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의 다의성(뜻 겹침, 애매성)
2016년 02월 20일 04시 03분  조회:4236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인은 왜 애매하게 말하나



엄경희 (문학평론가, 숭실대학교 교수)







말의 첫 번째 기능은 상대에게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있다. 우리는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기 위해 애쓰며 논리적으로 자신의 뜻과 입장을 설명하곤 한다. 그러나 시인은 가급적 비논리적으로, 애매하게 말한다. 시가 어렵게 느껴지는 또 하나의 이유이다.
애매한 말은 일반적으로 곤혹스러움을 낳는다. 우리가 명쾌함에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시인은 왜 애매하게 말하나? 말하기 방식에는 이도가 내재해 있다. 시인이 애매성을 추구하는 이유는 단적으로 말해 인생사가 복합적이고 애매하기 때문이다.
내가 시의 애매성에 대해 이처럼 설명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웃는다. 그 답이 너무 당연하고 싱겁게 느껴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시인은 삶이 애매하기 때문에 애매하게 표현한다〉는 시작 원리를 우리는 매우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시인들은 애매한 것을 애매하게 이야기함으로써 인생의 진실에 닿을 수 있다고 믿는다. 여기에는 삶을 정확하게, 논리적으로 다 말할 수 없다는 경험과 통찰이 담겨있다.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는 잔여들을 아우르고자 할 때 시적 애매성은 탄생한다.



이 대목에서 짚고 넘어갈 것은 〈애매성〉이라는 문학 용어에 대한 이해가 문학 이론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사이에 다소 다르게 이해되고 있다는 점이다. 시 전문가나 교육자가 애매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는 주로 영미의 신비평가 윌리엄 엠프슨(Empson, Sir William, 1906~1984)이 말한 다의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애매성을 그야말로 의미가 불분명한, 수수께끼 같은, 직접적 이해가 가능하지 않은 문장이 발생시키는 성질로 이해하곤 한다.
이상섭은 이러한 오해를 줄이기 위해 앰프슨의 문학용어로서 〈애매성〉을 〈뜻 겹침〉이라는 용어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이 온당하다는 제안을 하기도 한다. 하나의 문장이나 단어에 뜻이 겹쳐 있는 것과 의미가 불분명한 것은 매우 다른 차원에 속한다. 뜻 겹침은 의미가 복합적이며 불분명한 것은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음을 뜻한다. 뜻 겹침이 의식의 복잡성이나 상상력의 풍부함에 의한 것이라면 궁극적으로 무슨 말인지 도무지 알 수 없게 만들어진 문장은 시인의 실수 혹은 역량미달에 의한 것이다.
뜻 겹침으로서의 시의 애매성을 시의 미감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애매성이 클수록 시적인 맛이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농후한 것이다. 애매성을 옹호하는 이 같은 시의 미학은 언어의 일반적 기능을 배반하는 것처럼 보인다. 애매성이란 의미가 하나로 고정되지 않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애매성은 의미가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를 갖는 것을 말한다. 이때 애매성은 난해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갖는다.
그런데 주목할 것은, 의미가 막연하거나 부정확한 것을 난해하다고는 할 수 있으나 애매하다고는 하지 않는다. 피상적 주제의식에 의해 대충 얼버무린 듯 보이는 언어의 집합은 애매한 것이 아니라 의미가 부적절하게 혹은 불충분하게 표현된 경우이다. 감식안이 있는 독자라면 애매성과 불분명함을 구분할 것이다.



그럼에도 이 둘은 종종 그 경계가 모호하기도 하다. 뜻 겹침을 드러내는 문장은 해석의 여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많이 내포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며 시의 문법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라면 이러한 부분을 매우 불분명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는 문장의 의미만이 아니라 정서적 효과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뉘앙스, 분위기, 울림 등이 언어에 스며 있기 때문에 더욱 그 불분명함이 증폭될 수 있다.
상기할 것은, 시의 언어가 애매성으로 독자를 곤혹스럽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명료함이 낳은 단순성과 배제적 성격을 넘어서고자 한다는 것이다.





막 이삭 패기 시작한 수숫대가
낮달을
마당 바깥 쪽으로 쓸어내고 있었다
아래쪽이 다 닳아진 달을 주워다 어디다 쓰나
생각한 다음날
조금 더 여물어진 달을
이번엔 洞口 개울물 한쪽에 잇대어
깁고 있었다



그러다가 맑디맑은 一生이 된
빈 수숫대를 본다
단 두 개의 서까래를 올린

속으로 달이
들락날락한다
——장석남, 「달과 수숫대 ―“貧”」전문





이 시는 달과 수숫대가 어우러진 풍경을 묘사하고 있지만 그 묘사의 언어 운용이 매우 애매한 작품이다. 그 애매성은 1연에서 보이는 주어와 술어, 수식어와 수식 대상의 연결이 일반적 어법에는 안 맞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우선 수숫대를 묘사한 부분부터 보면, 주어인 수숫대는 달을 〈쓸어내다〉, 닳아진 달을 어디다 쓰나 〈생각하다〉, 여문 달을 〈깁다〉등의 동사와 연결된다. 이러한 동사들에서 연상되는 것은 빗자루, 사람, 바늘이다. 시인은 빗자루나 바늘과 같은 생활도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은 채 쓸어내고 깁고 하며 이어가는 〈貧〉으로서의 생활을 암시하는 것이다.
즉 1연의 동사들은 자연과 생활을 연결하는 가교 기능을 한다. 따라서 수숫대가 서 있는 자연 풍경은 다만 자연 풍경이 아닌 빈궁한 생활과 겹쳐 있는 자연 풍경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이 시의 애매성은 1연의 주어와 서술어의 불일치로부터 생겨나며 시인은 이러한 불일치가 발생시키는 간극 속에 가난한 생활상을 압축시키고 구질구질한 빈궁의 실체를 생략해버린다.
다음으로 달을 보면, 낮달에서 아래쪽이 다 닳아진 달로 다시 조금 더 여물어진 달로 변화한다. 달을 수식하는 말에서 연상되는 것은 닳아진 사물(그릇), 단단해진 곡식 등이다. 이 부분에서도 뜻 겹침이 발생한다. 기울고 다시 차오르는 달의 형상처럼 닳아지고 다시 여물고 하는 것이 우리들의 생활이라고 시인은 말하는 것이리라. 그때마다 쓸어내고 꿰매지 않으면 생활의 말끔함을 잃게 된다.



한편 쓸어내고 깁고, 기울고 차오르고, 닳아지고 여물고 하는 과정의 변화는 시간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 과정의 최종 단계가 이 시에서는 〈맑디맑은 一生이 된/ 빈 수숫대〉와 〈단 두 개의 서까래로 올린/ 집〉으로 형상화된다. 각각은 자연과 생활을 대변한다. 이 앙상한 두 개의 이미지의 병치가 환기하는 것은 무엇일까?
병치는 그야말로 겹쳐놓기이다. 비어있는 자연과 생활에는 시인이 생각하는 가난의 의미가 투영되어 있다. 그것은 비루한 가난이 아닌 바로 淸貧을 뜻한다. 결핍과 고통으로 가득한 가난이 아니라 맑고 깨끗한 가난을 강조함으로써 시인은 한 정신주의자의 지향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것을 시인은 열매를 맺고 비워내는 수숫대, 차오르고 기우는 달의 형상 즉 자연의 형상과 쓸어내고 깁고 하는 생활의 형상을 겹쳐 하나의 풍경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성취한다.
자연의 순리를 따라가는 생활의 청빈은 이 같은 겹침에 의해 의미화되는 것이다. 달이 들락날락하는 동양화풍의 여백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때 〈貧〉의 분위기는 한적함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 시는 〈安貧樂道〉라는 전통적 관념을 표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안빈낙도의 정신의 근간은 욕심의 채움이 아니라 비움이다. 이러한 주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과 같은 현실 구조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자칫하면 고리타분한 혹은 시대착오적인 주제가 될 수도 있다.
장석남은 자연과 생활의 결합이라는 전통적 맥락을 수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맥락에 애매성을 증폭시키는 서술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자연과 생활을 그대로 직결시키려는 전통시의 도식적 수용으로부터 자신의 시를 구출해낸다. 이때 안빈낙도의 멋스러움은 살아나고 그 주제는 새로운 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
엄경희
* 200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
* 저서 『未堂과 木月의 시적 상상력』『저녁과 아침 사이 詩가 있었다』『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사회적 전통』외

====================================================================================

264. 그런 날이 있다 / 백무산








그런 날이 있다

백 무 산

생각이 아뜩해지는 날이 있다
노동에 지친 몸을 누이고서도
창에 달빛이 들어서인지
잠 못 들어 뒤척이노라니
이불 더듬듯이 살아온 날들 더듬노라니
달빛처럼 실체도 없이 아뜩해
살았던가
내가 살긴 살았던가

언젠가 아침 해 다시 못 볼 저녁에 누워
살아온 날들 계량이라도 할 건가
대차대조라도 할 건가
살았던가
내가 살긴 살았던가

삶이란 실체 없는 말잔치였던가
내 노동은 비를 피할 기왓장 하나도 못되고
말로 지은 집 흔적도 없고
삶이란 외로움에 쫓긴 나머지
자신의 빈 그림자 밟기

살았던가
내가 살긴 살았던가


백무산 시집 <인간의 시간> 중에서
------------------------------------------------------------

265. 눈을 기다려 / 백무산











눈을 기다려

백 무 산

사나흘 눈 내리고 녹기도 전에
또 눈 내리자 사람들은
하늘 보며 지겹다 하지만
나는 눈이 모자라 하늘을 보네

길 끊겼다 투덜대고 원망들 하지만
내사 이때라도 세상길 한 번 뚝
끊어 먹는 일 반기고 좋아라

사방팔방 들뜬 길 지르고 뚫린 다음
마음 길 돌아보지 못해
나무들과 형편없이 멀어져버렸네

흰 눈 내려 사방팔방 뚫린 길 지우고
눈밭에 나무로 서서 한 철 겨울을 나고 싶어
눈을 기다려 폭설을 기다려 하늘을 보네


백무산 시집 <초심>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23 詩作初心 - 명상과 詩 2016-02-24 0 4501
1122 [아침 詩 한수] - 오징어 2016-02-24 0 3624
1121 [아침 詩 한수] - 기러기 한줄 2016-02-23 0 3919
1120 열심히 쓰면서 질문을 계속 던져라 2016-02-21 0 3870
1119 남에 일 같지 않다... 문단, 문학 풍토 새로 만들기 2016-02-21 0 3800
1118 동주, 흑백영화의 마력... 2016-02-21 0 3702
1117 詩作初心 - 현대시의 靈性 2016-02-20 0 3747
1116 詩作初心 - 시에서의 상처, 죽음의 미학 2016-02-20 0 3421
1115 같은 詩라도 행과 연 구분에 따라 감상 차이 있다... 2016-02-20 0 3841
111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의 다의성(뜻 겹침, 애매성) 2016-02-20 0 4236
111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술 한잔 권하는 詩 2016-02-20 0 4372
1112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만드는 詩, 씌여지는 詩 2016-02-20 0 3785
1111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비상 이미지 동사화 2016-02-20 0 4191
1110 무명 작고 시인 윤동주 유고시 햇빛 보다... 2016-02-19 0 4579
1109 윤동주 시집 초판본의 초판본; 세로쓰기가 가로쓰기로 2016-02-19 0 4205
1108 별이 시인 - "부끄러움의 미학" 2016-02-19 0 5434
1107 윤동주 유고시집이 나오기까지... 2016-02-19 0 5350
1106 윤동주 시인의 언덕과 序詩亭 2016-02-19 0 4324
1105 무명詩人 2016-02-18 0 4137
1104 윤동주 코드 / 김혁 2016-02-17 0 4266
1103 99년... 70년... 우리 시대의 "동주"를 그리다 2016-02-17 0 4113
1102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2016-02-17 0 3976
1101 윤동주와 송몽규의 <판결문> 2016-02-16 0 4077
1100 윤동주, 이 지상에 남긴 마지막 절규... 2016-02-16 0 4002
1099 詩와 함께 윤동주 발자취 더듬어보다... 2016-02-16 0 3661
1098 풍경 한폭, 우주적 고향 그리며 보다... 2016-02-16 0 3973
1097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그로테스크 2016-02-15 0 4280
1096 오늘도 밥값을 했씀둥?! 2016-02-14 0 4230
1095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色은 상징 2016-02-14 0 4134
109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함축과 암시 2016-02-14 0 3498
109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적 이미지 2016-02-14 0 4056
1092 벽에 도전하는것, 그것 바로 훌륭한 詩 2016-02-14 0 3712
1091 전화가 고장난 세상, 좋을씨구~~~ 2016-02-14 0 3778
1090 詩는 읽는 즐거움을... 2016-02-13 0 4835
1089 詩에게 생명력을... 2016-02-13 0 3825
1088 詩가 원쑤?, 詩를 잘 쓰는 비결은 없다? 있다? 2016-02-13 0 4216
108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난 시인들 - 박두진 2016-02-12 0 4020
1086 詩人을 추방하라???... 2016-02-11 0 3431
1085 C급 詩? B급 詩? A급 詩?... 2016-02-11 0 3545
1084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신석초 2016-02-10 0 5091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