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술 한잔 권하는 詩
2016년 02월 20일 03시 55분  조회:4372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치미 떼는 시 / 신형철


의뭉스럽고 천연덕스러운 윤제림의 시집 『그는 걸어서 온다』


무릇 좋은 시란 ‘분단된 영혼의 내전’ 같은 것이어서 시를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종군기자처럼 현장으로 뛰어들어야 한다. 단어 하나, 구두점 하나, 행갈이 하나에서조차 화약 냄새를 맡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어떤 시들은, 어이 기자 양반, 카메라 내려놓고 술이나 한잔해, 이런다. 머쓱하고 유쾌하고 나른해진다. 그런 시집을 최근에 읽었다.
윤제림의 다섯 번째 시집 <그는 걸어서 온다>(문학동네, 2008). 안 그래도 정부가 국민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고 있는 터라 술 한잔 권하는 이 시집이 더욱 청량했다.
이 시집은 서정적 시치미 떼기의 진수를 보여준다. ‘매의 주인을 밝히기 위해 주소를 적어 매의 꽁지털 속에다 매어 둔 네모꼴의 뿔’을 ‘시치미’라 한다. 매를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고 갖고 싶으면 시치미를 슬쩍 떼면 된다.
시에서도 시인이 시치미를 떼는 순간이 있다. 알고도 모르는 척, 아프면서 안 아픈 척, 웃기면서 안 웃긴 척하는 순간이 있다. 그게 잘만 되면 시는 의뭉스러워지고 천연스러워진다. 본래 의뭉스러움(엉큼함)과 천연스러움(꾸밈없음)은 반대에 가까운 것 같은데, 그게 이렇게 동석할 때가 있다.


싸리재 너머
비행운 떴다


붉은 밭고랑에서 허리를 펴며
호미 든 손으로 차양을 만들며
남양댁
소리치겠다


“저기 우리 진평이 간다”


"우리나라 비행기는 전부
진평이가 몬다."
―‘공군소령 김진평’ 전문



이 시에서 시치미를 뗀 곳은 말할 것도 없이 마지막 두 행이다. “우리나라 비행기는 전부 진평이가 몬다.” 이 의뭉스럽고 천연스러운 문장 앞에서 무표정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한 편 더 읽자.


재춘이 엄마가 이 바닷가에 조개구이집을 낼 때
생각이 모자라서, 그보다 더 멋진 이름이 없어서
그냥 ‘재춘이네’라는 간판을 단 것은 아니다.
재춘이 엄마뿐이 아니다.
보아라, 저
갑수네, 병섭이네, 상규네, 병호네.


재춘이 엄마가 저 간월암 같은 절에 가서
기왓장에 이름을 쓸 때,
생각나는 이름이 재춘이밖에 없어서
‘김재춘’이라고만 써 놓고 오는 것은 아니다.


(…)


재춘아, 공부 잘해라!
―‘재춘이 엄마’에서


이 시에서 시치미를 뗀 곳은? 물론 “재춘아, 공부 잘해라!”다. 재춘이는 실로 부담스럽겠지만, 이 문장에 일격처럼 붙어 있는 느낌표에서 우리는 기분 좋게 웃는다.
짧은 시 세 편 엄선해서 옮긴다.


어느 날인가는 슬그머니
산길 사십 리를 걸어내려가서
부라보콘 하나를 사먹고
산길 사십 리를 걸어서 돌아왔지요.


라디오에서 들은 어떤 스님이야긴데
그게 끝입니다.
싱겁지요?
―‘어느 날인가는’ 전문



스님의 ‘싱거운’ 욕망이 무구하다.



꽃이 지니 몰라보겠다.


용서해라.
련(蓮).
―‘목련에게’ 전문



‘목련에게’라고 시치미를 떼고 있지만 아무래도 꽃 시절을 다 보낸 첫사랑 여인이라도 만난 것 같다.


부여중학교, 오늘도
이층 창가에 서서
당신을 내려다보고 있는
저 여선생을 이기려면


나는 아무래도, 여기
표 파는 여자나 되어야 할까봐요.
정림사지 오층석탑
당신을 흔들자면.
―‘춘향가’ 전문



‘석탑’ 같은 당신과 여선생과 매표소 직원의 이 춘향(春香) 같은 삼각관계.
윤제림의 시를 읽으면서 생각했다. 짧은 시가 대체로 체통을 잃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감정이 뛰어놀 운동장이 좁아서일 것이다. 시에서 감정은 문장들을 갈기갈기 찢어낼 정도로 격렬하게 방출되거나 그 그림자조차도 보이지 않게 문장들 속으로 꼭꼭 여며져야 한다. 그러니까 ‘자기’라는 것을 파괴해버리거나 아예 모른 척해버려야 한다. 어중간하면 흉하다. 어중간할 때, 감정은 더러 자기애 쪽으로 끌려간다. ‘제림’은 필명이고 본명은 ‘준호’다. 서울예술대학 광고창작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문예창작학과가 아니고? 본래 좋은 카피는 한 줄짜리 시이기도 하니까.


― 신형철 (문학평론가)

=================================================================

262. 경계 / 백무산








경계

백 무 산

누가 이런 길 내었나
가던 길 끊겼네
무슨 사태 일었나 가파른
벼랑에 목이 잘린 길 하나 걸렸네

옛길 버리고 왔건만
새 길 끊겼네

날은 지고
울던 새도 울음 끊겼네

바람은 수직으로 솟아 불고
별들도 발 아래 지네

길을 가는 일은 언제나 길을 버리는 일
새 길은 길에 있지 않고 발끝에서 일어나네

나 이제 경계의 길을 가려네

아스라히 허공에서 일어나는 길
나 이제 모든 경계의 길을 가려네




백무산 시집 <인간의 시간> 중에서
--------------------------------------------------------

263. 꽃 / 백무산













백 무 산

내 손길이 닿기 전에 꽃대가 흔들리고 잎을 피운다
그것이 원통하다

내 입김도 없이 사방으로 이슬을 부르고
향기를 피워 내는구나
그것이 분하다

아무래도 억울한 것은
네 남은 꽃송이 다 피워 내도록
들려줄 노래 하나 내게 없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내 가슴을 치는 것은
너와 나란히 꽃을 피우는 것은 고사하고
내 손길마다 네가 시든다는 것이다

나는 위험한 물건이다
돌이나 치워주고
햇살이나 틔워 주마
사랑하는 이여


백무산 시집 <인간의 시간>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23 詩作初心 - 명상과 詩 2016-02-24 0 4501
1122 [아침 詩 한수] - 오징어 2016-02-24 0 3624
1121 [아침 詩 한수] - 기러기 한줄 2016-02-23 0 3919
1120 열심히 쓰면서 질문을 계속 던져라 2016-02-21 0 3870
1119 남에 일 같지 않다... 문단, 문학 풍토 새로 만들기 2016-02-21 0 3800
1118 동주, 흑백영화의 마력... 2016-02-21 0 3702
1117 詩作初心 - 현대시의 靈性 2016-02-20 0 3747
1116 詩作初心 - 시에서의 상처, 죽음의 미학 2016-02-20 0 3421
1115 같은 詩라도 행과 연 구분에 따라 감상 차이 있다... 2016-02-20 0 3841
111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의 다의성(뜻 겹침, 애매성) 2016-02-20 0 4235
111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술 한잔 권하는 詩 2016-02-20 0 4372
1112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만드는 詩, 씌여지는 詩 2016-02-20 0 3785
1111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비상 이미지 동사화 2016-02-20 0 4191
1110 무명 작고 시인 윤동주 유고시 햇빛 보다... 2016-02-19 0 4579
1109 윤동주 시집 초판본의 초판본; 세로쓰기가 가로쓰기로 2016-02-19 0 4205
1108 별이 시인 - "부끄러움의 미학" 2016-02-19 0 5434
1107 윤동주 유고시집이 나오기까지... 2016-02-19 0 5350
1106 윤동주 시인의 언덕과 序詩亭 2016-02-19 0 4324
1105 무명詩人 2016-02-18 0 4137
1104 윤동주 코드 / 김혁 2016-02-17 0 4266
1103 99년... 70년... 우리 시대의 "동주"를 그리다 2016-02-17 0 4113
1102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2016-02-17 0 3976
1101 윤동주와 송몽규의 <판결문> 2016-02-16 0 4077
1100 윤동주, 이 지상에 남긴 마지막 절규... 2016-02-16 0 4002
1099 詩와 함께 윤동주 발자취 더듬어보다... 2016-02-16 0 3661
1098 풍경 한폭, 우주적 고향 그리며 보다... 2016-02-16 0 3973
1097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그로테스크 2016-02-15 0 4280
1096 오늘도 밥값을 했씀둥?! 2016-02-14 0 4230
1095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色은 상징 2016-02-14 0 4134
109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함축과 암시 2016-02-14 0 3498
109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적 이미지 2016-02-14 0 4056
1092 벽에 도전하는것, 그것 바로 훌륭한 詩 2016-02-14 0 3712
1091 전화가 고장난 세상, 좋을씨구~~~ 2016-02-14 0 3778
1090 詩는 읽는 즐거움을... 2016-02-13 0 4835
1089 詩에게 생명력을... 2016-02-13 0 3825
1088 詩가 원쑤?, 詩를 잘 쓰는 비결은 없다? 있다? 2016-02-13 0 4216
108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난 시인들 - 박두진 2016-02-12 0 4020
1086 詩人을 추방하라???... 2016-02-11 0 3431
1085 C급 詩? B급 詩? A급 詩?... 2016-02-11 0 3545
1084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신석초 2016-02-10 0 5091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