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미국 시인 - 아치볼드 매클리시
2018년 02월 22일 22시 41분  조회:5577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법(詩法)/아치볼드 매클리시-

 


시는 감촉이 있고 묵묵(默默)해야 한다
둥근 과일처럼


엄지 손가락에 닿는 오래된 메달처럼 
말 없고


이끼 낀 창(窓) 턱의 소맷자락에 닳은 
돌처럼 고요하고


새가 날듯이 시는 무언(無言)해야 한다


시는 달이 떠오르듯 시시각각 움직임이
보이지않아야 한다


어둠에 얽힌 나무를 한 가지 한 가지씩
달이 놓아 주듯


겨울철 나뭇잎에 가리운 달처럼
하나씩 추억을 간직하면서 마음에서
떠나가야 한다


시는 구체적이어야 한다
사실이 아니라
슬픔의 긴 역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텅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를


사랑을 위해서는
비스듬히 기댄 풀잎들과 바다 위
두개의 별빛을


시는 의미(意味)할 것이아니라
(그 자체로) 존재해야 한다

 
 

============================

시학/아치볼드 매클리시

 

 

시는 감촉할 수 있고 묵묵해야 한다

구형의 사과처럼

무언(無言)이어야 한다

엄지손가락에 닿는 낡은 훈장처럼

조용해야 한다

이끼 자란 창턱의 소맷자락에 붙은 돌처럼

시는 말이 없어야 한다

새들의 비약처럼

시는 시시각각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마치 달이 떠오를 때처럼

마치 달이 어둠에 얽힌 나뭇가지를

하나씩 하나씩 놓아주듯이

겨울 잎사귀에 가린 달처럼

기억을 한하나 일깨우며 마음에서 떠나야 한다

시는 시시각각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마치 달이 또오를 때처럼

시는 비둥해야 하며

진실을 나타내지 않는다

슬픔의 모든 역사를 표현함에

텅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

사랑엔

기운 풀과 바다 위의 등대불들

시는 의미해선 안되며

존재해야 한다 

 

 

매클리시(Archibald MacLeish)/ 1892. 5. 7, 미국 일리노이 글랜코-1982. 4. 20, 보스턴. 미국의 시인·극작가·교사·공무원.

그의 유명한 서정시들은 대개 개인적인 성향에 머물고 있지만, 많은 작품 속에서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을 표현했다. 예일대학에서 공부했고, 보스턴에서 3년간 변호사로 일한 뒤, 1923년 완숙한 시작법을 배우기 위해 프랑스로 건너갔다.

고국을 떠난 몇 년 사이에 펴낸 〈행복한 결혼 The Happy Marriage〉(1924)·〈흙으로 빚은 항아리 The Pot of Earth〉(1925)·〈달빛에 비친 거리 Streets in the Moon〉(1926)·〈A. 매클리시의 햄릿 The Hamlet of A. MacLeish〉(1928) 등의 시집에서는 에즈라 파운드와 T. S. 엘리엇의 영향이 보인다. 선집에 자주 수록되는 시 〈시작법 Ars Poetica〉(1926)을 쓴 것도 이 시기이다. 1928년 미국에 돌아온 뒤, 〈신대륙 New Found Land〉(1930)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그의 작품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특징인 소박한 서정적 웅변이 돋보이며, 대표시로 꼽히는 〈그대, 앤드루 마블 You, Andrew Marvell〉도 여기에 실려 있다.

매클리시는 1930년대에 들어와 파시즘의 위협에 점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멕시코 정복과 착취를 주제로 한 〈정복자 Conquistador〉(1932)는 그가 쓴 최초의 대중시이다. 이밖에도 시집 〈록펠러 씨의 도시를 위한 프레스코 벽화 Frescoes for Mr. Rockefeller's City〉(1933)·〈대중연설 Public Speech〉(1936)·〈아메리카는 약속이었다 America Was Promises〉(1939)에 많은 시들이 수록되었다. 라디오 운문극으로는 〈도시의 몰락 The Fall of the City〉(1937)·〈공습 Air Raid〉(1938)·〈위대한 미국의 7월 4일 행진 The Great American Fourth of July Parade〉(1975) 등이 있다.

의회도서관장(1939~44)과 국무차관(1944~45)을 지냈고 정부기관에서 여러 직책을 거친 후 1949년 하버드대학교에서 보일스턴 교수가 되어 1962년까지 그 자리에 있었다. 1952년 〈시선집 1917~1952 Collected Poems:1917~1952〉를 내놓았고 1976년에는 〈New and Collected Poems:1917~1976〉을 발표했다. 성서의 욥 이야기를 토대로 한 극시 〈제이 비 J. B.〉는 1958년 브로드웨이에서 상연되었다. 이밖에 수필집 〈땅의 기수들 Riders on the Earth〉(1978)이 있다.

 

 

 

 

 
 
========================


Art Poetica

             詩 作法

                       Archibald MacLeish

                              아치볼드 매클리시

 

A poem should be palpable and mute

손에 만져지면서도 말이 없어야 한다

As a globed fruit.

둥글둥글한 과일처럼

 

Dumb

묵묵해야 한다

As old medallions to the thumb.

엄지손가락에 닿는 오래된 메달처럼.

 

Silent as the sleeve – worn stone

소매에 닳아버린 돌처럼 조용해야한다

Of casemant ledges where the moss has grown

이끼 자라난 창턱의

 

 

A poem should be wordless

말이 없어야 한다

As the flight of birds.

새들이 날아가듯 .

 

 

A poem should be motionless in time

시간 속에 움직임이 없어야 하나

As the moon climbs,

달이 떠으르 듯,

 

 

Leaving, as the moon releases

달이 얽힌 나무 가지로부터

Twig by twig the night-entangled trees,

가지 하나하나를 풀어 놓듯,

 

 

Leaving, as the moon behind the winter leaves,

겨울 잎새 뒤에 있는 달이

Memory by memory the mind

마음에서 기억 하나하나 풀어놓듯,

 

 

A poem should be motionless in time

시간 속에 움직임이 없어야 한다

As the moon climbs.

달이 떠오르듯.

 

A poem should be equal to:

시는 동등해야한다:

Not true.

사실이 아니다.

(시는 사실이 아니라 사실에 걸 맞는다는 뜻)

For all the history of grief

비통한 역사에서는

An empty doorway and a maple leaf.

빈 문간과 하나의 단풍 잎(이어야 한다)

 

 

For love

사랑에는

The leaning grasses and two lights above the sea

누워있는 풀잎과 바다위의 두 개의 불빛

 

 

A poem should not mean

시는 의미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But be.

존재해야 한다.

(시는 이미지를 통해 의경을 나타내야 한다는 뜻)

 

 

 

<노트>

 

아치볼드 매클리시 Archibald MacLeash (1892~1982)미국 시인

위의 는 로마 시인 호러스가 詩作法에 쓴 ‘Ars Poetica’를 읽고나름대로 해석하여 쓴 시이다
요약하면 시는 풀어서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말없이 보여주는 것이다즉 이미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

 

 
=============================



▲ 아치볼드 매클리시 

Ars Poetica 

(Archibald MacLeish (1892~1982)) 


A poem should be palpable and mute 


As a globed fruit, 


Dumb 


As old medallions to the thumb,(…) 


A poem should be wordless 


As the flight of birds. (…) 


A poem should be equal to 


Not true. 


For all the history of grief 


An empty doorway and a maple leaf 


For love 


The leaning grasses and two lights above the sea 


A poem should not mean 


But be. 

시법(詩法) 


(아치볼드 매클리시) 


시는 둥그런 과일처럼 


만질 수 있고 묵묵해야 한다. 


엄지손가락에 닿는 오래된 메달들처럼 


딱딱하고(…) 


새들의 비상처럼 


시는 말이 없어야 한다.(…) 


시는 구체적인 것이지 


진실된 것이 아니다. 


슬픔의 긴 역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텅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 


사랑을 위해서는 


기우는 풀잎들과 바다 위 두 개 불빛 


시는 무엇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단지 존재할 뿐이다. (부분) 

詩를 쓰고 싶다면… 그의 눈동자를 떠올리세요 

시 쓰는 법을 가르쳐 주는 시입니다.
시란 추상적이고 현학적인 게 아니라 구체적인 것,
즉 보고 만지고 냄새 맡고 만질 수 있어야 한다고 시인은 말합니다.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구구절절이 설명하기보다는
‘과일’과 ‘오래된 메달’ ‘새의 비상’처럼 독자가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슬픔을 길게 설명하기보다는 독자가 시인의 슬픔을 연상할 수 있도록
텅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를 보여주는 것이 시입니다.
사랑을 장황하게 설명하기보다는 서로 기대어 한 방향으로 기우는
풀잎들, 깜깜한 바다 위에서 함께 반짝이는 두 개의 불빛만 보여주면 됩니다. 



여러분이 시인이라면 사랑을 위해서 어떤 이미지를 사용하시겠습니까? 


Archiblad MacLeish
Archiblad MacLeish
 

1892년 5월 7일
제 9대 의회 도서관장, 아치볼드 매클리시 출생


여러분은 미국의 도서관이라 할 수 있는 의회 도서관에 소장된 각종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의회 도서관에 소장된 자료는 방대합니다. 이 자료를 통해 역사의 각 시점과 인물에 대해 배울 수 있고, 토머스 제퍼슨의 독립선언서 초고 등의 자료를 실제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방대한 자료를 우리가 볼 수 있게 된 데 대해 감사해야 할 사람 중에는 아치볼드 매클리시가 있습니다.

아치볼드 매클리시는 1892년 5월 7일 일리노이의 글렌코(Glencoe)에서 태어났습니다. 시인, 극작가, 변호사, 공직자, 그리고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었던 아치볼드는 1939년부터 1944년까지 의회 도서관장으로 일했습니다.

매클리시는 의회 도서관장으로 일하는 동안 도서관을 재편하고 ‘독자들이 도서관의 자료를 더욱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자, 매클리시는 독립선언서 같은 중요한 자료를 녹스 요새(Fort Knox)로 보내어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하기도 했습니다. 또, 미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의회 도서관을 미군 정보 부대에 24시간 개방하기도 했습니다.

매클리시는 다른 중요한 업적도 남겼습니다.

매클리시는 젊어서 3년 간 변호사 생활을 한 뒤, 가족과 함께 파리로 가서 시를 써서 시집을 여러 권 냈습니다. 미국에 돌아와서는, 스페인의 멕시코 정복에 관한 장편 서사시 <정복자 Conquistador>를 썼습니다. 이 작품으로 매클리시는 1933년에 시 부문 퓰리처 상을 수상했습니다. (퓰리처 상은 시인과 작가, 또 음악 및 언론에 공로가 큰 사람에게 매년 상을 수여합니다.) 의회 도서관장 임기가 끝난 후에는 국무부 부장관이 되었습니다. 1950년대에는 시를 더 쓰고 성서의 욥 이야기를 토대로 극시인 <제이 비: 극시 JB: A Play in Verse>도 썼습니다. 이 극시로 매클리시는 1959년 희곡 부문 퓰리처 상을 수상했습니다.

아치볼드 매클리시를 다양한 관심사와 재능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으로 르네상스 인이라 부를 수도 있겠네요.

어쩌면 여러분도 르네상스 인일지도 모르죠?
여러분의 관심사와 재능은 무엇인가요?

========================================

시법(詩法)

아치볼드 매클리시(Archibald Macleish)

시는 둥근 과일처럼

만져지고 묵묵해야 한다.

 

엄지에 닿는 낡은 메달처럼

소리 없고

 

이끼 자라난 소매에 닳은

창시렁의 돌처럼 조용해야 한다.

 

시는 새들의 비약처럼

말이 없어야 한다.

 

시는 달이 떠오르듯이

시간 속에 움직임이 없어야 한다.

 

달이 밤에 얽힌 나무로부터

가지를 하나하나 풀어 놓듯이

 

겨울 잎새 뒤에 있는 달이

마음에서 기억을 하나하나 풀어 놓듯이

 

시는 달이 떠오르듯이

시간 속에 움직임이 없어야 한다.

 

시는 사실이 아니라

동등해야 한다.

 

슬픔의 모든 내력으로는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를

 

사랑의 경우

기울어진 풀잎과 바다 위에 뜬 두 불빛을-

 

시는 의미할 것이 아니라

존재해야 한다.

개관

작자 아치볼드 매클리시(Archibald Macleish)

갈래 자유시서정시

율격 내재율

성격 서정적주지적

어조 시의 당위를 강조하는 설득적 목소리

심상 비유적상징적

제재 ()

주제 의미(意味)에 앞서는 시의 존재성(存在性)

발표 : 1926

구성

14연 시의 묵묵함

58연 시의 정물감

912연 상징을 통해 드러나는 시의 존재

시어 풀이

<묵묵(默默)> : 말이 없음잠잠함

<시렁> : 물건을 얹기 위해 건너지른 두 개의 장나무

<비약(飛躍)> : 높이 뛰어오름

<내력(來歷)> : 어떤 사물이 지나온 유래

<시는 둥근 과일처럼 만져지고 묵묵해야 한다.> : 시를 둥근 과일에 비유하고 있다둥근 과일은 그 자체가 어떤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우리가 그것을 만질 때 어떤 느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시는 사실이 아니라 동등해야 한다.> : 시는 어떤 사실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일어난 일 그 자체이다.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를.> : 슬픔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로 온갖 슬픔의 사연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텅 빈 문간에 단풍잎 하나면 된다는 뜻이다즉 인적이 끊어진 어느 슬픈 집안의 쓸쓸한 분위기를 '객관적 상관물'로 제시해 주면 된다.

<기울어진 풀잎과 바다 위에 뜬 두 불빛> : 사랑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로 사랑을 과학적·일상적 어법으로 설명할 수도 있겠지만시에서는 이처럼 설명의 방식을 택해서는 안 된다시에서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울어진 풀잎과 바다 위의 두 불빛을 아무런 설명 없이 그저 객관적으로 제시해 주면 그만이다.

<시는 의미할 것이 아니라 존재해야 한다.> : 시란 어떤 주장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독자적인 생명과 자기 충족적인 미를 지녀야 한다는 뜻으로 매클리시 시론을 압축시켜 제시한 구절이다.

감상

이 시는 제목이 환기시키듯 시로 쓴 '시론(詩論)'이라고 할 수 있다. '시론'에 대해서는 여러 시 이론가와 평론가들이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시인들도 시로써 시론을 쓰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시로써 시론을 쓸 경우에는 추상적인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이미지를 통해서 구상화시켜 독자들에게 정서적으로 체험하도록 함으로써 시의 이론을 한결 실감나게 이해시키는 효과가 있다이 시는 바로 이러한 효과가 십분 발휘된 작품이다.

갖가지 비유를 통해 시의 본질을 말하고 있는 이 시의 핵심은시란 직접적으로 진술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감각적으로 체험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며또한 시란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독자적인 생명과 자기 충족적인 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이 시의 제일 마지막 구절인 '시는 의미할 것이 아니라 존재해야 한다.'란 대목은바로 이러한 시인의 시론을 압축적으로 제시한 명구라고 할 수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43 "님의 침묵"이냐?... "情人의 침묵"이냐?... 2016-11-14 0 3830
1842 실존주자의 인생에 종지부를 찍다... 2016-11-14 0 3519
1841 윤동주의 시 속에 마력이 없다?... 있다!... 2016-11-14 0 3023
1840 윤동주는 "북간도"가 낳은 시인이다... 2016-11-14 0 4716
1839 생태문학이 세계문학의 최고봉이다?... 아니다!... 2016-11-14 0 3572
1838 창작이냐?... 모방이냐?... 이것이 문제면 문제로다... 2016-11-14 0 3685
1837 중국 조선족 동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1-14 0 3415
1836 동시의 다양화에 관하여 2016-11-14 0 3639
1835 윤동주와 동시 2016-11-14 0 3365
1834 "우화시"와 허두남 2016-11-14 0 3560
1833 동시때벗기기 = 동시도 시로 되여야... 2016-11-14 0 3708
1832 채택룡 / 김만석... 랑송동시도 창작해야/ 김만석... 2016-11-14 0 3367
1831 박영옥 / 김선파 2016-11-14 0 3315
1830 김득만 / 김만석 2016-11-14 0 3524
1829 詩란 고독한 사람의 고독한 작업속에 생산되는 미적량심 2016-11-14 0 3781
1828 시 한수로 평생 명인대가로 인정되는 사람 없다?...있다?!... 2016-11-12 0 3781
1827 김영건 / 고 한춘 2016-11-12 0 3731
1826 심련수 / 한춘 2016-11-12 0 3826
1825 적어도 진정으로 문학을 사랑한다면,ㅡ 2016-11-12 0 3460
1824 "동시엄마" - 한석윤 2016-11-12 0 3402
1823 최룡관 / 최삼룡 2016-11-12 0 3862
1822 김동진 / 최삼룡 2016-11-12 0 4046
1821 詩人은 뽕잎 먹고 비단실 토하는 누에와 같다... 2016-11-12 0 3902
1820 [자료] - 중국 조선족 문학 30년을 알아보다... 2016-11-12 0 4133
1819 조선족 문학작품을 중문번역 전파하는 한족번역가 - 진설홍 2016-11-12 0 4322
1818 베이징 "등대지기" 녀류시인 - 전춘매 2016-11-12 0 4025
1817 화장터 굴뚝연기, 그리고 그 연장선의 값하려는 문사-정호원 2016-11-11 0 3746
1816 고 최문섭 / 전성호 2016-11-11 0 4090
1815 녕안의 파수꾼 시인 - 최화길 2016-11-11 0 3946
1814 한국 최초의 모더니스트 시인 - 정지용 2016-11-11 0 3649
1813 "등불을 밝혀" 시대의 어둠을 몰아내려는 지성인 2016-11-11 0 3879
1812 詩人은 태작을 줄이고 수작을 많이 만들기 위해 정진해야... 2016-11-11 0 3952
1811 늘 "어처구니"를 만드는 시인 - 한영남 2016-11-11 0 4501
1810 늘 "서탑"을 쌓고 쌓는 시인 - 김창영 2016-11-11 0 3816
1809 장르적인 경계를 깨는 문사 - 조광명 2016-11-11 0 3836
1808 김철 / 장춘식 2016-11-11 0 4181
1807 "조양천"과 김조규 2016-11-11 0 3584
1806 "국어 교과서 편찬"과 김조규시인 2016-11-11 0 3910
1805 "만주"와 유치환 2016-11-11 0 3674
1804 {자료} - "두루미 시인" - 리상각 2016-11-11 0 3906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