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jingli 블로그홈 | 로그인
강려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블로그

나의카테고리 : 심상운 시론

모더니즘의 한계를 넘어서는 디지털리즘의 詩 / 심상운(시인, 문학평론)
2019년 03월 17일 18시 31분  조회:1221  추천:0  작성자: 강려
 
모더니즘의 한계를 넘어서는 디지털리즘의 詩
 
 
심상운(시인, 문학평론)
 
 
<1>
20세기를 대표하는 모더니즘(주지주의)은 시의 예술적인 면에서 풍성한 암시와 반짝이는 상상의 언어세계를 독자들에게 제공해 주었다. 그것은 어쩌면 현대인에게 잃어버렸던 신화를 되돌려주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가 중세의 허풍장이기사騎士에 머물지 않고 현재까지 아이들이나 어른들의 상상 속에 살아 있는 것은 그의 비현실적인 꿈이 가지고 있는 생명력 때문이다. 모더니즘도 우리들의 시에 언어의 꿈을 담아주었기 때문에 현실주의자들의 반대와 비난에도 불구하고 생명력을 이어온 것이다.
만약 시인들이 현실과 역사의 진보에만 매달려서 싸웠다면 시인들은 전사戰史에 기록될 수 있는 영웅은 되었을지 몰라도 예술의 세계에서는 상상력이 고갈된 허수아비 같은 존재로 기억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나라의 주권을 일제日帝에 침탈당한 국권상실시대에 일제에 직접 저항하며 치열하게 살다간 1930년대 이육사李陸史의 시편들 속에서 발견되는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아름다운 만남이 명징하게 증명해주고 있다.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北方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高原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디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 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이육사 「絶頂」전문
 
이 시의 끝 구절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에서 강철+무지개가 던져주는 죽음을 초월하는 희망의 경이로운 상상과 암시는 지금도 생생한 모습 그대로 살아있다. 그래서 우리들은 모더니즘의 이미지, 즉물적卽物的 감각이 우리의 현대시에 수놓은 금싸라기 같은 수사의 미학을 귀중한 재산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모더니즘이 시인과 독자들을 자연발생적인 시들의 고식적인 감상感傷과 영탄성詠嘆性에서 벗어나게 했으며, 딱딱한 관념어의 굴레에서 시를 해방시켰다는 공적만이 아니라, 언어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신뢰의 문을 활짝 열어주었기 때문이다. 이런 모더니즘의 긍정적인 생명력은 1980년대에 들어와서도 현실과의 관계에서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꽃을 피우던 일은 그만두고
인제는 한 개 벽돌이나 되겠다.
이 살덩이를 흙가루로 빻고
썩기 전에 이 피로 곱게 물들여
1천도의 시뻘건 불 속에서
다시 벽돌로 태어나고 싶다.
그리하여 빈틈없이 차곡차곡 쌓여
백 층이나 삼백 층의 빌딩이 되거나
반월형半月形 의 만리장성이 되거나
원수의 포탄이 우박처럼 박혀도 끄덕도 않는........
구름을 피우던 일은 그만두고
인제는 단단한 벽돌이나 되겠다.
--문덕수의「벽돌」전문 
   
이 시에서 비유와 상징으로 쓰인 <벽돌>과 <꽃>, <반월형半月形 의 만리장성>이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 또 현실에 대응하는 시인의 강한 의지가 어디를 지향하고 있는지, 또 사물어事物語의 쓰임이 이 시에서 어떤 시적 효과를 나타내고 독자들의 상상력을 어디까지 자극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도 중요하지만, 이 시에서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1980년대의 사나운 현실 속에서 이 시가 보여주고 있는 모더니즘 언어의 바른 자세와 당당함이다.
이 시의 앞부분 <꽃을 피우던 일은 그만두고/인제는 한 개 벽돌이나 되겠다./이 살덩이를 흙가루로 빻고/썩기 전에 이 피로 곱게 물들여>는 현실에 대응하는 시인의 정신과 함께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이 시 속에서 결코 대립적 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모더니즘(예술)과 리얼리즘(현실)의 이런 아름다운 만남은 더 이상 넓게 확산되지 못 했다. 대부분의 모더니즘 시들이 현실의 뒤쪽으로 물러서서 스스로 존재영역의 범위를 축소해버리고 말았기 때문이다. 그 원인은 몇 가지 면에서 더 검토할 수 있지만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모더니즘 시가 안고 있는 언어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신뢰(언어주의)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 지나친 신뢰는 시작과정詩作過程에서 시인의 관심을 현실(사실)보다 시인의 고정관념과 언어에 치중하게 하였으며, 비유, 상징, 이미지 등의 언어의 조직을 시의 궁극인 양 내세워 모더니즘의 시를 언어의 시라고까지 명명命名하게 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일부 모더니즘의 시인들이 현실과 예술의 관계에서 생겨나는 언어의 건강한 긴장감과 조화를 깨뜨리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생동하는 이미지나 환상과 상징을 잃어버린 극단적인 언어주의 시로 변질되면서 모더니즘 시의 한계가 노정露呈된 것이다. 그것을 간단히 압축하면 모더니즘 시의 극단적 언어주의는 모더니즘 시의 함정이 된 것이다. 그래서 그것은 21세기의 새로운 감수성과 꿈을 담은 시의 탄생을 기다리게 하는 원인이 되고, 병든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을 치유하고 개혁해야하는 당위성의 원천이 된 것이다.
 
<2>
모더니즘의 시를 언어의 시라고 하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시인의 순수한 정서에 의해서 시가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무한한 가능성을 신뢰하는 시인의 수공업적인 언어 작업에(의식적 방법) 의해서 시가 제작되기 때문이다. 이 수공업적인 언어작업은 어떤 관념을 중심에 두고 환상적 이미지와 감각을 중시하면서 시인의 감정까지 감각적인 언어로 만들어 지성(의도성과 논리성)이 시 전체를 지배하게 되는 시의 기법으로 발전한다.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대부분의 서정 시인들은 이러한 시의 기법에 익숙하고 그것을 정통적인 시의 기법으로 인식하고 있다. 어떤 시인은 아주 엄밀하고 냉랭하게 계산된 논리적인 비유, 상징의 언어(관념, 고정관념)를 시의 중심에 넣고 감정까지도 객관화하여 독자들의 반응을 계산하면서 시를 제작한다. 이 때 시인은 현실(현장)에서 벗어나서 시라는 무대에 올라가 연기하는 배우가 되기도 한다. 이런 모더니즘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에서 시인의 자기 노출은 무대에서 배우가 연기하는 것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난 해질 무렵 몽상가 소부르주아 시인
세상엔 관심이 없다 내가 관심을 두는 건
의자, 작은 방, 개미, 염소
 
피와 이슬로 된 술 난 현실 따윈 모른다
알려고 하지도 않지만 난 현실을 모르는
국문과 교수 허리띠를 헐렁하게 매고
거울을 연구하는 교수
 
그러나 그러나 그러나 감기엔 맥을 못 춥니다
30년 전부터 어디론지
떠나고 싶었지만
  --이승훈 「오토바이」 전문
 
이러한 시들은 비록 시인의 관념이 시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지만 시인과 독자들이 갈구하는 낯설음, 새로운 기법의 언어, 경쾌한 감각의 현대성을 충족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세상엔 관심이 없다 내가 관심을 두는 건/의자, 작은 방, 개미 , 염소 >, <거울을 연구하는 교수> 등의 언어에서 현실을 외면하고 자기 존재의 탐구에만 전념하는 시인의 모습을 통해서 “또 다른 현실”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면서 현실에 대한 의식적인 외면과 환상적인 이미지에 대한 강한 집착이 모더니즘 시의 원형인 것처럼 독자들을 유인한다. 그러나 그것이 지나칠 때, 생동하는 시의 실체는 언어(관념)의 감옥 속에 갇혀버리고 시인의 언어유희가 독자들을 현혹하기도 한다.
 
눈보다도 먼저
겨울에 비가 오고 있었다.
바다는 가라앉고
바다가 있던 자리에
군함이 한 척 닻을 내리고 있었다.
여름에 본 물새는
죽어 있었다.
물새는 죽은 다음에도 울고 있었다.
--김춘수 「처용단장 제1부의 Ⅳ」에서
 
 
<바다는 가라앉고/바다가 있던 자리에/군함이 한 척 닻을 내리고 있었다.>나 <물새는 죽은 다음에도 울고 있었다.>는 통념적인 의미의 세계를 뛰어 넘으려는 시인의 몸부림이 개척한 의미단절의 언어세계다. 그것은 '있음/없음'의 경계를 허물려는 시인의 의식이 만들어놓은 “또 다른 언어세계”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김춘수의 시에서) 후속 시행에 의한 선행 시행의 차단”(문덕수 「인식의 혁명」에서)은 시의 의미를 무화無化시켜서 시를 응고된 틀에 갇히게 한다. 이런 무의미의 시는 내재적인 모순에 의해 시인이 스스로 자신의 언어에 염증을 느끼고 절망하고 탈출하는 이유를 만든다. 그래서 그것은 모더니즘 시의 한계로 드러나는 지나친 현실 외면(도피), 시의 관념화(도식화, 논리화), 의미의 단절, 단순 이미지의 나열, 언어유희(무의미)에 대한 성찰의 근거가 되고 시에 대한 정의를 다시 찾게 되는 계기를 만들어주고 있다. 극단적인 모더니즘(언어주의) 시에 대한 이러한 성찰은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현실(현장) 속에서 숨 쉬고 움직이고 향기 나는 생명체를 모셔놓은 언어의 집이라는 시의 정체성을 다시 찾게 한 것이다.
따라서 시에서 관념이나 언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시인의 마음과 영혼(생명)이라는 것. 그 마음과 영혼은 시인의 환상과 관념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 만약 관념에 의해서 영혼이 만들어진다면 그 영혼은 가짜의 영혼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다시 확인한다. 그래서 오히려 모더니즘의 언어예술로서의 시보다 자연발생적인 서정시가 더 본래적인 시에 가깝게 인식되는 것이다.
 
비오는 날
묵밭에 소를 먹이고 있으면
어디서 깊은 소리가 들리네.
 
온 天地가
共同墓地같은데 
오동나무만 
저승의 길잡이처럼 서 있네.
 
어쩌면 세상이
그렇게도 푹 빠졌을까.
안개사이로 인업이
꼭 걸어올 것만 같네.
 
喪輿를 놓고
그렇게 울던 곳.
그 곳엔 이상한 불빛이 서려 있었네.
--이성교「비오는 날(1)」 전문
 
자연발생적인 서정은 시인의 언어조직만으로는 만들어내기가 매우 어렵고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자연스런 서정의 시에는 이성(지성)보다 감성이 주류를 이루어서 때로는 원시적인 야성의 감성이 시의 생명력을 키워내는 원천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3>
시에서 관념과 비유, 상징을 떨쳐버리고 직관의 눈으로 직접 대상과 만나자는(의식→대상→이미지) 디지털리즘의 시 운동은(오진현) 시의 현장성과 내재적인 생명성에 의해서 자연발생적인 서정시와 연결된다. 그것은 디지털리즘의 시가 극단적인 모더니즘의 시(관념의 시, 언어유희의 시)보다 시의 원래 모습에 더 가깝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디지털리즘의 시는 이성(지성)보다는 감각(감성)이 시를 지배하기 때문이다.
 
 
북한산 비가 오락가락, 찜통 더위 속 , 땀을 흘리고 확 터진 능선에 올랐다. 앞에 서 있는 봉우리들 얇은 구름이 그림이다. 주저앉아 상상하며 가슴쯤 산의 옷을 벗기면서, <비밀한 얇은 비단을 밀어 올려서, 어쩔려고 어쩔려고>이렇게 시에 빠져들고 있는데, 한 시인이<계곡에서 피워 올리는 연기 같다>한다. 나는 내색을 못하고 <찬 바람이 밀어 올리는 기류입니다>하고 이성理性을 말했다. 그 때 지나가는 등산객이<내가 리모콘으로 움직이는 거야> 했다. 멍! 모두 몽둥이로 한 대씩 맞은 기분이었다.
 
이 날 산행은 흰수염을 휘날리고
아슬히 바윗서리에 걸터앉은 내가
희죽이 웃으며, 리모콘으로 끌어 올리고 있었다.
비밀한 얇은 비단을 밀어 올리고,
--오남구「산행」전문 
 
이 시는 때 묻은 감각과 지식을 뛰어 넘는 디지털 시대의 감각이 어떠해야 한다는 것을 느끼게 하면서 그것을 수용하는 맑은 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어떤 관념도 미리 들어가 있지 않은 탈관념의 빈 마음은 새로운 감각이 모여드는 맑은 못이 된다는 것을 체험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그 새로운 감각을 거부감 없이 수용하는 열린 마음이 디지털시대의 시인의 마음이다.
이 마음은 삶의 현장에서 살아 있는 물고기처럼 숨을 쉬고 지느러미를 펄떡이면서 움직이는 자기의 마음을 순간적으로 포착하는 직관(초논리超論理, 비논리非論理)의 눈이 언어 카메라로 찍어내는 디지털 감각(염사念寫, 접사接寫)의 이미지 시와 어떤 관념을 솟대같이 중심에 세워놓고 언어의 조직에 의해서 만들어 지는 모더니즘의 이미지 시의 차이를 선명하게 구분 짓게 한다.
 
 
깊은 밤,
내 몸은 몇 칼로리의 짐승이
불을 켠다.
빗소리가 깊게 깊게
몸 속을 지나가면서 적시고
짐승이 비를 맞고 서 있다.
깜박 깜박이는 신경 어디쯤일까
새파란 의식이 불을 켜고선
키 큰 미루나무가 선
밤비 속
짐승, 환하게 떠올랐다 캄캄하고
바람 몇 칼로리의 그리움
미루나무 이파리들을 흔든다.
--오남구「밤비」전문 
 
오진현의 디지털리즘의 실험시에 전류처럼 흐르는 알 수 없는 독특한 감각의 에너지는 어떤 관념도 의도意圖도 들어 갈 틈을 남겨주지 않는다. 그것은 무의식의 자동기술과도 구별된다. 다만 마음의 눈이 마음에 비친 의식의 영상을 사진 찍듯이 찍어서 시각적 영상으로 떠오르게 한다는 점에서 디지털리즘의 시인은 시의 주체이면서도 객체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4>
이러한 디지털리즘의 시는 또 문명적 사고(객관적이며 추상적인 과학적 사고)와 대립되는 문명이전의 야생의 사고(구체적 사고)에 맥이 닿는다. 문명이전의 야생의 사고는 구체적이고 주술적이고 감각적이다. 이는 다른 표현으로 신화적 사고라고 한다. “신화적 사고는 표상(image)에 묶인 채 지각(percept)과 개념(concept)의 중간에 자리 잡고 있어 우리에게는 표상으로밖에 나타나지 않지만, 일반화의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그 나름으로는 과학적일 수 있다고 레비-스트로스는 주장한다.” <레비-스트로스『야생의 사고』- 안정남의 해제에서> 이런 면을 중심에 두고 생각할 때, 디지털리즘의 시는 비인간적인 기계의 시가 아니라 언어적인 면에서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미지와 감각도 포함하는 매우 인간적인 직관과 감성에 의해서 탄생하는 탈관념의 새로운 감각의 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디지털리즘의 시는 사실, 생명, 현장을 바탕으로 영상성, 동시성, 정밀성을 중시하는 21세기적인 감수성(디지털 감각)과 인간의 내면에 잠겨 있는 야성적 감각이 만나서 순수 직관의 이미지(탈관념, 시공간 초월), 즉 신화적인 언어 표상(image)으로 탄생되는 시라고 정의를 내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디지털리즘의 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을 뛰어넘는 시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은 문명적인 면에서 볼 때, 과학적 사고(문명)와 야생의 사고(문명이전)의 융합이다. 그러나 디지털리즘의 시는 시인의 사유와 감각과 언어의 수사修辭에 의해서 제작되는 모더니즘의 시에 비해서 시의 일반화에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디지털리즘의 시는 탈관념의 의식이 전제가 되고 이제까지 사용된 익숙해진 언어(비유, 상징)로부터 벗어나서 때 묻지 않은 원초적 언어와 디지털 감각(염사, 접사)의 세계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모더니즘 시의 한계를 넘어서는 디지털리즘 시의 “새로운 신화 만들기”는 매우 어려운 도정이 예상된다. 그러나 21세기는 도처에서 새로운 변화(IT, DNA 등)의 구름을 계속 몰아오고 있어서 시인들도 그것을 피해 갈 수는 없을 것 같다.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65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5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20> / 심 상 운 2019-07-12 0 1100
44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9> / 심 상 운 2019-07-12 0 1149
43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8> / 심 상 운 2019-07-12 0 1023
42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7> /심 상 운 2019-07-12 0 998
41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6> / 심 상 운 2019-07-12 0 1019
40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5> /심 상 운 2019-07-12 0 1010
39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4> / 심 상 운 2019-07-12 0 932
38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3> /심 상 운 2019-07-12 0 958
37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2> /심상운 2019-07-12 0 891
36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1> / 심 상 운 2019-07-12 0 884
35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 <10> / 심 상 운 2019-07-12 0 850
34 나를 감동시킨 오늘의 시 100편<9> / 심 상 운 2019-07-12 0 941
33 심상운 시모음 2019-06-30 0 959
32 하이퍼시론 묶음 / 심상운 2019-06-20 0 1171
31 [2017년 4월호] 나의 시쓰기: 자작 하이퍼시에 대한 해설 / 심상운 2019-06-17 0 875
30 하이퍼텍스트의 기법과 무한 상상의 세계 - 문덕수의 장시 『우체부』/ 심 상 운 2019-06-04 0 980
29 모더니즘의 한계를 넘어서는 디지털리즘의 詩 / 심상운(시인, 문학평론) 2019-03-17 0 1221
28 현대시의 이해 / 심상운 2019-03-02 0 990
27 시뮬라크르 (simulacra)와 하이퍼리얼리티(Hyperreality) /심상운 2019-03-02 0 1088
26 아이러니(irony)의 효과/심상운 2019-03-02 0 1241
‹처음  이전 1 2 3 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