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의 病
2015년 04월 13일 21시 36분  조회:4167  추천:0  작성자: 죽림
 
詩の(やまい 시의 병 -   

                               本多 寿(혼다 히사시)
 
 詩を書く人からも、書かない人からも受ける質問がある。
시를 쓰는 사람에게도 쓰지 않는 사람에게도 받는 질문이 있다.
 「なぜ詩を書き始めたのですか?」「どうして詩を書くのですか?」
‘왜 시를 짓기 시작하셨는지요?’  ‘왜 시를 쓰십니까?’
 この質問は、なかなか答えるのが難しい。この質問を受けると私の頭の中では、「どうして詩を書き始めたのだろう?」「どうして詩を書くのだろう?」という自問が始まる。
이 질문은 좀처럼 답하기가 어렵다. 이 질문을 받으면, 내 머리 속에서는 ‘왜 시를 짓기 시작했을까?’ ‘왜 시를 쓰는 걸까?’ 하는 자문이 시작된다.
 しかし、いくら自問自答しても、これが決定的な答えだという答えは見つからない。
그러나 아무리 자문자답을 해도 이렇다 할 결정적인 답은 발견되지 않는다.
 そこで、「なぜか分からないうちに詩の病にかかり、未だに治らないので書き続けるしかないのです。死ななければ治らない病です」と答えることにしている。
그래서, “왠지 모르는 사이에 시병에 걸려 아직까지 낫지 않아서 계속 쓸 수 밖에 없습니다. 죽지 않으면 낫지 않는 병입니다.” 라고 대답을 하기로 했다.
 すると、詩を書かない人は首をかしげて変な顔をするが、詩を書く人は皆一様に納得した顔をする。私と同病なのだ。つまり、詩を書く人は死ななければ詩を書くことをやめない、あきらめの悪い人間なのだ。いや、こう言っては申し訳ない。
그러면, 시를 쓰지 않는 사람은 고개를 갸웃거리며 묘한 표정을 짓지만, 시를 쓰는 사람은 모두 하나같이 납득하는 얼굴을 짓는다. 나와 같은 병인 것이다. 즉 시를 짓는 사람은 죽지 않으면 시 짓기를 관두지 못한다. 포기가 서툰 인간인 것이다. 아니 이렇게 말하면 미안지.
 詩を書く人は、どうやら一生を台無しにしても、詩を書く覚悟を持っているらしい。たった一篇の詩と一回きりの人生を交換してもいいと純粋に思っているらしい。
시를 쓰는 사람은 일생을 망치더라도 시를 쓸 각오 되어 있는 듯하다. 단 한편의 시와 한번뿐인 인생을 바꾸어도 좋다며 순수하게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もちろん、私もそう思っている。そして思う。詩の病は、生の病なのだと。
물론 나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생각한다. 시병은 삶의 병이라고.
 人間、死ぬためには生きなければならない。生きないで死ぬということはありえない。人間、オギャーと生まれた以上、死ぬまで生きなければ死ねない。
인간은 죽기 위해서는 살아야 한다. 살지 않고 죽을 수는 없다. 인간은 응애~하고 태어난 이상, 죽을 때까지 살지 않으면 죽을 수 없다.
 こうして考えてくると、生きるということも病なのだ。母体に生命が宿る瞬間、死もまた宿るのだ。遺伝子の構造が二重螺旋になっているように、生と死も二重螺旋になっているのだ。
이렇게 생각해보면 산다는 것도 병인 거다. 어머니 몸 속에 생명이 머무르는 순간, 죽음도 또한 머무르는 거다. 유전자 구조가 이중 나선이 되어 있듯이 생도 사도 이중나선이 되어 있는 거다.
 したがって、生と死は一対であって別々に存在することはないのである。
따라서 생과 사는 하나이지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そして、詩を書くということは、この生と死に深く関わることであることから、やはり
死ななければ治らない病なのである。
그리고 시를 짓는다는 것은 이 생과 사에 깊이 관여하는 것이므로, 역시 죽지 않으면 고쳐지지 않는 병인 거다.
 それにしても、詩の病の病原菌はいったい、いつ、どこから、どうして私に侵入したの
だろうか。
그렇다고 해도, 시병의 병원균은 도대체 언제, 어디서, 왜 내게 침입했단 말인가.
 それを、どんなに説明しても完全な感染経路を解明できるわけではないが、まあ、心あたりがないわけでもない。
그걸 어떻게 설명해도 완전한 감염경로를 설명할 수는 없지만, 마음 가는 데가 없는 건 아니다.
 というのは、私の長兄は詩人だったからである。末っ子の私と十五歳違いであった。
이유는 내 큰 형이 시인이기 때문이다. 막내인 나와는 15살 차이가 난다.
 高校生になった十五歳の春、父が、家畜用の藁を保管する農業倉庫の二階の片隅に勉強部屋を作ってくれた。机を置き、布団を敷けるだけのスペースだった。そして、その部屋は長兄の部屋と障子一枚で仕切られただけのものだった。
고등학생이던 15살 봄, 아버지가 가축용 짚을 보관하는 농업창고의 이층 한 켠에 공부방을 만들어 주었다. 책상을 놓고 이불을 덮을 정도의 좁은 공간이었다. 그리고 그 방은 큰 형의 방과 장지문 한 장으로 구분만 되어진 것이었다.
 しかし、消防士だった長兄は二十四時間勤務で一日置きの出勤だったから、私は一日置きに一人になれた。一人になると、隣の部屋が気になる。覗いてみると、本棚には私に見たことも聞いたこともない本が並んでいた。
그러나 소방수였던 큰 형은 24시간 근무로 하루 걸러 출근을 했기 때문에, 나는 하루 걸러 혼자가 되었다. 혼자가 되니 옆 방이 궁금해 졌다. 내다 보니 책장에는 내가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책이 진열되어 있었다,.
 それまで漫画か教科書ぐらいしか読んだことのない私だったが、長兄の留守に本棚を覗くというスリルも手伝って本を読み始めた。面白いというより一人だけの秘密が出来たというのが正しいだろう。そんな盗み読みの中で、ある日、兄の書いた詩に出会った。
그때까지 만화나 교과서 정도밖에 읽은 적이 없었는데 큰 형의 부재에 책장을 엿보는 스릴도 한몫 거들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재미있다 라기보다는 혼자만의 비밀이 생겼다는 편이 나을지도. 그런 훔쳐 읽던 중인 어느 날, 형이 쓴 시를 만났다.
 これは、他のどの本の盗み読みよりもスリルがあった。兄弟でありながら、知らない兄がいた。兄が詩人であったということに対する狼狽。そして、兄の心の秘密を覗くやましさ。
이것은 다른 어떤 책을 훔쳐 읽는 것보다도 스릴이 있었다. 내 형이면서도 알지 못하던 형이 있었다. 형이 시인이었다는 사실에 대한 당황스러움. 그리고 형의 마음을 엿보는 꺼림칙함.
 詩人といえば、学校の教科書に出てくる有名な詩人しか知らない私にとって、詩人が身近に存在することの不思議。私は、兄の詩だけでなく、本棚にあるリルケやランボーなど外国の詩人の作品をはじめ、今まで知らなかった日本の現代詩人たちの作品を読みあさった。面白かった。ただ単に兄の本棚を除くスリルよりも、詩を読むスリルのほうが数倍面白かった。そのうち、わたしの中に不遜な憧れが生まれた。
시인이라면, 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유명한 시인밖에 모르던 나에게 있어서, 시인이 바로 가까이 존재한다는 사실의 묘함. 나는 형의 시뿐만 아니라 책장에 있는 릴케나 랭보 등의 외국 시인의 작품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몰랐던 일본의 현대 시인들의 작품을 읽어 들였다.
 詩人になりたい、という憧れだ。同じ父母から生まれた兄弟なのだ。兄に詩が書けて私に書けないはずがない、と思いはじめたとき、私に詩の病原菌が侵入したのだろう。
시인이 되고 싶은 동경.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다. 형이 쓸 수 있다면 나도 못 쓸 리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나에게 시의 병원균이 침입한 것일 게다.
 しかし、憧れだけで詩が書けるわけではない。でも、私は密かに詩を書き始めた。そして、紆余曲折はあるが現在も書き続けている。
그러나 동경만으로 시를 쓸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나는 남몰래 시를 쓰기 시작했고 여러 우여곡절은 있었으나 현재도 계속해서 시를 쓰고 있다.
 ただ、思い起こせば二十一歳のときに原因不明の病気で下半身不随になったときの経験と、そのときの聖書の読書体験が、私の詩作を決定づけたと思う。
돌이켜보면 21살 때, 원인 모를 병으로 하반신불수가 되었을 때의 경험과 그 당시의 성서읽기 체험이 나의 시작(詩作)을 결정지었다고 생각한다.
 私は二十六歳を過ぎてから詩の雑誌に投稿を始めた。詩を書くことで生の意味を探り、詩を書くことで自分自身の体験や経験の内にある悲しみや痛み、怒りや喜びと向き合うことを学んだ。つまり、生を学び、生を問うことの意味深さに取り憑かれたのである。
나는 26살을 넘기고서부터 시의 잡지에 투고를 시작했다. 시를 지어서 생의 의미를 찾고, 시를 지어서 자기자신의 체험이나 경험 속에 있는 슬픔과 고통, 분노나 기쁨과 마주하는 법을 배웠다. 즉 삶을 배우고 삶을 묻는 의미의 깊이에 심취해 있었던 것이다.
 だから、本当に詩の病にかかったのは二十六歳を過ぎてからだろう。そして、詩を書けば書くほど、生と死が密接不可分のものであることを思い知ることになった。
때문에 정말 시병에 걸린 것은 26살을 지나서부터일 게다. 그리고 시를 쓰면 쓸수록 생과 사가 밀접불가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かくして詩の病も、生の病も、結局は死の病なのだ。死ななければ治らないのだ。
결국 시병도 삶의 병도 결국은 죽음의 병인 거다. 죽지 않으면 낫지 않는 거다.  
生きている限りは終わらない何か、私自身の経験や予測を超える何ものかによって、生も詩も促しを受け続けているらしい。この私の存在の外からくる促しに、ついに自分自身を委ねていくしかないと思っている。
살아 있는 한, 끝나지 않는 무언가 내자신의 경험이나 예측을 넘는 뭔가에 의해서, 생도 시도 계속 재촉을 하고 있는 듯하다. 나의 존재의 외부에서 오는 재촉에 결국 자기자신을 맡길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한다.
こう書いてくると、詩を書くということを深刻に考えていると思われるかも知れないが実は最近、詩の病と仲良くして、詩の病を楽しもうと思いはじめている。
이렇게 쓰고 나면, 시를 쓴다는 것을 심각하게 생각되어질 지도 모르나, 사실은 최근 시병과 사이가 좋아져, 시병을 즐기려 하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03 <어머니> 시모음 2015-06-17 0 5638
602 <냉이> 시모음 2015-06-17 0 4752
601 <아버지> 시모음 2015-06-17 0 5130
600 칭키스칸 되다 2015-06-17 0 4237
599 다시 이육사를 읽다.... 2015-06-17 0 5064
598 애송시 6 2015-06-16 0 6369
597 애송시 5 2015-06-16 0 5863
596 애송시 4 2015-06-16 0 5011
595 애송시 3 2015-06-16 0 5316
594 애송시 2 2015-06-16 0 6171
593 애송시 1 2015-06-16 0 10572
592 꽃, 상징사전 2015-06-16 0 4828
591 시와 방언 2015-06-15 1 4842
590 "ㄱ" 시모음 2015-06-15 0 7218
589 "ㄴ" 시모음 2015-06-15 0 6443
588 "ㄷ" 시모음 2015-06-15 0 6349
587 "ㄹ" 시모음 2015-06-15 0 4380
586 "ㅁ" 시모음 2015-06-15 0 5781
585 "ㅂ" 시모음 2015-06-15 0 7767
584 "ㅅ" 시모음 2015-06-15 0 9072
583 "ㅇ" 시모음 2015-06-15 0 10273
582 "ㅈ" 시모음 2015-06-15 0 6561
581 "ㅎ" 시모음 2015-06-15 0 5913
580 "ㅌ" 시모음 2015-06-15 0 4050
579 "ㅊ" 시모음 2015-06-15 0 5521
578 "ㅋ" 시모음 2015-06-15 0 4692
577 김용택 시 2015-06-15 0 4598
576 짧은 시 모음 2015-06-15 1 18884
575 오늘도 시공부하기 2015-06-15 0 4958
574 시공부하기 2015-06-15 0 5585
573 시제목이 긴 인상적인 시, 그리고 그 외 시 2015-06-15 0 4450
572 "ㅍ" 시모음, 그 외 시... 2015-06-15 0 5454
571 <성묘> 시모음 2015-06-14 0 3781
570 시조쓰기 외우기 추고하기 2015-06-14 0 4377
569 墨梅의 香氣 2015-06-12 0 4499
568 1월 ~ 12월 詩 2015-06-12 0 4340
567 현대시조의 길 2015-06-12 0 4181
566 시적 기법 2015-06-12 0 4258
565 민중시에 대하여 2015-06-12 0 4015
564 시의 현실 참여 2015-06-12 0 3978
‹처음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