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즈려밟다" 와 "지르밟다"
2017년 02월 19일 16시 21분  조회:3573  추천:0  작성자: 죽림

1.

'즈려밟다'는 '지르밟다'의 잘못된 표기입니다.
표준어는 국민의 언어생활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므로
'즈려밟다'라는 어휘가 오랜 시간에 걸쳐 많은 이들에 의해 쓰인다면, 표준어로 인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2.

'즈려밟다'를 '지르밟다'의 평안도 사투리로 보는 관점도 있습니다.


3.

'지르밟다'가 '짓밟다'의 북한어라는 견해는 확인이 되지 않아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
 

========================////////////////////////==========
산과 들이 불이라도 난 듯 붉게 물드는 봄이다. 이 계절을 봄답게 만드는 주역 중 하나는 역시 너른 야산에 흐드러지게 피는 진달래와 철쭉이다.

그런데 둘의 처지는 천양지차다. 같은 진달랫과인데도 진달래는 참꽃으로, 철쭉은 개꽃으로 불린다. 왜일까. 먹을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 때문이다. 진달래는 칡, 쑥처럼 춘궁기(春窮期)나 흉년에 밥 대신 배를 채울 수 있는 구황식물(救荒植物)이다. 반면 철쭉은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다. 철쭉은 억울하겠으나 목구멍이 포도청인 시절에 붙은 이름이니 누굴 탓하랴.

참꽃의 ‘참-’은 ‘진짜’와 ‘썩 좋다’는 뜻을 가진 접두사다. 참꽃, 즉 진달래는 ‘진짜 달래’라는 뜻이다. ‘개-’는 진짜나 좋은 것이 아니라는, 보잘것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개꿈 개살구 개나리 같은 낱말들을 봐도 알 수 있다. 

개나리? 개나리의 ‘개-’가 별 볼 일 없다는 뜻이라면 고개를 갸웃할 독자들이 많을 줄 안다. 그러나 앞에 예를 든 ‘개나리’는 봄의 대표적 전령사이자, ‘나리 나리 개나리 입에 따다 물고요’(봄나들이·윤석중 작사 권태호 작곡)에 나오는 물푸레나뭇과의 그 개나리가 아니다. 야생하는 나리의 총칭인 ‘개-나리’를 말한 것이다. 

진달래 하면, 김소월 시인이 자연스레 떠오른다. 애절한 사랑과 이별, 그리고 한(恨)을 호소력 있게 표현한 그의 시 ‘진달래꽃’은 국민시나 마찬가지다. 가수 마야가 2003년 노래로 불러 히트하기도 했다. 이 시의 한 대목, “가시는 걸음 걸음/놓인 그 꽃을/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에 나타나는 ‘즈려밟다’는 표준어가 아니라는 사실을 아시는지. ‘위에서 내리눌러 밟다’라는 의미의 바른말은 ‘지르밟다’이다. 이때의 ‘지르-’는 ‘내리누르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신이나 버선 따위를 뒤축을 눌러 신는 게 ‘지르신다’이고, 아랫니와 윗니를 꽉 눌러 무는 게 ‘지르물다’이다. 

 
철쭉에는 산철쭉 왜철쭉 황철쭉 등이 있다. 이 중 왜철쭉을 많은 사람들이 ‘연산홍’이라고 부르는데 바른말은 ‘영산홍(映山紅)’이다. 말 그대로 ‘산을 붉게 비치게 한다’는 뜻이다. 

자, 그간 잊고 살던 산에 올라 봄꽃 향기에 흠뻑 취해봄은 어떨지...
아, 참꽃 한입 베어 물며 조상들이 겪었던 고생을 잠시 느껴보는 것도 잊지 마시고... 


/손진호 어문기자


=========================
//////////////////////////////////////////////////////////
=========================

@@
시인은 날마다 못을 박고 빼듯이
시를 썼다 고치다가
절로 묘비명을 새기고 만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30 윤동주가 가장자리에서 정중앙자리에 서다... 2018-07-08 0 2309
11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쉽게 씌여진 시 2018-07-08 0 5338
112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관부련락선" 2018-07-08 0 3845
1127 인생이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정말 아니다... 2018-07-07 0 2208
1126 호박아 호박아 너는 뚱뚱보 엄마다... 2018-07-07 0 2548
1125 윤동주와 영화 "동주"에 등장하는 윤동주 시 15편 2018-07-06 0 2485
112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흰 그림자 2018-07-06 0 3253
112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회록 2018-07-06 0 5645
112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시 "간"과 "토끼전" 2018-07-05 0 3510
1121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시 "간"과 "코카사쓰", "프로메테우스" 2018-07-05 0 4008
112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肝) 2018-07-05 0 4078
111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별 헤는 밤 2018-07-05 0 3946
1118 윤동주와 우물틀 2018-07-04 0 2648
1117 해바라기 이야기는 고소하고 길다... 2018-07-04 0 2405
111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다른 고향 2018-07-04 0 6552
1115 윤동주와 하숙집 터 2018-07-03 0 4507
11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는 하나!!! 2018-07-03 0 2259
1113 윤동주를 알린 일본 시인 - 이바라기 노리코 2018-07-02 0 2731
111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돌아와 보는 밤 2018-07-02 0 2812
1111 [동네방네] - "詩碑문제"와 "是非문제" 2018-07-02 0 2332
1110 윤동주와 "백석시집" - "사슴" 2018-07-02 0 2374
11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십자가 2018-07-02 0 5525
1108 "詩여 침을 뱉고 또 뱉어라"... 2018-07-01 0 3841
11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애 2018-07-01 0 4388
1106 이래저래 해도 뭐니뭐니 해도 그래도 학교 갈때가 제일이야... 2018-06-30 0 2095
110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소낙비 2018-06-30 0 3903
1104 윤동주와 그의 룡정자택 2018-06-29 0 3588
1103 윤동주의 친구 장준하, 문익환 2018-06-29 0 2256
1102 윤동주의 친구 정병욱 2018-06-29 0 3870
1101 윤동주의 친구 강처중 2018-06-29 0 2751
1100 "빨랫줄을 보면 또 어머니 생각이 납니다"... 2018-06-29 0 2097
10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한난계 2018-06-29 0 3808
1098 "밥상에서 시가 나와요"... 2018-06-28 0 2269
1097 시속에서 우주의 목소리가 펼쳐진다... 2018-06-25 0 2339
1096 시속에서 무한한 세상이 펼쳐진다... 2018-06-25 0 2316
1095 시속에서 사랑의 노래가 펼쳐진다... 2018-06-25 0 2314
10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풍경 2018-06-16 0 4392
10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림 2018-06-16 0 2983
109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상 2018-06-16 0 3120
10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 2018-06-14 0 3122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