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만드는 詩, 씌여지는 詩
2016년 02월 20일 03시 51분  조회:3786  추천:0  작성자: 죽림
만들 것인가, 발견할 것인가


최근에 다음과 같은 시를 한 편 썼다. 썼다라기보다는 <씌어졌다>라고 해야 더 가까운 표현이 될 것이다. 그만큼 이 시에는 시 자체로서의 자율성이 앞서고 있다. <감정의 유로>로 정의되는 낭만주의 시의 본질론과는 다른 생명의 작동 같은 것이 거기 있었음을 말하고자 함이다. 시에도 <생태>라는 것이 있음을 나는 근간 적극 동의해오고 있다. 제 스스로 언어의 몸짓을 하는 시와 더불어 나는 이즈음의 내 삶을 이끌고 있다. 내 의지로서의 이른바 언어적 조율이 없는 것은 아니었으나, 그건 언제나 후행의 작업으로 왔다. 그런만큼 퇴고의 시간이 전에 없이 줄어들었다.

미리 젖어 있는 몸들을 아니? 네가 이윽고 적시기 시작하면 한 번 더 젖는 몸들을 아니? 마지막 물기까지 뽑아 올려 마중하는 것들, 용쓰는 것 아니? 비 내리기 직전 가문 날 나뭇가지들 끝엔 물방울들이 맺혀 있다 지리산 고로쇠나무들이 그걸 제일 잘 한다 미리 젖어 있어야 더 잘 젖을 수 있다 새들도 그걸 몸으로 알고 둥지에 스며들어 날개를 접는다 가지를 스치지 않는다 그 참에 알을 품는다

봄비 내린다
저도 젖은 제 몸을 한 번 더 적신다
-⌈봄비⌋ 전문, 『시인세계』, 2003. 봄.

우이산록에 삼십여 년 가깝게 살고 있는 나는 어지간히 산의 냄새를 맡을 줄 알게도 되었지만, 자연을 느끼는 내 수준은 봄철이면 환경운동가들이 <지금 새들이 알을 품고 있는 중이오니 조용히 하세요>라고 작은 팻말들을 나뭇가지에 내어 걸은 것을 보고는 그저 발자국 소리를 스스로 죽이는 경외감을 가지는 그 정도였다. 그런데 요즈음엔 조금 다른 눈이 뜨이고 귀가 트이고 있는 나를 발견하고 있다. 누구의 말대로 이순의 나이가 되었으니 가는귀가 먹어 이젠 들리는 소리보다 들리지 않는 소리를 더 잘 듣게 된 것일까. 어쨌건 그 발견에 호들갑을 떨지 않도록 나를 스스로 다독이고 있다. 삼십여년 세월로서는 사뭇 늦깎이이다.
이 시를 쓴 지난 3월 하순, 나는 여느 때와 다름없이 산을 오르다가 푸른 기가 감도는 나뭇가지들에 눈이 갔다. 그런데 나뭇가지들 끝에 물방울들이 조롱조롱 맺혀 햇빛에 반짝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지난 밤 내린 이슬들의 결로結露현상이 아닌가 했더니 아무래도 그게 아니었다. 시간으로 보거나 물방울의 크기로 보거나 그렇게 볼 수가 없었다. 스스로 뽑아 올린 것이었다. 용쓰듯. 의아해하고 있는 내게 지나가던 노인이 봄이 와서 한참 가물다가 봄비가 내릴 징후가 보이면 나무들이 그런다는 것을 일러 주었다. 온몸에 찌르르르 전율이 왔다. 식물학적으로 확인을 해 보지는 않았으나 수긍이 감동과 함께 온몸으로 왔다. 생체를 지닌 것들의 관능적인 반응이 모두 저러하지 않은가. <물>로 나타나지 않던가. 절대적인 사랑은 스스로 제 몸을 적시는 실체의 것이 아니던가. 절대적 교감의 실물반응, 오! 얼마나 놀라운 것인가. < 미리 젖어 있어야 더 잘 젖을 수 있다>는 말이 저절로 나왔다. 감히 <화엄동체>라는 말에까지 의식의 더듬이가 가서 닿았다. 나무들도 예외가 아니라니!
눈을 돌려보니 올해도 어김없이 <지금 새들이 알을 품고 있는 중이오니 조용히 하세요>라 쓰인 그 작은 팻말들이 나무들에 새로 걸려 있었다. 새들도 나무들과 봄비의 그 <교감>을 생명으로 실체화하는 절대의 시간과 공간 속에 스스로를 고요히 가두고 있었다. 어디선가 그랬던 것처럼 더 확신에 찬 어조로 나는 <상징에는 실체가 있다!> 또 한 번 외쳤다. 자연에는 이토록 아름다운 우주적 화응이 있다. 나무들과 새들에게도 무슨 영성이 있는 것일까. 저러한 모습으로 보아 그들에겐 몸이 영성이자 영성이 몸이다. 우리 사람들처럼 따로따로에 늘 빠져 시달리지 않는 그들에게서 나는 초월의 궁극, 그 실체를 보았던 셈이다. 뛰도록 기뻤다.(호들갑 떨지 말자. 내 안을 흐르는 그간의 번뇌와 갈등, 마음공부의 기류가 막히지 않도록 몸을 잘 간수하자. 내 <슬픔의 중량>이 좀더 나가야 하리라.)
얼마 전에도 나는 <이 세상에 시적인 기골氣骨, 비위脾胃, 폐장肺腸을 갖춘 총명한 사람 가운데, 어떤 시를 먼저 숙독하느라 자신의 심금을 묶어 두고 그런 다음 시를 짓는 자가 어디 있으랴!>라는 고전시화의 한 대목을 인용한 바가 있다. 이 말은 기존의 이론이나 시를 하나의 규범으로 삼아 거기 갇혀 버린 교주고슬膠柱鼓瑟의 답답함을 비판하고 경계한 것이겠으나, 한 걸음 더 나아가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곧 시의 성령으로서의 <몸>을 적극 내세운 말이다.
그러나 저간의 우리 시의 형편은 어떠했는가. 이 같은 본체는 뒷전에 밀어 두고 소위 지적인 방법을 앞세우거나 윤리적 주장을 위한 도구로서 시를 전락시켜 왔음은 우리 모두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 아닌가. 또한 화자의 우월적 포즈에 의한 관념의 화법으로 무엇보다 오염되지 않은 시의 생체를 매장시키고 있는 시편들이 창궐하고 있음은 어찌해야 하는가. 물론 저러함들도 일면 시가 담아야 할 ?의 또 다른 모습들이며 시 또한 그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는 것이지만, 그저 한낱 도구로서 시를 수용할 때 시는 정말 자유로울 수가 없다. 나무들이 제 몸의 물기를 용쓰듯 뽑아 올려 봄비를 마중하듯, 봄비가 젖은 제 몸을 다시 한 번 적시듯 화응하는 시의 우주적인 울림, 그게 시의 본체요 자유가 아닌가. 저러함은 <만들기>가 아니라 생체를 통한 만남으로 획득되는 <발견>이다.
만들 것인가, 발견할 것인가. 시의 생태에 온몸으로 동의하면서 나는 오늘도 산으로 간다. <시경>이자 <산경>을 읽으러 나는 거기 간다. 그러나 놀러 가야 한다. 가서 함께 <잘 노는 것>이 그것들을 잘 읽어 내는, 한 몸이 되는 지름길이다. 어제는 내가 오래 전부터 정해 놓고 놀러 가는 소나무 숲에서 장자가 말한 이른바 송뢰松籟소리를 듣다가 바람이 스스로 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소나무들이 열어 놓은 <구멍>으로 바람이 지나가느라고 소리가 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리가 왜 소리를 내는가. < 만파식적萬波息笛>을 비로소 요해了解하였다. 아하, 우주는 큰 <구멍>이다. 그것만이 아니다. 한참 소나무를 바라보며 무심코 고장난 내 무릎 관절을 쓰다듬다가 소나무는 무릎 관절이 없다는 것도 비로소 알았다. 무릎 관절이 없어 줄창 한평생 제자리에만 서 있는 소나무는 고장을 모르는 삶을 살고 있음을 발견했다. 무릎 관절이 있다고 잘난 체하며 세상을 마음대로 쏘다니고 그래 보았댔자 말이 굴신자재屈伸自在 예저기 피하고 피해다닌 꼴이 아닌가. 그게 내가 아닌가. 부끄러웠다. 쏘다닌 만큼 때는 때대로 묻히고, 제자리를 제대로 지켰다 할 수도 없고 퇴화해 버린 나의 남루. 결국은 나무보다 수명도 짧은 내 허무를 아프게 읽었다.
<만들 것인가, 발견할 것인가.> 나는 오늘도 숲으로 간다.

==================================================================



260. 슬프고 놀라운 / 백무산












슬프고 놀라운

백 무 산

내가 가꾼 텃밭에 잡초만 무성하네
내가 심어 싹을 틔운 것은
그늘에서 햇빛도 받지 못하였네

잡초들만 꽃을 피워 가득하네
내가 가꾼 것은 꽃망울도 맺지 못하였네

내가 꿈꾸어 온 것은 어디 가고
낯선 것만 내 텃밭에 뿌리내렸네

어쩌다 이리 낯선 삶만 무성한가

그래도 저것은 모두 내 텃밭에 핀 꽃들
저 꽃들 모두 날 찾아온 꽃들

뱉고 나면 언제나 낯선 말처럼
삶은 낯설어 슬프고 놀라운 것


백무산 시집 <길 밖의 길> 중에서




백무산 연보

1955년 경북 영천 출생(본명 백봉석)

1984년 <민중시>1집에 〈지옥선〉등을 발표하면서 등단.

1988년 첫 시집 <만국의 노동자여> 간행.

1989년 제1회 이산문학상 수상.

1990년 제2시집 <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 간행.
(이 시집은 1988~1989년까지의 현대중공업 파업사건을 주제로 씀.)

1996년 제3시집 <인간의 시간> 간행.

1997년 제12회 만해문학상 수상.

1999년 제4시집 <길은 광야의 것이다> 간행.

2003년 제5시집 <초심> 간행.

2004년 제6시집 <길 밖의 길> 간행.

2007년 제6회 아름다운 작가상 수상.

2008년 제7시집 <거대한 일상> 간행.

2009년 제1회 임화문학상, 제2회 오장환문학상 수상.


2012년 제8시집 <그 모든 가장자리>, 육필시선집 <그대 없이 저녁은 오고> 간행.
<노동해방문학> 편집위원, 노동운동가로 활동.
------------------------------------------------------------------------------
261. 운문행 / 백무산











운문행

백 무 산

운문에 가려고 버스를 기다리네
시골 낡은 정류장 무싯날 오후
온다는 차는 좀체 오지 않고
칠이 벗겨진 낡은 의자에 노인 두엇 졸고
매표구 안에는 남녀 서넛이 화투 패를 돌리고
뿌연 창에 비친 오후 햇살이 졸음을 몰고 오네
노인 하나 들어와 시간표를 하염없이 보다 가고
개 한 마리 어슬렁 대합실을 돌고 가네

신문을 사서 볼까 책을 읽을까 하다 말고
이럴 땐 생애를 읽어두는 게 좋을 듯하네

낡은 시간이 다 빠져나간 정류장에
글씨 몇 자 드러낼 것 같네

이토록 한없이 늘어진 졸음 끝에
글귀들이 먼지를 털고 일어날 것 같네

이럴 땐 갈 길도 잊어버리고
하염없이 졸다 차도 다 놓쳐 버리고 싶네

운문이 졸음 끝에 매달려 기둥이 썩고 있네


백무산 시집 <길 밖의 길>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23 詩作初心 - 명상과 詩 2016-02-24 0 4502
1122 [아침 詩 한수] - 오징어 2016-02-24 0 3624
1121 [아침 詩 한수] - 기러기 한줄 2016-02-23 0 3919
1120 열심히 쓰면서 질문을 계속 던져라 2016-02-21 0 3870
1119 남에 일 같지 않다... 문단, 문학 풍토 새로 만들기 2016-02-21 0 3801
1118 동주, 흑백영화의 마력... 2016-02-21 0 3702
1117 詩作初心 - 현대시의 靈性 2016-02-20 0 3748
1116 詩作初心 - 시에서의 상처, 죽음의 미학 2016-02-20 0 3422
1115 같은 詩라도 행과 연 구분에 따라 감상 차이 있다... 2016-02-20 0 3842
111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의 다의성(뜻 겹침, 애매성) 2016-02-20 0 4236
111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술 한잔 권하는 詩 2016-02-20 0 4372
1112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만드는 詩, 씌여지는 詩 2016-02-20 0 3786
1111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비상 이미지 동사화 2016-02-20 0 4191
1110 무명 작고 시인 윤동주 유고시 햇빛 보다... 2016-02-19 0 4579
1109 윤동주 시집 초판본의 초판본; 세로쓰기가 가로쓰기로 2016-02-19 0 4206
1108 별이 시인 - "부끄러움의 미학" 2016-02-19 0 5434
1107 윤동주 유고시집이 나오기까지... 2016-02-19 0 5350
1106 윤동주 시인의 언덕과 序詩亭 2016-02-19 0 4324
1105 무명詩人 2016-02-18 0 4138
1104 윤동주 코드 / 김혁 2016-02-17 0 4267
1103 99년... 70년... 우리 시대의 "동주"를 그리다 2016-02-17 0 4113
1102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2016-02-17 0 3976
1101 윤동주와 송몽규의 <판결문> 2016-02-16 0 4078
1100 윤동주, 이 지상에 남긴 마지막 절규... 2016-02-16 0 4003
1099 詩와 함께 윤동주 발자취 더듬어보다... 2016-02-16 0 3661
1098 풍경 한폭, 우주적 고향 그리며 보다... 2016-02-16 0 3973
1097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그로테스크 2016-02-15 0 4280
1096 오늘도 밥값을 했씀둥?! 2016-02-14 0 4230
1095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色은 상징 2016-02-14 0 4135
109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함축과 암시 2016-02-14 0 3498
109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적 이미지 2016-02-14 0 4057
1092 벽에 도전하는것, 그것 바로 훌륭한 詩 2016-02-14 0 3712
1091 전화가 고장난 세상, 좋을씨구~~~ 2016-02-14 0 3778
1090 詩는 읽는 즐거움을... 2016-02-13 0 4835
1089 詩에게 생명력을... 2016-02-13 0 3826
1088 詩가 원쑤?, 詩를 잘 쓰는 비결은 없다? 있다? 2016-02-13 0 4217
108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난 시인들 - 박두진 2016-02-12 0 4021
1086 詩人을 추방하라???... 2016-02-11 0 3431
1085 C급 詩? B급 詩? A급 詩?... 2016-02-11 0 3545
1084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신석초 2016-02-10 0 5092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