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년 10월 21일 18시 31분  조회:4058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인 이상(李箱)의 작시(作詩)와 그 난해(難解)

 

-작품, “이상(異常)한 가역반응” 연작시 이상(異常)한 가역반응(可逆反應)’부터 읽기가 어렵다그것은 그가 각별(恪別)하게 연작시(連作詩)를 고집(固執)하였으며 거기서 하나의 주제(主題)를 정벌(征伐=,+,)”하고 굴착(堀鑿=,+,)”하기 때문이다.

 

 

 

그의 시작(詩作)은 한 편(한 편 읊조리려 들면 온:(穩全)히 읽히지 아니 한다.

다시 말:하면 그의 작시(作詩)를 모두 다 읊조리고그가 어떤 사상(思想)과 철학(哲學)을 갖추고 어떤 이야기(story)를 시어화(詩語化)하여 본()줄기로 삼았는지를 파악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이상(異常)한 가역반응” 연작시가 인도(印度=India)의 (사상(思想)’, 즉 힌두 철학(Hinduism)을 바탕으로 지은 것이라는 점()을 찍어 짚고 읽어야 한다.

 

 

이상(異常)한 가역반응’ 첫머리 시구(詩句), “임의(任意)의 반경(半徑)의 원()”, 곧 “O’이 인도에서 발견한 숫자로서, ‘(=우리말로 영/=O)’ 사상의 원천(源泉)인 것이다.

 

 

그 다음으로그의 시작(詩作)이 어렵게 읽히는 까닭이 그의 자유 자재(自由自在)하면서 기발(奇拔)한 시어화에 있다:하자면 이상(異常=다를,+,=늘 다르다)”, “항상성(恒常性)은 없:라는 ()사상(思想)’을 이상(異常)”이란 시어()로써 시어화(詩語化)한 것이라든지, “정벌(征伐)”이 치고 또 치다는 뜻으로 시어화한 것이라든지, “굴착(堀鑿)”이 파고 또 판다는 뜻으로 시어화한 것이라든지, ‘이상한 가역반응의 첫-시구, “(과거분사의 상장(相場)”에서 상장(相場=서로,+곳 또는 장소,)”을 서로의 장소’ 또는 서로의 곳으로 읽어야 한다든지, ‘() 8씨의 출발에서 정밀(靜謐=고요할,+고요할,)”을 고요하고 또 고요함으로 읽어야 한다든지:.

 

 

 

이렇듯이 그가 그의 작품, “이상한 가역반응” “조감도(鳥瞰圖)” “3차각설계도” “건축무한육면각체를 일본어로 작시하였지만한자(漢字)로 된 시어(詩語)는 우리말우리식(:조어법으로 되풀이하는 것으로 읽어야 하는 바그런즉 일본인들은 이것을 알아먹지 못 하였을 것이다.

 

 

그가 이렇듯 일본어로 작시한 것은, 1929년 3월 경성고공’(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신)을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 기사로 근무하면서 조선건축회지 조선과 건축의 표지도안 현상모집에 1등과 3등으로 당선되면서 그 인연(因緣)을 맺었고그 무렵 그의 시적 공간(詩的空間)이 비:좁았기에, ‘조선과 건축에 발표하는 수()밖에 등단(登壇=데뷔=d’ebut)할 데가 없:었기 때문이었을 터.

 

 

일제 군국주의 식민 정치 시절즉 형극(荊棘)의 시대(時代)에서:(茄酷)한 검:(檢閱)을 거쳐야만 했으며몸도 폐:결핵 질환으로 망가지고마음도 그의 시적 정서(詩的情緖)“에서 잘 그:려져 있듯이 고통스럽고 괴로운 가운데-:실주의(surrealism) 모더니즘(modernism)의 시작(詩作)을 선구자(先驅者)로서 어렵사리 꽃 피웠다는 점()그의 작시(作詩)를 읽는 데 어려움을 더한다.

 

 

건축무한육면각체” 연작시 二十二(이십이)’와 출판법에 그 당시 검:열 제도의 가:혹성이잘 그:려져 있다:를 들자면, “전후좌우를 제()하는 유일한 흔적(痕迹)에 있어서 익단불서(翼段不逝목대불도(目大不覩반왜소형(胖矮小形)의 신()의 안전(眼前)에서 내가 낙상(落傷)한 고사(故事)가 있다, ‘출판법’ 1에서 나는 설백(雪白)으로 폭로된 골편을 주워 모으기 시작하였다. ‘근육은 이따가라도 부착할 것이니라’ 박락(剝落)된 고혈(膏血)에 대하여 나는 단념하지 아니하면 아니 된다.” :.

 

<참고여기에서 고사(故事)”라는 시어는 :(事故)’로 읽을 수 있음.>

 

 

그의 작시(作詩)에 있어서 또 다른 난해(難解)함이기하학(幾何學)의 점()과 선()과 그리고 원(,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시어(詩語)를 써먹는다는 점()이다첫 시(), ‘이상한 가역반응에서 ()’이 (사상(思想)’과 상장(相場=서로의 장소또는 곳)’겹치기 기법(overlapping technique)으로써 직선(直線)’으로 결부(結付)”되는 점(), 이를테면 직선은 원을 살해하였는가” 등의 언어가 그 형이상학적 시어화의 예:()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대수학(代數學숫자로써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시어(詩語)를 구사(驅使)한다이를터이면역삼각의 유희에서 “1 2 3 3의 공배수의 정벌(征伐)로 향하였다.”

()에 관한 각서. 1~3’과 선에 관한 각서. 6’에서 숫자 방위학 4”와 숫자를 대수적인 것으로 하는 것에서 숫자를 숫자적인 것으로 하는 것에서 숫자를 숫자적인 것으로 하는 것에(1234567890)의 질환 구명(究明)과 시적인 정서의 기각처(棄却處)” :.

 

 

이상(李箱시인의 시작(詩作)을 읽는데 또 다른 어려움은:(例言)을 함으로써 다음 작품에 대:하여 예:(豫言)을 한다는 것이다.

 

:()를 들면첫 시, ‘이상한 가역반응에서 원내(圓內)의 일점(一點)과 원외의 일점을 결부(結付)한 직선(直線)”형이상학적 시어(詩語)인 (=O)’을 삼심원(三心圓)”으로 한다는 점(). 그리고 이상한 가역반응의 끝마무리 ()”들이 삼차각설계도” 연작시 ()에 관한 각서.1’에서 맨 위 가로-(), “1234567890”과 세:-, “1234567890”으로 각각 10개의 줄로, 100개의 점()들이 일정(一定)한 간격(間隔)을 두고 공평(公平)하게 자리매김하는 정:사각형 도형(圖形)의 탄:(誕生)을 예:(例言)한다는 점(:.

 

 

이 ()에 관한 각서. 1’의 정:사각형 도형이, “입체(立體)에의 절망(絶望)에 의한 탄생

그리고 운동(運動)에의 절망에 의한 탄생(誕生)”인데이것을 기본 도형으로 하여 건축무한육면각체” 연시 진단 0:1’과 오감도” 연작시 시 제4의 진단 0.1”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그 ()’들은, ‘1’의 공배:(公倍數), 곧 ” “의 시작(詩作)” “의 시적 정서(詩的情緖)”일 수도 있고, ‘2’의 공배:즉 의 중간층의 그것일 수도 있으며, ‘3’의 공배:곧 의 맨 바깥쪽 ()’ :(內外)의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삼심원 구도(構圖)’가 첫 시, ‘이상한 가역반응에서처럼 한 편()의 시에서 그:려질 수도 있고다른 한 편의 시()를 통하여 그:려지기도 한다.

 

 

삼심원(三心圓구도가 뚜렷하게 그:려져 있는 것이 이상(異常)한 가역반응의 수염(鬚髥)’과 공복(空腹)’이다. ‘수염(鬚髥)’에서 삼심원이라는 시어(詩語)가 나오며, ‘공복(空腹)’에서 나의 내면(內面)과 외면(外面)과 이 건()의 계통(系統)인 모든 중간(中間)들은 지독히 춥다.”고 한 점().

 

형이상학적 시어들은 형이하학적(形而下學的시어(詩語)들과 함께 더불어 쓰인다이를테면

이상한 가역반응에서 변비증(便秘症)”이라는 시어는 형이하학적 증세(症勢)인 것이다기하학적 시어를 빼:낸다면 거의 다 형이하학적 시어들인 셈이다.

 

형이하학적 시어(詩語)들을 망라(網羅)하여 작시(作詩)한 것이 조감도(鳥瞰圖” 연시 ‘LE URINE’이다.

 

 

이러한 시어화에 곁들여 시적 정서(詩的情緖)”를 현:(顯現)한다는 점()을 간과(看過)하면 그의 시작(詩作읽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첫 시, ‘이상한 가역반응에서 발달하지도 아니하고 발전하지도 아니하고 이것은 분노(憤怒=anger)이다.”라는 정서(情緖=emotion)’로 그의 시적 정서가 출발한다는 점().

 

그의 작시(作詩)의 난해성(難解性)을 돌파(突破)하려면그 시어(詩語), 또는 시어화(詩語化)가 :(變身)’한다는 점()을 알아채:야 한다.

 

()에서 삼각형 또는 역삼각형으로 :하기도 하고, <참고; “이상한 가역반응“ 연시 파편의 경치와 역삼각의 유희’ 그리고 조감도” 연작시 신경질적으로 비만한 삼각형’ 그리고 삼차각설계도“ 연시선에 관한 각서. 7’>,

 

점에서 또는 삼각형에서 사각형으로 :하기도 한다. <참고; ‘()에 관한 각서. 7’에서 ㅁ 나의 이름.” “건축무한육면각체” 연시 ‘AU MAGASIN DE NOUVEAUTES’에서 사각형의 내부의 사각형의 내부의 사각형의 내부의 사각형의 내부의 사각형.” >

평면 기하학에서 입체 기하학으로 :하기도 한다. ‘이상한 가역반응으로부터 ‘BOITEUX, BOITEUSE’의 물리적으로 아팠었다.”까지가 평면 기하학이다.

 

 

대수(代數)로부터의 숫자도 :한다이를테면, ‘역삼각의 유희에 나오는 “1 2 3 3의 공배수의 정벌(征伐)로 향하였다.”에서 “3의 공배수가 ‘3각 구도(三脚構圖)’를 이름인데,

선에 관한 각서. 2’에서 “1+3 3+1”으로 :하는 바이것은 ‘4각 구도(四角構圖)’로 바뀐다는 것이다. “건축무한육면각체” 연작시 출판법에서 이러한 ‘4각 구도를 또렷하게 읽을 수 있다물론“(1234567890의 질환 구명(究明)”도 선에 관한 각서. 1’의 기본 도형에서 진단 0:1’그리고 시 제4의 진단 0.1”로 :한다.

 

 

출판법’ ‘I()’에서 허위 고발이라는 죄목으로 나에게 사형을 언도하였다라고 한 것과

‘IV()’에서:사각형이 위로부터 아래로 눌려서 옆으로 길쭉하게 된직사각형 안에 암살(暗殺)”이라고 쓴 시어(詩語)는 압살(壓殺)’로 읽을 수 있다.

 

첫 시(), ‘이상(異常)한 가역반응에 현:(顯現)된 (사상의 힌두 철학(Hinduism),

오감도” 연작시에 이르러 삶과 죽음곧 탄:생과 사:그리고 창:조와 파:괴의 양:면성(兩面性)을 강:조하는 힌두교 사상(Hinduism)으로 바뀐다.

 

 

<참고; ‘(사상에 빠지면 부:정문(否定文)을 자주 또 많이 쓴다. ‘아니’ ‘’ ‘아니다’ ‘아니하다’ ‘못하다’ 등의 시어가 작가의 작시(作詩)에 자주 등장한다. >

 

시 제11팔이 4개 가진 힌두교 켈리 모신(母神)의 초-:실주의적 그:림을 연상(聯想)할 수 있어야만 읽히는 시()인데그 모신(母神)이 왼쪽 손에 그릇 또는 컵과 해골을 들고 있는 그:림과, “의 먹고살:아가는 것’ 곧 과 죽음’ 곧 사:(死滅)을 초-:실주의 기법으로 겹쳐 작시(作詩)한 것이다이 시에서 는 해골(骸骨)” 곧 죽음을 깨부수고 사기 컵” 곧 을 사수(死守)한다는 것이다.

 

 

시 제15에서, “와 거울 속의 나를 대:(對立)시켜, “는 거울 속의 내 왼편 가슴을 겨누어 권총을 발사하였다는데이것은 의 :괴성(破壞性)’과 작시(作詩)하는 의 :조성(創造性), :(兩面)을 초-:실주의 기법으로 겹쳐 그:린 것이다.

 

육친(肉親)의 장()”에서도, “나는 24어머니는 바로 이 나잇살에 나를 낳은 것이다.”라고 탄:(誕生), 즉 의 :(創造)’를 그:리고, “동생 다음으로 잉태하자 6개월로서 유산한 전말로써 :(死滅)’ 즉 :(破壞)’라는 힌두 철학(Hinduism)을 언급한다.

지비(紙碑)”와 지비-어디갔는지모르는아내-” 이야기(story)도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도 있기 마련이다라는 양:면성을 그:린 것이다.

 

 

무어니 무어니 해도 이상(李箱시인의 ()에 관한 각서. 6’에 나오는, “1234567890의 질환 구명(究明)과 시적인 정서(詩的情緖)”의 :에 주목(注目)하여야 한다이것은 그의 작시(作詩전편(全篇)에 걸쳐 변:(變動)하기 때문이다.

 

그의 첫 시, ‘이상한 가역반응, “땀에 젖은 잔등이라는 표현으로 시:(始作)되는 그 질환의 땀((:(症狀)그 질환에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 하여 발달하지도 아니하고 발전하지도 아니하고 이것은 분노이다라면서 :(忿怒)”의 시적 정서와 더불어 출발한다.

파편의 경치에서 나는 하는 수 없이 울었다” “나는 괴롭다라는 시적 정서를 보인다.

 

그의 시적 정서는 의 개:(個人분위기(mood) 뿐만 아니라날씨 또는 자연과 호흡하는 분위기(mood)도 더불어 표현한다이를테면 이상한 가역반응에서 설경(雪景)이었다라든지, “지금 떨어지고 있는 것이 눈()이라고 한다면” :.

 

 

건축무한육면각체에서는 바깥은 우중(雨中)”, 곧 비()가 내리는 분위기로 바뀌고,

시 제14에 이르면 싸늘한 손” “싸늘한 손자국” 등 싸늘한 분위기(雰圍氣)로 바뀐다.

역단(易斷)” 연작시 화로에서는 극한(極寒)의 분위기(雰圍氣=mood)로 바뀐다.

 

그의 질환 구명(究明), “건축무한육면각체” 연작시(連作詩) ‘진단 0:1’에서 점()으로 그:려진 사선(斜線)을 사:(死線)으로 하여 생()과 사()의 경계선(境界線)을 넘:나들고 있는 지경(地境)에 이르러, ‘진단 0:1’을 내리는 책임 의사가 되었음을 고백하게 된다:하자면 의사(醫師)는 없고 환자만 있다는 시니컬한 마음가짐(cynical attitude)을 현:(顯現)한 것이다이러한 시니시즘(cynicism=견유주위), “오감도” 연작시 시 제4에서 진단 0.1”을 내리는 책임 의사라고 하면서여전하게 시니컬하지만 십분(十分나아졌다고 한다.

 

시 제7에 이르면, “거대한 곤비(困憊가운데의 1년 4월의 공동(空洞)”이라며 구원적거(久遠謫居)의 지()” 즉 오래고 먼 유배의 땅의 생활, ‘공동(空洞=cavity)의 소:(所見)을 보이는 예:(豫後)의 폐:결핵을 겹쳐 그:리게 된다.

 

역단(易斷)” 연작시 화로에 이르러 기침이 심해지고 등에 빨래 방망이가 뚜들기는 듯한 통증을 초-:실주의적으로 그:리며, ‘아츰(아침)’에서도 폐벽에 그을음과 밤새도록 나는 몸살을 앓는다고 한다. ‘행로에서는 기침을 한다” ‘기침은 사념(思念위에 그냥 주저앉아서 떠든다고 하고, ”가구(街衢)의 추위-1933217일의실내의건()“에 이르러드디어 폐병쟁이라는 시어를 쓰게 된다.

 

이렇듯젊은 이상(李箱)의 슬픔과 고뇌(苦惱)와 고통(苦痛)은 폐:결핵 질환으로 인()한 건:(健康)의 상실(喪失=loss)에서 기인(起因)하는 것이다.

 

 

그러한 가운데 그는 배고픈 얼굴을” 하고, <참고; “조감도” 연작시 얼굴’>

각운:(角運動)에 머물러 있지 아니하고, <참고; (김해경 작) “조감도” 연작시 운동(運動)’ >

천체(天體)를 잡아 찢는다면 소리쯤은 나겠지” 하면서,

<참고; “이상한 가역반응” 연작시 ‘BOITEUX.BOITEUSE’ >

무법 천지(無法天地)’의 일제 군국주의 식민 체제를 고발(告發)한다.

<참고; “건축무한육면각체‘ 연작시 출판법‘ >

 

‘BOITEUX.BOITEUSE’에서 중상을 입었다 할지라도 ...”의 시구(詩句), ‘출판법에서 나는 불안을 절망하였다의 시구가 두려움 또는 불안의 정서(情緖=emotion)를 표현한 것이지만

두 시()에서 그는 나는 홍수와 같이 소란할 것인가라고 하면서 그 당시 무법 천지를 고발한 것으로 보아, ‘적극적이고 진취적이며 공격적인 마음가짐(aggressive attitude)’의 정서(情緖=Emotion)도 아울러 보인다.

 

 

또한 일제 군국주의자들의 싸움” 곧 전:쟁놀이를 구경하는 구경-곧 방:관자(傍觀者)로 머물지 아니하고, <참고; “오감도” 연작시 시 제3’ >

오감도” 연작시 시 제1에서 읽을 수 있듯이일제 군국주의 식민 정치의 막바지 막다른

공포(恐怖정치를 고발하였던 것이다.

시 제3에서, “싸움을 :(戰爭)’으로 읽어야 하고, “싸움하지 아니하는 사람이 싸움하는 구경을 하든지에서 구경”-꾼은 :관자로 읽어야 그 의:(意味)를 곱씹을 수 있다.

 

시 제1에서, “13인의 아해(兒孩)는 무서운 아해와 무서워하는 아해와 그렇게 뿐이 모였소.”라는 시구(詩句)에 나오는 무서운과 무서워하는을 :(恐怖=무서울,+무서워할,)’라고 한자(漢字)로 바꾸어 읽어야 그 의:미를 곱씹을 수 있는 것이다.

 

 

“13인의 아해는 “1931-작품 제1의 10()에 나오는 나의 방의 시계 별안간 13을 치다.” “12+1=13 이튿날(즉 그때)부터 나의 시계의 침은 3개였다에서 따온 것으로 ‘13(시대(時代)’로 읽고, ‘13()의 아해로 읽어야 제격이지 싶다. “13인의 아해가 도로를 질주하오.(길은 막다른 골목이 적당하오)” 이 시구(詩句)일제 군국주의 식민 체제의 막바지 막다른 :포 정치에 내몰려원초적 본능(原初的本能=primitive id)으로써 :(恐怖)라는 시적 정서(poetic emotion)’를 느낀다는 점()을 이름인 것이다.

 

 

무어니 무어니 해도 그의 시작(詩作)이 난해(難解)하게 읽히는 까닭은그가 초-:실주의 회:(繪畵기법(技法)을 그의 작시(作詩)에 도:(導入)하여 초-:실주의 작시(作詩)를 도모(圖謀)하였기 때문이다그는 현:실주의(現實主義), 곧 사:실주의(寫實主義기법(技法)으로 작시하기도 하였지만, ‘있어서는 아니 되는 현:’ ‘:도 아니 되는 현:’ 또는 극복해야 되는 현:’ 등의 그 당시 시대상(時代相)에 관하여 초-:실주의적으로 작시하였던 것이다.

 

:를 들면 二十二(22)’와 시 제5에 나오는()으로 이루어진 형이상학적 도형이 초-:실주의적으로 그:려진 도형이 그것이다이것은 전후좌우(前後左右)를 제()하는 유일한 흔적인데그 당시 테두리를 짓고 시어나 시구(詩句)를 삭제(削除)’하였던 돼:지 꼬리 모양의 부호(符號)인 바그것을 직선으로 펴서, “반왜소형(半矮小形)”의 검:열관의 눈()이라고 형상화 한 것으로 보인다그 자()가 마치 신()인 양(), 원고(原稿)의 앞뒤 양:옆을 마구 삭제하여 내가 낙상하니”, ‘:장 육부(五臟六腑)가 침수된(양돈축사처럼더럽게 멘:는 뜻으로 읽힌다. <참고:지 키우는 양돈(養豚축사(畜舍에서 돼:지 꼬리를 잘라 버리는 관행(慣行). >

 

시 제5에서얼마 후(某後:(左右)로만 삭제될 정도로 시작(詩作)의 끝머리를 튼튼하게 했으나 여전히 내가 보는 앞에서” 삭제(削除)를 당하여 낙상(落傷)한 사고(事故)“는 계속되었다는 것이다.

 

 

시 제8호 해부에서 자연과학 곧 건축학을 전공한 작가로서, “해부(解剖)”라는 기초 의학 용어와 마취(痲醉)”라는 임상의학 용어를 써서 시험(試驗)”한다는 작시를 하는데, “1부시험그가 느끼는 “2배의 평균기압” 즉 중압(重壓)’, “온도 개무(溫度 皆無)” 곧 쌀쌀함’ 또는 :(冷嚴)한 현:’ 혹은 :(冷酷)한 현:’, 2 가지를 (따로쪼개어 나누고(=쪼갤/나눌,가르고 풀어(=가를/,), 해방(解放)할 수 있는지를 시험한 것이고, ”2부시험은 마취된 2개의 상지(上肢)“ X-선 촬영하여 현:상약으로 현:상하고 정:착제로 정:(定着)시키는 시험인데이 시험은그가 작업하고 있는 작품 활동에서 손을 놓을 수 있는지’ 혹은 손을 뗄 수 있는지‘ 또는 손을 끊을 수 있는지‘ 실험해 본다는 점()을 초-:실주의 기법으로 작시(作詩)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시 제2에 쓰인 가부장제(家父長制)와 장:자제도(長子制度아래종자(宗子)로서또한긋 집의 집중(集中)”으로서, <참고; “역단(易斷)” 연시 화로(火爐)‘>

가정(家庭)”을 피:이게 하여야 하는 막중(莫重)한 위치(位置)에 있었기에, <참고;“역단” 연작시 가정’>

:(冷酷)한 사:회 현:실을 생각하여 작시(作詩활동을 그만둘 수 있는가를 자기 스스로 시험하여 보았다는 이야기(story).






==============================================================
 

​                                    LEURINE

 

                                                김해경(金海卿)

 

   시제​(詩題), 'LE-URINE'은

 '류리(琉璃)인' 또는 '유리(琉璃)인'으로 소리낼 수 있는 바,

형이하학(形而下學)의 미세적 "현:상(現象)"인 것이다.  ----> 참고; 끝-마무리 연(聯)의

"무수한 비가 무수한 추녀 끝을 두드린다 두드리는 것이다." ← 이 거:시적(巨視的) "현:상"과

   '대:비(對比)'시켜

 시제로 삼았다.

 

 

<참고; "13시 시대" 곧 '불운(不運)의 (왜정 강점기) 시대'부터

     '형이하학' 또는 '형이하학적'이라는 낱:말은,

     배꼽 아래의  "물건(物件)" 또는

   배꼽 아래 부분에서 일어나는 생리 "현:상(現象)"을 일컫는 말:이었다.

      이를테면 "오줌(Le Urine)" 그리고 "Menstration(여성 생리 현:상)" 등,

   이런 '개:인'적 생리 "현:상(現象)"이

      이 시작(詩作)에 나온다는 말:씀. "험온(驗瑥)"이랄 수 있겠다.

 

 

     그러니까 차차(次次) 나오는 바,

    이 작시(作詩)에서도

   'BOITEUX·BOITEUSE'에 이어,

      남(南)-성(性)과 여(女)-성(性)을

   '대:비 현:상(對比現象)'으로 대:비시켰다는 말:씀.>

 

 

 

그러한데,

'Le Urine(오줌)'이

"유리(琉璃)"나, "얼음과 같은 수정체(水晶體)"나,

 물("水泳/수영", "가수/加水", "무수한 비")이나,

 그리고 "투명한 공기"와 같이

"투명(透明)"한 형이하학적 "현:상(現象)"은 아닌 것이다. ←←←←
"투명한" 것이
 아닌 형이하학적 "현:상"인 것이다.

 

 

 

뿐더러

'오줌(Le Urine)'은

'색(色)'-깔을 보이는 바,

평상적(平常的)으로는 볏짚 색[色]깔이지만

 좀 병적으로 되면,

호박색(amber color)부터 혈뇨(血尿) 곧 붉은 색[色], 검-붉은 색[色], 등

 좀 달라진다.

 

또한긋

냄새가 나기도 한다.  <--- 하긴, "烏瞰圖(오감도)"  즉 '조감도(鳥瞰圖)'의

작품이긴 하지만, 이 냄새는, .... 하지만,     "어디로 갔느냐" ?

=======================
 

작가는 이 작품에서

"삼차각 설계도' 연작시를 작시(作詩)하게 되는

전(前) 단계(段階)를 설명(說明)하고 있는 바,

 

 

우선(于先),

(이제는) 고고학(考古學)에 지나지 아니하는,

유클리드(Euclid) 기하학의 원론, 공리, 및 공준에 의거한,

'선(線)의 성립(成立)'의 조건(條件)에서 벗어나,

 

"광선(光線)", "양광(陽光)",

  곧 '

"빛"의 '반:사(反射)' 및 "빛"의 '굴절(屈折)'의 "현:상(現象)"에서

'선(線)에 관한 각서(覺書)'를 작성(作'成'), 즉 작시(作詩)하겠다는 점(點)들을

'예:언(例言)하고 있는 것이다.

 

 

 

"양광(陽光)"

"광선(光線)"

즉 "빛"의 '반:사 현:상(反射現象)'과 '굴절 현:상(屈折現象)'이

입자설(粒子說)과 파동설(波動說)로 설명되는데,

작가는,

 입자설(粒子說)을 내세워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가:설(theory)을

취하여 '선(線)에 관한 각서'를 작시(作詩)할 것이라는 것이다.

         ←←← 작가가 "양자"론(量子論)에 이르기까지 작시할 것일까?
============================

 

​이상(李箱) 시인의 시작(詩作)들은,

​그가 고집스레 집착하는 한 연작시(連作詩)의 것들은 무론(毋論),

다른 연작시의 작시(作詩)와도 서로 연계(連繫)되어 있다.

 

그것은,

그가 '예:언(例言)'을 하면서 작시(作詩)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오감도(烏瞰圖)" 연작시, 'LEURINE'이야말로

줄 이어 작시한 다음의 연작시, "삼차각 설계도" 연작시,

'선(線)에 관한 각서(覺書)'에 대:(對)한 '예:언(例言)'인 것이다.

 

 

 

그러면서,

한 시작(詩作)과 다른 것이

서로 겹쳐 그:려 작시(作詩)하는 경우도 있다,  ←←← 'overlapping technique'

                                                                    
('겹쳐쓰기 기법')

예:(例)를 들자면,

".소(素).영(榮).위(爲).제(題)."와 "골편에 관한 무제(無題)" ----->

  -----> 참고; 졸고(拙稿), 2012.02.10에 띄운 blog. "언어" 카테고리, '이상 시인의

                시작(詩作)에서의 여성관(女性觀). 

 

 

 

또한긋,

일문(日文)이든, 한문(漢文)이든,

읽을 때에 우리 식(式) 소리내기 그대로 읊조리며 뜻을 독해(讀解)하여야 한다.

 

이를터이면,

"征伐(정벌=칠,정+칠,벌)"은 "치고 또 친다"

"掘鑿(굴착=팔,굴+팔,착)"을 "파고 또 판다"

"靜謐(정밀=고요할,정+고요할,밀)"은 "고요하고 또 고요하다"

"相場(상장=서로,상+장소/곳,장)"을 "서로의 장소" 등등.

 

 

 

또 또한긋,

그는 힌두 철학(Hinduism)의 생성<生成,← 작가는 "탄생(誕生)"이라 험언(驗瑥)>과

소멸(消滅)  또는 사멸(死滅)을 따라하여,

써 놓고 '지우기' 하기를 즐긴다.

 

예:(例)를 들면,

"실[絲]과 같은 동화(童話)가 아니면 아니되는 것이 아니면 무엇이었는가"

'선(線)에 관한 각서'에 여럿 나온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43 "님의 침묵"이냐?... "情人의 침묵"이냐?... 2016-11-14 0 3624
1842 실존주자의 인생에 종지부를 찍다... 2016-11-14 0 3333
1841 윤동주의 시 속에 마력이 없다?... 있다!... 2016-11-14 0 2847
1840 윤동주는 "북간도"가 낳은 시인이다... 2016-11-14 0 4443
1839 생태문학이 세계문학의 최고봉이다?... 아니다!... 2016-11-14 0 3403
1838 창작이냐?... 모방이냐?... 이것이 문제면 문제로다... 2016-11-14 0 3502
1837 중국 조선족 동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1-14 0 3195
1836 동시의 다양화에 관하여 2016-11-14 0 3437
1835 윤동주와 동시 2016-11-14 0 3104
1834 "우화시"와 허두남 2016-11-14 0 3379
1833 동시때벗기기 = 동시도 시로 되여야... 2016-11-14 0 3465
1832 채택룡 / 김만석... 랑송동시도 창작해야/ 김만석... 2016-11-14 0 3247
1831 박영옥 / 김선파 2016-11-14 0 3153
1830 김득만 / 김만석 2016-11-14 0 3308
1829 詩란 고독한 사람의 고독한 작업속에 생산되는 미적량심 2016-11-14 0 3491
1828 시 한수로 평생 명인대가로 인정되는 사람 없다?...있다?!... 2016-11-12 0 3617
1827 김영건 / 고 한춘 2016-11-12 0 3419
1826 심련수 / 한춘 2016-11-12 0 3544
1825 적어도 진정으로 문학을 사랑한다면,ㅡ 2016-11-12 0 3286
1824 "동시엄마" - 한석윤 2016-11-12 0 3202
1823 최룡관 / 최삼룡 2016-11-12 0 3687
1822 김동진 / 최삼룡 2016-11-12 0 3868
1821 詩人은 뽕잎 먹고 비단실 토하는 누에와 같다... 2016-11-12 0 3707
1820 [자료] - 중국 조선족 문학 30년을 알아보다... 2016-11-12 0 3828
1819 조선족 문학작품을 중문번역 전파하는 한족번역가 - 진설홍 2016-11-12 0 3989
1818 베이징 "등대지기" 녀류시인 - 전춘매 2016-11-12 0 3651
1817 화장터 굴뚝연기, 그리고 그 연장선의 값하려는 문사-정호원 2016-11-11 0 3483
1816 고 최문섭 / 전성호 2016-11-11 0 3790
1815 녕안의 파수꾼 시인 - 최화길 2016-11-11 0 3816
1814 한국 최초의 모더니스트 시인 - 정지용 2016-11-11 0 3478
1813 "등불을 밝혀" 시대의 어둠을 몰아내려는 지성인 2016-11-11 0 3665
1812 詩人은 태작을 줄이고 수작을 많이 만들기 위해 정진해야... 2016-11-11 0 3731
1811 늘 "어처구니"를 만드는 시인 - 한영남 2016-11-11 0 4224
1810 늘 "서탑"을 쌓고 쌓는 시인 - 김창영 2016-11-11 0 3582
1809 장르적인 경계를 깨는 문사 - 조광명 2016-11-11 0 3566
1808 김철 / 장춘식 2016-11-11 0 3898
1807 "조양천"과 김조규 2016-11-11 0 3422
1806 "국어 교과서 편찬"과 김조규시인 2016-11-11 0 3550
1805 "만주"와 유치환 2016-11-11 0 3575
1804 {자료} - "두루미 시인" - 리상각 2016-11-11 0 3757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