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碑에 是非를 걸다...
2015년 09월 17일 21시 26분  조회:4610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소월, 이상화, 이육사, 한용운, 윤동주, 정지용, 이상, 백석, 김수영, 박인환, 서정주, 조지훈, 유치환, 박목월, 박두진, 신동집, 구상, 김춘수….

대시인(大詩人)은 오랫동안 대한민국에선 ‘국부(國父)적 존재’로 추앙받았다. 국어수업시간에 배웠던 국민적 애송시는 시인을 특별한 존재로 만들어 주었다. 

나름의 위상을 가진 시인은 자기 고향을 대표하는 존재로 대접받았다. 전국적 인지도를 갖게 되면 ‘계관시인’으로 인정돼 예술원 종신회원이 되는 등 초특급 예우도 받았다. 

사후에는 작고시인 시비건립추진위를 결성, 죽은 시인을 기렸다. 이후 문학관 건립은 물론 문학상도 제정했다. 이걸 본 시민은 시인을 한없이 부러워했다. 시인은 당연히 그렇게 해도 되는 줄로만 알았다. 시인이 시민을 압도하던 시절이었다.

그렇게 해서 1948년 국내 최초의 근대 시비가 죽순문학회 주도로 대구 달성공원에 세워진다. 바로 민족시인 이상화를 위한 시비였다. 하지만 그 시절에는 시비 건립에 엄격한 잣대와 기준이 있었다.

‘아무리 유명해도 살아 있을 때는 시비를 세워선 안 된다’ ‘작고시인 시비도 일정한 세월이 지난 뒤 정말 세울 만한 가치가 있고 지역민과의 공감이 되는 시인으로만 국한해야 한다’는 불문율이었다. 그토록 엄격하게 세워지는 시비는 결코 졸속일 수 없었다. 대표시와 그 시를 적을 서예가, 시를 돌에 새길 조각가가 삼위일체가 돼 돌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시도 감동이지만 시비도 감동이었다. 

그 시절 시인에겐 최소한의 지조와 염치 같은 게 있었다. 시인이 되기도 힘들었다. 아무나 될 수도 없었다. 검증된 자질이 요구됐다. 신춘문예와 추천 등을 통하지 않으면 시인이 되기 힘들었다. 일제강점기~광복~6·25전쟁~3·15부정선거~군부독재 치하, 시인은 시대정신과 동고동락했다. 시집에 만족하지, 감히 생전에 시비를 세운다는 발상을 할 수가 없었다. 특히 선비들은 생전의 비석을 하나의 ‘수치’로 여겼다. 

74년 5월19일 이례적인 일이 벌어졌다.

국내 생존 시인으로는 처음으로 미당 서정주 시비가 전남 고창 선운사 입구에 세워진 것이다. ‘선운사 동구’란 시를 새긴 것인데, 고창 라이온스클럽이 주도했다. 조금의 시비가 일었지만 미당이었기에 가능했다. 그 시비는 본격적 시비라기보다 선운사 분위기와 어울리는 조형물로 간주됐다. 하지만 생존 시인도 시비를 세울 수 있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30여년 우리 문단은 작고 문인 시비 세우기에 주력했다.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세상은 달라졌다. 

시비는 만인의 몫이 아니라 ‘누구의 몫’으로 권위가 추락했다. 예전에는 지사적 시인의 시대였지만 이젠 유명한 시인의 세상이 도래했다. 신문과 방송을 타고 굵직한 문학상을 받으면 단번에 1급시인이 된다. 김용택·안도현·정호승 같은 시인은 시단의 ‘특급엔터테이너’로 등극했다. 곧 문단파워를 누리고 정치권으로부터 러브콜도 받는다. 지자체도 유명 시인이 필요했다. 시를 관광상품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정표 같은 시비를 곳곳에 세운 것이다. 

스토리텔링거리가 있는 유명 산·강·바다, 심지어 간이역까지 시비가 전주처럼 세워졌다. 전남 해남 땅끝마을 같은 데는 상징성 때문에 여러 유명 시인이 시비를 경쟁적으로 세워댔다. 심지어 시비 건립으로 사업을 하는 단체도 생겨났다. 김천시는 미당문학상을 받아 일약 스타가 된 문태준 시인을 위해 시인의 ‘생가 가는 길’이란 교통표지판까지 설치했다.

생존 시인의 시비 건립 문제 이상으로 고민해야 될 사안도 있다.

‘무조건 세워주자’ 식으로 치닫고 있는 작고문인 시비 건립 건이다.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기준과 원칙 없이 진행되고 있다. 시집을 여러 권 내고 이런저런 문학상을 받거나 문학단체에서 한 자리를 차지했다는 이유만으로 작고하자마자 서둘러 추모비를 세워준다.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유족과 문인단체 관계자가 간청하면 지자체는 시비 건립용 공공부지를 슬그머니 내놓는다. 시인들 사이에 유명하면 그만이지 시민과의 공감대는 아랑곳하지 않는다. 

대한민국은 바야흐로 ‘시인공화국’.

시인 수가 1만3천명에 육박했다. 대구시에만 1천여명의 시인이 북적대고 있다. 시인 되는 길도 어렵지 않다. 상당수 문예지는 시인을 상품처럼 찍어내기도 한다. 시비가 워낙 흔해지다 보니 유명 트로트 가수들도 앞다퉈 노래비를 세우고 있다. 우리 강산이 ‘비공화국(碑共和國)’으로 변하고 있다. 

유명한 시는 돌에 새기고 위대한 시는 인간의 맘에 새겨야 한다. 돌은 1천년 가지만 인간의 맘은 영원한 탓이다.

퇴계 이황은 별세하기 나흘 전인 1570년 음력 12월4일, 병세가 위독해지자 조카 영(寗)을 불러서 이같이 당부한다.

“조정에서 예장(禮葬)을 하려고 하거든 사양하라. 비석을 세우지 말고, 단지 조그마한 돌에다 앞면에는 ‘퇴도 만은 진성이공지묘(退陶 晩隱 眞城李公之墓)’라고만 새기고, 뒷면에는 향리(鄕里)와 세계(世系), 지행(志行), 출처(出處)를 간단히 쓰고, 내가 초를 잡아둔 명(銘)을 쓰도록 하라.”

당시 퇴계는 종1품 정승의 지위에 있었으므로 사후에는 예조에서 도감을 설치해 예를 갖춰 장례를 치르는 것이 당연시되었다. 그런데도 퇴계는 유언으로 이를 굳이 사양했다. 그리고 단지 4언(言) 24구(句)의 자명(自銘)으로 자신의 일생을 정리했다. 퇴계가 특별히 스스로 묘비명을 쓴 것은 제자나 다른 사람이 쓸 경우엔 실상을 지나치게 미화한 나머지 장황하게 쓸까 염려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춘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23 詩作初心 - 명상과 詩 2016-02-24 0 5152
1122 [아침 詩 한수] - 오징어 2016-02-24 0 4226
1121 [아침 詩 한수] - 기러기 한줄 2016-02-23 0 4481
1120 열심히 쓰면서 질문을 계속 던져라 2016-02-21 0 4301
1119 남에 일 같지 않다... 문단, 문학 풍토 새로 만들기 2016-02-21 0 4327
1118 동주, 흑백영화의 마력... 2016-02-21 0 4396
1117 詩作初心 - 현대시의 靈性 2016-02-20 0 4295
1116 詩作初心 - 시에서의 상처, 죽음의 미학 2016-02-20 0 4016
1115 같은 詩라도 행과 연 구분에 따라 감상 차이 있다... 2016-02-20 0 4474
111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의 다의성(뜻 겹침, 애매성) 2016-02-20 0 4664
111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술 한잔 권하는 詩 2016-02-20 0 4817
1112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만드는 詩, 씌여지는 詩 2016-02-20 0 4314
1111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비상 이미지 동사화 2016-02-20 0 4619
1110 무명 작고 시인 윤동주 유고시 햇빛 보다... 2016-02-19 0 4991
1109 윤동주 시집 초판본의 초판본; 세로쓰기가 가로쓰기로 2016-02-19 0 4909
1108 별이 시인 - "부끄러움의 미학" 2016-02-19 0 5967
1107 윤동주 유고시집이 나오기까지... 2016-02-19 0 5841
1106 윤동주 시인의 언덕과 序詩亭 2016-02-19 0 4717
1105 무명詩人 2016-02-18 0 4675
1104 윤동주 코드 / 김혁 2016-02-17 0 4946
1103 99년... 70년... 우리 시대의 "동주"를 그리다 2016-02-17 0 4715
1102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2016-02-17 0 4488
1101 윤동주와 송몽규의 <판결문> 2016-02-16 0 4497
1100 윤동주, 이 지상에 남긴 마지막 절규... 2016-02-16 0 4475
1099 詩와 함께 윤동주 발자취 더듬어보다... 2016-02-16 0 4262
1098 풍경 한폭, 우주적 고향 그리며 보다... 2016-02-16 0 4550
1097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그로테스크 2016-02-15 0 4818
1096 오늘도 밥값을 했씀둥?! 2016-02-14 0 4770
1095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色은 상징 2016-02-14 0 4653
109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함축과 암시 2016-02-14 0 3968
109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적 이미지 2016-02-14 0 4436
1092 벽에 도전하는것, 그것 바로 훌륭한 詩 2016-02-14 0 4302
1091 전화가 고장난 세상, 좋을씨구~~~ 2016-02-14 0 4374
1090 詩는 읽는 즐거움을... 2016-02-13 0 5438
1089 詩에게 생명력을... 2016-02-13 0 4309
1088 詩가 원쑤?, 詩를 잘 쓰는 비결은 없다? 있다? 2016-02-13 0 4654
108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난 시인들 - 박두진 2016-02-12 0 4453
1086 詩人을 추방하라???... 2016-02-11 0 3928
1085 C급 詩? B급 詩? A급 詩?... 2016-02-11 0 3906
1084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신석초 2016-02-10 0 5618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