존단위로 결정함에 따라 다시금 꾸며졌고 일반인에게도 개방됐다고한다. 지난세기초 한민족이 일으킨 거족적 3·1운동은 일본의 식민지 국민이자 천황의 신민(臣民)으로 잠들어있던 한민족이 깨여나 하나 되는 계기가 되였다. 일제 식민지의 억압에서 풀려나려는 민족적 저항운동의 홰불이 들판의 불길처럼 맹렬히 번져 가던 1919년 4월 10일. 20여명의 지사들이 당시의 법조계(法租界, 프랑스 조계) 마랑로(马浪路) 보경리(普庆里) 4호에 모여들었다. 그날 밤 국회 격인 “림시 의정원”을 구성했고 머리를 맞대고 민족의 중흥을 위한 지혜를 모았다. 림시정부 수립 당시의 참여자로는 조동호, 여운형, 손정도, 조소앙, 김철, 선우혁, 한진교, 신석우, 리광수, 현순, 신익희, 조성환, 리광, 최근우, 백남칠, 김대지, 남형우, 리회영, 리시영, 이동녕, 조완구, 신채호, 진희창, 신철, 리영근, 조동진, 여운홍, 현장운, 김동삼 등 29인 이였다. 이날 탄생한 정부는 항일투쟁을 지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 각지에 설립되였던 정부들이 통합하여 발족된 대한민국의 림시정부였고 민주공화제 국가 수립을 위해 그들이 건넌 징검다리의 맨 처음 디딤돌이였다. 그로서 이곳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을 진두지휘했던 소중한 장소로 각인되여왔다. 림시정부 요인들은 중국공산당 지하당과도 련계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이곳에 오래 머무르지 못했다. 승냥이처럼 번뜩이는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서였다. 림시정부 요인들은 일본의 탄압을 피해 림시정부를 여러차례 옮겼다. 1932년 4월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윤봉길의사의 폭탁투척사건 이후 일본군의 탄압에 절강성 가흥시로 옮겨가게 되였다. 그외에도 항주, 장사, 광주, 중경 등지로 고달픈 려정은 1945년 일제가 무너질때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상해 림시정부는 시종 일제에 맞서 외롭고 의롭게 투쟁했다. 이렇게 선후로 27년간 중국에서 민주공화국의 신분으로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15원의 입장료를 지불하고 청사 전시관으로 들어섰다. 내부는 마루를 깔았는데 관객들은 저마다 가이드가 넘겨주는 비닐 덧신을 신고 들어섰다. 제복차림을 한 몇명의 녀성 직원이 안내를 맡아주었다. 유적지 청사는 15평 정도나 될까한 아주 좁은 공간이였다. 각 층마다 당시 활동모습을 추적하여 전시관으로 꾸며 놓고 림시정부의 활약을 담은 관련자료 등을 전시하고 있었다. 당시 쓰였던 가구, 서적, 사진 등이 전시되여 있어서 그 당시 시대 상황을 리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청사 주 출입구에 들어서자 정면에 백범 김구선생의 흉상이 보였다. 1층에는 회의실과 주방이 있었다. 1층에서 림시정부의 건립과 활동에 관한 비디오를 5분쯤 시청하고 웃층으로 올라갔다. 나무로 된 좁고 낮은 계단은 머리가 닿을듯 하여 고개를 숙이고서야 올라갈수 있었다. 2층에는 림시정부 수반의 집무실과 회의실이 있었다. 집무실에는 당시 사용하던 태극기와 나무침대와 식탁, 조촐한 주방가구가 있었다. 식탁우에는 백범 김구선생의 가족사진도 놓여 있었다. 회의실에는 여러명이 앉을수 있는 의자와 회의용 탁자가 놓여 있었다. 집무실 책상에 림시정부 요인들의 밀랍인형이 설치되여있었는데 그들은 금방이라도 일어나 뜨거운 악수를 청할것만 같았다. 3층에는 림시정부 요인숙소가 있었고 림시정부의 활동 모습을 담은 사진과 그 주요 인사들의 사진을 전시하고 있다. 사진속에서 과거의 주역들은 신념으로 그득찬 찬 형형한 눈빛을 짓고있었다. 아쉽게도 전시실에서의 사진촬영은 금지되여 있었다. 녀성직원들이 서투르나 분명한 조선말로 “사진 찍지마세요!”라고 주의를 주었다. 그래서 림시정부청사 머리돌(定礎式) 앞에서 기념사진을 남기며 아쉬움을 달랠수 밖에 없었다. 출구쪽에는 기념품점을 앉혔다. 기념품점에서는 백범 김구선생의 얼굴이 찍힌 마크며 림시정부 유적지 사진을 박은 열쇠고리며 우표, 휘장, 배지, 악세사리, 장식품 등 기념품들을 팔고 있었다. 현재의 림시정부 유적지는 한국 삼성물산과 독립기념관 그리고 한국의 독지가들의 성금으로 복구되였는데 상해시 려행국에서 맡아 관리를 하고 있다고한다. 한해 20만명이 넘는 한국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아오고 있다고 한다.   3   상해에 몰아치는 개발의 광풍으로 림시정부 유적지 주변은 모두 고층 빌딩과 현대식 주거 시설에 포위되여 있었다. 여일중천(如日中天)한 “신천지”에서 비록 지금은 작고 허름한 건물만이 남아 주택가사이에 묻힌 “고적지”로 되여 버렸지만 좁고 루추한 거처에서 민족의 독립을 위해 혼신을 다했던 선렬들의 채취가 력력하게 남아있는듯 해 숙연하게 옷깃을 여미였다. -“청우재(聽雨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91    황제의 수라상 댓글:  조회:4828  추천:12  2015-03-30
칼럼   황제의 수라상 ​ 김혁 ​ ▲ 영화 “마지막 황제”의 포스터 ​ 1 ​ 제60회 아카데미 수상작 “마지막 황제”가 디지털 리마스터링으로 다시 개봉되었다. 여기서 리마스터링이란 과거의 영상이나 음원을 디지털로 복원하여 화질과 음질을 향상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필름에 붙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고, 파일의 색과 음향을 보정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필름이 손상된 고전 영화는 복원 작업까지 더해진다. 대부분의 극장들이 디지털 영사기로 교체돼 필름 영화는 아예 틀 수 없게 된 지금, 리마스터링은 문화재 보존의 차원과 초고화질 환경에 대한 콘텐츠 공급에 대한 차원의 작업으로 부상되고 있다. ​ ▲ 위만주국 원수 복장차림의 마지막 황제- 부의 2 ​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푸이가 생전에 집필한 자서전 “나의 전반생”을 바탕으로 이딸리아 감독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에 의해 엄청난 제작비와 물량이 투입되여 제작된 영화는 1988년 제 6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 감독, 각색, 음악, 촬영 등 9개 부문을 대거 수상, “그저 놀랄 수 밖에 없는 작품이다”, “우리가 다신 볼 수 없는 역사드라마”, “강력하고, 장엄한 역사적인 전기영화” 등 엄청난 찬사 속에 불후의 명화로 손꼽힌다. 1906년, 청나라 최고의 권력자인 80세의 서태후는 병상에 누워있는 광서제 대신 광서제의 동생 순친왕의 아들인 네살의 푸이에게 황제의 자리를 물려준다. 장엄한 황제 즉위식조차 하나의 놀이로 밖에 여기지 않는 어린 푸이는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황제의 존호와 궁전 및 사유재산만 인정받은 채 퇴위하게 된다. 자금성에서 연금생활을 하며 푸이는 16살때 완용을 황후로, 문수를 후실로 맞아들인다. 1924년, 풍옥상의 군사혁명으로 푸이는 자금성에서조차 추방된다. 중국침략의 야욕에 찬 일제의 사촉으로1934년, 푸이는 세상의 반대와 비난을 무릅쓰고 만주국을 세우고 황제의 보좌에 오른다. 하지만 일본군의 조종하에 위만주국에서 그는 허울뿐인 “꼭두각시 황제”노릇을 한다.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해방이 되자 일본 탈출을 시도하던 푸이는 만주에 주둔한 쏘련군에 의해 포로가 되며 중국인 전범수용소에 갇힌다. 1959년, 특사령에 의해 10년의 형기를 마치고 수용소에서 나온 푸이는 평범한 공민이 되여 만년을 보낸다. 영화는 력사의 도도한 흐름아래 몰락해가는 왕조, 그속에 굴절된 인간의 삶과 영욕을 그리고 있다. ▲ 벼타작을 하고있는 간도의 이주민   3 영화에서는 푸이가 일제의 사촉하에 지금의 창춘에 허울뿐인 위만주국을 세우고 강덕황제로 등극하는 과정이 상세하게 나온다. 그런 강덕황제에게 진상한 수라상의 쌀은 바로 간도지역에서 생산되었음을 아는 이들이 많지 않다. 당시 두만강지역은 인적이 드문 “봉금”지역으로 관헌의 눈을 피해 황무지를 개간하는것은 생명을 걸고 하는 일이었지만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아사직전의 가난한 조선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월강하여 황무지를 개척하였다. 용정시 개산툰진의 하천평은 조선인들의 벼농사가 비교적 일찍 시작된곳이었다. 이 마을에 최학출이라 부르는30여세의 조선인 농꾼이 있었다. 최학출은 1917년 2월 18일 충청북도 청주군 학사면 원평리에서 태어났다. 재해로 살길이 막연하여 지자 1935년에 이곳으로 이사하여 왔다. 그때만 하여도 이 고장의 벼농사는 주로 산종을 했고 벼모이식을 조금씩 하는 정도여서 벼의 생산량이 많지 못했다. 최학출만은 전부 모내기를 할 타산으로 당지의 한냉한 기후조건에 비추어 대담하게 온상육모를 시험했다. 1941년 봄, 유리창문처럼 간이 문창을 짜서 백지를 붙이고 콩기름을 발라 양광이 잘 들어가도록 투명도를 높인 다음 벼모판을 만들고 씨앗을 뿌렸다. 결과 모를 일찍이 키워냈을뿐만아니라 유별하게 벼모가 건실하게 자라났다. 이해 소출도 뜻밖에 아주 높았고 지어놓은 해쌀밥은 백옥같이 희고 기름기가 있어 그야말로 천하진미요, 천하진품으로 되었다. 그의 벼는 현과 간도성 농산품 전시회에 출품하게 되어 으뜸가는 호평을 받았고 점차 전 만주에 소문이 났다. 최학출은 만주국정부의 초청을 받고 신경(지금의 창춘)에 가서 만주국화페로 천원의 상금을 받았다. 그리고 특별히 강덕황제의 수라상에 오르는 쌀을 전문 생산하는 밭을 가꾸라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천자, 제후에 붙이는 높임말인 “어”에 곡식 “곡”자를 붙여 밭이름을 "어곡전(御谷田)"이라고 했다. ​ ▲ 어곡전 옛터 기념비앞에서의 필자 최학출이 맡은 "어곡전" 면적은 천평이나 되었다. “어곡전” 주위는 뺑끼칠을 한 널판자로 울타리를 하여 집짐승들이나 사람들까지 함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였다. 촌공서와 경찰서, 현의 관원들이 "어곡전"을 호위해 주었다. 봄에 논갈이를 할 때만 소의 힘을 빌었을 뿐 그외의 일들은 모두 사람의 힘으로 하였다. 논에 일하려 들어갈 때면 우선 손발을 깨끗이 씻어야 하였고 거름은 오직 삶은 콩과 두병만을 사용하였다. 가을이면 먼지가 없도록 까붐질을 한 다음 정미를 하고 온 마을 처녀들을 끌어다 쌀을 고르게 하였다. 처녀들은 유리판 위에 쌀을 펴놓고 한알한알씩 고르었는데 쌀알의 귀가 좀 떨어져도 안되고 쌀의 빛깔이 좀 달라도 안되었다. 황제의 수라상에 오르는 어곡을 만드는 일은 그야말로 참으로 세심한 과정이 었다. 이렇듯 만주지역의 논농사는 이곳으로 이주해온 조선인들에 의해 시작됐으며 최학출은 만주 지역 벼농사의 전설적 존재로 자리매김했다. 우리 민족의 뛰어난 벼재배 기술과 역사의 영욕을 고스란히 안고 오늘도 두만강 연안에서 나는 쌀은 당년 못지 않게 백옥같이 희고 기름기 돌며 밥맛도 참으로 구수하다. -“청우재(聽雨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영화 "마지막 황제" ost
290    봄 우뢰 댓글:  조회:3776  추천:11  2015-03-16
칼럼 봄 우뢰 김혁   한 장의 사진으로 남은 3.13 반일시위 모습     1,   우뢰, 여름철 소나기 올 때 하늘에 크게 울리는 소리를 말한다. 대기 중의 방전 현상으로 생기는 큰 소리이다. “울다”의 어간 “울”에 어미 “에”가 붙어서 이루어진 순 우리 말이다.   또 천둥이라고도 하는데 천동(天动)이 변한 말이다. 옛 사람들은 하늘에서 북을 치는 소리가 나는 것 같다고 해서 천고(天鼓)라는 표현도 썼었다.   우레는 장마철이나 여름철에 많고 봄에는 드물다. 그래서 봄우뢰를 신뢰(新雷)라고도 했다. 연변지역은 비교적 한랭한 기후이니 봄 우뢰가 우는 경우가 드물다.   하지만 지금으로부터 95년전 지금의 연변지역 즉 당시의 북간도에서는 세상을 놀래는 “봄 우레”가 울었다.   좌로부터 김약연, 림민호, 한락연   2,   1919년, 3월1일, 민족자결주의에 자극받아 독립지사들은 경성의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조선 전역을 무대로 성세호대한 반일시위운동을 일으켰다. 민족의 해방을 위하여 온 겨레가 떨쳐 일어 선 이 장거에 연변의 반일지사들은 적극 호응하여 “간도의 서울”인 용정에서 반일시위를 거행하기로 합의를 보았다.   3월 13일, 이른 새벽부터 북간도 각지에서 사람들이 삼삼오오 용정으로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3만 여명의 민중들이 분분히 대렬을 지어 용정에 도착하였는데 그 광경은 실로 미증유의 장관이었다.   대회에서는 "간도거류조선민족일동" 명의로 된 "독립선언서포고문"을 낭독한 뒤 일본간도총영사관을 향해 나아가며 거리시위를 단행했다.   "조선독립만세!", "일제의 침략을 반대한다!", "친일주구를 타도하자!"라는 구호가 용정의 거리와 골목에 우레처럼 메아리쳤다.   시위는 일제의 잔인한 탄압을 받았다. 군경들은 적수공권인 군중들을 향해 무자비하게 발포했다. 이날 일제와 지방군경들의 탄압으로 19명이 피못에 쓰러졌고 48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94명이 체포되었다. 그 후 용정의 각계 인사들은 눈물을 머금고 14명 수난자들을 용정 동남쪽에 있는 합성리 공동묘지에 고히 안장했다.   용정의“3.13”반일운동은 20세기 10년대 북간도 지역에서 거행된 가장 대규모적인 반일시위이다. 학계에서 “해란강의 봄 우레”라고 지칭되는3.13반일운동의 천둥은 북간도는 물론 북만과 남만일대까지 울려퍼지어 앙양된 반일투쟁을 불러 일으켰다.   3.13반일운동과 직결된 인물들은 많고 그중에는 조선민족을 빛낸 여뢰관이 (如雷贯耳 우레소리가 귀를 뚫고 지나는 것 같이 명성이 자자하다) 의 인걸들이 적지않다. 그 몇분을 뽑아보면-   김약연. 당시 간도지역의 “대부”로 연변 초기의 이주민 마을인 명동촌의 지탑을 잡고있던 그는 조선에서 “3.1”운동이 일자 연해주로 파견되여 갔다. 연해주에서 김약연은 각지에서 파견 되여온 독립지사들과 회합하여 독립선언서의 작성과 그 선포에 관한 합의를 하고 용정반일시위를 기획하였다.   “3.13”반일시위가 일제에 탄압을 받은 후 조직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는 이를 빌미로 2년간의 옥살이를 하였다.   북간도 지역의 초기의 근대 교육학교인 명동학교를 세운 그이는 민족시인 윤동주의 외삼촌이기도 하다.   림민호 반일시위가 일던 날 대회장 가녁의 교회당 첨탑 위에 올라가 구경하고 있던 한 소년이 교회당의 종소리를 울렸고 그 종소리와 함께 대회가 시작되었다. 종소리를 울려 성세호대한 반일시위를 촉발시킨 그 홍안의 소년이 바로 후일 연변대학의 총장으로, 조선족교육의 정초에 크게 기여를 한 림민호 총장이었다.   한낙연. 근대 중국미술발전사와 중국현대혁명사에서 선구자적 위치를 자리매김하여 “중국의 피카소”라 지칭되고 있는 그는 당시의 반일시위에 적극 동참하여 대회에 사용 될 기발을 만들고 프랑카드를 써서 대회장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시위자들과 함께 반일과 민족독립을 위해 한 목청을 높였다.  용정의 시교에 조성 된 "3.13" 반일 의사능   3,   룡정에서 남녘 삼합 쪽으로 미루나무가 늘어선 논둑 길을 따라 차로 5분정도 가면 큰 길곁에13기의 묘가 눈에 들어온다. 바로 광신향 합성리묘지, 3.13반일의사릉(3.13反日義士陵)이다. 3.13반일의사릉에는 그날 만세를 목청껏 부르다 순직한 13인 열사의 봉분이 두 줄로안장돼 있다. 그앞에 서면 민족독립의 결연한 의지로 고결한 생명을 바쳐가며 외쳤던 영령들의 기개에 찬 함성이 금방이라도 터져 나올 듯하다. 조선후기의 대실학자 다산 정약용(丁若鏞)이 탁월한 승려인 혜장을 높이 치하하여 지은 시가 있다.   그 명성이 우레처럼 크게 떨쳐 사방의 호걸들이 얼굴보기를 원했지   해란강반에서 반일의 봄우레가 터진 3.13반일시위가 어언 96돐을 맞았다. 이날을 계기로 또 한번 민족의 독립과 해방을 위해 한 몸 바친 인걸들의 “여뢰관이”한 이름을 크게 새기며 망각과 무심으로 안일했던 마음 들을 들깨우기를 바란다.   -“청우재(聽雨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89    “한국의 쉰들러”와 윤동주 댓글:  조회:2548  추천:17  2015-03-12
. 칼럼 . “한국의 쉰들러”와 윤동주 김혁   ▲ 한국영화 "국제시장"의 포스터   1 무조건적인 희생으로 가족을 위해 로심초사하며 한 시대를 묵묵히 살아냈던 아버지의 모습을 그린 영화 “국제시장”이 한국 력대영화 2위를 기록하며 흥행신화를 쓰고있는 가운데 영화의 들머리에 재현 된 “흥남대탈출사건”이 다시 회자되고있다. “흥남 대탈출”은 한반도에서 벌어진 수많은 전사(戰史) 중에서도 특별한 력사적 사건이다. 전시의 긴박한 상황에서 민간인의 철수를 돕기 위해 군인들이 자기 목숨과도 같이 여기는 작전용 중장비를 수송선에서 내려놓고 그 공간에 더 많은 피란민을 태워 수송했는데 그 수효가 무려 10만명에 이른다. “쉰들러 리스트”로 잘 알려진 독일인 오스카 쉰들러(Oskar Schindler, 1908-1974)가 나치 수용소에서 구해낸 유대인의 수는 약 1,200명이라고 한다. 그런데 흥남에는 10일간의 짧은 기간 동안 10만 명의 피난민을 구출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세계 전사를 통틀어 가장 많은 민간인을 탈출시킨 작전으로 기록돼 있다. “흥남 대탈출”은 오로지 인종, 국경, 종교, 이념이라는 모든 벽을 훌쩍 뛰여넘은 인간사랑이라는 큰마음이 움직였기에 가능했던 대서사극이였다.  “흥남대탈출”의 장거를 주도한 주인공은 바로 “의인”으로 불리는 현봉학이였다.   ▲ 대탈출 당시 흥남부두의 모습 2 미군의 철수작전이 펼쳐지던 흥남부두에서 현봉학은 아비규환을 목격했다. 령하 30도의 혹한속에서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며 울부짖는 피난민들의 모습은 차마 눈 뜨고 볼수가 없었다. 그는 미10군단의 아먼드 장군을 붙들고 “저들을 살려달라”고 간청에 간청을 거듭했다. 현봉학의 눈물겨운 노력에 감동한 장군은 군수물자를 버리고 피난민들을 태웠다. 이렇게 해서 배 193척에 나눠 타고 목숨을 구한 피난민은 9만8000여명. 마지막 수송선에 탄 1만4000여명은 12월25일 거제에 도착해 후일 “크리스마스의 기적”으로 불리웠다. 이 배에서 5명의 어린 생명이 태여났다. “한국의 쉰들러” 현봉학(玄鳳學) 선생은 1922년 함경북도에서 태여나 세브란스 의전을 졸업, 모교에서 림상병리학을 강의했다. 미국 리치먼드의대에서 공부한 뒤 1950년 3월 한국으로 귀국, 석달만에 6·25를 맞았다. 전쟁중 한국 해병대사령관 고문과 미10군단 사령관 민사부 고문으로 근무하던중 흥남부두에 이르렀고 10만여명의 피난민을 구하는 신화를 남겼던것이였다. 휴전후 다시 미국으로 간 현봉학은 펜실베이니아의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토머스제퍼슨의대 등에서 교수를 력임했고, 연세대와 아주대 등 한국의 대학가에서도 후학 양성에 힘썼다. 2007년 86세로 별세했다.   ▲ 현봉학 박사 3 윤동주의 묘소가 조선문학에 깊이 심취되된 일본학자 오오무라 교수에 의해 발견되여 세간에 공개되였음은 일반이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사실 오오무라 이전에 윤동주의 묘소를 찾으려 시도한 사람이 또 한분 있었다. 바로 현봉학 박사였다. 70세 로인이 될 때까지 윤동주를 전혀 몰랐던 현봉학박사는1984년 봄에 우연히 낡고 바래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초간본을 읽고 크나큰 감동과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그리하여 그해 8월 현봉학 박사는 재미동포 13명을 인솔하고 중국용정행차를 했다. 연변의 유지들과 지치주정부 외사처에 윤동주의 유적, 특히 묘소를 찾아주기를 부탁했다. 그러나 고향 사람들은 윤동주가 누구인지 알지도 못했다. 실망은 했으나 그들에게 윤동주가 뛰여 난 민족시인이였음을 역설하고 래년에 다시 방문할터이니 꼭 그 유적을 찾을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신신당부했다. 오오무라에 의해 윤동주의 묘소가 발굴된 소식을 접한 현봉학박사는 또 서둘러 룡정으로 날아왔다. 1988년 6월, 현봉학 선생이 주동이 된 미중한인우호협회의 연증(捐贈)으로 룡정중학교 동창회가 수선을 하여 윤동주 묘소의 첫 개수 작업이 이루어졌다. 지금 우리가 룡정 동산마루에 가면 볼수 있는 시인의 유택은 그렇게 많은 “의인”들의 도움으로 세인들과 만났다.     ▲ 개수를 마친뒤의 80년대 윤동주 묘소의 모습   은퇴후 현봉학 박사는 윤동주 장학회를 설립하고, 룡정중학에 윤동주의 시비를 건립하는 등 오직 윤동주 추모사업에 헌신하다가2007년에 타계했다. 지금도 시인의 고향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룡정중학의 시비를 마주할 때마다 이 고마운 의인을 떠올리고 있다. - “청우재(聽齋雨)”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흥남부두 철수를 노래말에 담은 옛 노래 "굳세어라 금순아"      
288    “별”의 초상화 댓글:  조회:1976  추천:11  2015-03-11
  . 소설가 김혁의 독서칼럼 (4) .   “별”의 초상화 - “윤동주 평전”을 읽다     “위편삼절(韋编三绝)”이라는 일화가 있다. “사기(史记)”의 “공자세가(孔子世家)”에서 나오는데 공자가 책을 묶은 가죽끈이 세번 끊어지도록 “주역”을 탐독했다는 일화에서 유래된 말이다.    내게서 “위편삼절”의 책이 있다면 바로 “윤동주 평전”일것이다.    80년대 윤동주가 뒤늦게나마 고향 연변에 알려지면서 “문학과 예술”지에서 윤동주라는 이름을 맨 먼저 접했다. 그의 시비가 다른곳도 아닌 나의 모교인 룡정중학에 세워졌을때의 놀라움, 저 유명한 “서시”를 처음 읽었을때의 그 전률, 지금도 내 심방(心房) 깊은 곳에 화인처럼 남아 잊을수 없다. 문학도시절인 1988년 열음사판으로 나온 “윤동주 평전”을 선배문학인에게서 빌려 읽었고 윤동주의 생애를 장편으로 소설화하면서 다시금 증보판, 개정판들을 거의 모조리 사들여 거듭  읽었다. 윤동주의 생애 읽기는 이미 많은 사람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시도되여 독자들과 만났다. 한국에서만도 그의 시세계에 대한 연구로 박사, 석사학위를 받은 이가 무려 50여명이라 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송우혜의 “윤동주 평전”이 압권중의 압권이요, 경전중의 경전이 아닌가 생각한다. 평전에는 그의 맑은 령혼이 준미(俊美)하게 담겨져 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학사모를 쓰고 순수하게 앞을 바라보고 있는 그의 그 졸업사진처럼. 력사학에 천착하면서도 원체 소설가라 뛰여난 작가적 감수성으로 송우혜는10여년을 갈고 닦은끝에 윤동주 생애에 대해 황홀하게 복원해 내였다. 친지와 친우들의 증언들을 토대로 하고 빈틈없는 현장답사와 풍부한 자료를 섭렵, 룡정광명중학의 학적부, 일경의 극비취조문서, 판결문 등을 비롯한 각종 자료들을 동원하고 그에 대한 집요한 추적과 분석을 가했다. 그저 단순한 책상물림의 상상력 연 띄우기 방식이 아니라 치밀한 작업으로 실존적 고뇌와 준엄한 륜리적 태도를 지니고있는 한 고절한 시인의 마음의 행보를 샅샅이 더듬으면서 그 생생한 숨소리까지 평전은 들려주고있다. 평전을 읽노라면 반일의 책원지인 북간도 명동에서 태여나 어려서부터 서울에서 보내온 간행물을 읽으며 문학의 꿈을 키워온 윤동주, 일본야수들의 민족말살의 잔학한 술책에 학교를 이리저리 옮겨야 하는 수모를 겪는 윤동주, 경성의 연희전문에 입학하여 구지욕을 불태우던 윤동주, 참회를 읊조리며 일본으로 류학길에 올랐던 윤동주, 일본형사들의 마수에 떨어져 후쿠오카 감옥에 갇혀서 생체실험의 의혹을 남긴채 민족의 해방을 불과 몇달 앞두고 비명에 간 윤동주…의 삶과 문학의 려정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그 외에도 평전을 통해 그 시대를 올곧게 살아내려고 애썼던 이들의 삶의 궤적을 우리는 만날수 있다. 민족을 위해 혼신을 던지면서 윤동주라는 고고한 별이 창공에 빛나기까지 깊은 영향을 주었던 스승, 친지, 친구, 은사, 문호들인 김약연, 송몽규, 명의조, 최현배, 문익환, 정병욱등 주변인물들의 다채로운 삶의 자취, 윤동주라는 별자리에 주위에 모여 함께 빛을 내는 다른 별들의 공전과 밝음에 대해서도 더불어 료해할수가 있었다.    작가는 시인의 생의 순간순간에 현미경을 들이댔는데 대상에 대한 장악력으로 그 일거수 일투족을 묘사하는 치밀성에 엄지를 빼들지 않을수 없다. 과시 “윤동주라는 인물연구의 결정체요, 평전문학의 진수”라는 평단과 독자들의 찬사처럼 인물전기의 진수를 보여준 평전이였다. 고향사람인 우리도 미처 몰랐던 연변지역의 당시 시대상과 풍토가 평전의 초반에 오렷이 그려지는데 이 또한 작가가 우리에게 선물한 또 하나의 경이로움이였다. 명동지역에서 재배한 콩이 2차세계대전시기에 벌써 구라파에 까지 수출되였다는 당시의 경제상황도 흥미롭고 특히 작가가 진지하게 풀이한 함경북도 사투리에 대한 진지한 해석도 재미있다. 어딘가 툽상스럽다고 우리 스스로 생각되였던 이 사투리는 사실 “경음화하지 않은 '순하고 은근하고 아름다운' 말”이며 “윤동주의 시는 그런 언어문화의 산물이기도 하다”고 작가는 깊은 의미를 덧대여 해제를 달고있다. 사건들을 추적하여 그 력사를 따라가면서도 다시 시의 궤적을 따라 시를 통해 력사를 읽고 인물의 생애를 다시 읽는 기법을 쓰고 있어서 문학인으로서는 인물전기외에도 시집, 작품론평을 읽는것처럼 “일석다조”의 감흥으로 읽혔다. 고향의 산하와 인간의 존엄이 야수들의 잔학한 마수에 짓밟혔던 한민족 근세사의 가장 암울했던 일제강점기, 그 짙은 어둠으로 점철된 공간에서도 시대의 모순을 외면하지 않고 끝까지 그에 대해 고민한 지식인 청년이 바로 윤동주였다. 그런 고민을 글로 풀어내고 그 진지한 자세와 성품이 일신에 배여있어 그의 사람살이에도 속된 잡티가 없다. 스물아홉 짧은 생의 그의 삶은 또한 그의 시와 너무도 닮았다.. 그는 닥쳐오는 어려움을 있는 그대로 받아내면서 순수한 마음과 투명한 감수성으로 한 시대를 갈파하고 량심을 노래했다. 오히려 자기 자신에게 한없이 부끄러움을 느끼고 자신의 소명을 받아들이며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갔다. 깊은 바다속 조개가 진통을 견뎌내며 진주를 품듯이. 천형처럼 짊어지고 평생을 살아온 문학적 열망과 민족애로하여 북간도 오지의 한 문학지망생이 민족 최고의 시인으로 떠올랐으며 그렇게 엮여진 그의 작품은 알알이 진주처럼 값지고 빛나오르는 것이다. 조선족문단에서도 뒤미처 인물전기가 각광받는 풍토가 일고있다. 작가들 저마다 전기문학에 매이고 책들도 적지 않게 나왔다. 하지만 그 작품수, 더우기 수작(秀作)의 미량(微量)으로 우리의 전기문학은 아직도 걸음마타기이며 그 저변이 아직도 척박하다. 이렇게 볼때 “윤동주평전”은 우리의 전기문학장르를 꿈꾸는 작가들에게는 범문이요, 독자들에게는 애장서격이라고 말해도 지나침이 없을것이다. 작가의 설명처럼 “자기 몸을 던져서 사람의 삶이 업보처럼 지니게 마련인 근원적인 부끄럼과 마주 선 존재”인 드높은 격조와 기품을 갖춘 윤동주, 고향이 배출한 자랑스러운 한 시인의 이야기를 그의 탄생 95주년을 맞아 다시금 필사(笔写)로 남기며 밑줄 그어가며 읽는다.   “연변일보” 2012년 11월 12일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윤동주의 6촌 동생 윤형주가 부른 "두개의 작은 별"  
287    외발로 력사의 질곡을 넘다 댓글:  조회:3235  추천:21  2015-03-06
소설가 김혁의 인물만필 시리즈 (1)   김학철:외발로 력사의 질곡을 넘다   일전 “중국조선족 문단의 대부” 김학철의 일대기를 다룬 장편문학전기 “송엽장아래의 자국”을 작가출판사와 연변인민출판사에서 중문으로 펴냈다. 모순문학상 입선후보작을 펴낸 실력있는 한족작가 우뢰에 의해 창작된 전기는 장장 70여만자의 호흡이 긴 편폭에 정의를 위해 무기와 펜을 고누잡고 일평생 싸워 온 김학철의 파란많은 자취를 추적해 냈다. 이는 처음 중문으로 창작된 김학철관련 인물전기로서 중국의 주류문단에 김학철이라는 한 조선족 작가를 다각적이면서도 립체적으로 알리는데 작지않은 역할을 놀것으로 사료된다. 책의 겉장은 중국소수민족문학관 관사 정원에 주조된 김학철의 동상으로 디자인했다. 량쪽 겨드랑이에 송엽장을 짚고 우람하게 뻗쳐 선 척각의 로인, 깨끗이 늙은 강파른 얼굴에 사려 깊고 슬기가 넘치는 한쌍의 눈. 김학철옹의 그 강건한 모습이 다시한번 우리들의 면억(緬憶)을 불러 낸다.   김학철은 1916년 11월 4일 북조선의 함경남도 원산에서 누룩제조업자의 둘째 아들로 태여났다. 본명은 홍성걸(洪性杰.). 7세에 부친을 여의고 홀어머니의 슬하에서 자랐다. 원산에서 제2공립보통학교를, 서울에서 보성고등학교를 다녔다. 재학 시절 왜적에게 폭탄을 던진 윤봉길의 거사와 리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읽고 커다란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1932년 약관 17세에 빼앗긴 조국을 찾겠다는 웅지를 품고 중국으로 들어온다. 상해에서 의렬단에 가입, 반일지하테러활동에 종사했다. 흰 셔츠에 검은 넥타이, 호주머니에 권총 한자루- 전형적인 당시 아나키스트(無政府主義者)들의 전형적인 행색으로 쿨하게 상해탄의 황포강변을 누볐다. 이때로부터 김학철이라는 가명을 사용, 반일활동을 위해 썼던 가명을 마지막까지 자기 이름으로 썼다. 1936년 조선민족혁명당에 가입해 김원봉(金元鳳)의 부하가 된다. 1937년 장개석이 교장으로 있는 중앙육군군관학교 즉 황포군관학교에 입학한다. 제1대대 제4중대에 편입되였으며 교관이던 김두봉, 석정 등의 영향으로 단순한 민족주의자로부터 맑스주의자로 탈바꿈한다. 중일전쟁으로 3년제과정을 1년간 앞당겨 마친 김학철은 1938년 10월 조선의용대 (대장 김원봉)에 가입, 창립대원으로 제1지대에 소속된다. 조선의용대는 중국국민당 정부와의 기나긴 협상을 통해 중국 대륙에서 최초로 합법화된 한국인 무장조직이다. 창립대회 당시 주은래와 국민혁명군사위원회 정치부 제3청 청장 곽말약도 참석했다. 이후 조선의용군은 팔로군과 련합전선을 형성해 혁혁한 전과를 거뒀고 후날 중국 팔로군에 편입됐다. 김학철은 화북항일전장에서 분대장으로 활약상을 보인다. 1939년부터 호남성 북부일대에서 항일무장선전활동을 전개, 그 이듬해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 1940년 가을에는 팔로군에 참가하여 태항산항일근거지에서 조선독립동맹 선전부의 선전간사로 일하였다. 부대의 수요에 따라 신문편집, 연극 극본, 가사집필도 하면서 문학적 끼를 선보였다. 이시기 단막극 “서광”, “승리”, “등대”등을 창작하여 무한, 류양, 태항산 등지에서 공연하였다. 1941년, 여름 김학철은 조선의용군 화북지대 제2분대장으로 참전, 그해 12월 12일 하북성 원씨현 호가장(胡家庄)에서 있은 치렬한 전투에서 대퇴골관통상을 입고 부상당한 몸으로 일본군의 마수에 떨어진다. 5개월간 석가장의 일본총령사관 경찰서 류치장에 갇혀있다가 그후 예심에서 치안유지법위반죄라는 판정을 받고 1942년 5월 일본의 나가사끼형무소에 이송된다. 1943년 4월 29일 나가사끼 지방재판소에서 징역 10년, 미결가산 200일 언도를 받았다. 김학철은 나가사끼형무소에서 그 무시무시한 원폭피해흫 요행 면할수 있었다. 하지만 단지 전향서 쓰기를 거부했기에 총상을 입은 다리를 치료받지 못하다가 수감 3년6개월 만에 왼쪽 다리를 절단하는 수술을 받고 학처럼 외다리로 선다.   1945년 10월 6일 정치범을 무조건 석방할데 관한 맥아더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석방된다. 해방받은 몸으로 서울로 돌아와 조선독립동맹 서울위원회 서울시 위원으로 활동한다. 문학에 대한 열정에 다시 기름을 부어 1945년 12월 “주간건설” 잡지에 소설 “지네”를 발표했으며 그 후 1년간 륙속 “담배국”, “균렬”,등 10여편을 여러 문학지에 발표했다. 왕성한 창작 활동을 하다가1947년 사회주의 리념을 실천코자 38선을 넘어 조선으로 간다.  평양에서 “로동신문”기자, 외금강휴양소 소장, “민족군대”주필등 직을 지내다가 조선전쟁이 일자 중국으로 들어와 저명한 녀류작가 정령이 소장으로 있는 북경 중앙문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지낸다. 이동안 중편소설 “범람”, 단편집 “군공메달”을 중문으로 출판했다. 1952년 12월 조선족자치주 주장 주덕해의 요청으로 연길로 와서 연변문학예술련합회 준비위원회 주임으로 임명 되나 반년만에 사직하고 전업작가로 맹활동했다. 단편집 “새집 드는 날”, 장편소설 “해란강아 말하라!” 소설집 “고민” 중편소설 “번영”을 출간했으며 로신의 “아Q정전”을 번역출판하기도 했다. 그는 로신의 작품을 맨처음 조선문으로 번역한 작가이다. 1957년 중국 전역에서 불어친 반우파투쟁속에서 “반동분자”로 획분되였다. 그는 극단적인 개인숭배로 치닫던 동란의 년대에 이의를 표하며 시류와 불화했다. 드문 반골기질에 자신을 엄격히 규률한 그는 자유와 정의를 위한 길에서 불의와 한치도 타협하지 않았다. 1964년부터 문제작인 장편소설 “20세기의 신화”를 창작하기 시작하여 1965년 5월에 완성한다. 1966년 전대미문의 문화대혁명이 폭발, 그해 12월 반란파들에게 “20세기의 신화” 원고가 발견되면서 필화를 입는다.  10년 유기징역을 언도받고 산과 물에 둘린 추리구(秋梨沟)의 감옥에서 복역한다. 문화대혁명이 결속되자 1977년 12월에 만기석방되였다. 하지만 그 후 3년간 의연히 반혁명전과자 취급을 당하는 신세였다. 1980년 12월 연변주법원에서 “원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로 선고한다”고 선포, 1983년에야 정식으로 루명을 벗었다. “20세기의 신화”는 미발표작인만큼 사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원고의 집필 자체는 범죄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리유에서였다. 1983년 국적문제를 해결보아 중국국적을 가졌으며1989년에는 49년만에 당적을 회복하여 항일로간부의 대우를 받게 되였다. 장장 24년의 정치박해로 상처받은 몸을 추슬리고 김학철은 다시 일어섰다. 이미 65세의 나이였지만 녹쓴 펜을 닦고 잃은 시간을 벌충하듯 창작에 일로매진한다.   1983년 항일회상기 “항일별곡”이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1985년 “김학철단편소설집”이 연변인민출판사에서, 1986년에는 장편소설 “격정시대”가 료녕민족출판사에서, 1987년에는 “김학철작품집”이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련이어 출간되였다. 이밖에 자서전 “최후의 분대장”이 한국의 문학과 지성사에 의해 1995년에 출간되였고 1996년과 2001년에 걸쳐 장편소설 “20세기의 신화”와 산문집 “우렁이속 같은 세상”이 한국의 창작과 비평사에서 출간되였다. 그동안 촌철살인의 수필과 잡문에 심취되여 수백편을 발표.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다권집 “김학철문집” 을 출판하면서 중국조선족문단은 물론 세계 한겨례 문단에서도 한획을 긋는다. 조선족 학계는 “김학철선생의 문학은 우리가 세계문학과 대화할수 있는 하나의 큰 창구인바 그의 작품이 우리 민족의 정신사에 있어서의 하나의 리정표로, 영원한 고전으로 될것”이라고 자호감을 머금었다. 한국의 평론가들은 김학철의 작품은 1990년대 랭전붕괴 이후 그때까지 “좌익금기”에 속박당했던 한국의 문학지형을 흔들고 현대사를 다시 쓰게 만들었다고 높이 평가했다.  한국의 유명 평론가 김윤식은 “김학철은 그 자체가 력사요, 기구한 한•중•일 현대사의 광대한 미발굴 지층 탐사의 한 리정표“라고 정평했다. 또 중국의 왕혜 청화대 교수는 "식민주의와 자본주의에 어떻게 유효하게 저항하고 그것들을 바꿔나갈 것인가" 하는 아시아 근대의 력사적 과제를 풀고 새로운 아시아를 상상하는 데 김학철 문학이 긴요한 역할을 할수 있다”고 말한다.   중국소수민족문학관에 건립된 김학철 동상   2001년 9월 25일 오후 3시 39분, 김학철은 85세를 일기로 연길에서 보무당당하던 걸음을 멈추었다.   타계 20일전부터 자기의 병이 완치될 가망이 없음을 알고 가족의 부담을 덜기 위하여 자진 절식을 단행,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이 깨끗한 모습으로 조용히 죽음을 맞았다. 본인의 소원대로 유체는 화장해 두만강에 뿌려졌고 일부는 우편함에 담아 동해바다로 띄워 보냈다. 우편함에는 “원산 앞바다 행 김학철(홍성걸)의 고향 가족, 친우 보내드림” 이라고 적었다. 유언으로 자신이 평생 지켜온 생활신조를 남겼는데 바로 편안하게 살려거든 불의에 외면을 하라! 그러나 사람답게 살려거든 그에 도전을 하라! 그것이였다.   반일투사이며 민족작가로서 그이는 일평생 곡절로 점철된 인생길을 걸어왔다. 이렇게 파란많은 인생길을 걸은 작가는 고금중외에도 드물다고 해야할것이다. 어려서 민족독립의 청운을 안고 일제와 사투를 벌렸고 그 최전선에서 한쪽 다리를 잃은 뒤에는 문학이라는 또 다른 수단으로 잊혀진 민족사를 묘파하고 복원하는데 평생을 바쳤다. 부상, 탄압, 망명, 옥살이 등 범인들로는 상상하기 어려운 현실로 인해 글쓰기가 쉽지 않았지만 죽는날까지 붓을 놓치않았다. 자신이 경험했던 시대와 너무도 많은 경험을 토대로 하여 간결하면서도 맛깔스러운 문체로 격동적인 시대와 그 도가니속 삶들을 파노라마처럼 펼쳐내였다.  척각(隻脚)의 몸이지만 중국조선족을 대변하는 문단의 거봉으로 우뚝 선 김학철, 등 따습고 배불러 정신이 둔감해져 있는 물욕화에 절은 오늘날, 그이의 올곧고 강인한 작가정신과 실천적이고 치렬한 인고의 삶은 우리 문학에 미래지향적인 동력을 안겨주는 보귀한 재부로 간주되고있다.   “중국민족” 2014년 1월호    ..   SBS스페셜 「나의 할아버지 김학철 조선의용대 최후의 분대장」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86    김학철을 다시 읽다 댓글:  조회:4998  추천:20  2015-03-02
. 칼럼 .   김학철을 다시 읽다   김 혁 1 우리앞에 한 거인이 우람하게 뻗쳐 서 있다. 량쪽 겨드랑이에 목발을 짚은 척각의 로인, 하지만 깨끗이 늙은 강파른 얼굴에 사려 깊고 슬기가 넘치는 한쌍의 눈. 그이가 바로 중국조선족문단의 맨 들머리에 우뚝 각인된 김학철 옹의 모습이다. 어제 저녁(3월1일) 우리는 또 오랜만에 그이의 거룩한 형상과 마주할수 있었다. SBS방송에서 스페셜 “나의 할아버지 김학철, 조선의용대 최후의 분대장”이 방영된 것이다. 스페셜은 선생이 생전에 끔찍이도 아꼈던 손녀 김서정양이 할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 중국의 하북성, 한국의 밀양, 일본의 나가사키를 순례하는 과정을 통해  할아버지가 스스로 삶을 마감하면서까지도 끝까지 지키고자 한 것은 무엇이였는지? 그 답을 찾는 려정을 선생의 많은 영상기록물과 더불어 보여주었다. 평생 펜으로 불의와 싸웠던 “조선의용대 마지막 분대장”, “조선족 문단의 거목” 김학철의  파란많은 삶을 다시 돌이켜 본다. 2   김학철은 1916년 11월 4일 북조선의 함경남도 원산에서 누룩제조업자의 둘째 아들로 태여났다. 본명은 홍성걸(洪性杰.). 7세에 부친을 여의고 홀어머니의 슬하에서 자랐다. 원산에서 제2공립보통학교를, 서울에서 보성고등학교를 다니다 1932년 약관 17세에 빼앗긴 조국을 찾겠다는 웅지를 품고 중국으로 들어왔다. 처음 상해에서 의렬단에 가입. 무정부주의자로 탈바꿈하여 반일지하테로활동 종사했다. 흰 셔츠에 검은 넥타이, 뒤주머니에 권총 한자루- 전형적인 당시 아나키스트들의 행색으로 쿨하게 상해의 황포강변을 누볐다. 1936년 조선민족혁명당에 가입했다. 1937년 중앙육군군관학교 (황포군관학교, 교장 장개석)에 입학하였다. 제1대대 제4중대에 편입되였으며 여기서 맑스주의사상과 접촉하면서 단순한 민족주의자로부터 맑스주의자로 변신하였다. 중일전쟁으로 3년제과정을 1년간 앞당겨 미친 김학철은 1938년 10월 조선의용대 (조선의용군 전신, 대장 김원봉)에 가입, 창립대원으로 제1지대 소속되였다. 창립대회 당시 주은래와 국민혁명군사위원회 정치부 제3청 청장 곽말약도 참석했다. 그해에 김학철은 화북항일전장에서 분대장으로 활약, 1939년 호남성 북부일대에서 항일무장선전활동을 전개했다. 1940년, 김학철은 24살의 젊은 나이에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 1940년 가을에는 태항산항일근거지에서 팔로군에 참가했다. 태항산에서 조선독립동맹 선전부의 선전간사로 일하였다. 부대의 수요에 따라 신문편집, 연극 극본, 가사집필도 하면서 문학적 끼를 선보였다. 이시기 단막극 “서광”, “승리”, “등대”등을 창작하여 무한, 류양, 태항산 등지에서 공연하였다. 1941년, 여름 김학철은 화북 팔로군 지역으로 들어가 조선의용군 화북지대 제2분대장으로 참전, 그해 12월 12일 하북성 원씨현 호가장(胡家庄)전투에서 대퇴골관통상을 입고 일본군에 포로되였다. 약 5개월간 석가장의 일본총령사관 경찰서 류치장에 갇혀있다가 그후 예심에서 치안유지법위반죄라는 판정을 받고 1942년 5월 일본의 나가사끼형무소 이시하야 본소에 이송되였다. 1943년 4월 29일 나가사끼 지방재판소에서 징역 10년, 미결가산 200일 언도를 받았다. 김학철은 나가사끼형무소에서 원폭피해는 요행 면할수 있었으나 감옥에서 치료를 받지 못했다. 단지 전향서를 쓰지 않는다는 리유로 총상당한 왼쪽 다리를 치료받지 못하여1945년 2월 감옥에서 다리절단수술을 받았다. 김학철은 전쟁포로가 아니라 정치범으로 인정되여 나가사끼 지방재판소에서 징역 10년, 미결가산 200일을 언도받았다. 1945년 10월 6일 정치범을 무조건 석방할데 관한 맥아더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석방되였다. 광복, 나가사키 형무소에서 한 다리를 잃고 석방되여   해방받은 몸으로 서울로 돌아와 조선독립동맹 서울위원회 서울시 위원으로 활동했다. 1945년 12월 “주간건설” 잡지에 소설 “지네”를 발표했으며 그 후 1년간 육속 “문학”지에 “담배국”, “신문학”에 “균렬”, “서울문학”에 “어간유정” 등 10편을 발표했다. 1946년 조선으로 건너가 “로동신문”기자, 외금강휴양소 소장, “민족군대”주필등 직을 지내기도 했다. 조선전쟁이 일자 중국으로 들어와 저명한 녀류작가 정령이 소장으로 있는 북경 중앙문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지냈다. 이동안 중편소설 “범람”, 단편집 “군공메달”을 중문으로 출판했다. 1952년 12월 주장 주덕해의 요청으로 연길로 와서 연변문학예술련합회 준비위원회 주임으로 임명 되였으나 반년만에 사직하고 전업작가로 맹활동했다. 1953년 9월 단편집 “새집 드는 날”을 연변교육출판사에서 출간했으며 장편소설 “해란강아 말하라!” 1, 2, 3부와 소설집 “고민” 중편소설 “번영”을 출간했으며 로신의 “아Q정전”을 번역출판하기도 했다. 그는 로신의 작품을 맨처음 조선문으로 번역한 작가이다. 1957년 중국 전역에서 불어친 반우파투쟁속에서 “반동분자”로 획분되였다. 1964년부터 문제작인 장편소설 “20세기의 신화”를 창작하기 시작하여 1965년 5월에 완성했다. 1966년 전대미문의 문화대혁명이 폭발하자 그해 12월 반란파들에게 “20세기의 신화”원고가 발견되면서 필화를 입어 10년 유기징역 으로 판결, 추리구(秋梨沟)감옥에서 복역했다. 문화대혁명이 결속되자 1977년 12월에 만기석방되였다. 하지만 그 후 3년간 의연히 반혁명전과자 취급을 당하는 신세였다. 1980년 12월 연변주법원에서 “원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로 선고한다”고 선포되여 1983년에 정식으로 루명을 벗었다. “20세기의 신화”는 미발표작인만큼 사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원고의 집필 자체는 범죄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리유로 연변주법원에서는 원 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로 선고했다. 무죄를 선고받는 공판정에서는 김학철은 “나는 일찍이 이 북간도땅에 이렇게 긴 땅굴이 있으리라군 꿈에도 생각을 못했었습니다. 이 “반동”이라는 무시무시한 명칭으로 불리는 땅굴은 사람이 한번 들어가기만 하면 강산이 두세번씩 바뀌여서야 겨우 벗어날수 있습니다.”고 감개에 넘쳐 당시의 심정을 밝혔다. 1983년 김학철은 국적문제를 철저히 해결하고 중국국적을 가졌으며 정식으로 공직에서 리직하였다. 1989년 12월에는 49년만에 당적을 회복하였으며 항일로간부의 대우를 받게 되였다. 장장 24년의 정치박해로 상처받은 몸을 추슬리고 김학철은 다시 일어섰다. 이미 65세의 나이였지만 녹쓴 펜을 닦고 만강의 열정으로 창작활동을 재개했다. 1983년 항일회상기 “항일별곡”을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출간했으며, 1985년 “김학철단편소설집”이 연변인민출판사에서 출간되였다. 1986년 3월에는 장편소설 “격정시대”가 료녕민족출판사에서 출간되였으며 1987년 6월에는 “김학철작품집”이 연변인민출판사에서 출간되였다. 1994년에 한국 KBS로부터 “해외동포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이밖에 자서전인 “최후의 분대장”이 한국의 문학과 지성사에 의해 1995년에 출간되였고 1996년과 2001년에 걸쳐 장편소설 “20세기의 신화”와 산문집 “우렁이속 같은 세상” 한국의 창작과 비평사에서 출간되였다. 수백편의 수필과 잡문을 여러 신문, 잡지에 발표.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다권집 “김학철문집” 을 출판하면서 중국조선족문단은 물론 세계 한겨례 문단에서도 한획을 그었다. 학계는 “김학철선생의 문학은 우리가 세계문학과 대화할수 있는 하나의 큰 창구인바 이 책이 우리 민족의 정신사에 있어서의 하나의 리정표로, 영원한 고전으로 될것”이라 내다보았다. 중국소수민족문학관에 건립된 김학철 동상   2001년 9월 25일 오후 3시 39분, 김학철은 85세를 일기로 연길에서 타계했다.   타계 20일전부터 자기의 병이 완치될 가망이 없음을 알고 가족의 부담을 덜기 위하여 자진 절식을 단행,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이 깨끗한 모습으로 조용히 죽음을 기다렸다. 본인의 소원대로 유체는 화장해 두만강에 뿌려졌고 일부는 우편함에 담아 동해바다로 띄워 보냈는데 우편함에는 “원산 앞바다 행 김학철(홍성걸)의 고향 가족, 친우 보내드림” 이라고 적었다.   유언으로 자신이 평생 지켜온 생활신조를 남겼는데 바로   편안하게 살려거든 불의에 외면을 하라! 그러나 사람답게 살려거든 그에 도전을 하라! 그것이였다.   김학철은 반일투사이며 중국조선족을 대변하는 민족작가로서 일평생 곡절많은 인생길을 걸어왔다. 식민지시대의 고난을 눈물겹도록 맛보면서 지낸 비애의 소년시절, 항일전쟁의 피와 불의 세례를 겪은 격정의 청춘시절, 일제침략자의 감옥에서의 인고의 시간, 서울, 평양, 북경, 연변에서의 지역을 넘나든 폭넓은 문필생활… 이렇게 파란많은 인생길을 걸은 작가는 고금중외에 드물다고 해야할것이다. 우리 문단의 지성인들이 정평하다싶이 “세상에 실로 렬화속에서 아홉번 나보고 빙설속에서 아홉번 얼어보고 피못속에서 아홉번 목욕해본” 작가가 있다면 그가 곧 김학철일 것이다.    김학철옹의 서재에서의 필자​   3   잘 아는듯, 하지만 잘 아지 못한 김학철의 삶을 다시금 읽으며 우리의 작은 문단에 세계적인 지성들과 비견(比肩)할만한 인물이 있다는데서 큰 자호감을 머금었다. 전통의 련속과 재발견의 필요성은 지금 흔들림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있는 우리에게 많은것들을 환기시켜 준다. 지금 우리 조선족 공동체는 격변의 물굽이에서 미중유의 파고(波高)를 경험하고있다. 불굴의 저항의식으로 강렬한 비판정신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려던 김학철의 행보는 리뉴얼을 요구하며 고심하는 우리의 상황을 풀어갈수 있는 코드가 될수 있고 우리 사회와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낼수 있는 계시로도 될수 있을것이다. 우리에게 김학철의 올곧은 궤적은 오늘날에도 류통기한이 지나지 않은 새로운 가르침이 아닐수 없다.   -“청우재(聽雨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 com/khk6699 ☜ 나의 김학철 예고  
285    흑백 오스카 댓글:  조회:3227  추천:11  2015-02-26
. 칼럼 .   흑백 아카데미 김 혁 ​ ​1, ​87회 오수카 (아카데미) 시상식이 막을 내렸다. 영화인들의 최고의 축제이건만 어딘가 싱겁다. 그리고 시끄럽다.​ 이번 오스카 시상식은 력대 가장 뻔한 시상식이였다는 조롱을 면치 못했다. 작품상과 감독상, 남녀 주연상과 조연상 등 주요 부문의 수상작과 수상자는 미국 빅데이터 분석 업체와 베팅 사이트 등이 내놓은 전망과도 어쩌면 100% 일치했다.​ 또한 올해 오스카는 아카데미 역사상 “최고로 하얬던 해”인 1998년 이후 17년 만에 다시 백인 일색의 후보를 지명해 논란을 불러왔다. 이미시상식이 열리기 전부터 흑인 차별 논란이 불거졌다. 미국의 인권운동가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일대기와 그의 유명한 연설이 있었던 1963년의 평화대행진을 재현한 전기 영화 '셀마'가 감독상과 연기 부문상 후보에서 제외되자 흑인에 대한 차별이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됐다. ‘셀마’는 지난 해 퍼거슨 사태를 필두로 미국 곳곳에서 있었던 인종차별주의와 관련한 끊임없는 이슈들을 동반해  화제를 모았던 영화였다. 결과 '셀마'는 이번 오스카상에서 겨우 주제가상 하나를 달랑 건졌을뿐이다.​ 이번 오스카 시상식을 진행한 닐 패트릭 해리스는 "오늘 'best and whitest' 작품들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이는 '최고이자 가장 하얀' 작품들이란 뜻이다. 자신들을 향한 논란을 유머스럽게 받아들이고 이번 논란에 대해 오스카에 일침을 가한 발언이였다. 배우 숀펜은 '버드맨'으로 감독상을 수상한 알레한드로 곤잘레스를 향해 "저 사람에게 왜 그린카드를 줬냐"고 농담을 던졌다. 그린카드는 이민자들에게 발급되는 영주권이다. 그리고 알레한드로 곤잘레스는 멕시코 인이였다. 이 발언 역시 논란이 되었다. 그의 발언이 다소 경솔했다는 반응이다. 시상식에서 보통 수상소감이 길어지면 수상 소감을 끝내라는 의미로 음악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날 ‘셀마’로 주제가상을 받은 로니 린이 수상 소감을 전할 때는 음악이 등장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주요 부문 후보에 흑인이 포함되지 않은것에 대한 불만을 어느 정도 잠재우려는 시도로 보인다.​ 영화가 주역이 되는 세계 최고 영화축제이건만 오스카시상식은 올해에도 ‘백인 중심의 잔치’라는 오명을 털어내지 못한채 우리에게 '인종주의'의 논란을 다시 한번 화두로 던져줬다. ​ 2,​ 87회 오스카 시상식은 미국 사회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준다.​ 지난해 8월 10일 미국 중서부 미주리주 퍼거슨시에서 18세 흑인청년 마이클 브라운이 백인 경관의 총을 맞아 숨졌다. 머리와 팔 등에 최소 여섯발을 맞았으며 숨진 뒤에도 4시간 동안 시신이 길거리에 방치되였다. 브라운이 비무장 상태에서 무고하게 사살됐다는 증언이 나왔다. 하지만 지난 11월25일, 브라운을 총으로 쏴 사망케 한 백인 경찰 대런 윌슨에 대해 대배심이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이런 가운데 뉴욕 거리에서 담배를 팔던 흑인 에릭 가너를 체포하는 과정에서 목을 졸라 숨지게 한 백인 경관에 대해서도 뉴욕시 대배심이 12월 3일 불기소 결정을 내렸다. 지난해 9월에는 백인인 남편에게 키스를 하던 다니엘르 왓츠라는 흑인녀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매춘녀로 오인 받은 그녀는 즉각 “이 사람이 나의 남편이다”라고 항변했으나 매춘부가 아니고 남편이 그녀의 고객이 아니라는것을 경찰이 인정할때까지 수갑을 찬 채 붙잡혀 있어야 했다. 체포당하며 그녀는 몸 곳곳에 상처를 입었다. "미국에서 백인 남성에게 키스하는 흑인 녀성은 매춘부라고 봐야 하느냐"며 사건은 또 한 번 인종 차별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아이러니 적인 것은 그녀가 바로 인종차별에 대해 직격탄을 날린 영화 “장고, 분노의 추적자”에서 흑인 노예로 출연했던 녀배우였다. ​영화의 감독 타란티노는 "미국은 과거의 비극적인 사건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노예제도는 미국의 원죄 중 하나다. 아직도 그 죄를 씻지 못했고 여전히 흑인과 백인이 서로를 대하는 데 영향을 끼친다"고 갈파했다. ​3, 퍼거슨 사태 이후, 흑인을 상대로 한 각종 증오 범죄, 스나이퍼들이 사격 연습 때 흑인 범죄자 얼굴을 표적으로 사용한 사실 등이 밝혀지면서 그 어느 때보다도 흑인의 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도 미국은 스크린과 현실에서 “부당한 흑백스토리”를 그냥 연출하고 있다.​ 뜬금없는 련상일지 모르지만 오스카 시상식을 보면서 해외에서 차별 받으며 3D업종에 혹사하는 수십만에 달하는 우리 족속들의 이야기들이 그물그물 떠올랐다. 이는 비단 먼 서구나 영화에서만 자행되는 일이 아니다. 피부색이나 나라를 두고 사람을 차별하는 악습은 우리가 고국이이라는 감동과 민족적 동질감에 대한 기대를 품고 찾아갔던 그 곳에서도 낯익은 소재다. 숀펜이 ‘조크’를 던진 감독상 수상자 알레한드로 곤잘레스의 수상 소감 한 구절이 떠오른다. "지금의 이민자들이, 예전 이민자의 나라를 만든 사람들과 동등하게 살고 존중받길 기도한다".​ -“청우재(聽雨齋)”에서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84    “윤동주 데이” 댓글:  조회:4778  추천:14  2015-02-14
. 칼럼 .    “윤동주 데이”  ■ 김 혁 올해는 정월 대보름과 밸런타인데이가 같은 날로 겹쳤다. 민족의 전통명절과 젊은 이들의 모던한 기념일이 어우러 진것이다. 그런데 이 날은 또 다른 각별한 날이기도 했다. 100여년전 할빈역에서 민족 침탈의 괴수 이토 히로부미를 단죄한 안중근 의사에 대해 일본이 사형선고를 내린 날인것이다. 민족의 독립을 위해서 산화해 간 안중근 영웅. 하지만 젊은이들은 련인에게 줄 꽃다발이나 쵸콜렛 챙기고 저녁에 함께 할 레스토랑의 음식주문에 바빠 민족의 영령에 대한 관심조차 없다. 그러다 한국에서 한 대학교수의 제안에 의해 2월14일을 안중근 의사를 기억하는 날 “안중근 데이(day)”로 정하자는 움직임이 일었다.   민족영웅을 추모하면서 밸런타인데이를 즐기고, 전통명절의 풍속을 이어가니 “일석삼조”의 시너지 효과를 볼수 있다는 참신한 아이디어 였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분위기에서 “애국”, “애족”, “기억”, “존경”, “사랑”등 다양한 의미를 담은 쵸콜렛과 꽃다발을 련인에게 선물하는 밸런타인데이는 왕년보다 더 큰 의미가 있는 날로 안겨 왔다.   해외의 동향을 보면서 따라서 떠오르는 생각이 있었다.우리도 이참에 “윤동주 데이”를 만들어 보면 어떨가하는 바램이였다. 구관조(九官鳥)처럼 곧 남을 따라하기의 흉내짓이 아니다.   윤동주의 고향에서 태여난 필자로서는 그동안 윤동주의 생애를 장편소설화하는 등 그이에 관한 픽션과 논픽션 작품들을 집필하고 또 각 언론사들에 윤동주 추모 관련 행사보도를 빠치지않고 줄곧 대서특필해 왔었다. 그와중에 윤동주에 대한 기념과 추모가 아직도 미온(微溫)적인데 대해 안타까움과 유감을 머금던차 이번 발렌타이데이날의 참신한 아이디어에서 뒤미처 떠오른 생각이였다.  연변이 낳은 민족시인 윤동주에 대한 숭모사업은 고향에서 내내 이어졌음에도 그이의 아시아를 넘나드는 위상에 비해 아직 그 열기가 크지 못하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그나마 큰 영향력을 과시했던 권위간행물의 “윤동주문학상”은 10년간 유지되다 마무리 되고 지금은 몇몇 민간단체의 가상스러운 노력에 의해 우리는 윤동주를 때때로 기억하고 있다. 윤동주의 시집, 론문집, 윤동주의 동시비 역시 그들 민간단체에서 펴내고 건립했다. 정부의 지원으로 근년들어 윤동주 생가가 크게 보수 되는 등 반가운 거동이 일고 있지만 해외의 윤동주 언덕, 윤동주 기념관, 윤동주 시비 조성, 윤동주 축제, 윤동주 관련 책자의 출간, 윤동주 뮤지컬과 연극의 개봉등 내내 이어지는 방흥미애 (方兴未艾)의 열기에 비하면 고향인 연변은 아직도 그 숭모사업이 활약상을 펼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요즘 세월에는 그무슨 기념일들이 그야말로 소털처럼 많다. 재래로 절기가 부여한 기념일, 자신과 부모와 친지, 친구들과 관련된 대소사의 기념일외에도 왕년에는 듣도보지도 못했던 만천하의 기념일들까지도 모조리 챙기고 지어 없는 기념일까지 만들어가면서 누린다. 기억해야 할 날이 많은것을 나쁘다고 할수는 없다. 문제는 사회가 물질화에 빠져들면서 향락에만 젖어드는 기념일들이 란무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나의 의미로 소중히 보듬는 기념일 대신 우리가 정작 지내고 있는것은 향락주의에 젖어 질펀한 매일매일 이어지는 기념일들이다.   때문에 윤동주와 같은 고향을 빛낸 선각자들을 기리는 날이 따로 없음은 부끄러움이요, 응당 이제라도 그 기념일을 챙겨야 한다는것이다. 고향의 터전을 닦고 그를 빛내여 오늘에 이르게 한 이들을 잊지않고 기리는것은 우리들 모두의 책무라고 본다. 이는 우리 삶의 터전인 사회공동체를 지탱하는 핵심가치이자 근본원칙이다. 그 가치를 소중히 할줄 모르고 지어 무감각한 민족은 그로서의 명분과 리유를 찾기 힘들다. 이러한 기념일을 통해 민족을 위해 기꺼이 헌신하하고 산화해 간 그들의 력사적 업적을 제대로 알아야 할것이고 그들에 대한 고마움을 느껴야 할것이다. 그이들의 고귀한 정신과 업적을 기리는 마음을 모아 그 뜻을 잊지 않고 계승발전시켜 우리의 공동체 사회가 목전의 진통을 엎누르고 더 크게 도약하는 계기로 만들어야 할것이다.   날을 받아(탄생일, 서거일 혹은...) 경건한 마음으로 그이의 생가나 묘소를 찾거나 그이의 주옥같은 시 한줄을 읊조리는 행위들을 통해 우리는 자연스럽게 우리 모두가 자호할만한 민족시인의 존재를 알고 민족을 사랑하는 마음을 실천하는 기회가 될것이다. 2월16일 오늘이 바로 윤동주가 일제 감옥에서 생체실험의 의혹을 남긴 채 비명에 간 날이다. 97년전, 북간도 명동촌의 춥디 추운 겨울의 마지막 날(12월 30일)에 태여나 북간도의 첫 근대교육기관인 명동학교, 룡정의 미션계 학교들인 광명과 은진중학을 나와 경성의 연희전문에 진학했고 그후 일본류학길에 올랐다가 일제의 마수에 유린당한 시인은 한줌의 재로 고향에 돌아와 그가 즐겨 거닐었던 동산마루에 묻혔다. 스물아홉에 갔지만 그를 낳은 고향, 그가 학문을 닦았던 경성 지어 그를 숨지게 한 “적국” 일본에서 조차 숭모해 마지않고있는 민족의 “시성” 윤동주이다. 천형(天刑)처럼 짊어지고 평생을 살아온 문학적 열망과 민족애로 북간도 오지의 한 문학지망생이 민족 최고의 시인으로 떠올랐으며 그렇게 엮여진 그의 작품은 알알이 진주처럼 값지고 빛나오르고있다. 그리하여 시인이 “하늘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기”를 읊조렸던 룡정의 하늘은 오늘도 맑고 시인이 묻힌 동산 마루 무덤에는 오늘도 "보람처럼 봄풀이 무성"하다. 닥쳐오는 어려움을 있는 그대로 받아내면서 순수한 마음과 투명한 감수성으로 한 시대를 갈파하고 량심을 노래한 윤동주, 오히려 자기 자신에게 한없이 부끄러움을 느끼고 자신의 소명을 받아들이며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간 윤동주, 그런 학우(學友)같은, 형님같은, 애인같은 윤동주를 우리 어찌 잊을수가 있으랴 우리도 “윤동주 데이”를 만들자! 2014년 2월 16일   "문화시대" 2014년 3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    
283    731 닷컴 댓글:  조회:3722  추천:11  2015-02-09
  . 칼럼 .   731 닷컴 김 혁 1 731이라는 숫자가 악마의 기호처럼 우리들의 마음 속에 섬찟하게 각인 된 건 지난 1980년대의 일이다. 흑룡강성 조선민족출판사에서 “악마의 락원”이라는 책자를 출간, 일본작가 모리무라 세이이치의 신작은 조선족 독자들중에서 그야말로 토네이도 급 반응을 일으켰다. 당시 조선족 독자층에서는 추리물이 상당히 유행되었는데 모든 조선족 간행물에서는 다투어 모리무라 세이이치의 추리소설을 싣곤했다. 그의 대표작 “인간의 증명”을 각색한 영화도 전국각지 영화관에서 상영되었고 영화의 삽곡 “초모자의 노래”가 네 거리의 스피카를 타고 울려퍼졌다. 어찌보면 모리무라 세이이치의 작품이 잡지발행의 보증수표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렇게 한동안 독자들 중에서는 “모리무라 붐”이 일었었다. 또 한 편의 정채로운 추리소설을 기대하고 “악마의 락원”을 펼쳤지만 이번의 작품은 추리물이 아니라 다큐물이었다. 처음에는 좀 실망한듯 했지만 독자들은 인차 책에 빠져들었다. 커다란 공포와 경악 속에 그 책을 접했다.  작품은 하바로프스크 전범 재판에서 드러난 일본군731 부대가 자행한 생체실험이라는 경악한 실상을 다루고있었다.  작품은 일본에서1982년에 련재되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가 중문으로 번역, 1985년경에 조선족독자들에게도 알려 졌으니 당시 락후한 우리 말 출판풍토에서 보면 그야말로 신속히 나온 책이었다. 일본판본의 원제는 “악마의 포식”, 중문으로 번역하면서 “악마의 락원”으로 개칭되여 나왔다.  사실 그 전까지만 해도 일본 731 부대나 일본군의 생체실험에 대해서는 일제에 의해 가장 큰 상처를 입은 아세아 여러나라에서 일반에 까지 알려지지 않은 극비(極秘)의 실상이었다.  이 책의 출간을 계기로731 부대가 저지른 반인륜적인 만행이 세상에 공개되었고 세상은 경악으로 입을 ‘하누라지’가 다 보이게 딱 벌리고 말았다.  ▲ 할빈의 731부대 유적지    2 악명 높은 ‘731부대’의 만행을 폭로하기 위한 인터넷 박물관(www.731yz.com)이 중국에서 개설되었다. 흑룡강성 정부가 하얼빈시에 있는 ‘일본군 731부대 죄증(罪證) 진렬관’에 의뢰해 개설 한 사이트는 할빈에 남아 있는 731부대 사령부 등 유적 현황과 이 부대가 자행한 만행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1천700여 점의 문서자료와 1000여장의 사진으로 소개하고 있다. 중국은 2015년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앞두고 일제가 포로들을 상대로 생체실험을 자행했던 ‘731부대’ 유적을 최고 등급인 ‘AAAAA급’까지 5단계로 격상시킨 뒤에 이어 731부대의 생체실험 만행을 입증하는 증거물을 새해 녀초부터 추가로 육속 공개하고 있다. 대표적인 세균전 부대인 731부대의 정식 명칭은 “관동군 방역급수부”로, 1936년부터 1945년까지 중국 헤이룽장성 할빈 지역에 주둔하며 생체 해부실험과 냉동실험등을 자행했다. 중국 학계는 현재까지 발견된 일본 측 과거 기록물 등을 토대로 731부대의 생체 실험 희생자가 최소 3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당시 20개 이상 성(省), 시(市)에서 161차례에 걸쳐 세균무기 공격을 감행해 237만명을 감염시킨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생체실험 희생자들 중에는 조선인도 적지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길림성 기록보관소는 일제 관동군이 패주하면서 미처 소각하지 못하고 땅 속에 묻은 이들 문서를 분석한 결과 최소한 372명의 중국인, 조선인, 로씨야인 등이 731부대로 “특별이송” 돼 생체실험 등 세균 무기 개발의 도구로 씌였다고 발표했다.  관동군헌병대가 1938년 1월 제정한 “특별이송에 관한 통첩”은 이송 대상자인 범죄자를 크게 간첩(파괴분자)과 사상범(민족해방운동가 및 공산주의운동가) 두 종류로 구분하고 있어 일제가 독립투사 등을 생체 실험도구로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이 중 조선인 4명을 포함한 318명에 관해서는 이름과 별명 공작명 원적 출생지 나이 직업 주소 활동범위 수집정보 학력 체포장소 및 시간, 731부대 이송시기 등이 상세히 밝혀졌다. 조선인 6명중 신원이 나타난 4명은- 이기수(李基洙)ㆍ28ㆍ함북 신흥군 동흥면ㆍ1941년 7월20일 체포)  한성진(韓成鎭. 30ㆍ함북 경성군ㆍ1943년 6월25일 체포)  김성서(金聖瑞. 함북 길주군ㆍ1943년 7월31일 체포)  고창율(高昌律ㆍ42 강원 회양군 난곡면ㆍ1941년 7월25일 체포) 등이다.  이들은 모두 지금의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琿春)에서 체포된 것으로 기록됐다. 이 문건은 731문제 중국전문가들과 김성민(조선족) 731연구소장이 20여년에 걸쳐 중앙과 흑룡강성, 길림성 등의 문서 보관소에서 찾아 냈다. 이 문서는 일본 관동군 헌병사령부 사령관이 서명해 발송한 것으로 표지에는 “특별이송”과 “절밀(絶密)”이라고 적혀 있다.  ▲ 731부대의 죄악상을 실사적으로 그려 센세이숀을 일으켰던 영화 "검은 태양 731"   지난해 731 이라는 숫자가 적힌 자위대 훈련기에 올라타 중국, 한국등 동북 아시안들의 공분을 불러 일으켰던 아베의 나락을 향한 국우행보는 계속 되고 있다.  신세대 정치 주역이라는 아베는 앞장서서 자신들의 침략 력사를 부인하고 각가지 기행과 망언으로 아시아의 상처를 들쑤신다.  731이라는 숫자가 적혀진 훈련기를 타고 웃고있는 아베는 그 수자에 얼마나 많은 아시아인들의 피와 눈물이 배어있는지 모를가? 중국 외교부에서 일침을 가하고 있다싶이 “진상을 감추려고 하다가 도리여 드러 난다, 닦으면 닦을수록 검어질 뿐이다'(欲盖彌彰 越抹越黑)” 아베는 정계에 금방 나온 황구지작(黃口之雀. 입술이 노란 새끼 참새, 풋내기를 이르는 말)이 아니다. 그는 731부대가 중국 및 아시아 여러개 국에 대해 저지른 악행에 대해 분명 알고 있다. 하지만 진상을 덮어 감추려 하면서 인류양심과 국제적 도리와 위배된 잘못된 력사관을 완고하게 견지하고 있다. 아베의 행각은 그야말로 인류의 리성과 량심에 대한 새로운 “생체실험”이다.  생체실험 희생자들의 원혼(寃魂)이 아직도 거치른 만주의 옛 벌판에서 떠돌고 있는데… - “청우재(听雨斋)”에서 -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 com/khk6699 ☜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