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한국 최초의 번역시집, 최초의 현대 시집 / 김억
2017년 02월 19일 16시 46분  조회:4684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대 근대
저작자 김억
창작/발표시기 1921년 3월 20일(초판), 1923년 8월(재판)
성격 시집, 번역시집
유형 문헌
권수/책수 1책
간행/발행 광익서관
분야 문학/현대문학

요약 김억(金億)의 번역시집.

오뇌의 무도 / 김억
오뇌의 무도 / 김억

김억의 번역시집. 광익서관에서 1921년 발행했다.
우리 나라 최초의 번역시집인 동시에,
단행본으로 출판된 우리 나라 최초의 현대 시집이기도 하다.

개설

총 168면. 광익서관(廣益書錧) 발행으로 초판은 1921년 3월 20일, 재판은 1923년 8월에 나왔다. 우리나라 최초의 번역시집인 동시에, 단행본으로 출판된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 시집이기도 하다. 김유방(金惟邦)의 장정에 장도빈(張道斌)·염상섭(廉想涉)·변영로(卞榮魯)의 서문과 역자 자신의 서문이라고 할 수 있는 글, 그리고 김유방의 서시가 그 첫머리를 장식하고 있다.

내용

1918년부터 1920년 사이에 김억이 『태서문예신보』·『창조』·『폐허』 등의 지면을 통하여 발표하였던 역시들을 한데 모은 것이다. 번역의 대본은 세계어(에스페란토) 역본이며 이밖에도 영어와 일어를 주로 참고하고 불어도 힘 있는 한 참고하였다고 역자 자신이 밝히고 있다.

베를렌의 「가을의 노래」 등 21편, 구르몽의 「가을의 따님」 등 10편, 사맹의 「반주(伴奏)」 등 8편, 보들레르의 「죽음의 즐거움」 등 7편, 예이츠의 「꿈」 등 6편, 기타 시인의 작품으로 「오뇌의 무도곡」 속에 23편, 「소곡(小曲)」에 10편 등 총 85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재판본에서는 일부 시인의 작품이 삭제되거나 추가되어 초판보다 약 10편이 더 많은 94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같은 작품의 경우에도 끊임없는 퇴고 과정을 통하여 적지 않게 변모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모두 김억의 철저한 리듬 의식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는데, 김억은 역시에서 원시가 지니고 있는 리듬에는 미치지 못한다 해도, 가능한 한계까지 한국어의 리듬을 살려보려고 섬세하게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

의의와 평가

『오뇌의 무도』가 우리 근대시에 미친 영향은 획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남선(崔南善)으로부터 끊임없이 모색되어온 한국 자유시의 형태가 이들 김억의 번역시를 통하여 자리 잡혀진 것을 우선 들어야 할 것이다. 또한, 베를렌의 「작시론(Art poetique)」의 번역은 당시로서는 하나의 새로운 시의 경전(經典)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풍기는 가늘고 여리고, 애달프고 서러운 감각은 권태·절망·고뇌를 거쳐 나타내는 병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1920년대 전기의 우리 시의 체질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Daum백과] 오뇌의무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출생일 1896. 11. 30, 평북 정주
사망일 미상
국적 한국

요약 1910년대부터 프랑스 상징파의 시 등 외국시를 번역·소개하여 근대문학 형성에 이바지했으며, 오산학교 교사로 있으면서 김소월을 발굴,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키웠다. 
1920년 〈폐허〉·〈창조〉의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폐허〉에 베를렌의 시를 연재하고, 번역시 〈가을의 노래〉·〈작시론〉 등 19편과 문예이론으로 〈스핑쓰의 고뇌〉(폐허, 1920. 7)·〈플로베르론〉(폐허, 1921. 1) 등을 소개했다. 〈창조〉에는 투르게네프의 시를 비롯한 많은 외국시를 번역했고 모파상의 소설 〈고독〉(창조, 1921. 1)을 소개했다. 그가 소개한 퇴폐주의 시인과 작품은 1920년대 문단에 많은 영향을 미쳐, 한때 퇴폐주의 문학이 문단을 휩쓸기도 했다.

 
김억
김억

김억의 시집 〈해파리의 노래〉, 조선도서주식회사 (1923.6.30) 발간

1910년대부터 프랑스 상징파의 시 등 외국시를 번역·소개하여 근대문학 형성에 이바지했다. 초명은 희권, 필명은 안서·안서생·AS.

오산중학교를 거쳐 1913년 게이오[慶應]의숙 영문과에 입학했으나 아버지의 죽음으로 중퇴했다. 도쿄 유학시절인 1914년 4월 〈학지광〉에 시〈이별〉을 시작으로 〈학지광〉 5호에 시 〈야반〉·〈밤과 나〉·〈나의 적은 새야〉, 6호에 〈예술적 생활〉, 10호에 〈요구와 회환〉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문단에 나왔다. 1916년 오산학교 교사로 있으면서 김소월을 가르치기도 했다. 1918년 〈태서문예신보〉 4호에 투르게네프의 시를 번역하고 5호에 〈믿으라〉·〈오히려〉·〈봄은 간다〉등의 시를 발표하여 본격적인 문학활동을 했다. 최남선이 보여준 계몽성의 시를 극복하고 새로운 자유시 형태를 보여주었다.

〈태서문예신보〉 6호에 베를렌의 〈거리에 내리는 비〉·〈검은 끝없는 잠〉이란 시를 번역했으며, 〈프랑스 시단〉·〈소로굽의 인생관〉을 통해 서양 문예이론을 소개했다. 〈시형의 음률과 호흡〉(조선문예, 1919. 2)에서 운율은 생리현상인 호흡에 기초한다는 말을 했는데, 이것은 프랑스 후기 상징파 시인인 폴 클로델의 '호흡률'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여기서 예술의 내용과 형식의 이원구조성을 '심령과 육체의 조화'로 표현하여 예술의 기본개념을 밝히고 있다.

1920년 〈폐허〉·〈창조〉의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폐허〉에 베를렌의 시를 연재하고, 번역시 〈가을의 노래〉·〈작시론〉 등 19편과 문예이론으로 〈스핑쓰의 고뇌〉(폐허, 1920. 7)·〈플로베르론〉(폐허, 1921. 1) 등을 소개했다. 〈창조〉에는 투르게네프의 시를 비롯한 많은 외국시를 번역했고 모파상의 소설 〈고독〉(창조, 1921. 1)을 소개했다. 그가 소개한 퇴폐주의 시인과 작품은 1920년대 문단에 많은 영향을 미쳐, 한때 퇴폐주의 문학이 문단을 휩쓸기도 했다.

초기의 창작시는 〈해파리의 노래〉(1923)에 싣고 그밖의 번역시는 〈오뇌의 무도〉에 모아 펴냈다. 동아일보사 학예부 기자, 경성방송국 등에서 일했으며 〈가면〉의 편집을 맡기도 했는데, 이무렵 많은 번역시와 민요시를 발표하여 문단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 해방 후에는 수선사라는 출판사의 주간으로 있었고, 6·25전쟁 때 이광수·박영희와 함께 납북될 때까지 잡지 〈개벽〉·〈조선문단〉·〈신동아〉·〈신인문학〉·〈동아일보〉·〈매일신보〉를 통해 300편이 넘는 시와 150편 정도의 평론을 발표했다.

그의 시세계는 〈해파리의 노래〉·〈안서시집〉(1929)·〈안서시초〉(1941)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해파리의 노래〉는 자유시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안서시초〉의 시대에는 7·5조의 민요시 형태를 보여준다. 후기 시에 보이는 정형성은 뒤에 그가 한시를 번역하면서 영향받은 듯하다. 시집 〈금모래〉(1925)·〈민요시집〉(1948), 희곡 〈젊은 그들〉(1933), 수필집 〈사상산필〉(1931), 번역시집 〈기탄잘리〉(1923) 등이 있으며 한시를 번역한 〈망우초〉(1934)가 있다.



[Daum백과] 김억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30 윤동주가 가장자리에서 정중앙자리에 서다... 2018-07-08 0 2493
11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쉽게 씌여진 시 2018-07-08 0 5729
112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관부련락선" 2018-07-08 0 4062
1127 인생이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정말 아니다... 2018-07-07 0 2401
1126 호박아 호박아 너는 뚱뚱보 엄마다... 2018-07-07 0 2775
1125 윤동주와 영화 "동주"에 등장하는 윤동주 시 15편 2018-07-06 0 2663
112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흰 그림자 2018-07-06 0 3523
112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회록 2018-07-06 0 5948
112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시 "간"과 "토끼전" 2018-07-05 0 3706
1121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시 "간"과 "코카사쓰", "프로메테우스" 2018-07-05 0 4258
112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肝) 2018-07-05 0 4290
111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별 헤는 밤 2018-07-05 0 4144
1118 윤동주와 우물틀 2018-07-04 0 2903
1117 해바라기 이야기는 고소하고 길다... 2018-07-04 0 2606
111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다른 고향 2018-07-04 0 6867
1115 윤동주와 하숙집 터 2018-07-03 0 4762
11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는 하나!!! 2018-07-03 0 2496
1113 윤동주를 알린 일본 시인 - 이바라기 노리코 2018-07-02 0 2924
111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돌아와 보는 밤 2018-07-02 0 3091
1111 [동네방네] - "詩碑문제"와 "是非문제" 2018-07-02 0 2510
1110 윤동주와 "백석시집" - "사슴" 2018-07-02 0 2585
11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십자가 2018-07-02 0 5827
1108 "詩여 침을 뱉고 또 뱉어라"... 2018-07-01 0 4229
11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애 2018-07-01 0 4757
1106 이래저래 해도 뭐니뭐니 해도 그래도 학교 갈때가 제일이야... 2018-06-30 0 2354
110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소낙비 2018-06-30 0 4144
1104 윤동주와 그의 룡정자택 2018-06-29 0 3800
1103 윤동주의 친구 장준하, 문익환 2018-06-29 0 2521
1102 윤동주의 친구 정병욱 2018-06-29 0 4179
1101 윤동주의 친구 강처중 2018-06-29 0 2960
1100 "빨랫줄을 보면 또 어머니 생각이 납니다"... 2018-06-29 0 2336
10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한난계 2018-06-29 0 4120
1098 "밥상에서 시가 나와요"... 2018-06-28 0 2457
1097 시속에서 우주의 목소리가 펼쳐진다... 2018-06-25 0 2544
1096 시속에서 무한한 세상이 펼쳐진다... 2018-06-25 0 2508
1095 시속에서 사랑의 노래가 펼쳐진다... 2018-06-25 0 2551
10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풍경 2018-06-16 0 4624
10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림 2018-06-16 0 3160
109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상 2018-06-16 0 3352
10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 2018-06-14 0 3342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